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사고를 통해 본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이경화(Kyunghwa Lee),태진미(Jinmi T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의 실현 가능성과 과제를 논의해 보고자 민족사관고등학교를 사례로 다음과 같은 측면을 분석하였다. 첫째, 문헌분석을 통해 국내외 융합영재교육의 동향을 조사하였고 둘째, 설문조사와 현장방문 및 면담을 통해 민사고 교육과정에 대해 소개하였다. 셋째,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한국형 융합영재교육 실현을 위한 가능성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민사고는 민족적 주체성을 가진 국제적 지도자 육성을 위해 중요한 경험적 사례를 제공하며 한국적 정체성을 겸비한 국제적 인재양성의 긍정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만 ‘한국적 정신’ 및 ‘융합형 영재 교육’에 대한 개념을 더 명확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전문적 실현을 위해 ‘한국형 융합영재교육 모형’에 기반한 체계적 교육과정의 수립‧운영이 요구된다. 한편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숙고는 민사고라는 특정 학교만의 과제가 아닌 국가적 차원 에서 문화적 주체성을 가진 지도자 양성의 방향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 of domestic/overseas convergent gifted education by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introduced the distinction of curriculum of KMLA through questionnaire, site visitation and interview to debate the possibility and task of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seen through KMLA. Then, the possibility and task of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was debated on the basis of collected data. In conclusion, KMLA provided the important empirical case to cultivate international leader with ethnic subjecthood and showed the positive possibility of cultivating international elite with Korean identity. However, more obvious conceptual embodiment of ‘Korean spirit’ and ‘convergent gifted education’ is necessary and establishment‧ operation of systematic curriculum based on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model is required for specialized realization. Meanwhile, the speculation over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should be discussed in the dimension of cultivating leader with ethnic subjecthood in the national level instead of task of specific school called KMLA.

      • KCI등재

        영재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학술지 ‘영재와 영재교육(2010-2014)’에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최병연,이명숙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영재교육학회 학술지 ‘영재와 영재교육’에 최근 5년 동안 발표된 논문 중 영재 혹은 영재교육에 관한 86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 영재성 영역, 연구주제, 연구 방법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이들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한연구 대상은 초등학생(37%), 교원(22%), 중학생(18%), 고교생(7%), 전문가(7%), 그리고학부모(5%)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성 영역으로는 과학(54%), 수학(17%), 발명(10%), 언어(7%)의 순으로 한정되어 나타났다. 셋째, 이들 연구에 대한 연구 주제는10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영재성 및 특성(36%),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12%),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10%), 교수-학습 전략(9%), 선발 및 판별(8%), 영재교육동향 및 정책(7%), 교원의 전문성(6%), 진로 및 상담(5%), 부모 및 가족(5%), 특수영재(2%) 등의 순으로 연구의 빈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방법의 유형으로는 조사연구(44%), 문헌연구(20%), 혼합연구(15%), 질적연구(12%), 실험연구(9%)의 순으로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최근 영재와 영재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의 결과에근거한 논의점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영재교육의 수직적 연계 현황 및 발전 방안

