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민속지식의 취업 현장 활용을 위한 독일민속학계의 노력과 연구

        이상현(Lee, Sang-hyu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5 民俗硏究 Vol.0 No.31

        본 연구는 민속학 전공학생 취업을 위한 특히 민속지식을 활용한 전공학생 취업을 위한 독일민속학계의 활동과 연구를 소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1970년에 개최된 Falkenstein특별학술대회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였다. 이 학술대회에서 전후(戰後) 독일민속학의 새로운 방향과 방법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논의되었고 특히 민속지식을 문화 개념으로 분석하려는 논의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학술대회 여러 가지 논의는 전공학생들의 취업 방향과 방법에 대한 활동과 연구에도 영향을 주었다. 다음으로 전공학생의 취업에 관한 독일민속학계의 최초 논의였던 Münster학술대회를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본 학술대회는 ‘문화분석과 취업분야의 활용’이라는 주제로 1977년에 개최되었으며 민속학자, 전공학생 취업분야 전문가, 전공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조사, 개별 민속학연구소의 취업과 관련된 교육 및 연구 등이 논의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요약 정리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Falkenstein학술대회에서 논의된 민속학의 새로운 연구 방향과 방법을 취업 분야에 활용하는 방식에 관심을 갖고 당시 학술대회의 논의 사항을 정리하였다. 세 번째로 전공학생들이 가장 많이 취업하였고 또한 선호하는 취업 분야인 박물관 분야에 전공학생을 취업시키기 위한 독일민속학회 그리고 Frankfurt대학 민속학연구소의 활동을 소개하였고 활동 유형과 목적 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공학생들의 취업을 위한 Tübingen대학 민속학연구소의 활동을 소개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소의 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이를 전공학생 취업을 위한 교육 및 연구 프로젝트의 특성을 기술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다만 본 연구가 주로 전공학생 취업을 위한 독일민속학계의 활동을 기술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고, 구체적인 배경과 목적을 분석하는 소홀히 하였다는 비판받을 수 있다. 특히 민속지식의 대한 개념 규정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와 활용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게 제시되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전공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활동을 요구받는 현재 한국대학의 인문학 분야 분과학문 연구자에게 일정 부분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activities and study of the German folk academia for the employment students majoring in folklore for the employment of such students particularly with the use of folk knowledge. To achieve this, this study has introduced the main content of the Falkenstein Special Symposium initially hosted in 1970. This symposium intensively discussed a new direction and method postwar German folklore, and particularly conducted a discussion analyzing the cultural concept of folk knowledge. Further, various discussions of the symposium affected the activities and study of the employment direction and method of the students. Next, the first discussion of the German folk academic related to the employment of the students majoring in folklore, i.e., the Münster Symposium, was introduced and analyzed. This symposium was hosted in 1977 with the subject of ‘the use of the employment field and cultural analysis,’ and involved the education and study of folklorists,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employment for students majoring in folklore, research related to the employment of students majoring in folklore, and employment of individual folklore research laboratories. This study has summarized and analyzed such content. Particularly in this study, the discussions at the time of the symposium has been summarized and has taken the interest in the method of using a new research direction and method of folklore discussed in the Falkenstein Symposium in the field of employment. Third, this study has introduced the activities of the folklore research laboratory of Frankfurt University, and the German Folklore Association so that students majoring in folklore may be employed in the field of museums, which is the preferred field of employment, and the most frequently employed area. Further,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urpose and type of activities. Lastly, this study has introduced and analyzed the activities of the folklore research laboratory of Tübingen University for the employment of the student majoring in folklore. The properties of education and research projects for the employment of students were particularly recorded and analyzed based on the method of research in this research laboratory. However, the study may be criticized that the detailed background and purpose was slightly neglected and had maintained at the standard of mainly recording the activities of German folk academic for the employment of students majoring in folklore. The concept regulations with respect to folk knowledge and a lack of discussion in regard to research use thereof were proposed. Regardless of such restrictions, this study is determined to provide certain implications to researchers in the field of humanities in current Korean universities that are demanded to partake in activities related to the employment students.

      • KCI등재후보

        민속학의 공동체적 마을 인식의 특징과 문제점

        이상현(Lee, Sang-hyu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09 民俗硏究 Vol.0 No.19

