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교육의 핵심

        우종옥(Woo, Jong-Ok) 강심원(Kang, Shim-w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1 창의력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의 핵심부분은 무엇이고, 이 교육과정을 어떻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인가를 제시하고자 한다. 여러 선진국에서 영재들의 인적 자원 개발 및 육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왜냐하면, 영재교육을 통한 인재양성이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중요하지 때문이다. Renzulli(1978)는 영재의 특성을 ‘보통 이상의 지적능력, 창의력, 과제집착력’으로 보았으며, 그 외 여러 학자들의 영재개념을 비교해 보아도 공통적으로 높은 수준의 지적 능력과 창의력을 영재개념에 포함시킴으로써 창의력이 영재의 핵심을 이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체계적인 영재교육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와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영재교육을 초ㆍ중등학교는 물론 대학까지 연계성을 유지하면서 어떻게 지속적으로 확대 실시 할 것인가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영재를 어떻게 정의하고, 어떻게 판별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체계적인 영재담당교사의 선정과 훈련이 필요하다. 넷째, 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추수지도에 관한 연구 및 논의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창의력교육과 영재교육만이 무한 경쟁에서 앞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more effective creativity education, a core of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Many other countries are struggling to enhance the gifted education to guarantee the world competitiveness through human resources development. Renzulli(1978) regards the special facets of the gifted as intelligence over average, Creativity, and Task commitment. However, other researchers also include high level of intelligence and creativity to concepts of the gifted. It implies that creativity education is a core of the gifted education(Tannenbaum, 1983; Feldhusen, 1986). Creativity is the ability to produce work that is both novel(i.e., original, unexpected) and appropriate(i.e., useful, adaptive concerning task constraints) (Lubart, 1994; Hennessey & Amabile, 1988; Sternberg & Lubart, 1996). Also, Creativity refers to anything someone does in a way that is original to the creator and that is appropriate to the purpose or good of the creator(Baer, 1997). There are four components: divergent thinking,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elaboration. Creativity reflects differently according to tasks so that creativity education should be realized as task-specific. Therefore, task-specific creativity instruction model was proposed, and therefore creativity education should be task-specific in general schooling. For more systemic gifted education, the linkage of the gifted education should be ensured from elementary education to higher education, and more effective teacher training or program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창의력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 탐색

        연준모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8 창의력교육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eyword relationship published in the「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To do this, keyword networks are constructed by extracting total 852 keywords from 221 papers published between 2007 and 2018. After dividing the entire period into the first period (2007-2012) and the second period (2013-2018), the main keywords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whole period and each period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these main keywor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in each period as well as the whole period were ‘creativity’ and relevant variables such as ‘creative thinking’, ‘creative characteristics’, ‘creative problem-solving’. Second, the keywords showing high centrality were also ‘creativity’, and the relevant variables as stated before also showed high centrality. On the other hand, as the research progressed from the first period to the second period, the changes in the research trends appeared. In particular, the research subjects and topics related to creativity have become increasingly diverse and specific as time passes, showing higher frequency and centrality. In addition to discussing th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대표적인 창의력교육 전문 학술지인「창의력교육연구」를 대상으로 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주요 키워드 및 각 키워드 간의 관계를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하여「창의력교육연구」의 연구동향과 지식구조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2007에서 2018년까지 게재된 학술지 221편에서 총 852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이어서 전체기간(2007-2018)을 1기(2007-2012년)와 2기(2013-2018년)로 나눈 후 전체 기간 및 각 분기에서 빈도가 높게 출현한 주요 키워드를 선정하였고, 이어서 전체기간과 각 분기별로 이 주요 키워드들을 활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기간은 물론 각 시기에 있어서 출현빈도가 높은 키워드는 ‘창의성’ 및 ‘창의적사고’, ‘창의적성격’, ‘창의적문제해결’ 등과 같은 창의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변인들이었다. 둘째, 키워드네트워크 분석 결과에서도 높은 중심성을 보인 키워드는 역시 ‘창의성’이었고, 창의성 관련 변인들도 역시 높은 중심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1기에서 2기로 진행되면서 연구동향에서의 두드러진 변화가 나타났는데, 특히 창의력과 관련된 보다 다양한 연구대상과 주제가 주요 키워드로 등장하고 높은 중심성을 보이는 등,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연구대상 및 주제가 점차 다양해지고 구체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어서 이러한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창의력 신장을 위한 학교교육에서의 교수-학습 과제

        이경화(Lee, Kyung-Hwa)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1 창의력교육연구 Vol.4 No.1

