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치원 원장 대상 인성교육에 대한 모듈식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김진규 ( Kim Jin Gyu ),윤길근 ( Yoon Kil Gyeun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8 실천유아교육 Vol.2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원장 대상 인성교육에 대한 모듈식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교원의 인성교육 역량은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유치원 원장 대상 인성교육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중앙교육연수원에서 시행 하고 있는 유아교육 관리자 인성교육 연수과정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유일한 유치원 원장 대상 인성교육 연수과정이라는 사실, 다양한 교육기관에로의 확대 시행의 필요성, 표준 연수 과정의 연구와 핵심 모듈 개발, 그리고 현업적용도 평가 시행 등이 시사점으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유치원 원장의 인성교육 리더십을 함양하기 위해서 인성교육 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인성교육정책, 인성교육 지도 전략, 가정·지역사회와의 연계 방안, 그리고 유치원 현장 적용 실천 등 4가지 핵심 모듈을 구성하여 모두 20개 교과목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수담당자의 요구에 따라 15시간으로 편성된 3일 연수과정과 30시간으로 편성된 5일 연수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haracter education modular training programs for kindergarten directors. We have confirmed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competency of teachers are variously proposed according to researchers.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character education training program for kindergarten directors.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nager training course conducted by the National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were analyzed. Four core modules such as character education policy, character education instructional strategy, linkage with home and community, and application of kindergarten field were presented. And 20 subjects in the training program were selected. In addition, we presented the 3-day training course organized in 15 hours and the 5-day training course organized in 30 hours.

      • 유아 대상 찾아가는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박정화 ( Park Jeong-hwa ),한희경 ( Han Heekyung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8 실천유아교육 Vol.23 No.2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찾아가는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실행된 기초연구이다. 청주시에서 이미 실행하고 있던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보완하여 4회기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안)을 개발하기 위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주시 지자체의 요구와 문헌 분석을 토대로,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 평가방법이 구성되었다. 찾아가는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안)은 청주시 어린이집 두 곳에서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둘째, 2017년 3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주 1회, 총 4회의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안)을 청주시 소재 유아교육기관 20개 학급에서 만 5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담임교사는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안)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평가 결과를 토대로 가정연계 활동과 평가방법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찾아가는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안)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was basic research to develop a visiting resource recycling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It was to expand the current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provided in Cheongu from once to four times. The development processes and results of a visiting resource recycling education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eds from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references,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tools were conducted. The validity of the draft program was tested at two daycare centers in Cheongju. Second, a draft for a visiting resource recycling education program was performed once a week, total of 4 sessions to the 5 aged children at 20 classes in Cheongju from March, 20 to April, 30, 2017. In order to evaluate the draft, 20 teacher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Third,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a visiting resource recycling education program was finaliz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home-related contents in the educational method and the ways of educational evaluation.

      •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분석

        박지영 ( Park Chi-young ),이경화 ( Lee Kyun-ghwa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8 실천유아교육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를 확인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15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2017년 4월 10일부터 2017년 4월 24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된 자료들은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alpha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배경에 따른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유아교사의 연령, 근무교육기관, 학력, 경력, 담당 유아연령,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교사의 학력을 제외한 모든 배경 변인에 따라서 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환경교육을 실시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nvironmental attitudes of teacher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teachers who are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pril 10, 2017 to April 24,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o assess th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One-way ANOVA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eco-friendly attitudes toward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except teacher's educa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 - friendly attitude of the teachers according to the age,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career, the infant age.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코메니우스와 몬테소리의 교육 사상 비교 -감각교육을 중심으로-

        김지영 ( Kim Ji Young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2 실천유아교육 Vol.17 No.2

