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사회자본이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참여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채원(Rhee, Chaie-W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1

        결혼이민자들은 한국사회에서 새로이 사회관계망을 구축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므로 사회자본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자녀양육과정상의 어려움과 관련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사회자본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양육참여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정내 사회자본과 가정외 사회자본이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양육참여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경기교육복지패널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459명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매개효과의 분석을 위해 매개변인인 양육참여를 제외한 주효과모형과 투입한 매개효과모형을 비교하고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수 행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가정외 가정내 사회자본은 양육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양육참여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양육참여가 매개변인으로 설정된 모형에서 가정외, 가정내 사회자본은 양육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양육참여가 이들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married immigrant women's parenting,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particip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ocial capital within and outside of the family were examined in their relations to parenting effica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participation was analysed. Study participants were 459 immigrant women from the Gyeonggi Education Welfare Panel(2011), who had children in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Findings suggested that social capital within and outside of the family had significant impact on parenting participation, which in turn affected parenting efficacy. Direct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parenting efficac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a full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participation.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social policy for this popul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성인당뇨병환자의 건강수준 및 질병관리장애요인

        이채원(Rhee Chaie-W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4

        본 연구는 성인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료급여수급여부에 따라 건강수준 및 질병관리 장애요인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 질병관리 장애요인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자료수집은 서울의 종합병원 당뇨병클리닉 및 지역사회 복지기관에서 편의표집한 55세이상 성인당뇨병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의료급여환자가 건강보험환자에 비하여 건강수준이 더 나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질병관리 장애요인을 더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환자와 의료급여환자간 건강수준의 차이는 인구학적 요인 및 질병관련 특성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유의하였다. Academic interest has been drastically increased for the health disparities due to socioeconomic factors. For those who have a chronic illness such as diabetes, various psychosocial barriers related to illness management might affect and aggravate this disparity. This study focused on illness management barriers experienced by people with diabete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by their Medicaid beneficiary status. The between group differences in illness management barriers, family support and health status were examined as well as the association between illness management barriers and health status.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144 community dwelling adults who have diabetes, recruited from an outpatient diabetes clinic and a community welfare center. Medicaid beneficiaries reported poorer health status, and experienced more illness management barrier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barriers due to mental health, financial status, and lack of support. The between group difference in health status remained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llness related factors. Social work practitioners working with this population should address these illness management barriers to reduce socioeconomic health disparity.

      • KCI등재후보

        아동의 만성질환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

        이채원(Chaie Won Rh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0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8

        당뇨병의 관리는 식사, 운동, 약물요법과 혈당측정 등의 복잡한 치료지침을 따라야 하는 가족전체의 부담이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어린 아동의 경우 질병 초기에 부모에 의해서 주로 질병관리가 이루어지다가 아동의 성장에 따라 점차적으로 질병관리의 책임이 아동에게로 이전되기 때문에 가족요인이 질병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가족갈등, 가족응집력 등의 일반적인 가족특성 외에도 당뇨병관리와 좀더 밀접하게 관련된 가족변인, 즉 모-아동간 순응도에 대한 인식차이가 아동의 당뇨관리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미국의 한 대학병원에서 조사한 2차 자료를 활용하여 당뇨환아 가족 134 가구에 대해서 이러한 가족요인과 아동의 순응도 및 건강상태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가족환경, 즉 가족갈등과 가족응집력은 모-아동간 당뇨관리 인식차이 및 순응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환경과 순응도간의 관계는 모-아동 간 순응도에 대한 인식차이를 통제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가족환경과 질병관리의 관계를 질병관리자간의 인식차이가 매개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상의 결과는 가족환경이나 의사소통과 아동의 질병관리간의 관련성에 초점을 둔 기존 연구결과들과 유사하며, 일선 사회사업가들이 아동의 당뇨병 관리 향상을 위해 가족에 대하여 적극적인 사정과 개입을 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Management of a chronic illness such as diabetes is a challenge for the family as well as the patient. Children of young age present additional challenges in that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illness management gets transitioned from parents to the ill child as she grows up. Previous research on children`s diabetes has shown that family functioning is associated with the child`s diabetes management behaviors as Well as their metabolic control. This study proposes another family factor that could possib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haracteristics and illness management: the discordance between parent and child`s perception of adherence. A sample of 134 mother-child dyads was extracted from a secondary data to explore the extent to which the parent`s perceptions in adherence are discordant from those of the child. and whether this discordance is associated with family environment. adherence level, and metabolic control. Th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s` and children`s reports of adhere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the group level comparisons. However. at the dyadic level, parent-child discordance was observed in more than one third of the adherence items measured. Family environme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parent-child discordance in perceptions of adherence as well as adher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nvironment and adherence was not significant when the effect of discordance in perceptions was controlled. suggesting possible mediating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se findings are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that documented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family environment. family communication, and the management of childhood chronic illnes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er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를 활용한 아동권리기반 문화적 다양성 강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참여형 교육방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이채원(Chaie-Won Rhee),박수원(Soowon Park),박현선(Hyun-Sun Park)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3 한국사회복지교육 Vol.6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권리기반 문화적 다양성 교육을 전달하기 위하여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강사로 활용하기 위한 강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강사교육 프로그램은 30시간의 온오프라인 집중교육과정과 4주간의 현장실습으로 구성되었으며, 플립드러닝, 소집단 리허설, 게이미피케이션 등의 학습자 참여형 교육방법을 적용하였다. 강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를 통해 참여자들의 교수효능감, 자기존중, 아동권리인식, 다양성 태도, 편견적 태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현장실습과정에 대한 모니터링에서 수집된 질적 자료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프로그램은 강사들의 교수효능감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 교육참여자 자신의 자기존중 및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을 실제로 진행하는 실습과정에서 교육참여자들은 게이미피케이션 교수전략의 활용과 현장별 대상별 반복실습, 그리고 교육대상자의 변화 관찰 등을 통해 교수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 training program aiming to train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as child rights-based cultural diversity educators. The training program consists of 30-hour on-off blended learning and 4 weeks of field practicum. It was designed applying engaged learning and learner-centered participatory education strategies such as flipped learning, small group rehersal, and gamification. Training program effectiveness was examined using a singl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easuring participants’ teaching efficacy, self-respect, awareness of children’s right, diversity attitude and prejudice. Additionally, participants’ field practicum experience was monitor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Findings suggest that the training program had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articipants’ teaching efficacy, as well as on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s children’s rights and diversity. We also found that participants’ teaching efficacy increased during the field practicum, related to successful utilization of gamification strategies, repetitive practice of delivering education, and their observation of learners’ positive change over time.

