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수효능감

        김정화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8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을 조사하여 학년, 인권 관련 교육경험, 유아권리협약 인지도,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중요성 인지도 등의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 대상의 유아인권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S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유아교사 389명이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은 보통을 조금 넘어서는 수준으로, 책임지각이 가장 높았고 결과 지각이 가장 낮았다. 변인들 중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중요성 인식도에 따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으며, 개인효능감이 결과 기대감보다 높았다.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은 모든 변인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수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인권교육 관련 경험이 부족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관련 지식뿐만 아니라, 상황 중심의 문제해결과정을 강조하는 접근법의 유아인권교육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cessary data to make a better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this research carries out an investigation on preservice teacher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eaching efficacy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 consists of 389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S College in Seoul. This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level of preservice teachers' overall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is slightly above averag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mong those affected by the level of interest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duaction on child's human rights, groups with a high level of interest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n child human rights had higher scores. The level of preservice teachers' overall teaching efficacy on human rights education is above averag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human rights education according to grade,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awareness of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awareness of interest in and importa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re i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ry and efficacy in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hildren‘s rights education is required not only for prospective teachers who lack experience in child human rights education but also hor approaches that emphasize situation-oriented problem solving.

      • KCI등재후보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

        이연승,이언정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8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추후 유아영어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시에 근무하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250명, 학부모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카이제곱검증(x2)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와 학부모 모두 유아영어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학부모의 인식이 교사의 인식보다 더욱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영어교육의 목표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영어에 대한 친밀감 갖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영어교육의 적합한 교육방법으로 교사와 학부모는 만3~5세의 유아들에게 유아교육기관에서 주 2~3회 20분 이내 모든 유아들에게 일시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영어교육의 적합한 교수법으로는 데일리루틴 교수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아영어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교사와 학부모 유아의 실제 영어 활용기회 부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유아영어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는 영어에 대한 유아의 흥미와 동기유발이 증진된다는 것에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necessity, goal, teaching-learning method, problems and effect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on the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250 parents in K city, Gyeongsangnam-do.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were performed and chi-square test(x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necessity, both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d that English education is necessary and parents’ percep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Second, regarding the purpose, the most frequent answer from the two groups was to make children familiar and interested in English. Third, regarding the optimal method, both groups perceived that it would be good to give English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children between 3 years old and 5 years old with given term. also Infants were recognized as most suitable to be temporarily performed by all infants within 20 minutes two to three times a week. They answered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method would be daily routine teaching method. Fourth, regarding problem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both groups thought the biggest problem was insufficient utilization opportunity. Regarding effects, they thought it would enhance the children’s interest in English and motivation to learn it.

      • KCI등재

        중국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지향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경철(Kim, Kyung-Chul),한유진(Han, Yoo-Jin),심효영(Xiaoying, She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향하는 가치를 가지고 창의인성의 사고와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중국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은 1단계 문제분석 및 기획, 2단계 정보수집 및 통합, 3단계 설계, 4단계 초기개발, 5단계 평가 및 수정개발의 5단계 개입연구방법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면담조사와 현장조사 결과를 근거로 개입 구성요소와 개발원칙을 개발하였으며, 중국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과 전문가 서면평가 실시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 원형을 설계하였다. 초기 프로그램 개발과 예비연구를 거쳐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중국 북경의 사립유치원 유아를 대상으로 8주 동안 18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적용 결과, 「중국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유아의 창의성과 인성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국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중국 유아의 지속가능발전지향 창의인성교육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in China.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nese Children was developed through multiple phases of investigation. They included problem analysis and planning in the first stage, information collection and integration in the second stage, program design in the third stage, initial development of the program in the fourth stage, and evaluation and revision of the program development in the fifth and final st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vention components and development principles of the program were developed based on interviews and on-site surveys. The original program was designed as well based on written evaluations of curriculum experts in China. The program was organized through initial program development and preliminary research, and then was carried out through 18 sessions over eight weeks of private kindergartens in Beijing, China. Second,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nese Childre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of the experimental group. It is expected that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nese Children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esirable character for Chinese young children.

