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공동주택 기계설비 공사 하자 유형분석과 실무적 관점에서의 예방 및 개선 가이드라인 제안

        최정희,김선혜 대한설비공학회 2019 설비공학 논문집 Vol.31 No.1

        While MEP/FP construction scope and cost for apartments are getting increased, defect disputes between owners and constructors are also getting increased. More than often, owners’ dissatisfaction over construction defects and constructor’s reaction tends to increase filing lawsui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analysis of residential building construction defects, in particular for mechanical and plumbing works, which are classified into nine groups and typed according to defect severity to investigate the causality.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a preventive and continuous construction quality improvement guideline for practitioners. The defect data has been collected for about 20,050 apartments units built by A construction firm from 2010 to 2017. 84.6 percent of the collected defects are found in sanitary plumbing, drain and sewage piping, hot water piping, and unit ventilator and fan installation works; the detailed defects for each work are classified and the causes are carefully investigated. Eventually the database containing case studies, causes and effects, preventive measures, and warranty measures has been developed. This database can be used as an education material for agents in charge of the quality warranty on after project delivery as well as the quality assurance right before project delivery. It is authors’ strong recommendation that the construction defect database should be built and managed at the enterprise level,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which needs to be shared by all stakeholders. 공동주택 기계설비의 공사범위와 공사비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이에 따른 건축기계설비 관련하자분쟁도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기계설비 공사분에서 입주자가 먼저 신고하는 하자분쟁이 증가하는추세이다. 만약 시공사와 입주자 쌍방이 만족하는 합의가 이루어 지지 않으면, 하자에 대한 법적인 소송으로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본 연구는 A건설사가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시공한 20개 단지 20,050세대의 공동 주택에서 고객 서비스센터로 하자 접수된 자료를 조사하여, 기계설비 공사 하자를 공종별, 유형별로 분류하여 하자의 원인분석과예방 및 개선대책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동일한 반복 하자를 방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여 동일한반복 하자를 근절 및 기계설비 시공품질 향상 및 원가 절감, 입주자 만족도 제고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공동주택 기계설비 공사를 9개 공종으로 나누어 하자 비율을 분석하였을 때, 위생기구 설치공사, 오배수 배관공사, 난방배관 공사, 세대환기설비 공사가 전체 하자의 84.6%를 차지하여 해당 공종에 대한 하자의 원인을정밀히 분석하고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부공종별 빈번하자 유형에 따라 위생기구 설치공사, 오배수 배관 공사, 난방배관 공사, 세대환기설비 공사의 하자 유형 비율을 조사하고, 해당 하자의시공 하자와 제품 하자 비율도 조사하였다. 끝으로 하자 유형별로 심각성 및 원인을 분석하고, 사례를 수집하고이에 대한 일반적인 개선대책을 기술한 공동주택 기계설비 공사 하자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하였다. 공동주택 기계설비 공사 하자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하자를 제기하는 입주자와 1차적으로 대면하는 고객서비스센터의 상담요원, 하자 판정 관리자뿐만 아니라 Before Service 도입 시 점검 요원과 하자 보수 요원의교육용 매뉴얼로 사용될 수 있다. 시공사의 모든 공동주택 사업에서 일정 품질의 입주자 대응, 하자 관리 및보수를 보장하기 위해서 전사적인 차원에서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고 지식을 공유하는 체계를 갖추는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저자는 Before Service가 공동주택 사업의 기본 프로세스로 정착되면 기계설비 공사 하자 뿐만 아니라 건축공사하자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A건설사에서는 Before Service가 시도 된지 1년이 채 지나지않아 Before Service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자료가 아직은 부족한 실정으로 이후 연구에서는 Before Service 적용현장과 미적용 현장과의 하자 처리 비교 조사를 통해 하자 조치 비용의 저감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수행할 예정이다.

