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세 일본의 김성일 인식에 대하여

        김시덕 ( Shi Duck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남명학연구 Vol.41 No.-

        17-19세기 일본에서는 임진왜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노력이 지속되었으며, 전쟁 상대국이었던 조선과 명의 문헌도 수집 정리 대상에 포함되었다. 근세 일본에서 임진왜란 문헌군이 형성될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외국 문헌은 명나라의 『양조평양록』과 조선의 『징비록』이었으며, 그 밖의 문헌들은 상대적으로 이용되는 비중이 낮았다. 이 논문은 이상과 같은 전제에서, 김성일의 저작인 『해사록』과 『학봉선생문집』 그리고 김성일 그 자신의 이미지가 근세 일본 특히 쓰시마 번에서 어떻게 유통되었는지에 대해 『조선통교대기』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학봉선생문집』 초간본에 포함된 『해사록』이 쓰시마로 넘어가서 이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쓰시마번과 일본 본토에서 공히 김성일과 1590년 통신사행에 대해 부정적·경멸적 인식이 통용되다가, 『징비록』의 일본 유통으로 인해 본토에서는 그 인식이 일변하여 “충신” 김성일 상이 수립되었음을 확인하였다. During 17th and 19th century, Japanese intellectuals have strived to collect documents on Imjin War or Toyotomi Hideyoshi`s invasion of Korea and reorganize informations from those books. Books written in Joseon and Ming dynasties were also the object of collecting for the work. Liang chao ping rang lu 兩朝平攘錄 of Ming and Jingbirok 懲毖錄 of Joseon were the most influential books when the discourse of Imjin War was formed in early modern Japan. Other books of Ming and Joseon were also addressed in Japan but used as frequently as these two books as the source. On the basis of the fact, this paper investigated how Haesarok 海사錄 and Hakbong Seonsaeng Munjip 鶴峯先生文集 written by KIM Seongil were used as a source and how KIM Seongil himself was judged in Japan, especially in Tsushima. According to my investigation, the version of Haesarok flowed in Tsushima was that of contained in first-printed Hakbong Seonsaeng Munjip. And the fact was also revealed that people in Tsushima and mainland Japan had thought KIM Seongil as nasty person and contempted korean delegation in 1590 as tributary one but, after Jingbirok was addressed in late 17th, people in mainland Japan have changed such image of him and become to recognize him as loyalist.

      • KCI등재후보

        도시 장례식장에서 지속되는 상례의 문화적 전통

        김시덕(Kim Shi-Dug) 실천민속학회 2007 실천민속학연구 Vol.9 No.-

        이 글은 도시의 장례식장에서 행해지는 상례의 다양한 요소가 어떻게 외형적 변화를 통해 그 본래의 문화적 전통을 지속하고 있는가를 구명하려는 것이다. 외형상 공공의 장소라는 장소의 변동에서부터 시작하는 장례식장의 상례는 우리의 문화적 전통이 송두리째 바뀌어 변해버린 것처럼 보이고, 연구자들도 이에 대해 변화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외형적 변화 내에는 우리의 문화적 전통이 상당부분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화적 전통의 지속은 본바탕을 전승하기 위해 외형을 변화시키는 '지속의 원리'에 입각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이템으로 잡은 중상, 상복, 문상객 접대, 밤샘, 분향과 절, 부고와 감사편지, 견전, 화장과 염습, 추모시설, 탈상 등 상례의 문화요소에 대하여 생성과정 변화과정, 현재의 상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키워드들은 외형상 상당한 변화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내면적인 알기, 그 의미는 변화하지 않고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것들이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문화요소가 생성되어 지속하기 위해 외형을 변형시켰다고도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various elements of the funeral rite occurred in the urban funeral home has been continuing its cultural traditions by accepting external changes. Many researchers emphasize the changes which seem to totally change Korea's cultural traditions beginning from spatial change from fairly private space to public one. We however can still find fundamental continuation of Korea's cultural customs in the external changes. It seems that external changes made remain the central authenticity of cultural traditions in terms of a principle of continuity. This paper also deal with different cultural elements by exploring various items: Jungsang(double mourning due to losing both parents within three years); Sangbok (funeral garments); Munsanggaek Jeopdae(funeral reception); Bamsaem(staying up all night for condolence); Bunhyang(buring incense for the dead) and Jeol(mourning bow); Bugo(obituary notice) and Gamsapyeonji(appreciative letter); Hwajang(cremation) and Yeomseup(washing and clothing a corpse for burial); Chumosiseol(facility for cherishing the memory of the deceased); and finally Talsang(expiration of the mourning period). It is expected to provide a chance to analyse processes of orienting, changing, and also current situation of funeral customs. In other words these changes are measures to continue values of funeral rite tradition. Accordingly the funeral custom can be concluded not as a fixed concept but as a changing and moving one.