      • KCI등재

        기후변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천과 노력

        이세화,김은혜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4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천과 노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사 6명과 개별 또는 집단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은 녹음하여 전사하였으며 질적연구의 분석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기후 위기가 우리 삶에 가까이 오고 있음을 느끼고 기후변화교육이 다음 세대를위해 꼭 필요한 교육임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기후변화교육이 다소 모호하고 막막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일상생활 속에서 올바른 습관과 태도가 형성되도록 기후변화교육을하고 있었으며, 자연 속에서 자연과 교감하며, 가정과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기후변화교육을 실천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는 유아의 놀이와 연계하여 기후변화교육을 실행하는 것과 학부모, 기관장과의 인식의 차이로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사회적, 물리적, 행정적 지원과 노력이 필요함을제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기후변화교육의 실천과 유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Early childhood teach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and their practices and effo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individually or collectively with six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interview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analyzed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proc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felt that the climate crisis was approaching our lives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recognized that climate change education was a necessary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but thought that climate change education was somewhat ambiguous and vague.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providing climate change education so that basic habits could be formed in their daily live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communicating with nature in nature, and practicing climate change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families and communities. Third, it was rais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having difficulties due to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parents and institutional heads and need various social, physic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and efforts to support them. These results can be useful as basic data for implementing climate change education and improving the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rs'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and practice and effor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 유아기 자녀를 둔 결혼이민자 가정 어머니의 부모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

        김경옥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4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결혼이민자 가정 어머니의 부모교육 요구를 조사하고, 출신국가, 한국생활기간, 월평균 소득수준에 따라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출신국가에 따른 부모교육 요구를 범주별로 살펴본 결과, 유아의 습관형성 범주에서 유아의 문제행동을 고치는 방법, 어머니의 한국적응 범주에서 어머니의 한국어 교육, 어머니의 한국 문화에 대한 교육, 어머니의 스트레스 해소에 관한 내용, 한국의 가족관계 이해에 대한 교육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활기간에 따른 부모교육 요구를 범주별로 살펴본 결과, 유아의 양육과 건강 범주에서 유아의 건강진단과 아플 때 간호하는 방법, 유아의 안전사고와 위급한 상황에 조치하는 방법, 유아의 영양에 대한 지식과 바른 식사습관을 갖게 하는 방법, 어머니의 한국적응 범주에서 어머니의 한국어 교육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수준에 따른 부모교육 요구를 범주별로 살펴본 결과, 유아의 양육과 건강 범주에서 유아의 건강진단과 아플 때 간호하는 방법, 유아의 발달 범주에서 유아의 성격과 사회성 발달에 관한 내용,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대한 내용, 부모와 유아간의 의사소통 범주에서 유아와 효과적으로 대화하는 방법, 유아가 다른 사람의 말을 귀기울여 듣는 태도를 갖게 하는 방법, 자녀교육 방법 범주에서 유아가 실생활을 통해 배울 수 있도록 가르치는 방법, 어머니의 한국적응 범주에서 어머니의 여가활동에 대한 정보 및 교육, 어머니의 직업에 대한 정보 및 교육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of married immigrant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and how it varies depending on country of origin, length of stay in Korea and monthly average income. To achieve the purposes as abo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1. What is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of married immigrant families with young children?2. How does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of married immigrant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vary depending on variables?2-1. How does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of married immigrant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vary depending on their country of origin?2-2. How does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of married immigrant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stay in Korea?2-3. How does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of married immigrant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vary depending on monthly average income?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3 mothers of married immigrant families with 3-5-year-old children going to the public․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17 cities and counties across Gangwon-do. Their countries of origin include China, the Philippines, Vietnam and Japan. As for a research tool, a questionnaire form ‘Need for Parental education’ made by Yoon, So-Young (2002)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subjec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for data processing, to find out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of married immigrant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Furthermore, to analyze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of married immigrant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according to variables(country of origin, length of stay in Korea and monthly average income),  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of married immigrant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was examined and as a result,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of married immigrant families with children is high in the following categories; how to take measures in emergency situations and safety accidents, knowledge on child nutrition and how to let children have proper eating habit in the category of child health and raising; information on brain development of children in the category of children development; how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children in the category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how to correct the maladaptive behavior of children in the category of child habit formation; and information on married immigrant family support and how to use it in the category of mothers’ adaptation to Korea. Second,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of married immigrant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depending on the variables - country of origin, length of stay in Korea and monthly average income - was examined.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erived. 1.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according to country of origin was examined by category and as a resul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w to correct the maladaptive behavior of children in the category of child habit formation; and Korean education for mothers, Korean culture eduction for mothers, information on how to relieve stress for mothers, education on understanding of family relationship in Korea in the category of mothers’ adaptation to Korea. Regarding how to correct the maladaptive behavior of children in the category of child habit formation,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from China and the Philippines turned out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mothers from Japan and Vietnam. Regarding Korean education for mothers in the category of mothers’ adaptation to Korea,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from Vietnam, the Philippines and Japan turned out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mothers from China. Regarding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mothers and education on understanding of family relationship in Korea,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from Vietnam and the Philippines turned out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mothers from China and Japan. Regarding information on how to relieve stress for mothers,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from Vietnam, the Philippines and Japan turned out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mothers from China.2.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stay in Korea was examined by category and as a resul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w to check children’s health and care for sick children, how to take measures in emergency situations and safety accidents of children, knowledge on child nutrition and how to let children have proper eating habit in the category of child raising and health; in Korean education for mothers in the category of mothers’ adaptation to Korea. Regarding how to check children’s health and care for sick children, how to take measures in emergency situations and safety accidents of children, knowledge on child nutrition and how to let children have proper eating habit in the category of child raising and health,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who stayed in Korea less than 6 years turned out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who stayed for more than 6 years to less than 9 years and those who stayed more than 9 years. Regarding Korean education for mothers in the category of mothers’ adaptation to Korea,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the mothers who stayed in Korea less than 6 years turned out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who stayed for more than 6 years to less than 9 years and those who stayed more than 9 years.3. The need for parental educat