      • 건물관련질환(BRI) 예방을 위한 기계설비법 및 동법 시행령 개정 제안

        이세진(Se Jin Lee),여명석(Myoung Souk Yeo) 대한설비공학회 2021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1 No.6

        최근 기계설비법이 신설·시행됨에 따라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관련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물관련질환(BRI) 예방을 주목적으로 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기계설비법과 동법 시행령의 개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BRI 중 특히 유지관리 미비로 인하여 기계설비가 감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SBRI의 예방을 위한 국외 사례는 유지관리 자료 공유·관리 사례, 전문인력 교육·양성 사례로 나누어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관련 조항의 개정을 제안하였다. 법 개정을 통해 기계설비 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안전 및 유지관리까지 포함한 실태조사·협력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동법 시행령에서는 기계설비유지관리자가 기계설비의 안전·보건·위생환경에 관한 내용을 필수로 교육받을 수 있도록 교육과목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내용이 적용될 경우, 기계설비산업이 건물 내 감염병 예방·관리에 더욱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기계설비 유지관리기준(안) 제정을 위한 실태조사

        윤희원(Hiwon Yun),류형규(Hyung Kyou Ryu),최승혁(Seung Hyuck Choi),유호선(Hoseon Yoo) 대한설비공학회 2021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1 No.6

        건축물 기계설비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제정된 기계설비법의 시행에 따라 제16조에 의한 기계설비 유지관리기준 고시를 위해 기계설비 유지관리기준(안)이 마련되었다. 기계설비 유지관리는 건축물의 수명연장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꼭 필요한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법규의 부재로 통합적으로 관리되지 못하였다. 기계설비 유지관리기준의 마련은 건축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이지만 새로운 기준의 적용은 여러 가지 문제를 발발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기계설비 유지관리기준 고시 이후 나타날 수 있는 갈등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건축물의 기계설비 담당자 및 유지관리자, 관련 업계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유지관리기준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유지관리기준의 적용 시 느끼는 부담감에 차이가 있었으며, 공통적으로는 인력 부족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유지관리기준 시행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공동주택 환기설비 유지관리 방안 연구

        이윤규(Yun Gyu Lee) 대한설비공학회 2019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9 No.11

        환기설비 설치기준은 초기의 제도 도입인 점을 감안하여 자연환기설비, 기계환기설비 및 혼합형 환기설비의 기본적인 성능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미세먼지로 대표되는 외부 대기환경 문제가 국가/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공동주택 내 환기설비의 유지관리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신축 공동주택에 설치된 환기설비는 의무적으로 필터를 장착하여 환기 시 황사 등과 같은 외부 오염물질의 실내유입을 막고 있으나, 이러한 필터 등의 유지관리가 부실할 경우, 실내공기질의 악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필터를 포함하는 환기설비의 체계적인 유지관리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문 및 실태조사 자료 등을 근거로 수집된 국내 업계의 환기설비 개발 수준을 파악하고, 환기설비의 유형별로 유지관리에 필요한 본체, 필터, 열교환소자, 덕트 등의 기본적인 사양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를 제도화하기 위한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11조 및 “공동주택 관리규약” 의 유지관리지침에 환기설비용 필터의 청소 및 교환주기를 명시할 수 있는 세부 규정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기계설비 착공 전 확인신청서 작성 실태조사를 통한 제도개선 연구