        본 연구는 민속학의 핵심 개념 중에 하나인 공동체에 대하여 논의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민속학에서 공동체 개념에 대한 관심은 민속학의 연구 초창기부터 시작되었고 주로 마을 생활 중에 특정 민속을 중심으로 지속성을 담보하는 존재로 인식되었다. 마을을 공동체로 인식하는 민속학의 인식적 특징은 특정 민속을 중심으로 마을의 모듬살이의 전통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축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특정 지역 혹은 민족의 정체성에 대한 관심이라는 민속학의 이념적 특성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민속학 연구에서 마을 공동체 연구는 실재 마을의 과거 그리고 현재의 다양한 생활보다는 민속의 전승 과정만이 강조되는 경향이 있고 결과적으로 마을을 상상화된 공동체로 인식하는 문제점을 함축하고 있다. 이러한 마을 공동체에 대한 민속학의 인식적 특성은 일부 민속학자들의 적극적으로 참여한 80년대 문화운동권의 공동체 운동 그리고 마을민속지 작성에 잘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ommunity, one of the key concepts of folklore. The concept of ‘community’ has been being an object of attention from early in folklore, and has been regarded as a being that assures the sustainability of specific folklores in village life. A village is regarded as a community in folkloristic epistemology, which has been teleology to emphasize the tradition of community life based on specific folklores. These featur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folkloristic ideology characterized by the interest in ethnic identity. Thus, folkloristic studies tend to be focused on the transmission of folklore rather than on the past and present of community life, and resultingly a village has been regarded as an imaginary community. Such folkloristic epistemology to the village community is well reflected in the community movement carried on by cultural activists in the 1980s and related journal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식민시기 민속학의 자주성과 현단계 민속학의 식민성 극복

        임재해(Lim, Jae-Hae)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7 民俗硏究 Vol.0 No.34

        지식인들은 일제강점기 이전부터 식민지 지식인 노릇을 하였다. 한일합방 이전부터 일본문화를 신문화로 우상화하였을 뿐 아니라, 그 이전에는 중국의 유교문화를 우월한 문화로 숭배하는 사대주의가 주류를 이루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에 의해 식민정책을 위한 민속조사와 식민지배를 영속화하기 위한 민속 탄압이 자행되었다. 일인들은 조선민속을 일본민속과 다르게 가치 평가를 하고 의미 해석을 함으로써 미신타파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며 식민지배에 봉사하는 어용학자 구실을 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 조선학자들은 조선총독부의 권력을 이용하여 민속조사를 하면서 조선문화의 독자성을 입증하려고 애썼다. 그러므로 이면적 진실을 제대로 포착하지 못하면, 마치 조선총독부 관리와 협력관계에 있었던 식민지배의 공모자로 오해되기도 한다. 해방 후 지식인들은 일본과 서구의 문화를 신문명으로 우상화하는 한편 조선문화의 전통을 재래문화로 간주하여 유의미하게 주목하지 않았다. 따라서 민속문화를 광범하게 조사하고 적극적으로 해석하는 조사연구활동을 실천하지 못했다. 오히려 식민시기에 일본을 통해서 익힌 서구지식으로 아는 체하고 해방된 한국사회에서 기득권을 누리는 수단으로 삼았다. 최근 유학파 지식인들은 서구주의에 몰입하거나 또는 일본 학문을 따라하는 한편, 자문화의 전통과 자국 학문을 폄하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민속학자 가운데에는 일본 유학파들이 일본학계의 독서지식으로 한국학계의 성과와 업적을 비판하는 교사적 태도를 보이는 한계가 있는가 하면, 외국학을 하는 학자 일부는 외국이론을 무리하게 적용하여 한국학자들의 민속연구를 조롱거리로 삼기도 한다. 서구학문의 아류 행세를 할수록 학문적 기득권이 확보되고 외국학문에 박학다식을 과시할수록 학문적 존재감이 확보된다고 여기는 풍조 때문에, 한국 문화학은 서구학문의 패러디이거나 리모델링에 머물기 일쑤이다. 학문이든 예술이든 독창성이 생명이다. 그러므로 자문화 해석에 맞는 이론을 개척하고 수립하여 세계학계에 한국문화이론으로 제출할 수 있는 연구를 해야 식민주의 학문에서 해방되는 것은 물론, 한국 학문의 독창성을 제대로 확립할 수 있다. 독창적인 눈으로 민속을 연구하더라도 민속과 민중을 수단화하면 식민주의 학문에 빠져 들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경향이 민중에게 배운 민속으로 민중의 민속을 지도하는 민속학자들의 민속지식 역전 현상 조성이다. 따라서 민속학자 중심의 민속학주의와 민속 중심의 민속주의를 극복하고 민중의 삶에 이바지할 수 있는 민중주의 민속학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민속학자는 자기가 수행하는 민속이 민중의 삶과 함께 가고 있는지 끊임없이 자문하면서 성찰적 연구를 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미-래의, 도래하는’ 공생체 -번역ㆍ비-본질주의ㆍ환대-

        허경(Huh, Kyou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21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Vol.2 No.-

