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민속학 연구의 지평확장을 위한 연구대상과 분야

        金時德(Kim, Shidug) 서울민속학회 2014 서울민속학 Vol.- No.1

        서울의 민속을 한마디로 표현하기는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600년 도읍의 역사가 있는 곳이면서 거대 도시여서 전통적인 민속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울은 서울이라는 지역에서 생산한 수많은 민속이 있어 이를 서울민속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이제 서울민속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서울민속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글은 서울민속학의 지평확장을 위해 그 연구 분야와 범위를 가늠하려는 것이다. 서울에는 유구한 역사와 함께 생성 변화되어 온 서울 고유의 민속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와 함께 서울은 대한민국의 가장 번화한 도시여서 산업화와 함께 생성된 도시민속이 존재하는 곳이기도 하다. 서울을 토대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만든 다양한 문화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공동체민속도 중요하다. 도시에서는 직장생활이 생활의 주기이므로 휴일과 기념일의 민속 역시 서울의 특징적인 민속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서울민속학은 전통민속과 현대민속, 도시민속의 관점에서 다양한 분야를 연구해야 한다. 이제 세종시로 이전하였지만 서울에는 다양한 관공서가 있었고, 지금도 일부가 남아 있어 이들이 만들어낸 민속 역시 서울민속학의 연구대상이 된다.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서울학과 서울민속학이 만나야 하는 것도 서울민속학의 중요한 임무이다. 다양한 직업과 집단, 전통에 따른 다양한 민속지 개발 역시 서울민속학의 지평확산을 위해서는 간과할 수 없는 분야다. 서울민속학은 서울이라는 도시의 민속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주제별 연구, 공동체별 연구, 지역별 연구 등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접근이 개별로 진행되기보다는 상호 연계성을 가져야 서울민속학의 연구대상과 분야가 분명해질 것이다.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Seoul folkloristics, since “Seoul” with its 600-history as a capital city and a modern mega-city, seems to be a subject which is a bit far from the folkloristic studies. Given that Seoul has been producing numerous folkloristic practices, to study the practices could be called “Seoul folkloristics.” Thus, it is necessary to begin the Seoul folkloristics as a research field. This paper suggests some possible research scope and fields for broadening the scope of Seoul folkloristics. Seoul has been making and transmitting its own folk customs and practices in its long period of history. Along with this point, as one of the nation’s busiest and abundant cities Seoul has its own elements of the urban folklife which has formed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Different and various folk-groups based in Seoul also play key roles in developing communal folklife. Holiday folklife (mainly in holidays and memorial days) could be part of Seoul’s folklife as cities usually work on a cycle of the office-life. Accordingly Seoul folkloristics should deal with various fields such as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folkloristic aspects as well as urban one, from very urban folkloristic points of view. Although part of governmental system has moved to Sejong city, Seoul has its unique folklife as an administrative city since Seoul used to have a number of public offices and still some of them existed. Also there are some missions to carry out: Seoul folkloristics should meet the ‘Seoul studies’ as well as to develop various ethnographical accounts from various jobs, communities and tradition which is inevitable for the Seoul folkloristics. Seoul folkloristics aims to study folklife of the city of Seoul. In other words it could make various research approaches by subjects, communities and locals. More significant thing is, however, that these approaches should carried out on the basis of inter-relatedness and this finally make the study subjects and scope as a feasible study field.