        창의력 계발은 본래 교육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중심의 교육과정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창의력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고, 교수-학습모형과 원리를 소개하며, 이를 학교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실활동, 창의적 사고에 대한 가치 및 태도 형성, 그리고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실 환경조성 등에 관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결국, 학교교육을 통해 창의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적 환경조성과 함께 교사의 역할이 요구된다. 교사는 교수-학습과정에서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자료나 기회를 많이 제공하고, 그것을 풍부하게 하는 물리적, 심리적 환경을 제공한다. 수업시간에 교사는 학습자로 하여금 스스로 생각해보고 상상해볼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고 격려한다. 그리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지식을 충분히 익히도록 한 다음 자유롭게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s one of the more important functions of education. In the seventh curriculum, education for learner’s creativity is expanded and emphasized. More of an emphasis is placed on enforcing ‘student centered curriculum’ to put a target on learner’s autonomy and creativity to make “a man that realizes his creative ability on the basis of basic ability”. So within my research, I will clarify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I will present several tasks for finding a method of instruction-learning and introducing the model and principles about creativity. Those tasks include; classroom activities for creative ability development, value and attitude formation about creative thinking, and assignment about classroom environment furtherance for creative ability etc. Which would be introduced at schools. Finally, throughout the educational system, the teacher’s role of inducing an educative environment would also further develop creativity. Teacheres have to offer the physical, psychological environments needed to supply much data for opportunities that can exercise imagination during the studying process, and fertilize it. They have to encourage students and give them plenty of time for thinking in lesson. Help students in their ‘self-directive learning’ is a very important role for the teacher. They must also try to provoke motive so that the students can be creative and think freely and to learn about the entire topic.

      • KCI등재

        창의력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태 조사

        강호감(Kang, Ho-Kam),최선영(Choi, Sun-Young),원용준(Won, Yong-Joon),하정원(Ha, Jung-W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1 창의력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력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에 있는 587명을 대상으로 35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통해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이 창의력 교육에 대한 이해면에 있에 대부분의 교사들은 창의적 활동이 생활하는데 있어 매우 필요(97.7%)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선천적인 것보다 교육을 통해 육성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18.0%에 불과하였다. 학급에서 창의력 교육은 주로 정규 교과시간 이외의 아침자습시간(46.5%), 특별반 활동(12.7%)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과시간은 미술과, 국어과 및 자연과에서 주로 실시되고 있었으며 교수ㆍ학습시 대부분의 교사들이 창의기법 중 마인드 맵을 가장 많이 활용(65.0%)하고 있었다. 교사 자신의 창의적인 태도에 있어 대부분이 창의력 활동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고(85.4%) 연수(79.1%)와 동료간의 협의(75.2%)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사 자신의 창의력을 기르기에 열심히 노력(75.5%)하고 있었다. 따라서 지도안과 활동지 제작에 있어 다양한 자료를 활용할 뿐 아니라 발문시 창의력을 고려(91.4%)한다고 조사되었다. 창의적인 환경면에 있어 학교 관리자와 동료 교사 모두 창의력 교육에 대한 열의가 높게 나타났고(59.7%), 학급을 운영(92.1%)이나 환경 구성시 창의력을 고려(92.7%)하고 있으며 학생의 창의력 신장을 위해서는 학교와 가정의 학부모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생각(98.5%)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creativity instructional states for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on. For this, 35 item-questionares were given to 587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in the respect of understanding creative instruction, most of teachers admitted the need of creative educational activity (97.7%). But they thought that creativity is inborn instead of learned(18.0%). Generally creative instruction in classes was performed as morning self-regularity study(46.5%), extra activity(12.7%) except regular course. They had been most the mind mapping techniques in creativity activity(65.0%). In the respect of themselves attitude for creative education, the survey showed that most of teachers understand creative activities very well(85.4%), participate in workshop holding organ of education(79.1%) and consulting with colleague teachers(75.2%), do hard to improve creativity of themselves(75.5%). Also they were to consider creativity when they ask students a question(91.4%). In the. respect of creative environment, they thought that both principals and colleagues teachers have a great deal of enthusiasm on creative education(59.7%). They was to consider creativity of students when they manage the class(92.1%) and design the classroom(92.7%). Also they thought that both teacher and parent must play an important role for improvement of students’ creativity(98.5%).