      • KCI등재
      • KCI등재

        미숙아 자녀의 장애유무가 어머니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채원(Rhee, Chaie-Won),김윤화(Kim, Yun Hwa)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2

        미숙아는 재태기간, 출생체중 등에 따라 건강상태가 다르게 평가되고 장기적으로는 발달지체나 장애 등이 있고 없느냐에 따라 다양한 변이가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이 미숙아 어머니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특히 미숙아 집단 내에서 장애의 유무가 어머니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장애의 유무에 따라 미숙아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가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 장애유무와 우울간의 관계를 양육스트레스가 매개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내에 거주하는 미숙아들을 보건소의 등록자료를 통해 표집하고 병원등의 재활치료 기관의 도움을 받아 장애가 있는 미숙아가정을 추가표집한 결과, 총 175명의 미숙아 어머니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매개효과는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장애가 있는 경우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는 더 높게 나타났으며 양육스트레스는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유무와 우울간의 관계는 양육스트레스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미숙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을 이해함에 있어 미숙아의 장애유무가 중요한 영향요인이 됨을 보여주는 것이며 특히 장애로 인하여 증가되는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reterm infants" health status vary according to diverse factors such as gestation age and birth weight. In the long term, even more within-group variations are observed due to developmental delays or disabilities. These various factors seem to affect maternal mental health.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are affected by the presence of child"s disability.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between child"s disability and maternal depression was analysed. A two-way sampling method was utilized: First, a community sample of preterm infants was obtained using a community health center"s registration records. Second, to obtain an adequate size of preterm infants with disability, additional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hospitals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agencies. A convenient sample of 175 cases was obtained and used for further analyses. 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using multiple regression method. The findings suggested that levels of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isability group compared to the non-disability group, and parenting stres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maternal depression. Tests for mediating effect revealed that parenting str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disability and maternal depression. Special attention and supportive services are required for families who have preterm-born children with disability to alleviate parenting stress and to prevent maternal depression.

      • KCI등재
      • KCI등재

        학령기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문화교육의 효과분석

        박현선(Hyun Sun Park),이채원(Chaie Won Rhee),박소은(So Eun Park) 한국아동복지학회 201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6

        본 연구에서는 이중언어 및 이중문화 교육의 과정산물인 이중문화적 특성이 어머니와의 관계나 아동의 장기적인 발달산물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한 경험이 있는 아동 112명과 참여한 경험이 없는 서울, 경인지역 베트남 다문화가정 아동 73명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의 이중언어 및 상호문화 이해능력이 과정산물의 매개를 통해 최종발달산물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베트남 언어 및 한국-베트남 문화에 대한 이해는 이중문화적 특성이라는 과정산물의 증가를 가져오고, 이러한 과정산물의 긍정적인 변화는 학교적응 및 심리적 적응 산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아니라 이중문화적 특성은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어머니와의 긍정적 관계는 아동의 학교적응과 심리적 적응산물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 모형 선택을 위해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을 비교한 결과 최종산물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경로를 제약한 완전매개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최종적인 아동 및 가족산물의 변화를 가져오는 핵심 요소는 이중문화적 특성의 향상이라는 과정산물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이중언어·문화교육의 성공적 실행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bicultural identity―the process outcome of a bilingual and bicultural education program―on child-mother relationship and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A sample of 112 children who participated or hav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as compared with a comparison group of 73 childre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children`s bilingual ability and bicultural knowledge affected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the process outcome of bicultural identity. Increase in Vietnamese language ability and Vietnamese-Korean cultural knowledge resulted in an increase of bicultural identity, and the positive change in the process outcome led to positive changes in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such as school adaptation and self-esteem. In addition, bicultural identity had a positive impact on mother-child relationship, which led to positive changes i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and self-esteem. Comparing the full-mediation and the partial-mediation model, we selected the full-mediation model as the final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one of the critical components that bring changes in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s the process outcome of enhanced bicultural identity. Implications for successful practice in bilingual and bicultur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