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세 일본의 김성일 인식에 대하여

        김시덕 ( Shi Duck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남명학연구 Vol.41 No.-

        17-19세기 일본에서는 임진왜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노력이 지속되었으며, 전쟁 상대국이었던 조선과 명의 문헌도 수집 정리 대상에 포함되었다. 근세 일본에서 임진왜란 문헌군이 형성될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외국 문헌은 명나라의 『양조평양록』과 조선의 『징비록』이었으며, 그 밖의 문헌들은 상대적으로 이용되는 비중이 낮았다. 이 논문은 이상과 같은 전제에서, 김성일의 저작인 『해사록』과 『학봉선생문집』 그리고 김성일 그 자신의 이미지가 근세 일본 특히 쓰시마 번에서 어떻게 유통되었는지에 대해 『조선통교대기』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학봉선생문집』 초간본에 포함된 『해사록』이 쓰시마로 넘어가서 이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쓰시마번과 일본 본토에서 공히 김성일과 1590년 통신사행에 대해 부정적·경멸적 인식이 통용되다가, 『징비록』의 일본 유통으로 인해 본토에서는 그 인식이 일변하여 “충신” 김성일 상이 수립되었음을 확인하였다. During 17th and 19th century, Japanese intellectuals have strived to collect documents on Imjin War or Toyotomi Hideyoshi`s invasion of Korea and reorganize informations from those books. Books written in Joseon and Ming dynasties were also the object of collecting for the work. Liang chao ping rang lu 兩朝平攘錄 of Ming and Jingbirok 懲毖錄 of Joseon were the most influential books when the discourse of Imjin War was formed in early modern Japan. Other books of Ming and Joseon were also addressed in Japan but used as frequently as these two books as the source. On the basis of the fact, this paper investigated how Haesarok 海사錄 and Hakbong Seonsaeng Munjip 鶴峯先生文集 written by KIM Seongil were used as a source and how KIM Seongil himself was judged in Japan, especially in Tsushima. According to my investigation, the version of Haesarok flowed in Tsushima was that of contained in first-printed Hakbong Seonsaeng Munjip. And the fact was also revealed that people in Tsushima and mainland Japan had thought KIM Seongil as nasty person and contempted korean delegation in 1590 as tributary one but, after Jingbirok was addressed in late 17th, people in mainland Japan have changed such image of him and become to recognize him as loyalist.

      • KCI등재후보

        근세 일본 임진왜란 문헌군에 보이는 함경도 지역의 의병 활동에 대하여 -『기요마사 고려진 비망록』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시덕 ( Shi Duck Kim ) 한일군사문화학회 2011 한일군사문화연구 Vol.12 No.-

        本論文では、鄭文孚率いる義兵が行った吉州の戰いの意義を探るため、この戰いの日本側の相手だった第二軍の大將·加藤淸正の右筆であった下川兵大夫が著わした『淸正高麗陣覺書』に描かれる吉州の戰いの前後記事を分析した。分析の結果、吉州の戰いは第二軍による咸鏡道の支配を終わらせるきっかけとなったのは勿論、義兵が、壬辰戰爭の初期における官軍の無力な姿とは質的に異なる、いわば「オランカイ」的な戰いを展開することで、初戰に連戰連勝していた日本軍に衝擊を與えたということを確認した。一方、『淸正高麗陣覺書』の敍述からは、加藤淸正への稱贊·神格化、彼以外の武將の格下げなどの傾向が見られる。自分の主君の勳功を稱えるためのこのような方法は、近世初期に著わされた壬辰戰爭文獻群の執筆動機によるもので、第一期の殆んどすべての文獻と、第二期の一部の文獻において認められる。ところが、日本·明·朝鮮の三國の文獻が日本に結集した後、これらの文獻を集大成した、不特定の讀者を對象とした文獻が現れる第三期から第四期にかけて、作者や作者の主君の勳功を强調して恩賞にあずかるといった目的の代わりに、讀者にアピ―ルするために、加藤淸正などの英雄を特筆するといった新しい傾向が見られるようになる。近世日本の壬辰戰爭文獻群におけるこのような特徵が妨げとなって、韓國側の壬辰戰爭硏究者は、日本の古文獻の利用を避けて古文書のみに使うか、または、古文獻に書かれている日付·固有名詞のような一部の事項のみを選別的に利用する傾向があった。しかし、個別の文獻の執筆目的や、その文獻が屬する文獻軍の全體的な傾向を把握することで、硏究對象となる文獻に見られる特定の敍述の前後の脈絡を把握することができる。このような方法によって、古文書だけでは把握することの難しい、壬辰戰爭當時における日本軍の全體的な動向や心理を理解することができる。