        논문은 민속학, 공동체 및 미래학의 문제와 관련하여 번역, 비본질주의, 환대의 세 개념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학문적 함축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첫째, 번역과 관련하여, 일제 강점기 이래 한국 ‘민속학’ 연구의 동향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민속학’(民俗學)이라는 번역에 대한 어원학적, 계보학적 철학적 고찰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논문은 ‘공동체’(共同體)라는 일어 번역의 적실성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대체번역어로서 공생체(共生體)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논문은 미래(未來)라는 번역어가 품고 있는 다양한 철학적ㆍ종교적 함축을 간략히 검토한다. 둘째, 논문은 20세기 중후반 이래 현대 학문의 지배적 경향으로 자리잡은 비본질주의와 관련하여, 민속학, 공동체 및 미래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논문에서 이러한 비판적 분석의 레퍼런스로 활용되는 사상가들은 베네딕트 앤더슨, 니체, 소쉬르, 유발 하라리, 푸코의 다섯 명이다. 셋째, 논문은 환대의 개념과 관련하여,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사유가 민속학, 공동체, 미래학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논문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좁은 의미의 국소적 학문으로서의 민속학 개념을 넘어선 세계학으로서의 새로운 민속학 개념의 창출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불가피하게 기본의 특수와 보편, 로컬과 글로벌 개념 및 이들이 전제하는 실체론적 이분법을 넘어서는 새로운 이해의 지평, 나아가 민속학, 공동체, 미래, 환대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지평을 요청한다. 논문의 궁극 목적은 바로 이러한 새로운 개념적 전망을 우리 앞에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under the critical perspective the notions of translation, non-essetialism and hospitality in relation to folklore, community and futurology. Firstly, in regard to translation, i examine the implications and effects of the word Minsok-hak(民俗學), a 19<SUP>th</SUP> century japanese translation of the German word Volkskunde or english word Folklore, in contemporary Korean research of the this field or discipline since Japanese Occupation(1910~1945). This contains etymological and genealogical study of the key notions as Gongdongche(共同體) and Mirae(未來) and suggests Gongsaengche(共生體) as an alternative translation of the former. Secondly, this article deals with many contemporary discourses on Folklore, community and Future in a non-essentialist perspective. I use some great thinkers as references or tool boxes like Benedict Anderson, Friedrich Nietzcshe, Ferdiand de Suassure, Yuval Harari and Michel Foucault. Thirdly, this article examines Folklore, Community and Future in regard to hospitality as a main concept of the french thinkers of the Other like Emmanuel Levinas and Jacques Derrida. This attemp inevitably forces us to rethink on the major notions of the pass like the particular and the universal, the local and the global, and finally the binary oppositions based on (pre-supposed) two substances and to make a new horizon of the notions concening these disciplines, Folklore, Community and Futurology. The ultimate aim of this article is to show us a new vision of this conceptual scenery.

      • KCI등재후보

        서울지역 도시화된 마을의 전통문화

        이건욱(Lee, Kun-wook)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0 民俗硏究 Vol.0 No.21

        필자는 주로 비교민족학과 도시민속을 연구하고 있다. 많은 지인들은 우리네 전통문화도 제대로 연구되지 못했는데, 도시와 해외를 조사할 여유가 있냐고 묻곤 한다. 그런데 국가가 세계 속에서 어느 정도 자신의 목소리를 낼 위치가 되면,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 있는 다양한 일에 개입을 하듯이 학문도 마찬가지이다. 다시 말해 관심사가 넓어지는 것이다. 우리 민속학은 여러 선학들의 노력으로 나름대로 세계에서 알아주는 수준에 올라섰다. 높아진 위상 속에서 국제적으로 우리 문화에 대한 많은 관심들이 쏟아지고 있는 현실을 본다면, 우리의 학문적 지평은 농어촌뿐만 아니라 현대와 도시, 세계로 넓혀야 한다고 본다. 그래야 좀 더 정교하고 구체적인 우리 문화에 대한 모습을 그려낼 수 있다. 또한 현재 대한민국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시에 살고 있다. 민속학은 사람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당연히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은 어디든 찾아가서 녹음기를 들이대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도시민속조사는 민속학의 새로운 조사주제로써 관심을 보여주는 단계가 아니라 농어촌을 조사하듯, 전통문화에 대해 열심히 기록을 하듯 열심히 연구해야 할 주제 중 하나이다. 이 원고의 주제는 서울지역 도시화된 마을의 전통문화이다. 이것은 지난해 있었던 안동대학교에서의 발표문을 손 본 것이다. 당시 주제를 정하지 못한 필자에게 주최 측에서 친절하게도 이렇게 정해준 것이다. 마을 문화 연구의 메카라고 할 수 있는 안동대학교는 백년 후 브리태니커 사전에서 ‘마을’이라는 단어를 검색하면, 반드시 안동대학교라는 단어도 함께 등장 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일단 이 주제의 키워드는 세 가지가 될 것 같다. 도시, 마을, 전통문화이다. 본문에서 이 세 가지 키워드를 간단하게 정리해보고, 사례들을 정리하여 ‘도시화된 마을의 전통문화’ 에 대해 필자의 견해를 피력해보고자 한다. 도시지역 연구의 대상지는 서울의 아현동과 정릉동이며, 최근 직업인 조사를 수행하고 있는 바, 관련 조사를 통해 얻은 사례들도 이번 발표에 활용할 것이다. 평생을 살아 온 도시에서의 경험도 간간히 소개할 것이다. 도시에 비교 대상이 되는 농어촌 마을은 필자가 그간 조사했던, 경북 포항지역 어촌마을과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지구 마을들, 충남 서산 지역 마을, 전북 순창군 등의 사례이다. This thesis is on the urban ethnography focusing on Seoul and its modern Korean urbanites. The study contains the research result of life and culture of modern city dwellers of Korea. Korean cities have formed rapidly. Especially the city with a long history such as Seoul, many migrants came to settle from the outside as a result of rapid industrialization after the liberation. The meaning of population migration is not only in the movement but also in the blending of the migrant’s culture with the existing culture. This study describes the changes in the community culture and customs following the formation of the city. It also suggests a new approach in the research method considering the urban ethnography is different from the rural ethnograph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민속학에서 공동체 미디어 연구의 문제설정