      • 서울의 민속문화 연구 및 활용 방안 모색

        홍태한(Hong, Teahan) 서울민속학회 2015 서울민속학 Vol.- No.2

        이 글은 서울의 민속문화 연구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한 글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서울 민속의 범위를 살폈는데, 현재 서울의 시민들이 누리고 있는 삶을 바탕으로 하는 생활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러면서 여러 민속학개론서에서 분류하고 있는 하위 유형을 가져와 서울 민속의 전승 양상을 살폈다. 다음으로 서울 민속의 몇 가지 특징을 제시했다. 첫째, 서울민속은 거대도시라는 외면만큼 서울이 내실 있는 도시임을 알려준다. 둘째 서울민속은 다양한 문물을 수용하여 재창조되었고, 도시문화로 존재한다. 셋째, 서울민속은 전국으로 지평을 확장하였고, 다층적 성격을 보여주고, 개방성과 융합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민속의 활용 방안 몇 가지를 제시했다. ‘서울의 생활, 서울민속 축제’ 기획, ‘서울의 마을굿 대동잔치’ 기획, ‘서울을 누비자, 걷기 한마당’ 기획 등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서울 민속 체험관의 확충을 제시하면서 각 자치구에서도 구 지정 무형문화재 지원제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러한 서울민속의 활용을 통해 서울은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교문화가 어울린 도시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역사와 뿌리가 살아있는 도시가 된다. 서울민속은 세대를 넘어선 문화가 숨 쉬는 도시로 서울을 부각시키는 핵심이 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exploring the folk culture of Seoul and its utilization. I first investigate the range of Seoul in this article, and it was defined as the life of citizens in Seoul. At the same time, the aspects of Seoul Folk traditions are also studied with sub-types that classified in the aspects of folklore from various research of folklore introduction. Then some features of folklore of Seoul were presented. First, Seoul folklore tells that the city of Seoul has internal stability as well as its appearance as a metropolis. Second, Seoul has been recreated to accommodate a variety of folk civilizations, and it exists as an urban culture. Third, the folklore of Seoul was expanding its horizons across the country, showing the multi-layered nature, and it shows the openness and convergence in its property. Based on this, several plans of utilization of folklore of Seoul were proposed. ‘Life of Seoul, planning of Seoul Folk Festival’, ‘shamanism rituals of Dedong village’ and ‘Walk Festival of Seoul’ were proposed. Finally, the expansion of the Seoul Folk Experience museum was proposed to enable the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asset support system in each borough. Through the utilization of folklore of Seoul, the identity of Seoul can be confirmed. It can also be a city of various religious cultures. In addition, Seoul can be a city of living history and root. Seoul folklore may be the key to highlight the culture beyond the generations.

      • 기존 『서울민속대관』의 한계와 21세기 새로운 출간을 위한 방향성

        정형호(Jeong, Hyungho) 서울민속학회 2015 서울민속학 Vol.- No.2

        이 글은 1990년대에 11권으로 발간된 『서울민속대관』의 특징과 문제점을 토대로 21세기 새로운 『서울민속대관』의 발간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 『서울민속대관』은 6년간에 걸쳐 여러 관련 학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다양한 민속을 의욕적으로 집필했다. 특히 일부는 현장 민속조사를 충실히 조사 기록하여 당시 민속의 전승상황을 생생히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은 서울민속의 개념과 범주를 확실히 설정하지 못해서 혼선을 야기했으며, 20세기 급격한 도시의 변화 양상을 담지 못하고 지나치게 민속의 사적 변화를 문헌 중심으로만 접근했다. 따라서 충분한 조사와 집필 시간을 갖지 못하고, 실제 서울 민의 삶과 유리된 조사보고서가 발간되었다. 이런 문제가 발생한 것은 당시 서울의 민속, 특히 도시민속을 제대로 연구한 학자가 거의 없었으며, 급변하는 서울민속을 어떻게 집필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적었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점을 통해서 서울 시민의 현재적 삶을 바탕으로 새로운 서울의 민속종합조사보고서 발간을 시도할 시점에 와 있다. 이것은 시급히 서울 시민의 실체적 삶을 제대로 담아내야 한다는 시대적 당위성 때문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8가지 방향성과 현지조사연구를 통한 12권의 출간 방향성을 제시했다. 우선 새로운 서울민속종합조사보고서는 서울 시민을 민속의 전승주체로 설정해서 그들의 삶을 중심에 놓고 접근해야 한다. 이를 위해 20~21세기 근현대 서울 시민의 삶을 중심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곧 과거 지향성을 탈피해서 민속의 역사적인 기술은 현재를 담아내기 위한 방편으로만 기술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서울 민속의 범주에 도시민속을 대폭 포함하고, 도시민의 생활민속을 과감히 수용해야 한다. 그리고 조사 대상을 노인층을 포함해 다양한 세대를 아우르며, 충분한 시간을 갖고 현지조사를 통해 서울민속을 집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시론적 성격으로 12권의 가목차를 “제 1권 서울 공간변화 속의 삶, 제 2권 서울민의 세시와 삶, 제 3권 서울민의 생업과 삶, 제 4권 서울 교통 통신 변화 속의 삶, 제 5권 서울의 일생의례와 삶, 제 6권, 서울민의 신앙과 삶, 제 7권, 서울 놀이와 여가에 나타난 삶, 제 8권, 서울 예술 축제 속의 삶, 제 9권, 서울민의 물증에 나타난 삶, 제 10권, 서울 음식문화의 변화, 제 11권, 서울 공동체의 변화와 삶, 제 12권, 서울민의 개인생애사에 나타난 삶”으로 설정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detect problems and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survey of Seoul-folklore", published in 11 copies in the 1990s. Based on this, it provided a direction for the publication of a new book of the 21st century. Many folklorist wrote hard the book over six years. Especially some books were written about the transformation situation of the folklore of that days through on-site investigations. But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Seoul-folklore were not determined clearly and therefore caused confusion. Also this book did not contain a drastic change aspects of the city of the 20th century. So this book accessed to only historical literature review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folklore. As a result, it didn"t take enough time to investigate and write the book and the report isolated from the real life of Seoul citizen was published. The reason might be because there were not folklorist to study the urban folklore and they didn"t have a hang-up about how to write about the folklore of Seoul changing rapidly. Therefore, to solve this kind of problems, new book based on current life should be published. For this purpose, researcher presented eight directions to publish new book and 12 table of contents through on-site investigations.