      • KCI등재후보

        체육교과 창의성 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손준구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4 창의력교육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erspectives and standards of creative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PE), and to focus on how to apply them in classes through recent domestic studies(2004-2014). However, results show that PE covers only the areas in the concept of creativity, teaching methods, teacher education, and measurement and evaluation. Through these studies, the assignments on future PE creativity research will be as below: Firstly, ‘creative person’ that the PE curriculum pursues should be specified. Further, its characteristics and the direction should be settled down. To make it possible, future studies on creativity concepts of PE need urgent start. Secondly, it is true that there are many studies on teaching methods. However, they focus onl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reativity in PE. Therefore, to carry out the creativity education,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studies must be continued, as well as the required model. Thirdly, development research for evaluation tool is urgently needed. Measurement and evaluation factor equals to learning element and the lesson goal. They are the guidelines in choosing the direction and the contents for the creativity classes. Lastly, creativity classes also require teachers’ roles. Their roles are important. They need to change their fellow teachers’ point-of-views that PE is yet about function and the physical strength. Also, they are required to attend the relevant workshops to conduct helpful on-site research. 본 연구는 최근 국내 관련문헌들을 분석하여 체육교과 창의성 연구의 관점과 수준과 함께 그 교육적 실현과제까지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헌수집을 위해 박병기와 강현숙(2007), 황정숙(2007), 손준구(2010a)의 창의성 요소를 기본 검색어로 삼았다. 모든 문헌들은 초중등학교 체육교과의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로 최근 10년 내(2004년 1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발표된 학술지와 학술발표물로 제한했다. 이 문헌들은 한국체육학회를 비롯한 여러 학회들과 한국학술정보시스템(KISS)을 비롯한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을 통해 수집했다. 연구내용별 분류기준은 박병기와 강현숙(2007), 황정숙(2007)의 방법에 따랐다. 연구결과, 체육교과 창의성 연구는 개념, 교육방법, 교사교육, 측정평가 분야만 다뤄졌다. 향후 체육교과에서 창의성 연구는 우선, 체육교과 창의성 개념을 정립하는 연구들이 시급히 선행돼야 하고, 그 교육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모형을 포함한 교수-학습방법을 제시하는 연구들이 후속돼야 하고, 평가도구의 개발연구도 시급하며, 교사들이 관련연수에 참여해 실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현장성 강한 연구들이 개발돼야 한다.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언론 기사를 통해 본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육의 방향성 : 위기 속 ‘창의성 교육’의 역할

        이영란(Lee, Youngran),류정민(Ryu, Jungmin),한기순(Han, Ki-So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0 창의력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국내 언론 기사를 바탕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주요한 연구주제를 예측할 수 있는 커뮤니티 분석을 활용하여 코로나19 미래교육과 관련된 언론 기사의 핵심이슈를 파악하고 코로나19 미래교육과 관련된 언론 기사 내 전문가 인용문을 바탕으로 코로나19 미래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7개의 국내 언론사에서 발행된 기사에서 단어를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코로나19의 미래교육’ 관련 기사의 전반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갑작스러운 코로나19 확진자의 급증으로 학교 개학이 연기되고 비대면으로 인해 제도권 교육의 틀이 바뀌면서 앞당겨진 미래교육의 패러다임이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한 전문가의 의견이 관찰되었다. 둘째, ‘코로나19의 미래교육’ 관련 기사 내 전문가 인용문의 핵심 키워드를 살펴본 결과 ‘창의’ 키워드가 빈도수보다 중심성 분석에서 모두 큰 상승 폭을 보였다. 이에 ‘창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직접 링크를 형성하고 있는 키워드들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셋째, 기사 내 전문가 인용문의 주요주제와 핵심내용을 파악하고자 커뮤니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코로나19가 바꾼 교육현장, 지역사회별 대응 계획’,‘온라인교육, 위기를 기회로’, ‘창의교육과 에듀테크 산업의 협력’,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총 4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를 시각화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key issues of media articles related to the future education of COVID-19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based on domestic media articles,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OVID-19 future education from expert quotes in domestic media articles. For this purpose, words were extracted from articles published by 47 domestic media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dia articles are that the opening of school was postponed due to the sudde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firmed COVID-19, And expert opinions were observed that the paradigm of future education would shift from the era of education to the era of learning due to non-face-to-face. Second, in the analysis of centrality, the keyword “creative” rose more than the frequency. Accordingly,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with keywords that form direct links, centering on the creative keyword. Third, as a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such as ‘Response plan by community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d by COVID- 19’, ‘online education, crisis into opportunity’, ‘creative education and EduTech industry cooperation’, and ‘safe educational environment creation’. It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4 groups and visualized.

