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학술지 ‘영재와 영재교육(2010-2014)’에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최병연,이명숙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영재교육학회 학술지 ‘영재와 영재교육’에 최근 5년 동안 발표된 논문 중 영재 혹은 영재교육에 관한 86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 영재성 영역, 연구주제, 연구 방법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이들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한연구 대상은 초등학생(37%), 교원(22%), 중학생(18%), 고교생(7%), 전문가(7%), 그리고학부모(5%)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성 영역으로는 과학(54%), 수학(17%), 발명(10%), 언어(7%)의 순으로 한정되어 나타났다. 셋째, 이들 연구에 대한 연구 주제는10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영재성 및 특성(36%),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12%),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10%), 교수-학습 전략(9%), 선발 및 판별(8%), 영재교육동향 및 정책(7%), 교원의 전문성(6%), 진로 및 상담(5%), 부모 및 가족(5%), 특수영재(2%) 등의 순으로 연구의 빈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방법의 유형으로는 조사연구(44%), 문헌연구(20%), 혼합연구(15%), 질적연구(12%), 실험연구(9%)의 순으로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최근 영재와 영재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의 결과에근거한 논의점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민사고를 통해 본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이경화(Kyunghwa Lee),태진미(Jinmi T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의 실현 가능성과 과제를 논의해 보고자 민족사관고등학교를 사례로 다음과 같은 측면을 분석하였다. 첫째, 문헌분석을 통해 국내외 융합영재교육의 동향을 조사하였고 둘째, 설문조사와 현장방문 및 면담을 통해 민사고 교육과정에 대해 소개하였다. 셋째,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한국형 융합영재교육 실현을 위한 가능성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민사고는 민족적 주체성을 가진 국제적 지도자 육성을 위해 중요한 경험적 사례를 제공하며 한국적 정체성을 겸비한 국제적 인재양성의 긍정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만 ‘한국적 정신’ 및 ‘융합형 영재 교육’에 대한 개념을 더 명확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전문적 실현을 위해 ‘한국형 융합영재교육 모형’에 기반한 체계적 교육과정의 수립‧운영이 요구된다. 한편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숙고는 민사고라는 특정 학교만의 과제가 아닌 국가적 차원 에서 문화적 주체성을 가진 지도자 양성의 방향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 of domestic/overseas convergent gifted education by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introduced the distinction of curriculum of KMLA through questionnaire, site visitation and interview to debate the possibility and task of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seen through KMLA. Then, the possibility and task of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was debated on the basis of collected data. In conclusion, KMLA provided the important empirical case to cultivate international leader with ethnic subjecthood and showed the positive possibility of cultivating international elite with Korean identity. However, more obvious conceptual embodiment of ‘Korean spirit’ and ‘convergent gifted education’ is necessary and establishment‧ operation of systematic curriculum based on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model is required for specialized realization. Meanwhile, the speculation over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should be discussed in the dimension of cultivating leader with ethnic subjecthood in the national level instead of task of specific school called KMLA.

      • KCI등재

        부산광역시 교사 관찰·추천에 의한 영재 선발방식의 개선방향

        안정현,박선화,윤성혜,임연휘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교육청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 도입·시행된 교사 관찰·추천제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관찰·추천제의 이론적 모델과 실제 시행된 대도시 관찰·추천제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현행 선발제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관찰·추천제 모델 및 전략적 운영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부산광역시교육청 시행 관찰·추천제의 성과 및 한계에 관한 교육청과 현장교사의 평가의견을 조사하였다. 또한, 선발구조에 대해 대학과 교육청, 학교 집단의 영재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을 실시하여 의견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이론적 모델은 관찰·추천제의 핵심요건으로 선발 타당성 확보를 위한 ‘장기간의 지속적인 관찰’과 ‘다양한 검사도구에 의한 다단계식 평가’를 제시하고 있는 반면, 현장 담당자들로부터 요구되는 관찰·추천제 시행 조건은 학부모 민원에 대비한 ‘평가의 신뢰도 및 객관적 근거자료 확보’와 ‘업무의 효율성 및 편의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관찰·추천제에 접근하는 관점의 차이는 선발구조를 선택하는 데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즉, 대학 전문가들은 관찰·추천제의 취지에 보다 부합하는 先영재학급(Bottom-up) 선발구조를 지지하는 반면, 교육청은 현장의 운영 효율성 때문에 先영재교육원(Top-down) 선발구조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차이를 좁혀나가는 방법으로 영재선발 전문 인력을 우선적으로 확보하고, 영재학급의 교육 및 운영 수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先영재학급(Bottom-up) 선발구조를 적용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영재성 유형과 학년 수준에 따른 동기 및 인지적 특성