      • 서울 민속 연구의 검토와 비판적 성찰

        이기태(Lee, Kitae) 서울민속학회 2014 서울민속학 Vol.- No.1

        서울의 민속에 대한 그간의 연구 성과를 살피면서 서울민속학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그간의 연구는 연구자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관심 분야의 편중(무속과 동제) 현상과 조사지역의 편중 현상이 있었다. 또한 이 연구들은 사회변동과 민속의 변화에 치중하고 있다는 연구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사회적 환경과 민속의 상관성에 대한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 서울의 민속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었던 연구 방향에 대한 암묵적 동조였다고 할 수 있다. 민속 연구의 바람직한 학문적 자세로는 먼저, 민속은 역사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을 동시에 지니는 것으로 현재의 생활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이루어진 변화의 결과이면서 과정이다. 민의 생활양식인 민속은 다양한 계층이 공유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계층들 사이에서도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지니고 있다. 민은 그 성격이나 범주를 달리하면서 지속하는 대상이며, 속은 변화하는 민의 세계관이나 사고체계 및 가치관에 따라서 변화하면서 지속하는 생활양식이다. 민은 추상적인 개념이어서 연구자들의 연구 대상에 따라서 달리 설정될 수 있는 개념이다. 반면에 속은 구체적인 실상이면서 그 속에 민의 사고가 표현되어 있다. 즉, 민속은 지속적으로 소멸하거나 새롭게 생성되고 또는 변화하는 역동적 대상인 것이다. 메트로폴리탄 서울의 민속 연구는 오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서울이라는 공간 속에서 살아왔고, 살고 있으며, 앞으로 살아나갈 사람들에 대한 다양한 이해가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인접학문들의 연구 방법과 연구 성과를 적극 활용하면서, 활용 가능한 모든 자료를 동원하여야 한다. 또한 서울 민속의 이해는 주변 지역 및 다른 지역사회와 항상 밀접한 상관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이 서울의 민속을 이해하는 것은 서울의 한반도를 구성하는 하나의 지역사회로 이해하기 위함이다.

