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정의적 특성 비교 : 현대적 효 개념의 행동 요인 중심으로

        박경빈,이석래 韓國英才學會 2009 영재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정의적 특성 중 현대적 효 개념의 행동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효 행동 요인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학년별 출생 순위별 가족 구성 가정교육 종교의 유무에 의한 변인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영재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초등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효 행동에 대한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영재의 지적 정의적 발달과정이 일반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가치준거와 도덕적 문제에 관심이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일반학생 내에서 여학생의 효 행동에 대한 의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여학생의 정서적 발달이 남학생보다 빠르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학년별로 영재학생 내에서 5학년이 6학년보다 효행동에 대한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년이 낮을수록 효 행동에 대한 의식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어릴 때부터의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가족 구성에서 핵가족을 이룬 집단이 확대가족을 이룬 집단보다 평균간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핵가족화로의 가족 구성이 변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정을 이루는 전통 윤리인 효 행동에 대한 의식을 꾸준히 생활화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종교의 유무에서도 종교가 있는 집단이 종교가 있는 집단보다 평균같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종교가 강조하는 사랑 자애 등의 종교적 특성 이 표 행동에 대한 의식을 강화시킨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초등 영재학생이 정의적 특성 중 우리나라의 전통윤리인 효 행동에 대한 의식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의식이 초등학교에서만 높은 것이 아니라 상급학교에서도 높은 의식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in modern 'Hyo' concepts and behaviors between the gifted and the general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two groups(the gifted and the general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were compared, in grade, birth-order, family members, education and religion factors in family, to seek for a better way to teach the Korean gifted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ifted had higher 'Hyo' concepts than the general students, because developments of the gifted in the field of intellect, emotion and will are faster than the general. The gifted had many interests in values and moral decisions.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gifted group. But in the general group, girls have higher 'Hyo' concepts than boys. This is because girls emotional developments are faster than boys. Second, in the gifted group, 5th graders have higher 'Hyo' concepts than 6th graders. On the other hand, in the general group,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5th graders and 6th graders. 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gifted/general) by birth-order, family members and having religions or not. However, the comparison between nuclear families and large families shows that Korean traditional ethics - 'Hyo' is still in existence as a basic concept in the family, in spite of the changing family size and unit. In addition, in the family with a religion, the' Hyo' concept is revealed stronger than the other group. This is caused by the power of commanding love and affection which are emphasized through relig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gifted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have high consciousness concerning 'Hyo' concepts and behaviors. It is very essential for them to improve their 'Hyo' concepts until adulthood. Therefore, teachers and parent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help them improve their senses of Korean traditional morality - 'Hyo'.

      • KCI등재

        예술영재에 대한 인식 변화 : 1999~2013 신문기사 내용분석을 통하여

        박경빈,박현진,윤혜정 韓國英才學會 2013 영재교육연구 Vol.23 No.5

        예술영재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999년 7월부터 2013년 9월까지 14년 2개월간의 국내 주요일간지에 실린 예술영재 관련 신문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5개 주요일간지의 예술영재 관련 기사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사의 건수는 모두 1,281건이 나타났고, 기사의 양은 전체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영재교육진흥법이 시행된 2002년, 예술영재학교 설립 추진 계획이 발표된 2007년, 예술영재를 비롯한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지원을 다룬 특별법 제정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된 2009년 이후 꾸준히 높게 나타났다. 예술영재 영역별 관심의 정도는 음악영재 37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무용영재 61건, 미술영재가 61건, 문학영재 21건으로 음악영재에 대한 관심이 다른 영역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높게 나 타났다. 분석유목별 기사의 양은 예술영재의 특성과 활동에 대한 기사 597건으로 가장 많았고, 예술영재 교육정보에 대한 기사 193건, 예술영재를 위한 사회 환경에 대한 기사 176건, 정책의 의의와 가치에 대한 기사 164건, 그리고 정책의 현황과 동향에 대한 기사 151건이었다. 정책의 의의와 가치에 대한 기사의 내용은 영재교육·예술영재교육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필요하다는 인식이었지만 과도한 교육열에 대한 우려와 예술영재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예술영재 분야별 판별 기준,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 등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며 또한 예술영재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철학 개선이 필요하다는 논지가 있었다. Conceptions toward the artistically gifted were investigated through analyzing newspaper articles from 5 major newspapers for 14 years beginning from 1999 to 2013. There were a total of 1,281 articles having to do with artistically gifted, and showed a steady increase in number of articles as the years went by. Largest number of articles were about musically gifted, and an increase in number of articles were observed following new implementations in law and policy.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policy development for the artistically gifted are discussed.