        윤초희(Yoon Choi H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05 영재와 영재교육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 유형과 학년 수준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요소인 자기효능감, 성취동기와 상위인지에서의 차이를 분석하고, 영재의 동기 및 인지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보다 확장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 학생 중, 언어영재와 수ㆍ과학영재는 현재 각 해당분야 영재 교육기관(창작반, 수학 및 과학반)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지의 여부를 근거로 선정되었으며, 일반학생은 일반학교에서 표집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초등 언어영재 50명, 수ㆍ과학 영재 51명, 일반학생 53명, 중학교 언어영재 49명, 수ㆍ과학영재 55명, 일반학생 60명 등, 총 318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상위인지,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자기효능감에서는 언어영재와 수ㆍ과학영재 모두 일반학생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효과와 학년 x 집단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동기에서는 두 영재집단이 일반학생보다 내재동기는 우수하지만 외재동기와 회피동기는 집단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x 학년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는 외재동기는 수ㆍ과학영재의 경우, 학년이 증가하면서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인지는 언어영재와 수ㆍ과학영재 모두 일반학생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학생의 경우 학년이 증가하면서 상위인지도 증가하지만, 언어영재의 경우 학년의 증가에 따라 상위인지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년과 집단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기존 문헌과 일관되게, 상위인지, 자기효능감, 내재적 동기는 영역을 초월하여 영재성을 구성하는 요소로 확인되었지만, 학년의 증가에 따른 변화양상은 일관적이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self-efficacy, achievement motivation and metacogni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by different types of giftedness and grade level, and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the cognitive and motiv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The verbally gifted and mathematically/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based on whether they were enrolled in gifted education programs and the nongifted students were selected from regular classrooms. A total of 318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99 verbally gifted, 106 mathematically/scientifically gifted, and 113 nongifted student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Both gifted groups were superior to the nongifted in self-efficacy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ifted groups. The gifted groups were more intrinsically motivated than the nongifted,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extrinsic motivation and work avoidance. For the mathematically/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ore extrinsically motivated than elementary students. For metacognition, the gifted were superior to the nongifted while two gifted groups were not differentiated. Unlike other groups where no grade difference was found, the verb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etacognition than verb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self-regulated learning is a defining factor for giftedness across different domains.

      • KCI등재

        영재 수업에서 백워드 설계의 적용

        이지은(Ji Eun Yi),강현석(Hyeon-Suk Ka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1

        본 연구는 영재 수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백워드 설계에 주목하고 백워드 설계를 적용하여 영재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영재 수업의 문제점과 백워드 설계의 특징 및 절차를 분석하고 백워드 설계를 적용하여 영재 수업을 위한 심화, 속진 교육과정의 단원안을 설계하였다. 연구의 결과, 영재수업에서 백워드 설계의 적용상의 유의점을 교사 인식의 전환, 평가 역할의 강화, 영재 학생의 특성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또한 백워드 설계가 영재 수업에 적용 될 때, 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전문성이 신장될 것이며 이로 인해 영재의 고차적 사고력과 잠재력을 계발하는 영재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at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gifted students applying and focusing on backward design in order to solve problems that occur in gifted education. To achieve this aim, problems of gifted education, characteristics, and steps of backward design are analyzed. In addition, lesson plans adopting backward design are designed for gifted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one would proceed cautiously in applying backward design through considering transition of teachers' perception, the increased significance of assessment, individual qualities of gifted students. Also, it is expected that when backward design is adopted in gifted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ism in developing curriculum design will be improved and this will enable gifted education to encourage greater mental capacities and the potential of gifted students.

