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기업의 기술혁신 지속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송창현,이정우,장필성,Song, Changhyeon,Lee, Jungwoo,Jang, Pilseong 기술경영경제학회 2021 기술혁신연구 Vol.29 No.3

        기업의 경쟁우위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서 기술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혁신의 지속 여부 또한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혁신 지속(innovation persistence)은 기업의 혁신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혁신 연구에 사용되는 자료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횡단면 조사로 수행됨에 따라 종단적인 지속 현상을 다룬 연구는 드문 편이며, 특히 국내의 혁신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혁신 지속 현상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기업의 혁신 지속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는 한편, 우리나라 기업의 기술혁신 지속 현황 및 특성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2년부터 2018년까지 격년으로 수행된 한국기업혁신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복수관측된 3,379개 기업에 대한 불균형 패널자료를 구성하였다. 기술혁신의 지속 현상을 살펴본 결과, 지속적인 혁신이 관측되는 기업은 전체 중 일부(혁신성과에서는 10~12%, 혁신활동에서는 15~17%)에 불과하였으며, 오히려 비혁신의 지속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약 52~57%). 또한 혁신성과보다는 혁신활동의 지속 현상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외에도 제품혁신이 공정혁신보다, 내부 R&D가 공동/외부 R&D보다 지속성이 높게 나타나는 등 세부 유형에 따른 지속 현상의 특징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혁신 지속의 영향요인 식별을 위해 추가적으로 로짓분석을 수행한 결과, 급진적 혹은 점진적 제품혁신이 다음 시기에서 혁신이 지속되게 하는 가장 영향력 높은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패널자료는 원시자료의 한계로 인해 표본 선택 편의가 존재하기 때문에, 분석 결과의 지나친 일반화는 경계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 지속 현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초기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공식적인 패널자료의 구축 및 개선된 방법론 등을 통해, 혁신 지속 관련 발전된 연구 결과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technology innovation as a key factor for firms' competitive advantage, 'innovation persistence' became also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Innovation Persistence' is a concept that indicates whether or not firms' innovation activity or performance continues. However, the data used for innovation studies are carried out as cross-sectional surveys in most countries. For this reason, studies dealing with longitudinal aspect of innovation persistence are rare. In particular, there is almost no research on innovation persistence using Korean innovation survey data.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persistence based on extant literature, and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status and features of Korean firms' technology innovation persistence. Based on the data of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conducted every other year from 2012 to 2018, panel data on 3,379 firms which observed multiple times are constructed. As a result, only part of the firms with persistent innovation were observed (for innovation performance 10~12%, for innovation activity 15~17%), and it was found that the persistence of non-innovation was remarkable(about 52~57%).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sistence of innovation activities is stronger than that of innovation performance. Besides, some features by sub-types of innovation appeared. Product innovation showed higher persistence than process innovation, and internal R&D also showed higher persistence than joint/external R&D. As a result of additional logit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it was found that radical or gradual product innovation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persisting innovation in the next period. Since the sample selection bias due to a limitations of raw data might exist in the panel data constructed in this study, it should be noted that faulty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are not allowed. Nevertheless,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technology innovation persistence targeting Korean firms and is expected to be a starting point for follow-up studies. It is anticipated that advanced research results will be draw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official panel data and improved methodologies.

      • 지능형 수동 변속기 제어용 2페달 구동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송창현(Changhyeon Song),조은수(Eansoo Cho),홍종호(Jongho Hong),김은식(Eunsik Kim),김두언(Dueon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1 No.6

        Environmental issues are emerging and fuel efficiency regulations in the auto industry are becoming aggressive day by day. Hyundai motor company have developed iMT(Intelligent Manual Transmission) technology to improve fuel efficiency. iMT is a technology that changes the conventional hydraulic clutch control to electronic control, and automatically shuts off engine power during coasting, improving fuel efficiency by up to 5%. However, due to the same driveline interface configuration as the conventional manual transmission, driver operation is still inconveni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two pedal driveline interface system that improves driver convenience by removing electronic clutch pedal from previous iMT vehicles. Instead of electronic clutch pedal, shift lever(iMT lever) detects the driver’s intention to shift and transmits clutch control signals to enable manual vehicle shift without clutch pedals.