        사람은 살아가는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거기서 생존에 필요한 것들을 습득한다. 특히, 인간의 지식은 경험에 의해 축적되며, 이러한 경험은 감각교육을 통해 이루어진다. 코메니우스는 감각기관의 중요성율 인식하고 최초로 시청각교육의 실천을 통해 당시의 이론과 언어 중심의 교육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몬테소리는 감각교육을 위한 교구개발과 체계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감각교육의 활성화를 이루었다. 이들의 공통점은 감각기관을 통한 지식습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식습득은 인간의 창조적 본성의 회복, 자존감과 존엄성 및 자율성을 중시한 감각교육 실천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 정이다. 즉, 인위적인 교육 방법을 배제하고 자연과 사물에 대한 관찰과 교류를 통해 지식과 경험을 습득하게 하는 것이며, 교육실천올 위한 과학적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차이점은 코메니우스는 감각교육올 시각화 하는데 머무름으로 감각교육의 한계점을 드러내었다는 것과 여전히 인식론적인 경험에 근거를 두었다는 점이다. 반면 몬테소리는 감각기관의 경험율 위해 다양한 감각교구 개발과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개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율성올 존중함으로서 창조적 능력을 희복혜야 할 필요성올 촉구 하며, 교육 현장의 욕구 충족을 위해 감각교육의 다변화를 모색한다. Having been influenced by one`s own environment, man lives and learns necessary things to survive. In particular, the knowledge of man can be accumulated by experience. The experience can be obtained by sensory education. Comenius recognised the importance of sense organ and became the first person to use audio-visual education in the time that theory and speech orientated education was common. And, Montessori has made sensory education popular by developing instruments of education for sensory education. The common ground of both is that education has been done by recognising the importance of obtaining knowledge through sensory education. In addition, obtaining knowledge can be done by restoring the nature of humanity, self-esteem and dignity. They have suggested scientific tools for education by making children obtain knowledge and experience through observing nature and objects. The difference is that while Comenius has been focused only on visual education based on epistemological experience, revealing its limitation, Montessori has developed various sensory tools and organised programme. It is noticed that new paradigms of learner oriented education are important It is challenged that recovering creativeness by respecting self-regulation is very much needed. The diversity of sensory education is sought to meet the felt need of education field.

      • 교사의 목소리로 통해 본 유치원 현장의 음악교육

        윤혜자 ( Hye Ja Yoon ),홍길회 ( Khil Hoe Hong ),정가윤 ( Ga Yoon Jung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2 실천유아교육 Vol.17 No.1

        본 연구는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교육을 통해 유아교사가 음악교육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 음악교육을 어떻게 계획하고 실행하는지, 유아교육현장에 들어오는 외부의 음악수업에 대한 교사의 생각은 어떠한지, 그리고 유아들에게 음악을 교육할 때 교사의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유치원 음악교육활동의 직접 관찰과 4명교사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음악교육에 대한 이해와 유아들에게 실시되는 음악교육과 교사에게 필요한 음악적 환경, 교사들의 음악교육실행의 어려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를 통해 본 유치원 현장의 음악 교육은 어떠한가? 둘째, 유치원에 들어오는 외부의 음악수업에 대한 교사의 생각은 어떠한가? 셋째, 음악교육을 통해 본 교사의 음악지도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연구 결과 교사를 통해 본유치원의 음악 교육은 수업 속에 활용되는 음악으로 음악 교육이라기보다는 생활주제를 유아들에게 전달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거나, ‘노래 부르기’와 같은 활동만으로 음악교육을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외부 음악 교육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을 하였으며, 외부음악교육에 대해 그에 따른 교육상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인지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를 통해 본 교사의 음악지도의 어려움은 음악적 자신감 결여와 지도방법의 연계방법 부족으로 인하여 음악적 개념지도의 어려움을 보여주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직교사들에게 음악 교육의 재교육의 필요성과 예비교사들을 위한 ‘유아음악교육전문 교사자격’ 체제를 실시하여 유아교육에서도 유아음악교육 전문성 교사 배출시스템 설계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By monitoring kindergarten musical activities in-depth interviewing with four kindergarten teachers, this paper researched kindergarten teachers` attitudes toward musical educations, ways of their plan and implementing educations, thoughts about musical educations programed by private institutions and difficulties of educating musical educations to students. Thus, research topics were selected to improve understandings of musical educations, musical education practices` environments in kindergarten field regarding of three questions: First, how were actual educations like by a teacher`s point of view?, Second, what were teachers` attitude toward on accepting musical educations programmed by private institutions? Third, what were teachers` difficulties for teaching musical edu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answering the first question, "how were actual musical educations like by a teacher`s point, musical educations were performing as subject of living discussion time and as the one of activities such as "Sing-Along". Answering the second question, what were teachers` attitude toward on accepting muscial educations programmed by private institutions?, the answer was found as the attitude was positive. Answering the third question, what were teachers` difficulties for teaching musical educations?,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were struggling with advising musical education concepts due to a lack of confidence on educations and of applied ideas to musical educations.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However, by restraining the musical education, they were willing to teach musical educations to students systematically. Eventually, this research would challenged current kindergarten teachers to be suggested for needs of restraining musical education and systematic musical education.

