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의 종단적 변화가 자기주도학습 시간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설보연(Seol, Boyeon),조은별(Cho, Eunbyul),최병호(Choi, Boungho),박수원(Park, Soowon),신종호(Shin, Jongho)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지능증가신념, 지능고정신념)이 자기주도학습 시간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특히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변인으로 가정하고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변화 양상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의 2~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6,90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능증가신념의 변화 양상은 선형변화모형이 적합하고, 지능고정신념의 변화 양상은 무변화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주도학습 시간은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변인으로서, 비선형 변화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한 결과, 지능증가신념의 초기값과 변화율만이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변화율을 예측하였다. 또한 자기주도학습 시간은 지능증가신념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두 가지 유형의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지능증가신념, 지능고정신념)은 시간적 변화 양상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기주도학습 시간 및 학업성취와 가지는 관계가 차별적임을 보여주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자기주도학습 시간을 확보하고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향상함으로써, 지능증가신념이 학업성취를 높이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위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및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eliefs about intellig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time. In particular, we explored the longitudinal changes of fixed and growth mindsets using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Using 5 waves of data taken from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05, a total of 6,908 students’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a growth mindset showed significant change over time, whereas a fixed mindset was relatively stable. The intercept and slope of the growth mindset predicted self-directed learning time, which in turn, forecasts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tim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Educators and practitioners should pay closer attention to students’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the relationships with self-directed learning time in order to encourage students’ achievements.

      • KCI등재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한 협력적 문제해결에서 자기조절과 그룹조절 활동 탐색

        조영환 ( Young Hoan Cho ),설보연 ( Boyeon Seol ),이현경 ( Hyunkyung Lee ),강다현 ( Dahyun Kang ),조애리 ( Ae Ri Ch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3

        최근 21세기 핵심 역량으로서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국내외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협력적 문제해결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그룹의 목표와 전략을 세우고, 문제해결과정을 수시로 점검하고, 계획을 조정하고, 결과에 대해 성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절활동은 개인뿐만 아니라 그룹차원에서 이루어지며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습자들이 조절활동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거나 공동으로 의사를 결정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협력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술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어플리케이션이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개인과 그룹의 조절활동을 어떻게 지원하는지를 탐색적으로 연구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의 교직과목에서 3-4명의 학생들이 한 조를 이루어서 Quip이라는 클라우드 컴퓨팅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학교폭력에 관한 문제를 협력적으로 해결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10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한 결과, Quip은 협력적 문제해결 상황에서 실시간 공유, 히스토리 로그기록, 코멘트, 채팅 등의 기능을 통해 개인의 동기와 인지적 조절활동뿐만 아니라 그룹의 인지, 맥락, 사회적 조절활동을 촉진하였다. 자기조절에 있어서 Quip은 개인의 참여도 조절과 신중한 사고 및 표현에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그룹 조절에 있어서는 공동의 이해 형성, 과제수행을 위한 상호작용, 다른 사람의 수정 돕기, 자료공유, 시공간 관리, 적절한 수준의 거리 유지를 촉진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협력학습을 촉진하고 분산인지 관점에서 자기조절과 그룹조절을 위한 도구의 역할을 밝히는 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A growing number of studies have consider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s a 21st century competency. For successful problem solving, groups need to plan their goals and strategies, monitor problem solving processes, modify their initial plan, and reflect on outcomes. These regulation activities, which are conducted at both individual and group levels, play a crucial role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Nevertheless, students seldom pay attention to the regulation activities or have substantial difficulties in jointly making decisions. To address these issues, cloud computing technology can be used in that it helps students interact with each other effectively without the barriers caused by limited time and space. This study explored how cloud computing technology supports self- and group-regulation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Using Quip, a cloud computing application, groups of three to four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collaboratively solving a problem about cyber school bullying. The interviews with 10 participants showed that Quip had such functions as real-time interaction, synchronization, edit history, comments, and chatting, which were useful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he Quip’s functions facilitated not only self-regulation in regards to motivational and cognitive aspects but also group-regulation in cognitive, contextual, and social aspects. Quip helped learners to keep participating in the group work, engage in deeper thinking, and carefully express their ideas through text messages. In addition, Quip enhanced group-regulation through facilitating awareness of collaboration processes, interaction for group work, reciprocal feedback and support, resource sharing, collaborative management of time and space, and building a social relationship.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many implications in using cloud computing technology for collaborative learning in school and exploring the role of tools in self- and group-regul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istributed cognition.