      • KCI등재

        정부 R&D 수혜기업 선정 과정에서의 인공지능 도입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장필성(Pilseong Jang),송창현(Changhyeon Song) 한국혁신학회 2020 한국혁신학회지 Vol.15 No.3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정부 R&D 지원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원 과제 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혜기업 선정평가의 객관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공지능 활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정책 의사결정에 인공지능을 활용하기에 앞서,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 연구개발사업의 이해관계자인 평가집단(전문가)과 피평가집단(기업), 그리고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도입의 필요성과 효과성 등 다양한 인식조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반 선정평가 모형의 활용 및 도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인공지능의 도입 요구가 높을 뿐 아니라, 도입 시 선정 과정의 효율성과 객관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피평가 집단보다는 평가집단에서, 그리고 인공지능 관련 지식이나 경험이 많은 집단에서 긍정적인 인식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집단 특성에 따라 선결조건이나 적절한 활용방식에 대한 생각은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이처럼 다양한 이해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여 인공지능 도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 구축, 알고리즘의 설명가능성 및 투명성 제고 방안 등을 마련할 것이 요구된다. Government R&D support for SMEs is steadily increasing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As the number of support projects has increased, the necess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based approach has been raised to improve the objectivity and efficiency of selection of beneficiaries. Before using AI in policy decision making, it is necessary to collect extensive opinions from related stakeholders. Accordingly, a survey asking various opinions of introducing AI was conducted for the evaluation group(experts), evaluated group(SMEs) and the general public.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the utilization of AI-based selection model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recognized that the demand for the introduction of AI was high, and that it would contribute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objectivity of the selection process when introduced. The positive perception was relatively higher in the evaluation group and in the group with knowledge or experience of AI.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the prerequisites or the appropriate application method appeared differently. In order to promote the introduction of AI, it is required to establish high-quality data construction, and a plan to improve the explainability and transparency of the algorithm.

      • KCI등재

        The effects of direct and indirect government policies on technology entrepreneurship considering national cultural context

        Jung Min Lee(이정민),Changhyeon Song(송창현),Kyung Min Park(박경민),Incheol Choi(최인철),Yeonbae Kim(김연배) 한국혁신학회 2019 한국혁신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 우리는 다양한 창업정책이 기술창업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세계 36개국의 불균형 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창업정책의 효과가 국가문화 중 하나인 불확실성회피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지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직접 및 간접 창업정책은 기술창업활동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 효과가 불확실성회피 수준에 따라 달라짐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기술창업촉진 정책이 정책수단에 따라 다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동시에 적절한 정책의 수립을 위해서는 국가 문화적 맥락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vers the role of government policies and national culture in shaping of technology entrepreneurship. First, the study empirically test if government policies are effective to foster technology entrepreneurship using unbalanced panel data set of selected countries covering 7 years. Second, the government policies are 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policies to compare the differences. Third, the moderating role of uncertainty avoidance (one of national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policies and technology entrepreneurship is identified. The results showed that two different indirect and direct government policies give different impacts on technology entrepreneurial activity level, and the uncertainty avoidance moderates the effects of the public policies. The results imply that appropriate combination of the two different policies should be selected considering not only the overall differential impacts but also their country-specific cultural context.

      • KCI등재
      • 바이오혁신생태계 조성방안을 위한 내용분석 연구: 홍릉강소특구와 출연연구소의 역할을 중점으로

        박규홍(Kyuhong Park),김현우(Hyunwoo Kim),김태형(Taehyung Kim),구병석(Byeong-Seok Koo),박연수(Yeonsoo Park),송창현(Changhyeon So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11

        코로나19의 영향에서도 K-바이오 산업은 역대 최대 성과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한국 바이오산업의 전반적인 성적표는 투자 대비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혁신 클러스터와 바이오 산업에 관련된 문헌연구와 내용분석 방법론을 통해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클러스터 성장 단계에 따른 요인과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조건에 따른 특징을 정리하였고, 결과를 기반으로 바이오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여보았다. 시사점에서는 최근 강소특구로 선정된 홍릉 바이오 클러스터의 예를 활용하였으며, 주관 기술핵심기관인 KIST의 사례를 통해 출연연구소의 역할을 중심으로 정리하여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아직 많이 다뤄지지 않은 강소특구의 사례를 연구주제로 삼았으며, 출연연구소가 혁신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한 방안을 제시함에 그 의의가 있다. Even under the influence of Corona 19, the K-Bio industry recorded the highest performance ever. However,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Korean bio industry is not satisfactory compared to investment. In this paper, content analysis for the creation of an innovation ecosystem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lated to innovation clusters and bio industry,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necessary to create a bio-innovation ecosystem. Through this, the factors according to the cluster growth stage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for the creation of the bio-cluster were summarized,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creation of a bio-innovation ecosystem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For the implications, the example of the Hongreung bio-cluster, which was recently selected as the Innotown, was used, and the role of the contributed research institute was organized through the case of KIST. In this study, the case of the Innotown, which has not yet been covered much, was taken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 plan for the role that the contributed research institute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n innovation eco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