      • 기혹논문 : 근세 일본 영웅담의 주인공이 된 사람들 -인진왜란 강우지역 의병활동 재조명-

        김시덕 ( Shi Duck Kim ) 南冥學硏究院 2013 南冥學 Vol.18 No.-

        이 논문에서는 남명학파의 곽 준 조종도 및 그들의 친인척인 곽준의 딸 곽 씨와 그녀의 남편 유문호가 장렬히 전사한 1597년 황석산성 전투에 관한 근세 일본의 임진왜란 문헌을 검토하였다. 근세 일본의 인진왜란 관련 문헌 군을 검토하면,곽 준 과 조종도, 그리고 류문호의 아내인 곽준의 딸 등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가 계승 확대되는 과정에서 이들이 『삼국지』 와 같은 중국 군담의 주인공과 같은 이미지를 획득해간 것이 확인된다. 이들 일본측 문헌의 검토를 통해, 황석산상 전투에 대한 정보는 류성룡의 『징 비록』을 통해 처음으로 일본측에 알려지고, 1705년에 간행된『조선 군기 대전』 과 『조선 태평 기』를 통해 일본측의 기록과 융합되고, 19세기 전기에 간행된 『에혼 조선군기』 『에혼 다이코기』『에혼 저선정벌기』 등에서는 삽화가 더해지면서 이 전투에 대한 일본측의 해석이 점점 극적으로 되어갔음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징 비록』을 통하여 처음으로 일본에 알려진 이들의 이야기는, 18-19세기에 일종의 영웅담으로 승화하고 삽화까지 첨가되면서 일반 독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근세 일본의 임진왜란 문헌에서 확인되는 이들 남명학파 관련자들의 영웅화와 비견될 만한 조선측의 인물로는 진주 전투의 김시민과 이순신 등을 들 수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곽 준, 조종도, 곽준의 딸 곽씨, 그리고 유문호는 오늘날까지도 임진왜란의 영웅으로 추앙받는 이들 장군들과 동등한 정도의 영웅이자 충신으로서 근세 일 본일들에게 인지되었던 것이다. 근세 일본의 임진왜란 문헌에서 보이는 이러한 경향이 임진왜란에 대한 새로운 역사적 사실을 밝혀주는 것은 아니지만, 근세 일본인들이 임진왜란 당시 조선측의 영웅들을 기억하는 과정에서 곽준 등의 위상을 이순신·김시민 등과 비슷하게 인식했다는 사실은, 황석산성 전투가 지니는 역사적 중요성을 재평가하는 방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books on Imjin War or Toyotomi Hideyoshi`s invasions of Korea which have been written in premodern Japan. The story of Gawk Jun family, Jojongdo and yu munho, who were members of Nammyeong School and killed at Hwangseok mo untain castle war in 1597, is found in these premodern Japanese books. Lyu Seong Ryong who was a high official of Jose on Dynasty during Imjin War wrote their story in his famous memoirs Jingbirok. And because Jingbirok has been widely read among premodern Japanese people, their story was also known to them and some books in Imjin War have included their story. They were a kind of heroes and heroes in these books and illustrations about their gallant death were put in some of these books. It is famous that Premodern Japanese people, by reading books on Imjin War, have recognized Admiral Lee sun shin or General Kim Shimon as heroes of Joe son in this war. And we can make sure that war dead in Hwangseok mountain castle war have been also helloes and heroins such as Admiral etc. for premodern Japanese people. The fact investigated in this paper does not let us know new historical eviden ces of Imjin War. But it can back up the importance and effect of Hwangseok mountain castle war and members of Nammyeong school in Imjin War.