      • KCI등재

        예비교사들이 지각하는 학습자의 실수의 개념화

        신종호(Jongho Shin),연은모(Eun Mo Yeon),김종백(Jong-Baeg Kim),설보연(Boyeon Seol),강미라(Mira Ka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4

        교사의 암묵적인 태도는 학습자의 성취와 행동을 예견하는 중요변인으로 간주된다. 교실 내 대화를 통한 일상적 형태로 전해지는 교사의 생각이 자연스럽게 학생의 암묵적 지식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여 실수가 가지는 교육적 가치를 학습상황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학생들의 긍정적 실수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실수에 대한 인식에 관심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실수가 가지는 교육적 가치를 학습상황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교사들의 의견 수렴으로부터 시작하여 예비교사들이 학생들의 실수에 대해 가지는 인식을 탐색하였다. 이를 교사의 실수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척도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즉, 학습상황에서 불가피하게 경험하는 실수에 초점을 두어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실수발생원인은 무엇이며, 실수를 범하는 학생들의 특성은 유형화될 수 있는지, 그리고 실수가 교사와 학생 각각에 미치는 긍정적 및 부정적 역할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심층 설문을 통해 수집된 현직 교사가 지각하는 실수발생원인, 실수발생특성 및 실수의 역할에 대해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활용하여 내용분석을 한 후, 전문가 및 교사 집단의 평정을 통해 160문항을 추출하였다. 이를 422명의 예비교사에게 설문조사를 하고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총 141문항을 도출하였다. 설문문항을 실수발생원인 50문항(개인/환경), 실수발생특성 39문항(개인/환경), 실수의 역할 52문항(개인/교사, 긍정/부정)으로 구분하여 예비교사들의 실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도출된 결과는 새로운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교육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eachers’ perception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variable which predicts learners’ achievement and behavior. That’s because teacher’s belief and attitude can be delivered by conscious and unconscious responses in teacher-students interaction, classroom instructional practices and so on, which constitute classroom climate. Therefore, the research explored pre-teachers’ perception including implicit knowledge on the causes of error,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who frequently makes error, and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error to enhance the positive educational value of error in learning context. The study of open-ended questionnaire of 18 in-service teachers was conducted to identify teachers’ implicit beliefs of error in general learning circumstance. at the preliminary level. The data was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and 160 items of the causes of error,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o frequently makes error, and the roles of error in learning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selected 160 items, 141 items(causes of error 50 items, characteristics of student who frequently makes error 39 items, and roles of error 52 items) were finalized by 422 pre-service teachers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construct validation will be applied to develop new error scale and to improve education field regarding to error.

      • KCI등재

        컴퓨터 기반 협력적 문제해결에서 그룹조절 활동에 따른 군집별 학습과정과 결과

        이현경 ( Hyunkyung Lee ),조영환 ( Young Hoan Cho ),강다현 ( Dahyun Kang ),설보연 ( Boyeon Seol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3

        컴퓨터 기반 협력적 문제해결에서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 공동으로 목표를 세우고, 학습 과정을 점검 및 조절하고, 결과물을 평가하는 그룹조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기반 협력적 문제해결에서 인지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에서 이루어지는 그룹조절 활동에 따라 군집을 나누고 학습의 과정과 결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구하였다. 서울소재 대학교의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학습자들(n=45)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온라인에서 3주 동안 사이버 학교폭력에 관한 문제를 협력적으로 해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룹조절 활동에 따라서 세 유형의 군집을 발견하였다. 과제조절 군집에서는 과제 수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지와 환경에 관한 조절활동이 활발하게 나타난 데 반해서, 사회조절 군집에서는 구성원들 간의 친밀도와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조절활동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의 그룹조절 활동이 모두 활발하게 이루어진 전반조절 군집이 있었다. 이 세 군집들은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새글과 코멘트 작성과 조원들 간의 채팅 빈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사후검사의 공유된 지식 점수에 있어서 세 군집들 간의 차이는 유의미한 수준에 근접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컴퓨터 기반 협력적 문제해결에서 그룹조절을 지원하는 맞춤형 도구와 자원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ffective learning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tudents should be engaged in group regulation activities in which they jointly set a goal, monitor and regulate learning process, and evaluate group performance. This study explored group regulation clusters in cognitive,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and investigated differences in learning process and outcomes by the group regulation clusters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n=45) at a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through collaboratively solving an authentic problem of cyber bullying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for three weeks. This study found three group regulation clusters: task-oriented regulation, socially-oriented regulation, and all-round regulation. The task-oriented regulation cluster focused on the task-related cognitive and environmental regulation activities, whereas the socially-oriented regulation cluster was actively engaged in building intimate and close relationships with group members. The all-round regulation cluster showed high engagement in all of the cognitive, social, and environmental group regulation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of new writing, comments, and chatting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mong the three clusters. In addition, there was a margin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clusters in regard to shared knowledge of cyber bullying at the post-test. These findings can be used for developing tools and resources for adaptive support on group regulation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