      • KCI등재

        유아교육과 신입생과 현직유아교사들의 그림(drawings)에 나타난 교실 공간의 특징

        이슬지,장정윤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2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room spac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s shown in drawing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70 pictures completed by 34 freshm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36 inservice teachers respectively.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keywords or themes in the drawings as to examine data trends; the results showed that a theme of ‘curriculum-centered space’ appeared the most in the drawings, followed by ‘child-oriented space’ and ‘other spaces’ themes. These results display what the two groups of participants mainly focus on when they think of classroom spa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s were also analyzed; in the ‘curriculum-centered space’, freshmen focused on ‘memories of playing in space’, whereas inservice teachers emphasized ‘realization of curriculum through space’. In the ‘child-oriented space’, freshmen highlighted ‘space for getting together’ in contrast to inservice teachers, who enunciated ‘space as a domain’ in their drawings. ‘Other space’ was only expressed in small parts of the data, given that it is not a curriculum-centered or a relationship-oriented space; metaphorical and figurative spaces (space being created, spaces containing light and color) were included here. These research results are significant in displaying the perspective differences in regard to classroom space as educational settings between freshmen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신입생과 현직유아교사들이 그린 그림 총 70개(유아교육과 신입생 34명, 현직유아교사 36명)에 나타난 유아교육기관 교실 공간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그림에나타난 키워드를 중심으로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유아교육과신입생과 현직유아교사들의 그림에는 ‘교육과정 중심의 공간’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 ‘유아 중심의 공간’, ‘그 밖의 공간’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과 신입생과 현직유아교사들이교실 공간을 떠올릴 때 주로 무엇을 중점적으로 생각하는지 보여준다. 각각의 경향 안에서 나타난 그림의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교육과정 중심의 공간’ 안에서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은 ‘공간에서의 놀이에 대한기억’을, 현직유아교사들은 ‘공간을 통한 교육과정 실현’의 측면을 중점적으로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유아중심의 공간’에서는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이 그린 ‘모이기 위한 공간’과 현직유아교사들이 그린 ‘영역으로서의 공간’의 모습이,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이 그린 ‘놀잇감이 그려진 공간’과 현직유아교사들이 그린 ‘도형으로 그려진 공간’의 모습이 서로 대비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그 밖의 공간’은 소수의 자료들에서만표현된 공간으로, 해당 그림들에는 앞서 교육과정 중심 또는 유아 중심의 공간이 아닌 은유적⋅비유적인 공간의 모습(만들어져가는 공간, 빛과 색을 품고 있는 공간)들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교실 공간에 대한 유아교육과 신입생과 현직유아교사들의 생각의 차이를 보여주는 동시에 공간에 대한 관점의 현 주소를 진단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김정화(Kim, Jung Wha)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과 유아인권교육과 관련한 교사의 인식 변인, 인권감수성 변인에 따른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러한 변인들이 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03명이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은 개인 변인 중 교사의 최종학력, 기관유형, 연령, 담임반 유아연령,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개인 변인 중에서 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을 예언하는 가장 경력한 변인은 교사의 최종 학력이었다. 교사의 인권교육 관련 인식변인에 따른 유아인권 교수효능감 차이를 보면,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지도, 유아인권교육 관련 연수경험, 인권 관련 내용 인지도, 유아인권교육 운영여부 등 변인 모두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육관련 인식 중에서 교사의 인권 교수효능감을 예언하는 가장 경력한 변인은 유아인권교육 운영, 인권교육 중요성, 인권감수성, 인권내용 인지 순이었고 이 4개 변인으로 설명할 수 있는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의 변량은 26.6%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crepancies in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teachers’ individual differences, human rights awareness,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as well as bring to light their influences on teacher education concerning human rights education.