      • KCI등재

        영재 교육과정 모형 탐색과 현장적용

        이경화(Lee Kyung Hwa) 한국영재교육학회 2004 영재와 영재교육 Vol.3 No.2

          Over the last twenty years, general principles about appropriate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have been delineated. Meeker used the Guilford"s SOI and Renzulli focused on a differentiated curriculum model. And VanTassel-Baska have stressed a confluent approach to differentiated of curriculum for the gifted that includes both acceleration and enrichment strategies. There were various basic Paradigm of curriculum for the gifted children fostering higher thinking process.<BR>  The contents of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includes the activities fostering higher thinking process, detect main idea and theme, basic important principles.<BR>  The development of our gifted education is cling to the level and role of teachers and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Now, their are the program for gifted that was developed KEDI from 2002 to 2003. But it was not appropriate apply equally to all the region in the country. So a suitable curriculum is needed.<BR>  Gifted education is the basic stage in Korea, therefore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are the tasks of the our nation.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발전은 영재담당 교사의 수준 및 역할과 더불어 어떤 교육과정에서 어떤 프로그램을 적용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학교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영재교육프로그램으로는 2002년과 2003년에 시ㆍ도교육청이 공동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연구원에 의뢰하여 개발한 프로그램이 있으나 지역 실정에 부합되지 못하여 교사가 재구성해야 하는 부담과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실정에 따라서, 학교 학습자 수준과 환경을 고려한 적합한 영재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BR>  영재교육의 많은 부분은 학교, 가정, 사회에서 영재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평가되며, 영재아의 학습욕구에 부응하여야 한다.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정규학교에서 일상적으로 제공되는 것 그 이상의 차별적 교육프로그램으로, 속진과 심화의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영재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일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며, 일선 현장의 교사에게 위임하는 것은 시기상조일 것이다. 아직은 영재교육 시행 초기임을 감안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영재교육과정이 구성되고 프로그램일 개발되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정보화시대의 영재와 영재교육

        최지영(Jiyoung Choi) 한국영재교육학회 2005 영재와 영재교육 Vol.4 No.2

          현대사회는 수많은 정보 속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생산, 분배, 조작하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정보화 사회이다. 또한 테크놀로지가 중요한 학습의 도구가 되며, 학습과 관련해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테크놀로지를 사용할 수 있느냐로 문혜의 개념을 확장시켜 나가야 한다는 ‘테크놀로지 문해’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에서는 영재교육과 관련하여 정보를 다루는 능력과 관련된 영재성의 개념을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정보화 시대에 대두되는 영재들을 제대로 판별하고 그들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영재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 글은 정보화시대에 요구되는 영재성의 개념정립과 영재교육을 위한 몇 가지 중요한 논쟁점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이 글의 본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째, 정보관련 영재성에 관한 국내외의 최근 연구들을 검토하고, 정보영재, 정보과학영재, 컴퓨터 영재, 테크놀로지 영재 등 여러 관련 연구들에서 혼용되고 있는 정보관련 영재성의 개념들의 특징을 비교 분석한다. 둘째, 정보화 시대에 필요한 영재를 판별하는 과정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국내외 판별 도구 및 판별 절차의 특징을 비교한 다. 셋째,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을 중심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보영재나 컴퓨터 영재를 위한 교육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에 대해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향후 정보관련 영재의 지적, 정서적, 행동적 특징을 밝히고, 제대로 판별해 내기위한 도구 개발 및 합리적인 절차에 대한 후속연구들이 더욱 많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영재교육과 관련해서 윤리교육과 협동학습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Our society is information society because of the growing importance of creation, distribution, and manipulation of information. Therefore, in the 21st century, "giftedness" comes from various domains includ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technology literacy. Students should know how to use and apply technology in order to achieve goals in a learning situation. However, the conceptualization and identification procedures of gifted in the information area have not yet been examined systematically. Students who are gifted in the area of information, computer, and technology may not be identified by traditional methods because there is little research concerning the identification and the examination of the personality,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gifted children. With respect to thi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ddress the issue of conceptual complexity of information gifted, information-science gifted, computer gifted and technology gifted which can be us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compare identification instruments and procedures, analyz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that could promote potentials and abilities of the information gifted children, and discuss how we design future research studie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gifted children. The implications of using ethics educ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영재 어머니의 심리상태 관찰을 위한 투사적 접근

        한기순(Han, Ki-Soon),태진미(Tae, Jin-Mi),양태연(Yang, Tae-You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0 영재와 영재교육 Vol.9 No.1

        기존에 영재의 심리상태나 스트레스, 정서 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영재부모의 심리상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왔다. 한편 영재의 주 양육자인 영재 어머니의 심리상태는 영재의 정서, 인지, 사회적 성장 발달을 위한 일상의 양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영재어머니의 심리상태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영재의 어머니들로 하여금 ‘현재의 나’ 에너지 파이 표기활동을 하게함으로써 영재 어머니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심리적인 에너지의 배분을 살펴보고 둘째, ‘바뀌고 싶은 나’ 에너지 파이 표기활동을 통해 영재의 어머니가 기대하는 변화의 방향을 탐색하며 셋째, ‘정서적 유대인물을 심리적 거리로 표현하기’를 통해 정서적 유대인물 및 유대인물과의 심리적 관계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While the psychological state, stress or emotion of gifted children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the psychological state of parents with gifted children has been hardly studied. Considering that daily breeding for emotion, recognition and social growth/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may be directly affected by psychological state of mothers with gifted children, the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state of mothers with gifted children is very important. Thus,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activities: first, to check the distribution of psychological energy currently used by mothers with gifted children by making the mother fosterer indicate energy phi of 'myself at present'; second, to search the direction of change expected by the mothers with gifted children through the activity of indicating energy phi of 'myself that is wished to be changed'; third, to express the emotionally related person by psychological distance so as to investigate the property of psychological relation with emotionally related person and related person.