        윤희원,이영준,안장성 대한설비공학회 2024 설비공학 논문집 Vol.36 No.2

        기계설비법 시행이 4년째에 접어들며 최적의 기계설비시스템 구축 및 건물 에너지 효율화 등 기계설비의 성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는 발판 마련이 되었다. 법 체계의 완성 후 비교적 안정적인 정착 및 운영에도 불구하고 법 시행 과정에서 나타난 일부 미비한 사항들이 있으며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기계설비 착공 전 확인 신청은 설계자, 시공자, 감리자가 공동으로 기계설비의 안전과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수행하는 절차이므로, 기계설비 착공 전 확인신청서의 불완전한 작성은 기계설비공사 개요와 적절한 업체 및 기술인력이 투입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어렵게 하여 전체적인 기계설비공사의 질을 떨어트리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기계설비공사의 전반적인 수준을 하락시키고 기계설비법의 시행 취지를 해치는 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기계설비공사의 기본이 되는 착공 전 확인신청서 작성 현황을 조사하고 개선안을 제시하여 기계설비공사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기계설비공사에 대한 책임 강화와 우수한 품질의 확보를 위하여 적합한 기계설비기술자 배치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기계설비 착공 전 확인신청서 조사를 통해 기계설비기술자의 배치 현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가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기계설비 착공 전 확인신청서의 개선사항은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공동주택 정보를 명확히 기재하는 항목을 추가하여 공사의 대상과 범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계설비 설계관련 등록증, 공사업 등록증, 기계설비 감리관련 등록증의 종류를 명시하여 업체의 자격 및 인력 투입 상황을 명확히 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장배치기계설비기술인과 현장배치기계설비감리인의 건설기술인 기술등급을 표기하도록 하여 공사에 적절한 인력이 배치되었는지 확인하는 기준을 제공한다. 기계설비기술기준 매뉴얼 개선안도 제시하여 신청서 작성 시 오류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기계설비공사 수행에 대한 정보의 투명성을 높이고 보다 체계적인 제도 정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기계설비기술자의 기술인등급 실태조사를 통해 기계설비공사의 규모와 상관없이 특급 인력만 배치되거나 기술인등급이 없는 기술자가 배치되는 등 적합한 인력투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을 확인하였다. 추후 본 연구의 현장 배치 현황과 유사 분야의 기술인 등급 및 배치기준 등을 분석하여 기계설비기술자의 현장배치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fact-finding survey conducted among on-site mechanical equipment engineers. Additionally, it proposes improvement plans for completing the mechanical equipment preconstruction verification application. Currently, errors occur due to the unclear method of filling out the preconstruction verification application. This leads to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construction and undermines the purpose of enforcing the Machinery Equipment Act. Accordingly, this paper proposed a plan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mechanical equipment construction. First, items for apartment housing information were added. Second, the types of registration certificates for mechanical equipment design, construction work, and supervision were specified to verify the qualifications of companies and personnel. Third, the technical level of the on-site mechanical equipment technician and the on-site mechanical equipment supervisor was required to be written so that the appropriate manpower arrangement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overall level of mechanical equipment construction can be improved by reducing errors in filling out preconstruction verification applications and increasing the transparency of construction.

      • KCI우수등재

        기계설비 비정형 데이터 활용 강화를 위한 기계설비산업 정보체계 고도화 정책제언

        진상기,채수인,양자강,박선효 대한설비공학회 2024 설비공학 논문집 Vol.36 No.2

        This study explored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information system of machinery and equipment,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data required for energy management policies and carbon neutrality policies for urban buildings. The study examined how information system i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machinery and equipment industries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value and obtain adequate valuable information from building machinery and equipment through expert research and on-site opinions.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echnical policies on how to utilize unstructured data in the machinery and equipment. industries Based on the results, improvement measures for building an information system that can contain unstructured data were deriv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formation system platform for the generation and distribution management of unstructured data and to develop technology to process it, and to improve the system and legal improvements that can activate unstructured data. 본 연구에서는 기계설비법(제17조)에 따라 정기적으로 시행되는 기계설비 성능점검과 유지관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중요한 비정형 데이터들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기계설비법(제7조)에 따라 구현된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시스템에서 체계적으로 유통관리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데이터와 탄소발생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정부의 정책입장과 데이터를 활용한 건축물관리 민간 산업 활성화를 위해 꼭 필요한 정책과제라고 본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정책적 기술적 제언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기계설비법에 따라 생성되는 모든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를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시스템을 통한 일원화 관리 방안이 검토되고 시행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현재 기계설비법을 통해 생성되는 각종 정보(법제15조에 따른 착공 전 확인 및 사용 전 검사 정보, 법제19조에 따른 기계설비 유지관리자 정보, 법제17조에 따른 성능점검 및 유지관리정보 등)들이 전자정부법에 따른 전자파일형태 또는 데이터화되어 유통될 수 있는 법제 정비가 필요하다. 즉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시스템 구축만으로 끝남이 아닌, 정보체계시스템 활용을 위한 업무 재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비정형 데이터들이 유통 관리될 수 있는 시스템 설계에 대한 운영 지침 마련도 같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2)기계설비 성능점검 및 유지관리의 과정과 그 결과 보고에서 생성되는 비정형 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법적 정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의 운영권자인 국토부장관이 관련 정보를 요청하고 시스템에 관련 데이터를 제출‧탑재할 수 있도록 요청할 수 있는 권한이 있어야 하고 그 법적 권한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현재와 같이 각 지방자치단체장이 행정재량으로 자료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표준화된 제출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이상 주요 비정형 데이터들의 다크데이터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요원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국토교통부는 기계설비법의 시급한 개정을 통해 국토부장과의 자료 요구권과 이 경우 기계설비산업정보체계를 통한 표준화 방안을 법적근거로 제시해야 할 것이다. (3)데이터3법 등의 강화 추세로 건축물의 개별세대의 에너지사용량 등에 대한 개인정보보호법 적용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기계설비법에 따른 기계설비관련 비정형 데이터 역시 개인정보와의 연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따라서 기계설비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데이터셋 설계 단계에서부터 적용되는 개인정보보호설계(PbD: Privercy by Design)와 개인정보 가명화 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비정형 데이터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산업 전반의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정형데이터와 달리 관리 수집 가치창출에 그동안 기술적 한계로 당연히 버려지는 데이터로 인식을 했다면 이제는 핵심 또는 중요가치를 내재한 원석 데이터로 보고 이에 접근하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설비 정보체계 이용 활성화 및 중요 비정형 데이터들의 활용 촉진을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하였다. AI, 빅데이터 산업 등 4차산업혁명기술을 필두로 한 첨단 산업의 발전과 도시건축물 탄소중립이행을 위한 국정과제의 도전 ...