        이영준,최정원 한국영재교육학회 2012 영재와 영재교육 Vol.11 No.3

        영재성을 보이는 학생은 지속적인 영재교육을 통해 자아실현을 하고 사회에 공헌할수 있는 인재로 자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초-중-고 학교급간에 수직적인 연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그러나 영재교육이 시작된 지 약 1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 학생들이 초등학교, 중학교를 거쳐 고등학교 영재교육기관까지 진학하면서 지속적으로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었는지, 지속적인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초-중-고 학교급간의 수직적 연계가 구축되어 있는지에 대한 현황도 명확히 파악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재학교 및 과학고등학교 재학생, 영재교육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수직적 연계 현황을 파악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수직적 연계는 학생의 지속적인 영재교육 수혜 측면과 영재교육기관 간의 연계 측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연구 결과 학생의 지속적인 영재교육 수혜 측면에서 살펴볼 때 과학 고등학교나 영재학교로 진학한 학생의 약 80% 정도가 영재교육 수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었다. 그러나 고등학교로 진학하기 직전까지 지속적으로 영재교육을 받은 학생은 36.2%로 대다수 학생들은 영재교육 도중에 교육을 받지 못하는 공백기가 생겼던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기관 간의 연계 현황에서는 기관간 연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교사들은 연계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학생 이력 관리와 국가적 차원에서의 교육과정 수준과 기준 제시 등의 제도적 장치를 통해 영재교육이 체계성을 갖춤으로써 학생들의 자아실현에 도움이 되는 영재교육이 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중-고에 이르는 영재교육기관의 연계 현황 파악 자체에 그 의의를 가지며 앞으로 영재교육 정책 수립 및 발전에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Gifted Students should be able to make self-realization and grow into human resources who can contribute to the society through gifted education. To this end, these students should be able to receive continuous gifted education and vertical linkage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hould be established. However, now when 10 years has passed since gifted education started, whether gifted students were able to receive gifted education continuously throug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whether there was vertical linkage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has not been clearly researched.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vertical linkage through a survey of students at science high schools and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students, and to derive suggestive points. Vertical linkage is divided into an aspect of continuously receiving gifted education and an aspect of linkage between institutions for gif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in terms of continuous reception of gifted education, about 80% who entered science high schools had received gifted education before. However, the rate of those who had continuously received gifted education was 36.2% and a majority of students had some periods when they did not receive such education.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linkage between institutions for gifted students, there was almost no linkage but teachers thought that such linkage was necessary. The above result suggests that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should become systematic through institutional tools such as management of students' history and provision of curriculum levels and standards on a national level so that such education can be helpful to those students' self-realiz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at linkage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or gifted students and will be a ground for establishing and developing policies for gifted students.

      • KCI등재후보

        유아용 영재판별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송인섭(Song In sub),김누리(Kim Noo r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2

          본 판별도구는 영재판별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논쟁을 최대한 고려하여 다단계적이고 다특성적인 접근을 통하여 영재판별을 하고자 개발된 것이다. 판별의 단계는 크게 3단계로 1단계에서는 중요타인을 통한 영재행동특성 평정척도가 실시되어 다양한 영역에서의 아동의 영재성을 알아볼 수 있고 여기서 부여한 정보를 통해 영재성의 가능성이 있는지 점검할 수 있다. 2단계에서는 사고력과정에 대한 수행학습검사로 사고과제에 대한 수행 평가를 통해 영재성을 검증하고자 개발된 것이다. 이 단계는 단순한 표준화된 검사에 의해여 실시되는 정보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사고과정을 통해 일어나는 일련의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지적능력과 정의적 특성의 비율적 합산 결과에 따른 영재성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로 최종 영재판별에서 많이 활용되는 지능검사와 정의적인 특성을 측정하는 성격검사까지 동시에 고려하여 영재판별에서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더욱 높힐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개발된 유아용 판별도구는 D대도시의 영재성을 지닌 유아에게 실시되었으며, 1단계의 결과와 2~3단계의 결과 간에 일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검사를 실시한 유아의 세분화된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영재로 확인된 유아의 경우 자신의 능력에 맞는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도움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infant gifted children distinguishable test and to validation it. The step of distinguishable test is three. One step is that significant others are to observe by through rating scale. Two step is that process of thinking gifted children was estimated by accomplishment test. That is what we wanted to get the most of giftedness. Lastly, three step is intelligence test and personality test. These test are to estimat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s of the gifted children. Accordingly we are obtained giftedness quotient by these test.<BR>  In order to validation this distinguishable test, in the D city"s 43 infant gifted children were utilized as exploratory sample. As a result, 43 infant gifted children were distinguish by this test. Judging from this, Validity of distinguishable test was supported. Futur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infant gifted children distinguishable test and its validit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수학영재, 과학영재, 일반 학생의 학습유형 및 교수방법 선호도 비교

        이신동(Lee Shin Dong),원재권(Won Jae Gourn),김기명(Kim Ki Myo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7 영재와 영재교육 Vol.6 No.2