      • 서울민속학의 연구대상과 연구방법론

        강정원(Kang, Jeongwon) 서울민속학회 2014 서울민속학 Vol.- No.1

        본 논문은 서울 민속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론에 대한 글이다. 서울 민속학은 지역민속학으로서 민속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론을 수용하여 연구를 수행한다. 기존의 민속학이 연구대상 별로 자료를 축적하는 데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는 점을 본고에서는 민속학의 약점이라고 파악하지 않는다. 이러한 연구 전통은 서울 민속학에서도 적극 수용해야 한다. 이와 함께 도시 속에서도 민속은 지속된다는 전제를 가지고 서울 사람들과 서울 민속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기술의 발달은 사회를 개별화시키며, 다양한 민속을 발생시키고, 민속의 구속력을 약화시키기는 하지만 사람들의 적극적인 민속화 행위에 힘입어 새로운 민속문화를 생성시킨다. 도시화가 민속을 해체시킨다는 관점에 동의하지 않는다. 서울 민속학은 실재론에 기반하여 연구 대상에 접근하여야 하며, 현재에 대한 연구와 함께 역사적 연구를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 민속학은 과거와 현재의 긴장 관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또한 서울 민속학은 사람의 본질이 호모 에코노미쿠스와 호모루덴스가 합쳐진 호모 폴크로리쿠스라는 점을 중시한다. 이를 통해 도시 속에서 살아가는 서울 사람들과 그들의 문화를 온전하게 이해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object of the seoul folkloristics. I think that the seoul folkloristics has to accept the traditional research methods of the folkloristics which regard genres of the folklore and folklife highly. I argue that the urbanization do not eradicate the folklore. The urban citizens make folklores new and folklorize the new technology. Because this is necessary and obligatory for the normal life in the period of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I think that seoul folkloristics has to regard human as homo folkloricus who embrace homo economicus and homo ludens. The folklorization process shows this character of mankind well. I think the seoul folkloristics has to study the history and the present of the seoul folklore. It must overcome the postmodernism and accept the realism and positivism.

      • 다민속문화의 접촉지대로서 서울민속박물관

        강정원(Kang, Jeongwon) 서울민속학회 2015 서울민속학 Vol.- No.2

        본 논문은 현재 서울시내에 건립되어 있는 민속학 계열 박물관의 현 주소와 서울시 박물관 정책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뒤에 서울민속박물관의 필요성과 기능, 의의를 설명한 것이다. 서울시는 역사박물관을 2000년대에 들어와서 건립한 이후에 새롭게 서울시민생활사박물관을 계획하고 있다. 나는 이러한 서울시 박물관 정책에 큰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다. 박물관은 최근의 논의에 따르면 연구 기능보다 교육이나 전시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하지만 나는 아직 박물관이 터무니없이 부족한 한국이나 서울에서는 박물관의 중요 기능이 수집과 연구에 있다고 생각한다. 연구 기능이 약한 상태에서 박물관이 건립되면서 박물관은 여러 문화기관 중에 상대적으로 평가절하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서울시에서는 박물관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학제간의 균형을 맞추는 데에 신경을 써야 한다. 서울시의 기존 박물관은 역사학에 편중되어 있는 편이다. 그럼에도 서울시는 또 다른 역사학계 박물관(시민생활사박물관)을 건립하고자 한다. 이는 역사적 측면에만 연구와 수집이 치우치면서 민속문화를 방치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민속박물관은 민속문화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장소로서 서울시민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을 실현하는 공간이다. 현재까지 서울시에서는 서울시민들의 민속문화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제도역사 속에 서울시를 위치짓고자 했을 뿐, 서울시민들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이러한 편중된 관심의 결과가 서울역사박물관의 건립이었다. 서울역사박물관이 서울시민들의 민속문화에 관심을 두기는 하지만 여전히 역사학의 범주에 머물러 있는 관계로 한계는 뚜렷하다. 서울민속박물관은 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하며, 다문화가 공존하고, 일상과 근현대가 만나는 다양한 민속문화들의 접촉지대이다. 단일한 민속문화만이 존재하지 않고 다민속문화들이 공존하는 서울에서 그 문화들이 접촉하고 소통하며 상호 재현하는 공간은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이 기능을 서울민속박물관이 수행할 것이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서울 시민들이 민속 유물을 통해 상호 소통하면서 과거와 현재, 민속과 민속 사이의 공통과 차이를 서울민속박물관에서 이해하게 될 것이다. 나는 이런 차원에서 서울민속박물관의 건립을 촉구한다. This thesis aims to explain the necessities to found the seoul municipal museum for folklife and folklore(SMMFF). In Seoul there has not been the SMMFF till now. The Seoul municipal government did not know the SMFF, because its museum policy was inclined to deny the existence of folklife and folklore in Seoul. The Seoul municipal government wanted to glorify the modern seoul and the institutional history, which was resulted to found the Seoul History Museum. In my opinion the research function of museum is the most important, which is generally denied by the postmodern musiologists. They have questions about the objectivity of the knowledges that was produced in the museum. So for them the educational function is the principal function. I think this argument can not be grounded in Korea(including seoul), because the museums are not organized systematically and do not have any high position in the Korean academic world. In this perspective the museum policy of the seoul city hall is problematic. The seoul history museum is there, however seoul city hall makes plans for another history museum now. But SMMFF is needed urgently for the research and gathering of the everyday life of the seoul citizens. It contributes to promote folkculture-democracy, which makes the citizen participate in the gathering and researching, displaying their own everyday life. SMMFF makes contact zones between multi-folkcultures in seoul, for example traditional folkculture and modern folkculture, regional folkcultures and world folkcultures. Seoul is a metropolitan city that contents all folkcultures that can come into conflict. In order to overcome the future conflicts and give the citizen opportunities to reflect their own lives SMMFF must be founded.