      • KCI등재

        미래사회 영재의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예비 연구 : 현장 영재교사의 인식 중심으로

        박경빈,이미순,전미란 韓國英才學會 2010 영재교육연구 Vol.20 No.3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gifted teachers toward 'conception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methodology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and 'support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in the future gifted education. As a result, gifted teachers conceptualized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as education to foster creative social capitals(social+moral leaders), which showed movement from gifted education focused on cognitive development into future-developmental orientation. Gifted teachers mentioned education to foster social sensitivity, creativity, and leadership as methodology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ey recommended inductive curriculum in learning and teaching in order to encourage domain-specific giftedness. As pointing not to separate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for gifted from a formal education but to deploy with conjunction with it, gifted teachers mentioned the social recognition for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educational programs. 본 연구는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의 개념,’ ‘창의·인성 교육방안,’ 그리고 ‘창의·인성 교육지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현장교사들은 종래의 인지중심의 영재교육에서 탈피하여 미래사회 발전에 이바지 하는 창의적인 사회적 자본(사회적 + 도덕적 리더)을 양성하는 교육으로 창의·인성 교육을 개념화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현장교사들은 창의·인성 교육방안으로 미래사회 지향적인 교육방안 즉, 사회적 민감성을 신장하는 교육과 창의성 및 리더십 교육을 언급하고, 실제 귀납적인 교육과정을 통해서 영역-특수적인 영재성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현장교사는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을 별도로 전개하기 보다는 정규 학교교육과 연계하여 전개해야 한다고 하면서, 창의·인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함양과 교사 전문성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초등 영재아의 학습스타일과 학습자 특성 간의 관계 연구

        박경빈,정가영 韓國英才學會 2010 영재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설문지와 학습스타일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학습상황 속에서 영재아의 선호하 는 학습스타일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스타일과의 관계 를 분석함으로써 학부모, 교사들에게 다양한 분야의 재능을 가진 영재들을 이해하여 영 재아들이 잠재적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구현하는데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영재학생이 선호하는 학습스타일이 있고, 다양한 학습자 변인과 선호하는 학습스타일 간에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학습자의 물리적, 심리적 환경이 학습스타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영재학생들이 선호하는 학 습스타일과 교사들이 자주 실시하는 교수스타일 간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 프로그램이 학습자에 맞게 세분화되고, 학습스타일 관련 학습자 특성을 파악하여 교육 현장에서부터 차별화되고 개별화된 교육과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박경빈 韓國英才學會 2012 영재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영재교육분야에서 발표된 연구들을 분석해 보고,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주요 연구 주제들을 도출해 보기 위하여 영재교육 관련 연구 논문들을 <영재교육연구>, 등재지 게재 논문, 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을 분석하였다. <영재교육연구>는 총 228개 논문에서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을 분석하였다. <영재교육연구>에서 연구 대상은 중학생, 초등학생, 교사가 많았으며 연구 주제로는 교육과정·프로그램, 인지·정서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은 질문지·설문지, 실험적 방법, 사례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등재지 게재 논문은 총 754편으로 연구 주제는 인지, 교육과정·프로그램, 정서 순으로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관련 박사학위논문은 총 132편으로 역시 연구 주제를 분석하였고, 논문의 주제는 교육과정·프로그램, 판별, 정서, 인지 순으로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영재교육관련 연구는 2002년 영재교육진흥법이 선포된 이후로 논문 수에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일부 연구 주제에만 연구가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연구>, 등재지 게재 논문, 박사학위논문 모두에서 프로그램 개발, 효과검증을 주제로한 연구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은 물론 프로그램의 내용적 측면에서도 수·과학 분야로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내용을 포함한 프로그램 개발 시도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영재교육연구>의 경우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좀 더 다양한 대상으로 연구가 이뤄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더불어 연구 방법 역시 질문·설문지를 통한 양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어 질적 연구와 같은 다양한 연구 방법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ends of research in the area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from 2006 to the present, which totalled 422 articles, were analyzed. Also, articles in the area of gifted education published in other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in Korea Research Foundation totalling 228 were analyzed. In addition, 131 doctoral dissertations on gifted education areas were investigated. The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subjects, topics and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studies looked into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as subjects, and the most researched topics of the articles were program development and curriculum, identificatio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gnition. The methodology of majority of the articles were quantitative method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as are discussed.