      • KCI우수등재

        70 kW급 바이오매스 열병합 설비 소개–가스피케이션 엔진

        강새별,최재준,이현희,이승재 대한설비공학회 2024 설비공학 논문집 Vol.36 No.4

        이 논문에서 목재칩을 사용하여 전기 및 열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소규모 열병합 설비에 대해 특징을 조사하였다. 특히 목재칩을 이용한 유기냉매사이클 열병합 발전 설비(ORC CHP)와 목재칩 가스화 열병합 발전 설비에 대해 비교 분석 및 상세 내용을 분석하였다. 목재칩을 이용한 소규모 열병합 설비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유럽 등에서는 목재연료(목재칩, 목재펠릿)를 재생에너지 이용 확대를 통해 보일러, 열병합설비 등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독일의 경우 목재를 이용한 발전소가 약 14,922개소가 설치되어 있다. (2) 목재를 이용한 대표적인 소규모 열병합 설비는 유기냉매사이클 열병합 발전 설비와 가스화 엔진 열병합 설비가 있다. 유기냉매사이클 열병합 설비는 가스화 엔진 열병합 설비에 비해 열전비가 높으며(전기 출력에 비해 열 출력이 높음) 전기 효율은 7 ~ 14% 정도이다. 목재칩 가스화 엔진 열병합 설비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기 생산 효율이 높으며 약 10 ~ 36% 정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3) 목재칩 가스화 열병합 설비에 대해서는 독일의 Spanner사 제품에 대해 상세 분석하였다. 이 열병합 설비에 대한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 Spanner사에는 목재칩을 이용한 35 ~ 700 kWe 엔진 열병합 설비를 제작, 판매하고 있으며 이 설비들의 열전비는 1.7 ~ 2.3 정도이다. - 2020년까지 목재칩 열병합 설비를 약 900기 설치하였으며 2011년부터 현장에 설치되어 운전되고 있는 설비 12기에 대해 가동률을 조사해 보니 평균 가동률은 약 91.3%이다- HKA 70 모델에 대한 운전데이터를 확보하여 운전특성을 간단히 분석하였다. 열병합 엔진은 1,500 rpm으로 구동되며, 평균 전기 출력은 약 66 kWe이다. 특이사항으로는 1시간당 약 3회 정도 전기출력이 약 45 kWe 정도로 순간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이 있었다. 이는 목재칩을 가스화한 후 필터를 통해 이물질을 걸러내게 되는데 이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로직이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In Korea, electricity is mostly generated by large-scale power plants such as coal, nuclear and LNG power plants. Small-scale power generation using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and wind power is also increasing recently. Biomass energy utilizing wood fuel (wood chips or wood pellets) is a typical renewable energy source along with solar, wind, and geothermal power. Power generation using bioenergy, especially woody biomass, can be accomplished by chemical conversion of woody biomass into bioethanol or other biofuels, combustion of wood fuel in a power plant to generate electricity using a steam turbine or organic refrigerant cycle (ORC), or gasification of wood fuel to drive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is paper characterizes small-scale cogeneration systems that can generate electricity and heat using wood chips. In particular, an organic refrigerant cycle cogeneration plant using wood chips and a wood chip gasification cogeneration pla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detail. Compared to gasification engine cogeneration plants, organic refrigerant cycle cogeneration plants have a high heat to power ratio (high heat output compared to electricity output) with an electricity efficiency of about 7% to 14%. In the case of wood chip gasification engine cogeneration plants, the electricity production efficiency is relatively high, ranging from about 10% to 3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