      •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도 활성화 및 발전 방안

        홍태한(Hong, Tae-jan) 서울민속학회 2019 서울민속학 Vol.- No.6

        이 글은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도 활성화 및 발전 방안을 살핀 글이다. 현재 서울특별시에는 모두 52종목의 무형문화재가 지정되어 있다. 하지만 최근 변화된 국가 무형문화재 제도의 흐름을 따라가려는 움직임은 아직 없어 새로운 관심이 필요하다. 특히 무형문화재 기록화 사업 성과를 검토해보면 서울특별시가 상당히 뒤처지고 있음이 보인다. 인천광역시, 충청남도 등에서는 대부분의 무형문화재 기록화 사업을 완수하였으나 서울특별시는 이제 시작하고 있어 앞으로 사업에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서울특별시 무형유산 종합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지정 무형문화재를 포함하여 비지정 무형문화유산까지 조사가 되어야 한다. 특히 서울특별시 여러 마을에 전승되는 마을굿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현재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로 마을굿이 모두 5곳 지정되어 있으나 지정되지 않은 마을굿도 30여 곳을 상회한다. 이들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개별로 지정된 서울의 마을굿을 하나로 묶은 후 아직 지정되지 않은 마을굿까지 포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같은 번호로 묶되 보유자를 인정하지 않고 마을 주민들이 중심이 되도록 지원해야 한다. 서울 민속을 연구하는 전문학자, 서울민속학회와 같은 학회와 연계한 사업을 펼치면서 서울 민속 전반을 조사하는, 가칭 서울 민속종합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is to examine plans to vitalize and develop the Seou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ystem. Seoul Special City has currently designated total 52 kind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However, there is still no movement to follow the trends of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ystem that is recently revised, so it needs to be considered newly. We can see that Seoul falls fairly behind particularly when we look through the results of the documentation project o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the areas like Incheon or Chungcheongnam-do, the documentation project o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mostly completed, but Seoul is starting it just now; therefore, it should be accelerated more afterwards. Nex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general survey on Seoul’s intangible heritages. Not only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but undesignated ones, too, should be investigated. We also need to pay keen attention to town gut (town exorcisms) that have been transmitted in many towns of Seoul Special City. Currently, total five town gut are designated as Seou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however, over 30 or so ones are not designated yet. They require particular attention. After combining Seoul’s village gut designated individually into one category, we should add ones that have not been designated yet to it. Categorizing them with an identical number, we need to support them setting the town people as the center of it not acknowledging the possessors. While carrying out the project in connection with the scholars specialized in Seoul folklore as well as societies like the Seoul Folklore Society, we should conduct the General Survey on Seoul Folklore (tentative name) to investigate Seoul folklore in general.