      • KCI등재
      • 서울민속학 연구의 지평확장을 위한 연구대상과 분야

        金時德(Kim, Shidug) 서울민속학회 2014 서울민속학 Vol.- No.1

        서울의 민속을 한마디로 표현하기는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600년 도읍의 역사가 있는 곳이면서 거대 도시여서 전통적인 민속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울은 서울이라는 지역에서 생산한 수많은 민속이 있어 이를 서울민속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이제 서울민속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서울민속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글은 서울민속학의 지평확장을 위해 그 연구 분야와 범위를 가늠하려는 것이다. 서울에는 유구한 역사와 함께 생성 변화되어 온 서울 고유의 민속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와 함께 서울은 대한민국의 가장 번화한 도시여서 산업화와 함께 생성된 도시민속이 존재하는 곳이기도 하다. 서울을 토대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만든 다양한 문화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공동체민속도 중요하다. 도시에서는 직장생활이 생활의 주기이므로 휴일과 기념일의 민속 역시 서울의 특징적인 민속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서울민속학은 전통민속과 현대민속, 도시민속의 관점에서 다양한 분야를 연구해야 한다. 이제 세종시로 이전하였지만 서울에는 다양한 관공서가 있었고, 지금도 일부가 남아 있어 이들이 만들어낸 민속 역시 서울민속학의 연구대상이 된다.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서울학과 서울민속학이 만나야 하는 것도 서울민속학의 중요한 임무이다. 다양한 직업과 집단, 전통에 따른 다양한 민속지 개발 역시 서울민속학의 지평확산을 위해서는 간과할 수 없는 분야다. 서울민속학은 서울이라는 도시의 민속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주제별 연구, 공동체별 연구, 지역별 연구 등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접근이 개별로 진행되기보다는 상호 연계성을 가져야 서울민속학의 연구대상과 분야가 분명해질 것이다.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Seoul folkloristics, since “Seoul” with its 600-history as a capital city and a modern mega-city, seems to be a subject which is a bit far from the folkloristic studies. Given that Seoul has been producing numerous folkloristic practices, to study the practices could be called “Seoul folkloristics.” Thus, it is necessary to begin the Seoul folkloristics as a research field. This paper suggests some possible research scope and fields for broadening the scope of Seoul folkloristics. Seoul has been making and transmitting its own folk customs and practices in its long period of history. Along with this point, as one of the nation’s busiest and abundant cities Seoul has its own elements of the urban folklife which has formed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Different and various folk-groups based in Seoul also play key roles in developing communal folklife. Holiday folklife (mainly in holidays and memorial days) could be part of Seoul’s folklife as cities usually work on a cycle of the office-life. Accordingly Seoul folkloristics should deal with various fields such as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folkloristic aspects as well as urban one, from very urban folkloristic points of view. Although part of governmental system has moved to Sejong city, Seoul has its unique folklife as an administrative city since Seoul used to have a number of public offices and still some of them existed. Also there are some missions to carry out: Seoul folkloristics should meet the ‘Seoul studies’ as well as to develop various ethnographical accounts from various jobs, communities and tradition which is inevitable for the Seoul folkloristics. Seoul folkloristics aims to study folklife of the city of Seoul. In other words it could make various research approaches by subjects, communities and locals. More significant thing is, however, that these approaches should carried out on the basis of inter-relatedness and this finally make the study subjects and scope as a feasible study field.