        본 연구는 Kolb의 4가지 학습유형에 따라 초등학교 수학영재, 과학영재, 일반 학생의 학습유형을 비교해 보고, 학습유형에 따라 교수방법 선호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교육청 2곳의 영재교육원 초등학교 수학ㆍ과학영재 학생 각60명, 일반 학생은 초등학교 2곳의 6학년 120명 총 24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학습유형검사ㆍ교수방법선호도 검사의 자료를 수집ㆍ분석하였다. 검사도구로는 Kolb(1999)의 학습유형검사(LSI), Renzulli, Rizza, & Smith(2002)의 교수방법 선호도 측정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학영재 학생과 과학영재학생의 학습유형은 차이가 없었으나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유형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동화적 학습자 유형을 제외한 발산적 학습자, 수렴적 학습자, 조절적 학습자 유형은 고유하게 선호하는 교수방법들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수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은 학습유형에 따른 교수방법 선호도에 차이가 없었으나, 과학영재 학생은 학습유형에 따fms 교수방법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유형이 서로 다르고 그에 따른 교수방법도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교실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은 학생들의 학습유형에 맞는 교수방법을 제공하여 교수적합성을 달성함과 동시에 교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각각의 학습유형과 교수방법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learning styles of the mathematics gifted, the scienc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by Kolb"s four learning styles, and ascertain how the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become different by learning style. To achieve the purpose in this study, the four proposi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differences exist among the mathematics gifted, the scienc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in terms of learning style? Second, what differences exist in terms of the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by learning style among the mathematics gifted, the scienc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positions, this study targeted 60 elementary school-level mathematics gifted students, 60 science gifted students at gifted students education institutes, and 120 six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targeted a total of 240 students. For the learning style test used in this study, ""Learning Style Inventory (LSI),"" which originally presented by Kolb in 1976, but was revised anew in 1999, and was translated by Lee, Shin-dong (2005), was used. As a test to measure the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Measure of Student Preference for Instructional Techniques,"" developed by Renzulli, Rizza, and Smith (2002), and translated by Lee Shin-dong (2005) was used. The confidence levels of the tests were good, respectively.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test responses was tested through a confidence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MANOVA, and Sheffe test was used for follow up test.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collected data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arning style of the mathematics gifted and the science gifted, bu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learning style of th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Secondly, it was identified that divergent learners, convergent learners, regulated learners, except for assimilative learners, had their preferred instructional methods. Third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by learning style and gender between the mathematics gifted and general students. The science gifted students had different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by learning style, but they did not show any difference on the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by gender. In conclusion, the divergent learners and convergent learners are judged to be more active in learning activities and have higher learning motivation. Teachers taking charge of classroom teaching should provide instructional methods in line with such learning styles so as to achieve the adequacy of instruction, and draw maximum instructional effects. Those teachers also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enhancing learning motivation of the relatively passive regulated learners and assimilative learner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교육경험 여부에 따른 영재와 영재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차이

        성영화(Young Hwa Sung),이신동(Sin Dong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영재 및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일반적인 인식 및 다문화가정 유아 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는 카이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는 일반영재로, 잠재된 능력과 성취가 불일치한 영재로 보았다. 특히,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지닌 영재특성은 특정 분야에서의 탁월한 재능을 뽑았고, 부정적 특성으로는 사회적 불안 및 소외감과 언어발달 지연이 있었으며 이는 교사의 다문화가정 유아 교육경험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를 판별할 때 창의성 및 사고력 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만 3세 이후가 되면 판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셋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이 필요하며, 이에 대해 다문화가정 유아를 교육해본 교사가 그렇지않은 교사에 비해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의 목적은 잠재력 계발 및 소외영재로 발굴 가능성 증진에 있고, 사회성 및 정서 발달에 대한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놀이를 통해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다차원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보 았다. 이 중에서 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교사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넷째,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은 학기 중 평일을 이용하여 개인수준에 따라 횟수를 정해서실시하고, 1~5명으로 구성된 집단으로 영재교육담당 공교육기관에서 영재교사에 의해실시되어야 한다고 교사들은 인식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사의 인식을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을 위한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of teachers' general perceptions about gif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y teachers' education experience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270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hi-square test.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generally gifted, and mismatched between achievement and potential ability. In particular, teachers perceived outstanding talent in a particular field as a characteristic of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a negative characteristic, teacher responded social unrest and alienation, delays in language development and it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Second, teachers responded that creativity and thinking skills tests must be carried out to determine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gifted young children can be classified after three years old. Third, teachers perceived the need of gif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teachers with educational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ighly responded on the need of the gifted education. Also, teachers responded that purpose of education for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to increase potential development and excavation possibility of disadvantaged and gifted young children. Moreover, the contents of gifted education should focus on social and emotion development, and it should be implemented as play-based, and the measurements should be a multidimensional. Among them,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th, teachers responded that gif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need to be conducted during weekdays of the education year depending on the individual level as a group of 1-5 young children and the education needs to be implemented in public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by gifted teacher. And it's perception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suggestions were provided about the direction for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후보