      • 서울의 근대 민속, 신문명과 식민지 문화의 남촌

        김시덕(Kim, Shidug) 서울민속학회 2015 서울민속학 Vol.- No.2

        서울의 근대 민속을 연구하기에는 남촌이 적격이다. 남촌(南村)이란 한양의 안산(案山)인 남산(南山) 혹은 목멱산(木覓山)의 북쪽 기슭에 있으면서 청계천의 남쪽을 말한다. 요즘의 회현동, 충무로, 명동, 을지로, 장충동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이다. 이 글은 지역민속학이자 도시민속학 연구로서 남촌이라는 지역의 상업민속을 중심으로 여러 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민속학으로서 남촌의 역사적 변천사와 범위를 분석하였다. 둘째, 식민지 정책에 따라 만들어진 가로의 성격과 남촌의 관계, 상점과 거리의 관계 등으로 상업 경관을 분석하였다. 셋째, 남촌 상인들의 상거래 관습과 형태, 상점의 종류와 취급 품목, 상인들 단체, 거래문서, 거래도구, 간판 등을 통해 남촌 상업민속의 연구주제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넷째, 신문명에 대한 갈망으로서 새로운 패턴의 소비문화, 다방문화 등으로 모더니스트들의 생활문화를 살펴보았다. 다섯째, 신문명이면서 새로운 문화예술로서 신파극, 연극, 현대무용, 영화 등의 유입과 이것이 당시 조선의 문화예술계에 끼친 영향, 문화예술 전문인들의 공동체 민속의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카페, 바, 요정, 유곽, 권번 등 새로운 유흥문화의 실상을 제시하여 지금까지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유흥문화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도시의 상업민속은 다양한 문화공동체의 민속연구를 기본으로 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상업민속인 남촌의 신문명은 일본인을 위한 것이었고, 식민지 문화였다. 한 편으로는 식민지 착취문화였다. 그래서 남촌의 민속을 연구함에 있어 주의해야 하는 것은 식민지 근대화론이다. 왜냐하면 식민지배가 아니었더라도 조선의 근대화는 어디에선가 일어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모던뽀이와 모던껄이 그 한 측면을 증명한다. 또한 일본 못지않게 예술성과 작품성으로 식민지를 뛰어넘으려는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Namchon is a proper topic to carry out research on Seoul’s modern folklife. Namchon refers to the southern part of Cheonggye stream on the north ridge of mt. Mongmyeok(currently called mt. Namsan) which is a front mountain of Hanyang in feng shui. It broadly covers from Hoehyeon, Chungmu-ro, Myeongdong, to Eulji-ro and Jangchung-dong. This paper introduces several possible subjects on the Namchon’s commercial folklife value as a area folkloristics as well as urban folkloristics. Firstly, as a area folkloristics, it deals with historic transformation of Namchon and its scope. Secondly, it analyzes commercial landscape by examining different relations: characteristics of streets and avenues which were arranged by the colonial policy vs. Namchon, shops vs. streets and so on. Thirdly, it suggests research topics and directions by dealing with various things: practices and patterns of Namcheon merchants, types and items of shops, shoppers’ communities, trade documents and tools, signboards. Fourthly, it observes modernists’ living culture through desires for neo-culture which were exemplified by spending culture, and tea-room culture. Next, it presents that as a new performing arts genre as well as patterns of neo-civilization, when it comes to the advent of the modern form of soap operas, theatre plays, modern dancing and cinema, it is considerable to think about the realm of professional artists. For instance a question like how it had influenced on the Joseon’s society of culture & arts, could be raised. Finally it opens another possible field to examine: entertaining culture represented by café, liquor bars, Yojeong which is high class Korean restaurant and Gwonbeon. This kind of commercial folklife should be on the essential base of folkloristic research on various folk communities. Neo-culture of Namchon, a kind of commercial folklife represents colonial culture which was entirely for the sake of Japanese population. In other words this is a pattern of the exploit culture of colonized land. In this respect, one thing we have to be cautious in carrying out Namchon research, is “colonial modernity.” It is obvious that regardless Japan’s annexation, Joseon’s modernization was inevitable. Two keywords of “modern boys” and “modern girls” prove one of the aspects of this point. This was because Koreans endeavored to overcome the colonial reality through their artistic achievements as passionately and desperately as the Japanese did.

