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Current Status of Brain-related Lesson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Knowledge of Brain Plasticity

        박수원(Soowon Park)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brain-related lesson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knowledge about brain plasticity. A total of 955 pre-service teachers (349 for elementary school, and 606 for secondary school) answered survey questions about their experience taking a lesson involving brain knowledge. Among them, 514 (266 for elementary school, and 248 for secondary school) provided answers regarding their knowledge and beliefs regarding brain plasticity. The results showed that 30% had experienced having lessons about the brain. However, their knowledge of brain plasticity did not increase as a result of the brain lessons, except for one statement regarding learning and brain plasticity. Furthermore, beliefs about brain plasticity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perceived helpfulness and the importance of having knowledge about the brain for teaching. These results illustrate that current college education has little association with the knowledge about brain plasticity among pre-service teachers. Therefore, develop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enhancing belief and knowledge about brain plasticity is required.

      • KCI등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성과 공동체의식 간의 종단적 관계 검증

        박수원(Park, Soowon),김샛별(Kim, Saetbyul)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통해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성과 공동체의식의 상호적 인과관계를 확인하는 데 있다. 사회적 관계성의 경우 교우관계, 교사관계, 부모관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공동체의식의 경우에는 자신이 직접 만나는 타인과의 관계에서가 아닌, 사회와 세계를 위한 공동체의식으로 개념화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자료 중 3차, 4차, 5차년도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관계성과 공동체의식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 상호인과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교우관계, 교사관계, 부모관계의 질이 공동체의식을 높이는 원인 변인으로 역할하며, 동시에 공동체의식 또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성을 높이는 변인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공동체의식이 사회적 관계성을 높이는 변임임을 확인함으로써 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키는 교육적 처치들을 통해 청소년의 직접적인 사회적 관계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이 현실에서 마주하는 직접적인 사회적 관계의 질이 어떠한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청소년의 공동체의식함양을 위한 교육적 개입 시 교우관계 뿐만 아니라 교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증진에도 초점을 맞춘다면 효과가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reciprocal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and a sense of community by means of autoregressive cross-legged modeling. Social relationships have been examined through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peers and teachers. A sense of community has been conceptualized through a number of different dimensions, such as societies and the world, with the exception of direct personal relations. According to the 3rd, 4th, and 5th years panel data,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gathered from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involvement and a sense of community are interdepend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adolescents’ social relationships can improve the sense of community and vice versa. Therefore, social relationships are important in adolescents’ sense of socie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f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focus on improving one’s relationships with others, especially with one’s peers, it will enhance the subjects’ sense of community.

      • KCI등재

        메타인지 학습전략과 성취동기, 자기주도적 학습시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박정심 ( Jeongshim Park ),박수원 ( Soowon Park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자기주도적 학습에 중요한 구성요소인 메타인지 학습전략과 성취동기, 자기주도적 학습시간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떤 관계를 맺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성취동기의 유형(숙달접근, 수행접근)에 따라 메타인지 학습전략과 성취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시간의 종단적 관계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집한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 중에서 중2부터 고2까지 총 4차년도에 걸쳐 수집된 청소년 6,908명의 데이터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잠재변인 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한 결과, 메타인지 학습전략과 숙달접근 및 자기주도적 학습시간은 모두 정적인 상호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메타인지와 수행접근은 상호적 관계를 맺지 않았으며, 수행접근은 메타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메타인지 학습전략이 이들의 동기와 행동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임을 보여주며, 숙달접근이 수행접근에 비교하여 장기적으로 효과적인 이유 중 하나로 메타인지 학습전략의 사용 차이 때문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교육자들은 학생들에게 여러 메타인지 학습전략을 알려주고 실제 학습현장에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time. Especially, we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wer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content of achievement motivation; mastery approach or performance approach. The 4 years longitudinal data (6,908 adolescents) from the middle school (8th grade) to high school (11th grade) students in the panel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was utilized. The autoregressive cross-legged modeling showed that there were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variables;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mastery approach, and self-regulated learning time. However, performance approach motivation did not predict metacognitive strate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tacognitive strategy can have positive affect to both students' motivation and learning behavior. Furthermore, the reason why mastery approach is effective in learning is maybe because the mediating role of metacognitive strategy. Educators should establish educational context that teaching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implementing the strategy.