      • KCI등재후보

        장례식장의 의례 민속과 장례 서비스

        김시덕(KIM Shi-Dug) 실천민속학회 2008 실천민속학연구 Vol.12 No.-

        오늘날 한국 장례 문화의 가장 큰 특징은 장례식장이다. 장례식장은 생업환경의 변화, 도시화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더 이상 집에서 장례를 치를 수 없게 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오늘날 장례식장은 생활문화서비스로서 KS규격이 제정될 정도로 문화서비스업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는 새로운 민속의 등장을 말한다. 따라서 이 글은 이러한 장례서비스의 실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장례식장의 서비스는 크게 시설 서비스와 인적서비스로 구분된다. 시설서비스는 시신처리와 장례를 치르기 위한 기본적인 서비스 시설을 갖추고 있다. 오늘날에는 상주와 문상객을 위한 고급휴게실, 비즈니스 룸 등 다양화 되고 있다. 이는 상주를 고객으로 보는 장례식장의 상업주의 경영의 결과이다. 장례식장의 인적서비스는 장례지도사의 역할이다. 장례지도사는 학교에서 전문 인력으로 양성되고 있고, 근무에도 상당히 만족하고 있다. 이들의 역할은 의례서비스, 행정대행서비스 등이다. 그러나 이들은 장례식장의 서비스 일선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례식장의 상업주의 경영으로 인해 그들 본연의 역할인 의례서비스에 전담하지 못하고 있다. 이들의 역할은 시신처리와 관련된 역할뿐이었다. 분석 결과, 기존의 주장과는 달리 장례식장의 장례는 전문가에게 위임되어 있지 않았다. 인력부족으로 인한 장례지도사의 역할, 유족과의 마찰, 장례지도사의 인식문제, 상조회사와의 갈등, 상업주의 경영 등으로 인해 의례는 여전히 유족이 감당해야 하는 몫으로 남아 있었다. 그러므로 장례식장 서비스는 아직도 반쪽 서비스에 머물러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장례식장의 장례서비스는 우리시대의 새로운 문화현상으로 등장하였고, 새로운 의례민속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다. One of the most distinguishable points of the present Korean funerary culture is the funerary house. Due to a number of reasons such as environmental changes in occupation and urbanization people could not held domestically funerary rites on their own. Today funerary houses have become one of cultural phenomena by establishing Korean Industrial Standards(KS) in providing their services as part of the major living cultural services. In other words it has emerged as a new folkloric icon.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s the actual status of the funerary service in an empirical way. The service consists of facility service and personnel service in a large way. The former covers essential equipment such as the corpse processing. Recently it has developed to the cozy lounge and business room for the mourner and visitors. It has resulted from a management strategy of commercialism to consider the mourner as a customer. The letter service can be interpreted as the role of the funeral director who has been professionally trained and satisfied customers. Their main responsibilities are ritual service and administrative service. In spite of their concrete roles, however, they cannot fully focus on the ritual aspect since the House is usually run in a highly commercialized atmosphere. The only visible role is the corpse processing for the main ri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nlike the existing insistence, the funeral event at the house are not entitled to the expert. The burden related to the rites which is usually taken by the surviving family are as followed : roles of funeral directors due to the lack of man power; conflicts between the bereaved family; social recognition about the funeral director; conflicts with the funeral service company; highly commercialized management. All in all service quality at the funerary house seems to be stagnant at the half level of our expectation. Given that the service provided at the funerary house has appeared as a new cultural phenomenon, it is undeniable that it has become one of new ritual folklife customs.