      •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적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성원경 ( Won Kyung Sung ),이춘자 ( Choon Ja Lee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2 실천유아교육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적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A, B 대학 예비유아교사 73명이다. 유아수학내용지식은 개념도를 통해, 수학적 교수효능감은 질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적 교수효능감과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적 교수 효능감 중 결과기대 효능감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 교수 능력신념 효능감과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과목 내용지식을 잘 배우면 앞으로 잘 가르칠 수 있게 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내용지식을 잘 배우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This study`s subjects are 73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from two four-year universities, A and B, situ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ir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were analysed using a concept map and a questionnaire,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c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Second,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outcome expect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re was static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efficacy expectation. The above results mean that pre-service teachers` good learning of a specific subject`s content knowledge leads to their excellent teaching, and therefore good learning of content knowledge is crucial.

      • 누리과정도입에 따른 유치원교사의 전문성 제고방안

        이희경 ( Hee Kyung Lee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3 실천유아교육 Vol.18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누리과정이 도입되면서 유치원 교사양성교육에 요구되는 교사교육의 전문성제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유치원교사의 국가 자격기준을 검토하고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의 유치원교사 양성 및 양성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하여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사 양성현황은 양성대학 유형과 입학정원, 졸업자 및 취업률, 수업연한, 자격증 발급수. 전문대학 전공심화과정 운영 현황 등을 분석해 제시 했으며, 양성교육과정현황은 교사자격 과목의 이수기준에 비추어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의 교육과정 편성현황을 분석해 제시했다.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제고 방안으로 첫째, 유치원교사 양성교육과정은 교사자격기준을 강화한 표준화 기반의 4년제 학사 과정으로 제고되어야 하며, 둘째, 유치원교사 양성기관은 누리과정 운영에 충실한 교원을 양성해야 한다. 향후 순차적인 전문대학 수업연한의 조정이 요구되며 누리과정 기반의 양성교육과정 운영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way of enhancing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For this, as the study method, the legal qualification criteria of kindergarten teachers were investigated, and the systems of 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currently for teacher education curriculums of junior colleges that have 2~3 year courses and universities that have 4 year cour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ll curriculums for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need to be a 4 year bachelor`s degree based on the tightening of teacher qualification criteria recently. Secondly, all the institutions for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educate the students according to the Nuri curriculum, so that after graduation they can implement the Nuri curriculum efficiently. Consequently, the years required for graduation of junior colleges needs to be extended to 4 year courses gradually, and the curriculum of the courses should be implemented focusing on the Nuri curriculum.

      • 또래유아의 장애수용태도 증진을 위한 부모참여 반편견 그림동화 활용 연구

        이미진 ( Mi Jin Lee ),한상길 ( Sang Kil Han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3 실천유아교육 Vol.18 No.1