      • KCI등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통한 행복과 창의성의 종단적 인과관계와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민지연(Min Jiyeon),박수원(Park Soowon),신종호(Shin Jongho)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8 창의력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행복과 창의성 간 시간적 흐름에 따른 관계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델을 적용하여 검증하고 두 변인 간 인과적 관계를 추론하는데 있다. 서울특별시교육연 구정보원의 교육정책연구소에서 실시하는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 중 중1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행복과 창의성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년도 변인이 안정적으로 다음 해의 변인을 예측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복은 창의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창의성도 행복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행복과 창의성이 서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는 것을 나타내며, 행복교육과 창의인성교육이 별개의 교육이 아니라 함께 논의되어야 하는 교육적 접근임을 보여준다. 청소년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여러 방안 중 하나로 창의성 증진을 고려해볼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창의성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청소년 행복 증진을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happiness and creativity by utiliz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middle school students panel of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that were implemented by the Seoul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SERI). In results, both creativity and happiness showed stable autoregressive paths, which reflects its characteristics for predicting subsequent variables (i.e., creativity or happiness) by prior variables (i.e., creativity or happiness). In addition, happiness predicted creativity and also creativity predicted happiness.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s between happiness and creativity. These results suggest happiness and creativity have reciprocal relations. Moreover, the results reflect happiness education and creativity-personality eduction are not separate educational framework, but incorporable approaches in education. Educators and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that improvement in creativity can be a possible way to enhance adolescents’ happiness and vice versa.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를 활용한 아동권리기반 문화적 다양성 강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참여형 교육방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이채원(Chaie-Won Rhee),박수원(Soowon Park),박현선(Hyun-Sun Park)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3 한국사회복지교육 Vol.6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권리기반 문화적 다양성 교육을 전달하기 위하여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강사로 활용하기 위한 강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강사교육 프로그램은 30시간의 온오프라인 집중교육과정과 4주간의 현장실습으로 구성되었으며, 플립드러닝, 소집단 리허설, 게이미피케이션 등의 학습자 참여형 교육방법을 적용하였다. 강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를 통해 참여자들의 교수효능감, 자기존중, 아동권리인식, 다양성 태도, 편견적 태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현장실습과정에 대한 모니터링에서 수집된 질적 자료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프로그램은 강사들의 교수효능감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 교육참여자 자신의 자기존중 및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을 실제로 진행하는 실습과정에서 교육참여자들은 게이미피케이션 교수전략의 활용과 현장별 대상별 반복실습, 그리고 교육대상자의 변화 관찰 등을 통해 교수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 training program aiming to train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as child rights-based cultural diversity educators. The training program consists of 30-hour on-off blended learning and 4 weeks of field practicum. It was designed applying engaged learning and learner-centered participatory education strategies such as flipped learning, small group rehersal, and gamification. Training program effectiveness was examined using a singl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easuring participants’ teaching efficacy, self-respect, awareness of children’s right, diversity attitude and prejudice. Additionally, participants’ field practicum experience was monitor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Findings suggest that the training program had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articipants’ teaching efficacy, as well as on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s children’s rights and diversity. We also found that participants’ teaching efficacy increased during the field practicum, related to successful utilization of gamification strategies, repetitive practice of delivering education, and their observation of learners’ positive change over time.

      • KCI등재

        학술연구와 소셜 빅데이터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비교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주제어 분석을 중심으로

        조은별(Cho, Eunbyul),민지연(Min, Jiyeon),박수원(Park, Soow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0 창의력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학술연구를 중심으로 구축된 형식지와 소셜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형성된 암묵지를 비교하여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창의성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제어 ‘창의성’으로 검색되는 학술연구와 웹페이지의 텍스트를 수집하여 텍스트마이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창의성에 관한 학술연구의 형식지와 소셜 빅데이터의 암묵지는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빈도 분석 결과, 학술연구에서는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단어가, 소셜 빅데이터에서는 인지적 능력으로서 창의성 및 창의성이 적용되는 다양한 분야와 관련된 단어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유사도 분석 결과, 학술연구에서는 창의성이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며 기존의 정렬 방식에서 벗어나 이루어지는 의사결정력과 유사한 의미로 인식되었고, 소셜 빅데이터에서는 문제의 근본적 쟁점을 집념을 가지고 다루는 능력, 지식을 표상하는 능력과 유사하게 인식되었다. 토픽 모델링 결과, 학술연구는 창의성 발현 기제 및 교육과 관련된 5개 주제로 정리되었고, 소셜 빅데이터는 기업 및 정부 주도 사업과 같이 구체적인 해결 과제가 부여된 맥락에서의 창의성과 관련된 7개 주제로 정리되었다. 창의성에 대한 형식지와 암묵지의 차이는 우리 사회의 창의성에 대한 지식 구축과 활용에 제약이 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창의성에 대한 형식지와 암묵지 간의 순조로운 변환을 통해 창의성과 관련된 지식 구축과 활용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perception of creativity by comparing explicit knowledge built around academic articles and tacit knowledge (or explicit knowledge) formed around social big data and to seek the future direction of creativity research. Using text-mining techniques, we analyzed text of academic articles and web-sites about ‘creativity’.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keywords about creativity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academic article whereas ‘creativity as cognitive ability’ and ‘kinds of field or domain to be needed creativity’. To find the meaning of ‘creativity’ in the context of each dataset, words with the highest similarities with ‘creativity’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similarity analysis revealed that ‘various perspectives’, ‘rearrange’, and ‘decision making’ showed the highest similarity in academic articles, whereas ‘representation’ and ‘commitment’ emerged as the highest similarity in social big data. The topic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keywords of academic articles could be categorized into ‘direction of creativity development’, ‘effect of creativity education’, ‘development of creativity program’, ‘mechanisms of creativity’, and ‘social impact of creativity’, whereas the main topics in social big data were ‘competition for creative ideas’, ‘support system’, ‘government-level project’, ‘creative environment’, ‘corporate recruitment’, ‘government s direction of policy of creativity’, and ‘ability to cope with corporate crisis’. Finally, we suggested that the future theories and principles about creativity need to be identified and developed in through conversion between explicit and tacit knowledge of creativity.