      • KCI등재

        영재판별 검사 여부에 따른 일반유아와 영재유아 간의 자아개념 차이 분석

        정영희(Young-Hee Chung),박송현(Song-Hyun Park),이경화(Kyung-Hwa Lee),배희라(Hee-Ra B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22 영재와 영재교육 Vol.21 No.2

        본 연구는 일반유아와 영재 유아 간에 자아개념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유아 영재의 정의적 영역에서의 발달을 고려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서울 소재 영재교육연구소에서 영재판별검사(지능검사, 창의성검사, 자아개념검사)를 받은 유아 중 1) 영재로 판별된 유아 163명, 2) 영재로 판별되지 않은 유아 130명, 그리고 3) 영재판별검사 경험이 없는 일반 유치원의 유아 155명의 자아개념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두 독립집단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자아개념에 있어서 영재유아가 일반유아에 비해 낮았으나 도덕자아와 능력자아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전반적으로 영재판별 경험이 없는 일반유치원의 유아의 자아개념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연령 별 차이에 있어서는 세 집단 모두 더 어린 연령의 유아(4세)의 자아개념이 더 높았다. 이와 같이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탁월성을 보여서 영재판별을 받은 유아의 자아개념이 더 낮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유아영재교육에 있어서 자아개념과 같은 정의적 특성을 긍정적으로 계발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는 점에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영재부모에 대한 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in the affective domain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self-concepts between general children and gifted children. Therefore, among the young children who took the giftedness test (intelligence test, creativity test, and self-concept test) at the Gifted Education Research Center in Seoul, 1) 163 children identified as gifted, 2) 130 children not identified as gifted, and 3) 155 children in general kindergarten who have no experience Giftedness Test, the results of the self-concept test were analyz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two independent group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overall self-concept of gifted children was lower than that of general childre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ral and ability. In terms of age differences, all three groups had higher self-concepts of younger children (4 years ol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self-concept of children who were judged gifted like this was lower, it was possible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education of gifted children so that they could positively develop affe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self-concept. In addition, education for gifted child’s parents should also be provided.

      • KCI등재

        언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이경화(Kyunghwa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1

        최근 우리나라에는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영재교육은 여러 영역에서의 영재교육이라기 보다는 수학과 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의 정서와 문화적 수준을 높여 문화발전에 기여하며 삶을 윤택하고 풍요롭게 만들기 위해서는 언어영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영재의 개념을 확인하고 언어영재교육을 위한 고려점을 개괄하는 한편 국내의 언어영재교육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다양한 영역의 영재를 위한 프로그램 중에서도 특히 언어영재를 위한 언어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유치원에서 초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도전적인 교육과정으로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Gifted education in Korea has typically focused on science and mathematics. However Gifted education programs for language arts are needed for the promotion of our emotional and cultural level in order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culture and to improve life quality. Therefore, gifted education programs in diverse domains should be developed and put into practice as soon as possibl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re very important aspect of giftedness. Language arts programs for the gifted should present opportunities for challenging curriculum throughout K-12 continuum. One way to enhances such possibilities is to redirect and refocus the traditional language arts strands in such a way as to make them more compatible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gifted learner at the appropriate state of developmental readiness. Second, it is important to treat the strands of language, literature, writing, and oral discourse as separate domains of study as well as find suitable ways to interrelate them. Even gifted students need to feel they have gained some control over a tool skill such as writing or oral communication. The separate and integral study of language and literature again allows a level of competence to precede work in interdisciplinary areas. Third, educators in language arts programs for the gifted need to organize subject mater carefully over the years these students are in school so that needless repetition and redundancy is removed from their curriculum experience. Standards can be combined or truncated to allow for deeper exploration or accelerated opportunities. The results of such efforts would be to address the needs of the gifted population directly and find alternatives for advanced learners that truly challenge and enrich their earning in the verbal 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