      • 기혹논문 : 근세 일본 영웅담의 주인공이 된 사람들 -인진왜란 강우지역 의병활동 재조명-

        김시덕 ( Shi Duck Kim ) 南冥學硏究院 2013 南冥學 Vol.18 No.-

        이 논문에서는 남명학파의 곽 준 조종도 및 그들의 친인척인 곽준의 딸 곽 씨와 그녀의 남편 유문호가 장렬히 전사한 1597년 황석산성 전투에 관한 근세 일본의 임진왜란 문헌을 검토하였다. 근세 일본의 인진왜란 관련 문헌 군을 검토하면,곽 준 과 조종도, 그리고 류문호의 아내인 곽준의 딸 등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가 계승 확대되는 과정에서 이들이 『삼국지』 와 같은 중국 군담의 주인공과 같은 이미지를 획득해간 것이 확인된다. 이들 일본측 문헌의 검토를 통해, 황석산상 전투에 대한 정보는 류성룡의 『징 비록』을 통해 처음으로 일본측에 알려지고, 1705년에 간행된『조선 군기 대전』 과 『조선 태평 기』를 통해 일본측의 기록과 융합되고, 19세기 전기에 간행된 『에혼 조선군기』 『에혼 다이코기』『에혼 저선정벌기』 등에서는 삽화가 더해지면서 이 전투에 대한 일본측의 해석이 점점 극적으로 되어갔음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징 비록』을 통하여 처음으로 일본에 알려진 이들의 이야기는, 18-19세기에 일종의 영웅담으로 승화하고 삽화까지 첨가되면서 일반 독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근세 일본의 임진왜란 문헌에서 확인되는 이들 남명학파 관련자들의 영웅화와 비견될 만한 조선측의 인물로는 진주 전투의 김시민과 이순신 등을 들 수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곽 준, 조종도, 곽준의 딸 곽씨, 그리고 유문호는 오늘날까지도 임진왜란의 영웅으로 추앙받는 이들 장군들과 동등한 정도의 영웅이자 충신으로서 근세 일 본일들에게 인지되었던 것이다. 근세 일본의 임진왜란 문헌에서 보이는 이러한 경향이 임진왜란에 대한 새로운 역사적 사실을 밝혀주는 것은 아니지만, 근세 일본인들이 임진왜란 당시 조선측의 영웅들을 기억하는 과정에서 곽준 등의 위상을 이순신·김시민 등과 비슷하게 인식했다는 사실은, 황석산성 전투가 지니는 역사적 중요성을 재평가하는 방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books on Imjin War or Toyotomi Hideyoshi`s invasions of Korea which have been written in premodern Japan. The story of Gawk Jun family, Jojongdo and yu munho, who were members of Nammyeong School and killed at Hwangseok mo untain castle war in 1597, is found in these premodern Japanese books. Lyu Seong Ryong who was a high official of Jose on Dynasty during Imjin War wrote their story in his famous memoirs Jingbirok. And because Jingbirok has been widely read among premodern Japanese people, their story was also known to them and some books in Imjin War have included their story. They were a kind of heroes and heroes in these books and illustrations about their gallant death were put in some of these books. It is famous that Premodern Japanese people, by reading books on Imjin War, have recognized Admiral Lee sun shin or General Kim Shimon as heroes of Joe son in this war. And we can make sure that war dead in Hwangseok mountain castle war have been also helloes and heroins such as Admiral etc. for premodern Japanese people. The fact investigated in this paper does not let us know new historical eviden ces of Imjin War. But it can back up the importance and effect of Hwangseok mountain castle war and members of Nammyeong school in Imjin War.

      • KCI등재

        論文(론문) : 17-19세기 일본의 임진왜란 문헌에 수록된 삽화의 계통과 특성

        김시덕 ( Shi Duck Kim ) 이화사학연구소 2013 梨花史學硏究 Vol.0 No.47

        In this article, I intended to build the history of visual images included in Imjin war 壬辰倭亂 documents written in 17th-19th Japa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hese visual images and edehon (copybooks of picture for painters and illustrators) or ukiyoes. Three facts became clear. First, the visual images in the Imjin War documents are more conservative than literary contents. (Of course, the same goes for other visual images of the pre-modern Japan). The visual images in the Imjin War documents made between the later 17th and the early 18th century contain traditional subjects since the Middle Ages such as love story and No play more than battle scenes. While documents of the Imjin War seperately formed in the early modern Japan, China and Korea were compilated in Japan between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y, the compilated literary contents became to have influenced on the visual images of the Imjin War documents from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Second, previous studies emphasized the influence of the visual images of Ehon Taikoki on those of following documents and ukiyoes. But I revealed that the visual images of Chosen Seibatsuki and Ehon Chosenseibatsuki have considerable effect on the visual images of following documents and ukiyoes as well as Ehon Taikoki. Especially,Ehon Chosenseibatsuki had an effect similar to Ehon Taikoki on ehon and ukiyoes of the late 19th century. Lastly, the visual images of the Imjin War document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 subjects such as the legend of Kato Kiyomasa`s tiger hunting or his viewing Mt. Fuji from northeast Korean peninsular, as well as favorite subjects in precedent and contemporary visual images. In addition, it sometimes happens that an illustration contained in the precedent Imjin War document motivates the following illustrators to make new story related to the illustration as the case of the visual images of conveying bags of rice of Chosenseibatsuki and Ehon Taikoki. And the visual images of the Imjin War documents have influenced on other war documents or genres to the early Meiji perio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