      • KCI등재

        한국판 Wallach & Kogan 창의성 검사 타당화

        손지유(Son Ji Yu),한기순(Han Ki So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6 창의력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Wallach & Kogan 창의성 검사의 문항을 추출하여 한국판 Wallach & Kogan 창의성 검사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 첫째, 문항 선정을 위하여 Wallach & Kogan 창의성 검사의 국내외 선행연구 고찰과 내용타 도를 걸쳐 12문항을 추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항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판 Wallach & Kogan 창의성 검사의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 초등학교 4∼6학년 1,836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하위요인별 상관관계, 구인타당도, 교차타당도를 분석하였으며, 초등학교 4∼6학년 265명을 대상으로 공인타당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 신뢰도는 .89이었으며, 하위요인별 내적합치도가 .50 이상으로 수렴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요인별로 상관분석을 한 결과 한국판 Wallach & Kogan 창의성 검사의 하위요인들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창의성을 잘 측정하는것으로 나타났다.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다양한 요인별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10요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채택되었으며, 한국판 Wallach & Kogan 창의성 검사의 세 부 문항 및 구성요인은 창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차타당도검증에서는 성별, 학년별, 지역별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다른 표집에도 일반화가 가능한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인타당도 검증에서는 TTCT보다 한국판 Wallach & Kogan 창의성검사가 KEDI 창의인성 검사와 창의적 자기 효능감 검사에서 좀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따라 서, 본 연구는 한국 실정에 맞게 한국판 Wallach & Kogan 창의성 검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확산적 사고 검사의 하나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 창의성 검사를 개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validate of the Korean version Wallach & Kogan Creativity Test. Related to the results, for the selection of item list, 12 items were extracted from the original version of Wallach & Kogan Creativity Test then modified based on thorough study of preceding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and examination of its content validity. Its item composition and reliability were shown to be appropriate by conduction of the finalized Korean version Wallach & Kogan Creativity Test. Also, the 5 chosen subscales were the most suitable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 Seco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Wallach & Kogan creativity test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reliability was .89 and subscales inter-correlation was over .50. The results implies that the test has reasonable convergent validity. Furthermore, the results of subscal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s that subscales are highly relevant and are highly likely to show positive performance on measuring creativ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construct validity examination selected the final 10 factor structures to be most valid. In cross validity test, the test was found out to be valid regardless of gender, grade, and region, thus its adaptation on other samples was feasible. In concurrent validity test, Korean version of Wallach & Kogan Creativity Test showed relatively higher correlation than TTCT on both KEDI Creative Personality test and Creative Self Efficacy Test. respectively, denoting Korean version of Wallach & Kogan Creativity Test to be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 KCI등재

        과학창의인재 추수관리 실태조사와 교육적 시사

        강정하(Kang Jung ha),권경아(Kwon Kyung A),박민서(Park Min seo),홍성호(Hong Sung Ho)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6 창의력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국가수준 과학영재교육 기관들의 과학창의인재에 대한 추수관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 수혜자가 교육을 마친 후에도 경쟁력 있는 창의적 과학인재로 지속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 및 유관 기관이 체계적으로 지원할 교육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과학고 및 과학영재학교가 졸업생들이 지속성장할 수 있도록 어떤 지원, 관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과 그에 대한 관계자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 현장의 우수 사례를 바탕으로 전 기관들의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현장친화적인 실효성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 참여 기관은 15개 과학고와 4개 과학영재학교이다. 자료 수집은 면담과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질문과 설문은 19개 학교의 추수관리 현황과 담당부서 관리자의 인식을 확인하는 내용이다. 자료 분석은 현황에 대해서는 ‘과학영재 추수관리체제 개념모델’(강정하 외, 2014)을 분석틀로 활용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인식에 대해서는 항목별로 평균을 구하여 현황 분석 결과를 해석하는데 보조 자료로 활용하였다. 결과, 과학고·영재학교는 (1) 자원체제와 관련하여, 인적정보 수집은 졸업생을 대상으로 대부분 대입부터 석사 진학까지 또는 이후 시기까지 계속하며, 수집 정보 내용은 진로 및 취업, 전공, 성취도, 관심 및 학업활동, 업적, 학교생활과 삶의 만족도, 그리고 소속 대학의 기관정보 등이다. (2) 운용체제와 관련하여, 과학고·영재학교는 전화인터뷰, 졸업생 모교 초청 개별면담, 방문 인터뷰 등을 활용하여, 매년 1회 또는 수시로 자료를 수집한다. 추수관리의 주체는 대부분 당해 학교 당국이고, 다수학교가 동창회의 지원을 받고 있다. 전담부서는 진로상담부를 비롯한 다양한 부서들이 또는 담임이 맡아오고 있다. 특히, 추수관리를 위한 장기적 자료 수집을 위해서는 졸업생 초청, 동창회 지원, 개별 전화 등을 이용한 네트워크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3) 활용체제와 관련하여, 진로 및 진학, 그리고 선발관련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친다. 과학고·영재학교 졸업생이 글로벌 과학창의인재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연계된 정부 주도적 체계적 추수관리가 필요함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s a survey on the state of student follow-up management system in the national level institutes for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the persons concerned on student follow-up management system in the institut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rive the policy implications for management of the institutes for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15 science high schools and 4 science academie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As a results, (1) On the resource system, the institutes have collected the information about career and jobs, major, achievement, interest, level of satisfaction on school and life, and etc.. (2) On operation system, the institutes have collected the information of the graduates through phone or face-to-face interview annually or frequently. (3) Lastly, on the regard of application system, the institutes utilized the information only for guidance on entering college or selection of new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perception of the persons concerned on the systems show they have had some difficulties operating student follow-up management system.