        수요자 집단 및 성과지표별 영재교육 만족도 분석

        김미숙(Kim Mee Sook) 한국영재교육학회 2007 영재와 영재교육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2003년 이후 본격화된 영재교육 강화 사업의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영재교육의 수요자인 영재학생 1,170명과 학부모 920명 등 총 2,090명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수요자 집단별로 총체적인 만족도를 분석하였을 뿐 아니라 세부적인 성과지표를 수립하여 지표별 그리고 다양한 변인별 수요자의 만족도를 분석 제시하였다.<BR>  총만족도 점수‘는 5점 만점 척도에서 영재학생이 3.59점, 학부모가 3.76점의 수준이었으며, 성과지표에 따라서는 4.00점을 넘는 항목들도 있었다.<BR>  영재학생의 경우 8개의 성과지표들에 대한 만족도 점수는 높은 순서대로 교사, 전반적 만족,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교육효과, 평가, 교수학습 환경, 상담 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의 만족도는 12개의 성과지표로 측정되었는데, 높은 순서대로 교사,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전반적 만족, 교육효과, 평가, 선발, 영재교육기관 운영, 교수학습 환경, 상담, 학부모 및 지역사회 참여, 학부모 지원 서비스이었다. 한편 변인별로 총만족도 수준에서 또 각 변인과 성과지표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성과지표별 만족도 수준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여주었다.<BR>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각 수요자 집단별로 개선해야할 항목들이 발견되었다. 영재학생의 경우 교수학습 환경이나 상담 서비스 부분과 학부모의 경우 교수학습환경, 상담, 학부모 및 지역사회 참여, 학부모 지원 서비스 등이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개선이 필요함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itial results of gifted education implement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roughout the country since 2003 when gifted education first began as a form of formal education. The 1,170 gifted students" and their 920 parents" responded to the satisfaction survey questionnaire which had 63 items for the gifted students and 90 items for the parents. The composite scores of total satisfaction were 3.59 for the gifted students and 3.76 for their parents on a 5-point Likert scale.<BR>  The satisfaction scores of the gifted students were highest for teachers and lowest for counseling service, whereas those of their parents were highest for teachers and lowest for supporting service for parenting. A series of repeated measures of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the gift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satisfaction among the different indices of satisfaction as well as across the region, school levels, parent"s occupation, and so forth.<B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some of the areas that should improve, which are learning environments, school facilities, counseling services, parental involvement and various supporting services for parenting.

      • KCI등재

        영재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성공적인 영재교육의 요건 : 개념도 분석을 활용하여

        이지연,한기순 한국영재교육학회 2012 영재와 영재교육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여 영재학생 어머니들이 인식하는 성공적인 영재교육과 영재학생 어머니들이 지각하는 성공적인 영재교육의 실행수준은 어느 정도인지를 탐색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진술문의 추출, 분류, 평정작업을 위한 단계에서는 동료 영재학부모들의 추천을 받고 평소 영재교육의 운영에 관심이 많은 10명의 영재학부모들이 참여하였으며, 여기서 도출된 성공적인 영재교육의 인식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수준 평정을 위해 강원, 인천, 전라 지역의 영재학부모 125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성공적인 영재교육 인식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결과를 토대로 진술문을 종합한 결과 58개의 진술문이 도출 되었으며 이들 58개의 진술문에 대한 비유사성 평정 자료를 사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2차원 개념도 제작에 적합한 stress 값은 .253으로 나타났다. 개념도에 나타난 진술문의 좌표 값을 기초로 위계적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공적인 영재교육 인식은 5개의 범주로 이루어져있었으며, 각 범주명은 ‘학교교육의 역할’,‘영재교육의 정책적 제언’,‘영재 특성 지지’,‘어머니의 역할’,‘영재교사의 역할’로 제시되었다. 영재학생의 어머니들은 성공적인 영재교육의 중요도 인식에서‘학교교육의 역할’‘영재교육의 정책적 제언’‘어머니의 역 할’‘영재교사의 역할’‘영재특성 지지’순으로 그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성공적인 영재교육의 실현을 위해 학교와 정책적 역할을 매우 중요하게 지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영재교육의 실행 수준에 대한 인식에서는 ‘학교교육의 역할’과‘영재교육의 정책적 제언’이 가장 낮은 실행수준으로 지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gifted students' mothers' perception on the successful gifted education by concept-mapping and find out the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describing the desirable qualities of gifted education and their perceived level of practice. For this, 10 gifted students' mothers solicited, gathered and analyzed related statements, and then did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stress value was 253 which was appropriate for the two level concept mapping study. In addition 125 mothers of gifted students rated the importance of each describing qualities of gifted education and their perceived level of practic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58 statements were solicited and as a result of concept mapping, perception on the successful gifted education was categorized as 'role of school', 'proposal for gifted education policy', 'support for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role of gifted students' mothers', and 'role of gifted education teac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ractice levels across all 5 categories. Implications of the study related to gifted education pract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관찰 · 추천 영재판별에서의 측정학적 쟁점과 과제