      • KCI등재

        박물관형 아카이브와 민속학적 활용

        김시덕(Kim, Shi-Dug)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60

        민속학 연구와 박물관은 상호 보완적 관계에 있다. 알렉산드리아 박물관 이후 박물관, 도서관, 아카이브는 독자적 발전을 하면서 공존해 왔다. 그 과정에서 서로 영역을 넘나들고, 디지털 시대가 되면서 경계가 모호해지기 시작하였다. 이에 이들을 문화기관이라는 이름으로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Lachiveum’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이론상 MDR(Metadata Registry)이나 ontology 등의 기술을 이용하면 on-line 디지털 환경에서는 가능하나 off-line에서는 한계가 있다. 이에 문화기관들은 각기 그에 특화된 라키비움을 만들고 있다. 그 중의 하나가 국립민속박물관의 민속아카이브와 같은 박물관형 아카이브(archives for museum, museum type archives)로, 박물관의 역사와 운영기록을 다루는 기록학의 박물관 아카이브(museum archives)와는 다르다. 박물관형 아카이브는 신뢰성 있는 진본을 중시하는 순수 아카이브(국가기록원)와는 달리 일반 아카이브(연구소, 자료센터)처럼 신뢰성 있는 사본(복제) 자료의 정보적 가치도 중요시하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일반 아카이브는 유물자료도 수집하지만, 박물관형 아카이브는 박물관 소장품으로 수집하는 유물자료는 수집하지 않아 구별된다. 박물관형 아카이브의 민속학적 활용 방법은 물질문화연구이다. 일본에서 시도되고 있는 ‘モノ学’(mono-gaku)는 신체론․감각론․존재론으로 재구성하여 문화를 연구하는 물질문화 연구의 새로운 경향이다. 이에 필요한 고급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 바로 박물관형 아카이브이다. 또한 박물관의 연구직과 외부 연구자가 공동연구를 진행할 때도 박물관형 아카이브는 정보 제공처가 된다. 이처럼 민속아카이브와 같은 박물관형 아카이브는 민속학 연구에 필요한 고급 정보를 제공하는 큰 역할을 할 것이다. Museum and folklore study is mutual complementary relation. Since the Museum of Alexandria, museums, libraries, archives were co-existed and developed independently. The borderline was ambiguous somewhere in the process of crossing among them. As a result, the word ‘Lachiveum’ was out and trying to accommodate under the name of a cultural institution. Theoretically, MDR(Metadata Registry) and ontology technology help us to the thing on-line which is digital environment, however there is some limitation in off-line. Therefore the cultural institution make their own specialized lachiveum. One of the examples is the ‘museum type archives(archives for a museum)’ which is the folk archive in the National Folk Museum. This is differ from the archival science of the museum archives which deals with on the history of museum and management records. The museum type archives is caring the replica or duplicated copies of the records as well, unlike the original copy is the main resource of the archive(e.g. National Archives of Korea). However, the general archive also collects relics, artifacts, the museum type archive don’t collect relics or artifacts. The application of the folklore on the museum type archives is the study of material culture. The ‘mono-gaku(モノ学)’ is the new trend of the study of material culture which reconstruct culture in three parts, Somatologie, Sensualism, and Ontology. The museum type archives provides high quality information. Also, the museum type archives is a resource of information, while museum curators collaborate with outside researchers. The museum type archive i.e.; the folk archives plays a role as a resource for the study of folklor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마을민속에서 산업민속으로 변화되는 일생의례의 연구

        김시덕(Kim, Shi-du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09 民俗硏究 Vol.0 No.19

        이 논문은 산업화 된 사회에서 일생의례연구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생의례의 향유주체에 대해 전통적으로는 핵심주체인 가족과 부주체인 주민이고,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핵심주체는 변함없지만, 부주체는 의례전문업체라는 원칙을 세웠다. 일생의례연구의 성과와 반성을 통해 일생의례연구에서 의례 본질과 절차 분석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관점을 통해 산업화 된 현대의 일생의례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산업사회의 일생의례연구는 의례 본질에 대한 연구, 산업에 대한 연구, 일생의례 정책에 대한 연구, 일생의례 산업 관련 문화공동체에 대한 연구, 무덤에 관한 연구 등이 있을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아직 산업화된 일생의례의 연구는 초기 단계에 있다. 현대 일생의례의 연구는 과제가 방대하기 때문에 중간 단계의 연구에서 다양한 방법론들이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화 시대 일생의례 연구 방향에 대해 단적으로 결론짓기는 쉽지 않다. 지금의 결론도 향후 하나의 중간단계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 역시 중간단계의 연구이듯, 중간단계의 연구성과를 간과하지 않아야 할 관대함도 일생의례 연구의 진전을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This paper clarifies the subject of enjoyment in rites of passage and analyzes the features of rites of passage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In traditional society a family is a main body of enjoyment in the rites while neighborhoods are secondary. In industrial society, however, a family remains as a main body, but a secondary body is a commercial agency for rituals. In the chapter of ‘Achievement and Introspection of Study on Rites of Passage’, a study on procedures of the rites and contents of books ritual manual(禮書) is emphasized because it is necessary for examining what the rites mean for the group who perform the rites. From this point of view I suggest the research methods for rites of passage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study on rites of passage in industrial society comprehends the research on essence of the rites, on industries, on policies for rites of passage, on folk communities related to the business of rites of passage, and on graves. Research on industrialized rites of passage is still in its early stage. Since it includes a wide range of subject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research methods would be developed in intermediate phases. therefore, A direction of research on rite of passage in industrial society cannot be easily determined. Even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might be one of the intermediate phases henceforth. It is critical not to overlook the results of studies in intermediate phases for progress of research on rites of passage as this paper is also one of such intermediate st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