        본 연구는 부모참여를 통한 반편견 그림동화 읽어주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이러한 활동이 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M 유치원 만 5세 유아 35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부모교육을 받은 어머니 일일교사가 반편견 그림동화를 읽어준 다음 절차에 따라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험집단 유아가 통제집단 유아보다 장애수용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부모참여 반편견 그림동화 읽어주기 프로그램 효과 검증 결과 유아의 성별에 따른 장애 수용태도의 변화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그림동화는 글과 그림을 통해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전달하는 것으로, 반편견 그림동화의 의의는 그것을 보고 듣는 과정에서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과 자아 성찰적 사고 능력이 증진되는 것에 있다. 그리고 부모가 가정에서 잘못 학습된 장애유아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바로잡아 줄 수 있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반편견적 태도 변화에 긍정적 효과를 줄수 있는 교수매체로서 부모참여 반편견 그림동화 활용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유치원 현장에서 장애유아 이해를 위한 부모참여 및 부모교육 필요성에 대한 관련당사자의 이해 증진이 요구된다. 아울러 이의 실천을 위해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유치원장의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after executing an anti-biased picture book reading program by parents, we searched for the program`s influence on the peers` acceptance of the disabled young children. We set up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ut of 35 kindergarten children of 7 years old in a kindergarten in Kyungki province. After reading them some anti-biased fairy tales, one of the parents, especially mothers, who were trained as the teacher for the day, proceeded the program as planned. The first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change for the acceptance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attitude change to disabled children. As picture books illustrate a specific story by using texts and pictures, the true meaning of anti-biased picture books lies in the fact that children can develop their moral judgment and ability to self-examination through listening to the unbiased story and looking at the anti-biased pictures. At the same time, reading anti-biased picture books with parents proved itself effective as a teaching method in helping children correct some negative stereotypes and prejudice against disabled children learned by parents at home. Therefore, the people in charge of the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 need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parents` participation and education of the parent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disabled children. Any kindergarten superintendent will need to try hard to continue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achievement of this purpose.

      •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한나 ( Kim Han Nah ),이경화 ( Lee Kyung-hwa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8 실천유아교육 Vol.23 No.2

        본 연구는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향상에 효과적인지 목적을 두고 이를 확인하고자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국공립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실험집단은 H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13명, 통제집단은 J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13명이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6주 동안 주 2회씩, 총 12회의 협동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 유아들은 6주 동안 만 4세 누리교육과정 신체활동에 참여하였다. 유아의 자아개념 측정을 위한 도구로 이경화, 고진영(2015)의‘유아용 자아개념 검사’를 사용하였고, 분석은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별 차이검증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누리교육과정의 신체활동에 참여한 통제집단 보다 유아의 총 자아개념이 향상된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하위영역별 자아개념에 있어서는 협동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누리교육과정의 신체활동에 참여한 통제집단 보다 인지적 자아, 사회적 자아, 신체적 자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가 확인되었으나, 정의적 자아 영역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협동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누리교육과정의 신체활동보다 유아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on the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concept(physical, cognitive, social, emotional)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used the standardized 'Self-concept examination for young children', produced by Lee Kyung-Wha and Ko Jin-young (2015), as a tool for measuring the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The pr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using free-choice activity time and after-school hours in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self-concept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program improved more than the self-concept of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hysical activities of the Nuri curriculum. Secondly, in the sub-domains of self-concep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higher score in the cognitive self, social self, and physical self tha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ies of the Nuri curriculu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self-concep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program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than the physical activities of the Nuri curriculum, and it is suggested that if cooperative physical activities are actively used in the education field of young children, the children's self-concept can be improved more effectively.

      • 유아의 동물개념발달 연구

        이보영 ( Bo Young Rhee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2 실천유아교육 Vol.17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연령에 따른 동물개념발달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유야생물교육의 방향올 제시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의 3·4·5세 유아 56명을 대상으로 이보영(2009)의 동물개념 연구에 기초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동물개념 질문지로 연령에 따른 유아들의 동물개념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연령의 증가에 따라 동물개념은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물개념의 범주별로 분석한 결과 동물의 특징, 동물의 생활주기, 동물의 주변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개념과 문항별 분석의 결과 유아들의 동물에 대한 사전개념올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동물올 주제로 교육활동올 구성 할 때, 유아들이 지각적인 경험만으로는 정확한 개념을 획득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따라서 유아의 생물교육을 위해서는 지각적인 관찰과 더불어 개념, 가치 그리고 태도 획득을 위한 생물교육활동을 구성하여야 하는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is aimed at determining the development of animal concepts by age in young children and suggesting a direction of biolog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ccordingly. For this purpose, a survey using revised questionnaires on animal concepts based on previous research of animal concepts (Bo-young Rhee, 2009) was conducted among 56 young children ages 3 to 5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D city and analyzed to investigate changes in young children`s animal concepts by age. The survey results found that animal concepts in young children are developed with advancing age. They also showed preconception on animals in young children such as the concepts on characteristics, life cycl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of animals.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iology educational activities for acquiring concepts, value, and attitude should be organized along with perceptual observation when composing educational activities on animal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ince ymmg children may have difficulty in getting correct concepts only from their perceptual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