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203 teachers working at differen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crepancies among teachers depending on their final education backgrounds, types of institutions, ages, experiences, and ages of young children teachers were in charge of. Among these factors, the one that was the most indicative of teaching efficacy was the teachers’ levels of education. Additionally, when looking at discrepancies in the efficacies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relation to teachers’ perception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raining experience, awareness on human rights issues, and human rights education frameworks.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four factors that had influences on teaching efficacy the most included managing programs for young children’s rights in centers, perceiving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having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recognizing contents of human rights, all of which contribute to 26.6% of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012-2021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임미자(Lim, Mi-Ja),김정희(Kim, Jung-Hee)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2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국내의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과 관련된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과 ‘국회전자도서관’에서 2012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KCI에 등재된 학술지 30권을 중심으로 게재된 총 101편을 선정하여 연구발표현황, 연구주제어 경향, 연구방법론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에 관한 발표시기는 2012년 이후 꾸준히 이루어졌으며 2014년이 가장 활발하였다. 게재된 학술지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가 가장 비중이 높았다. 둘째, 주제어는 예비유아교사와수업실습과 관련된 주제어가 총 375개 중 324개(86.4%)로 가장 많았으며, 주제어 경향은 예비교사, 수업실습, 지도교사, 연구방법, 프로그램, 교사교육제도와 기관, 실습지도교수, 교육관과 가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에서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의 4학년이 가장 많았고 예비유아교사, 지도교사, 실습지도교수, 문헌, 원장 순으로 연구되었다. 연구유형은 심층면담, 설문지법, 저널쓰기 순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양적 자료분석은 t검증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예비유아교사의 사회맥락적특성을 고려한 실습지도교사, 연구방법, 프로그램, 교사교육제도와 기관, 실습지도교수, 교육관과 가치 등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과 관련한 연구들이 궁극적으로 실습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실무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실습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실습제도를 개선하는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nalyzed recent domestic research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practicum. 101 articles published across 30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in the KCI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21 by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and the ‘National Assembly Electronic Library’ were selected. These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presentation status, topics and subjects, and methodology.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studies on the practicum have been consistently published since 2012, reaching a peak in 2014. Second, keyword trends indicated that 324 of 375 keywords (86.4% of the total) were related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lass practice.’ Third, methodology trend showed that participants generally focused on seniors in 4-year universities, follow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upervisors, university facilitators, literature, and directors. The most common type of research methods performed was in-depth interviews, followed by questionnaire surveys and journal writings. T-tests were used most often for quantitative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seeking ways to impro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competence through practicum and develop efficient practicum guidelines.