      • 서울 동제의 새 문화콘텐츠 방향 제언

        이기태(Lee ki-tae) 서울민속학회 2016 서울민속학 Vol.- No.3

        이 글은 현재 서울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동제(洞祭)가 서울사람들에게 더욱 친밀한 대상으로 다가서기 위해서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서울은 대한민국 문화의 중심지이면서도 대한민국을 구성하는 지역의 하나로 인식하였다. 서울다움은 타지역과 구분되는 서울지역의 문화가 건강하게 유지되었을 때 찾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의 서울문화는 조선시대의 서울문화와 인구증가와 행정구역 확장에 따라서 흡수된 경기도의 문화와 지방의 다양한 문화들이 어우러져서 구성되었다. 또한 서울은 메트로폴리스로 발전하면서 세계의 문화를 가장 쉽게 받아들이는 지역이기도 하다. 서울은 많은 발전과정을 겪었지만 마을공동체의 동제가 현재까지 유지되는 곳을 자주 발견할 수 있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서울의 동제는 매우 쇠퇴하기도 하였고, 또한 토박이 중심으로 전승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서울의 동제가 현대인들에게 더욱 친숙한 대상으로 자리매김 되기 위한 새로운 동제문화 콘텐츠는 메트로폴리탄 서울의 지역주민들이 공감하면서 참여할 수 있어야 하며, 나아가서 세계인이 공유할 수 있는 의미와 가치를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변화는 동제의 본질적 의미를 약화시키지 않으면서도 그 의미를 돋보이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동제에 포함된 상징성과 그 의미를 현대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환경에 어울리게 재해석하고 실천하여야 할 것이다. 사례로 살핀 남이장군사당제의 대상신은 여러 대상으로 표현되었지만, 신들의 역할은 인간의 보편적인 삶을 충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조력자로 이해하였다. 즉, 그들은 인간 질병의 예방과 퇴치, 장수(長壽)와 부(富)의 추구, 사회질서 유지 등을 도와주는 역할수행자였다. 한강주변 부군당에서는 바다 및 수질오염의 예방과 생명존중사상의 조력자, 다문화사회의 선구적 조력자 등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보았다. 즉, 현대사회의 아이콘을 동제를 통해서 표현하려는 것이다. 대상신들은 구체적인 역할에 따라서 분화하였지만, 인간사회를 보호하고 행복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력자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서울지역의 동제는 현대사회를 살고 있는 서울사람들에게도 매우 의미 있는 대상으로 친숙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해는 다른 지역의 동제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문화창출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21세기 세계적인 대도시 서울이 세계의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곳이라는 위상을 더욱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왜냐하면 세계적인 대도시는 곧 자신의 문화적 전통이라는 향취를 잘 간직하고 있을 때 더욱 그 빛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study the writer tried to understang the derection to develop new Dong-je culture contents for more familiar things in Seoul area people. For this, I supposed that Seoul the center of Korea and a area of Korea. The identity of Seoul culture is different from other areas culture in Korea, and we can find it when Seoul area culture is continuing healthy in Seoul area. Seoul culture in contemporary society is composed Seoul culture in Chosen Dynasty and absorbed culture of Kyunggi-do province and other districts when Seoul people are increased and areas extended in modern society. Also Seoul is area that easily embracing world culture when is developing to Metropolis. Although Seoul experienced various processes of development, we can fine villages that Dong-je, the rite of village community, is continuing it in Seoul. Now many Seoul’s Dong-je that is handed down, are very declined and a few Seoulite to the backbone handed down those. I think that Dong-je in Seoul need new culture contents for familiar things and feeling sympathy and participation with people in Metropolitan Seoul and citizens of the world. These should be change Dong-je not become weak but stand out essential meanings. So symbolic meanings of Dong-je should be reinterpreted and practiced in order to share conditions of those meanings with modern. I had a case study of ‘Nam-yi Janggun Sadang-je’, which this memorial rite is dedicated to the general Nam-yi. There are diverse gods in this shrine, and the roles of gods are supporters to maintain human healthy and happy life. Namely, they are supporters of longevity and rich, fortune, public orders, ocean and water environment, human dignity and respect for human life, multiculturalism. These meanings are another expressions of diverse issues of modern society. Like these, Dong-je in Seoul area will become familiar with Seoulite in modern society. These tryout can apply to other areas cases for culture creation. These efforts aims to introduce the importance of the center of Korean culture more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 서울의 마을굿에 대한 관(官)의 개입과 소통 -용산구 용문동 남이장군 부군당제를 중심으로-