        공다해(Kong, Da-hea)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22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Vol.3 No.-

        이 연구는 그간 민속학에서 미디어에 관한 연구 영역이 부재하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민속-미디어’의 영역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시대 미디어 현상의 특징을 일상화와 개인화, 다중과 플랫폼의 역동을 통한 탈시장 경향과 자본의 전유 사이의 긴장, 권력과 지배 통치의 문제 등으로 정의한다. 이와 관련되는 대안적 공동체문화 실천의 구체적인 사례로 웹툰, 공동체 미디어 ‘호박이넝쿨책’의 실천, 농촌지역의 공동체 미디어 실천, 트랜스미디어 액티비즘으로서 촛불행동 등을 살펴본다. 이는 미디어를 단순히 민속의 재현 매체가 아닌 다중들의 적극적인 실천 속에서 민속의 변환과 생성이 이루어지는 장으로 사유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그 속에서 민속-미디어 연구의 주제영역 제안하고, 인식의 전환을 시도하고자 했다. This study to classify ‘folklore-media’ domains through conversion of recognition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the field of folklore lacks awareness of problems in media studies.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media phenomena are defined in the context of routinization individualization, post-economic disposition in the dynamics of multiples and platforms, tense between capital and exclusive possession, and power and governance. Attention is paid to practicing alternative community cultures. Specific cases examined in this study include webtoon, practice of community media by ‘Hobakineongkoolchaek’, practice of community media in agricultural regions, and candlelight vigil as an activism of trans-media. Media are viewed not merely as a channel of folklore representation but as a field of transformation and creation of folklore in multiples’ active practice. Additionally, subject areas of folklore-media are suggested in an attempt to conversion of recogni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어촌의 민속문화 연구 현황과 과제

        조숙정(Jo, Sook-Jeo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8 民俗硏究 Vol.0 No.36

        이 연구는 2000년부터 안동대 민속학연구소를 중심으로 진행된 ‘마을민속’ 연구의 성과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전망이라는 주제 아래 어촌 연구에 주목한다. 『민속연구』에 게재된 어촌 관련 민속문화 논문들을 중심으로 어촌 사회와 문화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전개된 논지는 세 가지다. 첫째. 한국 문화 연구에서 어촌 사회가 상대적으로 주변화된 문제의식을 제기한다. 둘째, 『민속연구』에 실린 논문들을 검토하여 어촌의 민속문화 연구의 현황을 살펴본다. 셋째, 어촌의 마을민속 또는 민속문화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토대로 연구 지역의 확대, 연구 주제의 다양화, 언어 연구의 강화, 총체적 이해에 기반한 마을 민속지의 지향, 그리고 최종적으로 지역 또는 해역 간 비교연구의 필요성 등 다섯 가지 과제를 제시한다. 어촌의 민속문화 연구에서 어촌의 해양문화적 특수성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주제에 대한 연구 관심과 내부자적 관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folkloristic studies of fishing village cultures ba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the Folklore Studies under the theme of critical review and prospect of the results of ‘village folklore’ studies. I develop the argument in three parts. First, I raise the problem that fishing communities have been relatively marginalized from Korean cultural studies. Second, I review the papers in the journal and examine the status of folk culture research in fishing villages. Third, based on the critical review of village folklore or folk culture of fishing villages, I suggest five tasks: expanding the research area, diversifying the research topic, strengthening the language research, orienting the village ethnography based on the holistic perspective, and the comparative studies among the sea areas. I emphasize an insider point of view and the research interest that can show the marine cultural specificity of fishing villages in the fishing village folklo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