      • KCI등재

        은유 분석을 통해 본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이은영(Lee, Eun-Young),이경민(Lee, Kyung-Mi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은유 분석법을 적용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실행된 이후,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7월 6일부터 8월 31일까지 수도권에 소재한 공⋅사립유치원 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은유 표현은 교수학습방법, 수학에 대한 감정, 교사역할, 수학의 가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범주별로 살펴보면 첫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인식은 일상과 놀이를 통한 교육, 다양하고 통합적인 교육, 형식적이고 획일적인 교육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학교육에 대한 감정은 긍정적인 감정에 비해 부정적인 감정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학교육을 위한 교사역할을 관찰자와 지원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수학의 가치에 대한 인식의 경우, 유치원 교사들은 수학을 삶에 유용한 학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유치원 교사들은 일상과 놀이를 통한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고, 관찰자와 지원자로서 교사역할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놀이 중심 수학교육 실천 측면에서긍정적인 결과로 해석된다. 하지만 일부 형식적이고 획일적인 교육과 수학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수학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교사교육과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before and afte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 metaphor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e study. 191 teachers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a metropolitan area took an online survey, which was conducted from July 6th, 2021 to August 31st, 2021. The result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high metaphorical expressions for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in order of 1)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2) ‘feelings about mathematics’, 3) ‘teacher’s roles’, and 4) ‘the value of mathematics’. First, in terms of the percep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eachers highly perceived in order of ‘education through daily life and play’, ‘various and integrate education’, and ‘formal and standardized education’. Second, teachers’ negative feelings toward mathematics were more common than positive feelings. Third, teachers were able to clearly recognize their roles in mathematics education as observers and applicants. Finally,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of the value of mathematics,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regarded it as a useful study in life. Overall,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ighly perceived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through daily life and play to be important and were keenly aware of their roles. These results were considered as a positive aspect in their practice for math education. Teachers’ negative feelings about formal and uniform approaches to mathematics education implie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continued teacher training opportunities and support for quality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유치원 지원사업에 참여한 유아 어머니의 경험

        김보근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2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how the mothers of children who experienced the support project for kindergarten in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eferred areas acknowledge the support project, what the requests are for the support project, and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upport project on the children and the mother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the 6 mothers of the children who are attending the kindergarten located in the C, Chungchungbuk-do subject to the support project for kindergarten in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eferred areas. By us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first, the mothers were positive about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project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eferred areas. Second, the requests of mothers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project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eferred areas included a proactive promotion about the support project and the kindergarten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ommunity, dispatching professional welfare resources to the support project kindergartens. Third, the effects of operation of the support project for kindergarten in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eferred areas on the children and the mothers were positive. 본 연구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유치원 지원사업을 경험한 유아 어머니가 지원사업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지원사업에 대한 요구는 무엇이고, 지원사업이 유아와 어머니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충청북도 C시에 소재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대상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의 어머니 6명 이었으며, 반구조화된 면담방식을 사용하여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운영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활동비를 지원 해주는 것에 대하여 가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비용의 부담으로 경험하지 못했던 활동을 유아가 무료로 경험하게 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복지투자우선 지역 지원사업 운영에서의 어머니의 요구는 지원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지역사회에 대한 정보를 유치원에서 제공해 주는 것, 지원사업 유치원에 복지담당 전문 인력을 배치하는 것, 보편적인 복지혜택으로서의 무상교육, 무상급식이 있었으며, 지원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표현활동과 야외활동을 통하여 유아 자신의 내면을 표출하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 다양한 견학이나 체험활동을 통하여 가정에서 경험시켜 주기 힘든 넓은 세상을 보여주는 것, 건강검진 결과에 따른 건강관리와 깨끗한 먹거리를 제공해주는 것을 요구하였으며, 어머니 지원에서는 자녀를 양육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부모교육 내용과 한 가지 주제로 이루어지는 체계적인 교육방법을 요구하였다. 셋째,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유치원 지원사업은 경제적, 사회적, 발달적 측면에서 유아와 어머니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