        오문선(Oh, Moon-seon) 서울민속학회 2019 서울민속학 Vol.- No.6

        서울시무형문화재 제20호 남이장군사당제로 지정되어 있는 용산구 용문동 남이장군 부군당제가 주목받게 된 가장 결정적인 계기는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올림픽을 앞두고 서울을 대표하는 향토축제의 발돋움이다. ‘급변하는 산업사회에서 전통적인 향토축제로 설 자리를 잃고, 축제를 상실한 도시인의 갈증을 풀기 위하여’ 서울을 대표하는 향토축제로 발굴되면서 용문동 남이장군 부군당제의 절차가 도시축제로서의 규모와 위상에 맞게 재창조되었다. 용문동 남이장군 부군당제가 서울시의 대표 향토축제로 발굴된 배경에는 국가적 차원의 정치전략에 의한 문예중흥운동과 그 연장선상에서 국가적 대사(大事)였던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을 앞두고 한국의 전통문화를 내세우려는 국가적 계획, 이에 따른 서울시와 용산구청의 참여, 향토축제협의회로 대표되는 학계의 관심과 민속학자 개인의 연구활동 등 여러 차원이 층위를 이루고 있다. 용산구 용문동 남이장군 부군당제가 서울시를 대표하는 향토축제로 재창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재창조를 위한 충분한 연구가 부족했고 당굿을 주재하는 무녀 등 주요 참여자가 소외되는 등 여러 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하는 것이 충분치 못했다. 그러나 전문학자, 서울특별시, 용산구청 등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참여하였고, 공적기관의 개입이 일방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지역민의 소통에도 상당히 관심을 두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만하다. 원주민을 중심으로 일정한 지역에 기반하여 전승을 유지하여 왔던 서울 마을굿은 압축성장기를 거치며 전승력을 잃어간 후, 주로 행정기관에 의존하여 전승을 이어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행정기관으로 대표되는 공적 기관의 지원과 관심 등이 현재 서울 마을굿 전승의 결정적인 요건이 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이제 행정기관은 마을굿의 소극적 보존방법인 문화재 지정 제도를 넘어서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용문동 남이장군 부군당제는, 행정기관이 서울의 마을굿을 보전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개입과 소통의 방식을 점검하고 보다 경쟁력있는 대응체제를 구축해 나가는 중요한 참고 사례로서 의미를 갖는다. The most decisive movement that the Ritual for Government Office Deity on General Nami in Yongmun-dong, Yongsan-gu designated as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Seoul No. 20, received attention was when it was became the local festival representing Seoul before the 1986 Asian Games and 1988 Seoul Olympics. As it was discovered as the local festival representing Seoul for relieving the desire of the urban people that are in thirst for festivals because there is no place for traditional local festivals in the rapidly changing industrial society’, the procedure of the Ritual for Government Office Deity on General Nami in Yongmun-dong, Yongsan-gu was recreated according to the scale and status as a urban festival. In the background of Ritual for Government Office Deity on General Nami in Yongmun-dong, Yongsan-gu being discovered as the local festival representing Seoul, there are various reasons including the movement on reviving culture and art due to political strategy on a national level, a national plan for emphasizing on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before the national big event of the Asian Games and the Olympics, participation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Yongsan-gu Office, an interest from the academic world represented by the Local Traditional Festival Council, and research activities by individual folklorist. In the process of the Ritual for Government Office Deity on General Nami in Yongmun-dong, Yongsan-gu being recreated as the local festival representing Seoul, there were limitations in collecting and reflecting the opinions from various fields and local residents including the lack of sufficient research for recreation and neglecting the main participants such as the female shaman that performs the Danggut (ritual). However it can be evaluated very positively because there were participations from various relevant fields such as the expert scholar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Yongsan-gu Office, and there was considerable amount of focus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residents without the unilateral intervention by the official agency. Village Gut (Ritual) of seoul that was succeeded and passed down based on certain region centrally of the natives passed through the compressed growth period of Seoul to lose the power of passing down, and it is more being dependent mostly on administrative agencies to enable the succession. Due to such circumstances, support and interest from the official agencies represented by administrative agencies are the decisive requirements of succeeding the Village Gut (Ritual) of Seoul in the present. The administrative agencies should seek various methods beside the system of designating as the cultural asset that is the passive preservation method difficult to accommodate the range of changes for adapting to the urban society. In this regard, the Ritual for Government Office Deity on General Nami in Yongmun-dong has significance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administrative agencies inspecting the method of intervention and communication for preserving and activating the Village Gut (Ritual) of Seoul, and to establish the competitive respons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