      • KCI등재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의 종단적 변화가 자기주도학습 시간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설보연(Seol, Boyeon),조은별(Cho, Eunbyul),최병호(Choi, Boungho),박수원(Park, Soowon),신종호(Shin, Jongho)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지능증가신념, 지능고정신념)이 자기주도학습 시간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특히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변인으로 가정하고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변화 양상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의 2~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6,90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능증가신념의 변화 양상은 선형변화모형이 적합하고, 지능고정신념의 변화 양상은 무변화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주도학습 시간은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변인으로서, 비선형 변화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한 결과, 지능증가신념의 초기값과 변화율만이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변화율을 예측하였다. 또한 자기주도학습 시간은 지능증가신념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두 가지 유형의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지능증가신념, 지능고정신념)은 시간적 변화 양상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기주도학습 시간 및 학업성취와 가지는 관계가 차별적임을 보여주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자기주도학습 시간을 확보하고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향상함으로써, 지능증가신념이 학업성취를 높이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위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및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eliefs about intellig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time. In particular, we explored the longitudinal changes of fixed and growth mindsets using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Using 5 waves of data taken from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05, a total of 6,908 students’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a growth mindset showed significant change over time, whereas a fixed mindset was relatively stable. The intercept and slope of the growth mindset predicted self-directed learning time, which in turn, forecasts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tim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Educators and practitioners should pay closer attention to students’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the relationships with self-directed learning time in order to encourage students’ achievements.

      • KCI등재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학생관계가 음악흥미에 미치는 영향

        권슬기,박수원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1

        음악에 대한 흥미는 학생의 음악적 동기를 발달시키는 것은 물론, 음악의 기능과 의미를 결정짓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음악흥미가 공고해지는 청소년기의 학생이 음악교사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는 학생의 음악흥미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생이 인식하는 음악교사와의 관계(이해공감, 친밀감, 유능감)와 학생의 상황적, 개인적 음악흥미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 87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설문과 중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한 본 설문을 실시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교사-학생관계가 음악에 대한 상황적, 개인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음악교사가 유능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의 경우 음악에 대한 상황적 흥미와 개인적 흥미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능감은 교사의 이해공감과 친밀감이 학생의 상황적 음악흥미와 가지는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음악교사가 유능하다는 학생의 지각이 학생의 상황적, 개인적 음악흥미 모두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교사가 학생을 이해해주고 친밀하게 대함으로써 유발되는 음악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의 전문적인 음악 실력과 음악지식 전달에 대한 교수법적인 측면에서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학생의 음악흥미를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현직 음악교사와 예비음악교사는 학생을 대하는 인격 못지않게 음악적인 전문성과 음악지도능력의 계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Students’ music interest plays a critical role in determining their perception of the function and value of music as well as in developing their musical motivation. Music interest is consolidated during adolescence, thus the relationship with a music teacher in school can affect the development of music inter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musical interest (i.e., situational interest, individual interest) and their perception of music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e., sympathy, familiarity, capability). Eighty-seve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liminary survey and 400 othe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main surve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interaction terms revealed that a student's perception of high capability in teachers correlated with higher individual music interest as well as situational music interest. Capability moderated the associations of music interest with sympathy and music interest with familiar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sic teachers should have a specialty or expertise in music, such as singing 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in music pedagogy. For developing students’ music interest, pre-service music teachers and in-service music teachers need to improve their musical professionalism by specializing and improve their teaching through appropriately presenting their pers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