      • KCI등재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의 관계

        박경빈,권혁민 韓國英才學會 2011 영재교육연구 Vol.21 No.1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ee if there are any relationships between reading dispositi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self-leading learning trait among 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in reading disposition,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result compared to the general students at reading interest and reading experience, but were not different in reading environment. Also,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results i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determination, purposes, assurance, but were not different in readiness and independence. Additionally,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results at self-directed learning in 8 sub-categories, which are openness to learning, self notion, taking-initiative ability, responsibility, learning zeal, future-oriented self-knowledge, creativity, and self assessment. In addition, the research indicates that career attitude maturity is correlated with reading interest, reading experience and reading environment. Also, self-leading learning is correlated with reading interest, reading experience and reading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are suggest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4th~6th grades. Hence, the research needs to be extended 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in order to guide students' careers and improve students' self-leading learning ability, those results need to be applied to real educational situations. In addition, research need to be done to find out what kind of books have more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trai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아와 일반 초등학교 학생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 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을 비교해보고 그 관계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을 비교하였을 때, 영재아는 일반아보다 독서흥미, 독서경험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독서수준이 높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영재아와 일반아의 진로태도성숙을 비교한 결과 진로태도성숙 하위 요인 중에서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은 영재아가 일반아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영재아와 일반아의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을 비교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영재아는 일반아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독서 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또 독서성향과 자기 주도적 학습 특성 사이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 KCI등재

        한국어판 창의적 아이디어내기 척도(RIBS) 타당화

        박경빈 한국영재학회 2019 영재교육연구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RIBS(Runco Ideational Behavior Scale). For this purpose, 315 teachers in S and G regions were teste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cale were verifi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done. The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current validity was verified. The validity of this scale was confirmed as 2 factors which are labeled as Idea(5 items) and Fluency(3 items), and the reliability was .70. The concurrent validity was found to be .35 (p<.01)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with Teacher's role in creativity for pre-school children rating scale (Moon, 1999).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Korean version of RIBS can be said to have a satisfactory validity and reliability. Thus, the Korean version of RIBS can be a useful tool and may be utilized as a short and simple tool in the research related to creativity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Runco Ideational Behavior Scale(RIBS)를 한국에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창의적 아이디어내기 척도로 타당화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S와 G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사 315명을 대상으로 본 척도와 공인타당도를 위하여 유아 창의성을 위한 교사역할 평정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공인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척도의 타당도는 2개 요인, 아이디(5개 문항)와 유창성(3개 문항)으로 확인 되었다. 전체 신뢰도는 .70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별 신뢰도는 융통성이 .80, 유창성이 .70으로 나타났다. 공인 타당도는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35(p<.01)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한국판 창의적 아이디아내기 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적절한 척도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창의적 아이디아내기 척도(RIBS)를 사용하여 유아교사들의 창의성과 관련된 연구에서 간단하면서도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미술 작품 감상 접근성을 높이는 다중감각 인터랙션의 설계 및 평가

        박경빈,조성기,정찬호,최효진,홍태림,정재호,양창준,왕처우,조준동,이상원 한국감성과학회 2020 감성과학 Vol.23 No.1

        This study suggests multisensory interaction techniques to help visually impaired people appreciate and understand artworks through non-visual senses such as tactile, auditory, and olfactory senses. A user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a qualitative interview about the experience of appreciating artwork through the multisensory interaction system to visually impaired people so as to verify the development of the interaction techniques. The user test shows that the multisensory interactions in artwork generally not only help them appreciate and understand it but also give them satisfaction through artwork appreciation. However, it also indicates that some multisensory interactions caused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confusion and could not be perceived during the appreciation. On the basis of these outcomes, implica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providing specific development guidelines and indicators of non-visual multisensory interactions as a technical alternative to improve accessibility to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building a technical background, which can provide comprehensive sensory experiences with not only blind people but also non-blind people such as children and the elderly through universal interaction techniques beyond existing visual-oriented fragmentary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