      • KCI등재후보

        Bruner의 문화주의 교육이론과 학습: 내러티브 사고를 중심으로

        강현석,최영수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2 창의력교육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possibility of Bruner's New Educational Theory in Curriculum System. Bruner have suggested two mode of thinking, paradigmatic mode of thought and narrative mode of thought since 1980. So the researcher need to search the relevance of paradigmatic curriculum system and to build design principles of new curricular orient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knowledge has been emphasized for its function and role of designing a curricular at various levels. Narrative or narrative mode of thought means story or constructed story. We use narrative thinking to critique the tendency of technical model of teaching-learning focusing on narrative knowing suggested by Bruner, Polkinghorne etc. Narrative involves various levels of the meaning of narrative and schooling. In this paper I argue the possibility of new educational theory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educational process. In these contexts model of teaching-learning should be constructed by culturalism rationale.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omplementary possibility of new schooling and adult education. The content we teach should include various knowledge and mode of thought. In the future we should consider these problems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develop the more specific possibility of narrative-based teaching-learning. 본 연구는 교육이론에서 교수-학습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논의하고 창의성 교육에서의 시사점을 탐구한 것이다. 그 논의의 근거로 브루너의 문화주의 교육이론에 초점을 두고 교육과정의 제 문제를 살펴보았다. 문화주의 이론의 핵심은 내러티브 사고에 있으며, 내러티브 사고의 입장에서 교육의 모습과 학습의 문제는 새롭게 조망될 수 있다. 기존의 교수-학습모형과 교육과정의 제 문제들은 실증주의와 경험과학적 입장에 경도되어 있다. 이들 문제들은 문화심리학, 내러티브 인식론의 주요 관점에서 재개념화 되어야 한다. 내러티브에 기반을 둔 학습은 이제 학교교육에서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성인학습, 창의성교육에서도 새로운 방법으로 그 적용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장차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이 생각하는 창의·인성에 대한 암묵적 이론 탐색

        박민서,최인수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4

        This study identified elementary teachers’ implicit theorie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to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suggested politically and to develop an educational basis for fostering students who are creative and have great personality. For the study, researchers analyzed the element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suggested by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design a questionnaire and execu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items. As a result, the elementary teachers’ implicit theorie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consisted of Interpersonal virtue, Divergent thinking, Creative Motivation, Challenge Sprit, and Creative and Character Traits to Solve Problem. The findings show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not only regard creativity and character related traits as vital components, but also consider the intersection between creativity and character as indispensible par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for the implication of current educa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생각하는 창의․인성에 대한 암묵적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정책적으로 제시된 창의․인성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창의성과 인성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적 기초를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창의․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에 제시된 창의성 요소, 인성 요소, 그리고 학습목표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의 창의․인성에 대한 암묵적 이론을 묻기 위한 문항을 제작하였고, 회수된 자료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이 생각하는 창의․인성에 대한 암묵적 이론은 인간관계 덕목, 확산적 사고, 창의적 동기, 도전정신, 그리고 창의․인성적 문제해결력의 다섯 요인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생각하는 창의․인성에 대한 암묵적 이론에는 창의․인성교육에서 제시하는 창의성 요소와 인성 요소 뿐만 아니라, 이 둘의 교집합을 이루는 부분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주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가 현 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