        윤초희(Cho-Hee Yoo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1 영재와 영재교육 Vol.10 No.1

        이 논문은 영재판별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관찰추천의 대두배경과 의미를 논의하고, 관찰추천이 가지는 한계와 가능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효과적인 관찰추천이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들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재판별은 영재교육의 출발점이자 영재교육의 성과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는 핵심 절차다. 최근 선발고사 위주의 영재판별이 타당성과 공정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자각과 더불어, 통합적접근에 기반을 두는 관찰추천에 의한 영재판별이 정책적으로 제안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서, 현행 영재판별과 선발의 일원화 문제, 다중적이고 역동적인 영재성 개념에 부합하지 않는 판별, 판별절차와 영재교육 프로그램 목적과의 불일치, 판별에서 배제되는 소외영재의 문제, 인지적 능력 중심의 판별문제 등이 제기되었다. 선발고사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관찰추천의 측정학적 쟁점사항으로는 학생의 배경변인과 관련된 교사 편견의 문제, 관찰추천에 영향을 미칠 수있는 영재성 이외의 학생 행동특성 문제, 교사 전문성 문제, 교사평정척도의 측정학적 결함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관찰추천이 유효한 대안이 되기 위한 선결조건으로서 교사 전문성 개발, 지속적인 관찰 실행, 평정척도의 개발 및 양호도 검증, 다양한 정보원과 관찰자료의 활용 등이 제언되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eacher nomination as an alternative procedure for identifying gifted students, critically examines its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and suggests the prerequisites for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Identification is a starting point for gifted education, which would essentially and ultimately influence its outcome. With the general awareness that the current identification procedure mainly based on standardized assessments can raise validity and equity issues, teacher recommendation of students to gifted programs was suggested as the sole procedure for identification. Regarding its theoretical grounds, several issues were addressed including the unification of current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procedures, identification incompatible with multifaceted and dynamic conception of giftedness, discrepancy between identification and the goals of gifted programs, and identification centered on assessing intellectual and academic abilities. The paper also discusses as psychometric issues teacher bias regarding student backgrounds, student behavior characteristics which can influence teacher nominations, lack of teacher expertis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xisting teacher rating scal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nominations, following prerequisites need to be satisfie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hould be provided; teachers need to conduct continuous observation of student behaviors; teacher rating scales with known psychometric properties need to be developed and used; and teachers should try to utilize multiple sources and types of information about students.

      • KCI등재

        한국 영재교육의 방향 모색 : 융합형 창의 인재 육성

        송인섭,도승이,이정규,김누리,성은현 한국영재교육학회 2011 영재와 영재교육 Vol.10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재 교육의 현실을 진단하고 세계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영재교육의 새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전문가 의견조사와 해외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재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영재교육에서 개선해야할 점은 ‘간학문적 영재교육 강화, 학생주도적 교수학습 강화, 인성·리더십 교육 강화, 교사의 전문성 증진’으로 나타났으며, 영역 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융합형 영재학교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수렴되었다. 또한 외국 영재교육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수준별 선택과목 개설, 개방형 교육과정, 모듈형 교육과정, AP 프로그램운영, 사사학습, 인성, 리더십 교육, 다양한 특별활동 프로그램 운영, 소그룹 중심의 실험, 현장학습, 토론학습, 협동학습, 개별지도 등의 교수학습방법을 실시하고 있었다. 국내 영재교육 전문가의 면담 및 설문조사와 해외 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목표, 선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 영재교육프로그램 측면에서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direction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case study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foreign countries and an expert survey about current situation, problems and measures of Korean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suggest that multidisciplinary approach for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ersonality and leadership education, improvement of teacher's speciality, and establishment of fusion school are key factors for successful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The analysis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foreign countries indicates that they have introduced various curricular system and teaching method in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cluding course organization according to students' level, open curriculum, modular system, AP program, individual research, mentoring, co-curricular activities, experiments in small group, field education, discussing learning, cooperation learning, and individual tutor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a new model of Korean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covering various areas such as purpose of education, selection, curriculum, and teaching & learning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