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획논문 : 인조반정(仁祖反正)과 남명학파(南冥學派) ; 남명학파(南冥學派)의 정치적 동향과 인조반정(仁祖反正)

        신병주 ( Byung Ju Shin ) 南冥學硏究院 2011 南冥學 Vol.16 No.-

        남명학파는 선조 후반부터 시작하여 광해군대를 정점으로 중앙 정계의 권력을 장악했다. 임진왜란이라는 국가 위기적 상황과 광해군의 즉위라는 시대적 상황이 소수파의 집권을 가능하게 했다. 남명학파는 광해군이라는 국왕의 신임을 철저히 바탕으로 한 정권이었기에 광해군에 대한 충성 또한 현저하였다. 광해군 초기에 벌어진 임해군의 옥사나 김직재의 옥사를 거쳐 영창대군의 蒸殺에 이르는 과정에서 남명학파의 영수 정인홍은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왕통에 조금이라도 어긋나는 요인에 대해서는 철저히 뿌리를 뽑겠다는 정치 철학이 반영된 것이었다. 그러나 왕통에 대한 지나친 집착은 ‘廢母殺弟’라는 의리 명분상의 반발에 부닥쳤고, 결국 남인과 서인들이 타도 남명학파를 외치는 빌미를 제공해 주었다. 남명학파의 학문적 뿌리에 대한 취약성은 영수 조식에 대한 文廟從祀 운동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도 정인홍은 스승을 존숭하는 과정에서 이언적과 이황을 폄훼하는 논의를 주도했고, 이미 문묘에 종사된 이들을 黜享하려고 까지 하였다. 이러한 독선적인 성향은 많은 사류들이 등을 돌리는 단서를 제공하였고, 정인홍은 성균관 유생 명부인 『청금록』에서 삭제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결국 광해군대 중반 이후 북인은 서인과 남인의 지지기반을 상실한 채 고립무원의 처지가 되었고, 1623년 인조반정으로 정인홍은 처형을 당하였다. 이후 남명학파는 정치적으로 재기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몰락하였다. 남명학파는 퇴계학파, 율곡학파 등과 더불어 조선중기 정치, 사상계를 이끌어간 대표적인 학파였다. 그러나 1623년 인조반정으로 북인이 몰락하면서, 북인의 원류가 되는 남명학파의 정치적, 사상적 위치에 대한 평가는 축소되었다. Members of the Nam`myeong school have already seized control of the government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king Seonjo`s reign, and also throughout king Gwang`hae-gun`s reign. Admittedly they had been the minority faction inside the government, yet the national crisis caused by the wars with the Japanese in the 1590s, and the emergency nature of king Gwang`hae-gun`s enthronement, made possible for them to become a dominant faction over the others. The regime they formed was primarily based upon king Gwang`hae-gun`s explicit trust, so their loyalty to the king was quite severe as well. Punishing the king`s brother Im`hae-gun, or eliminating the Kim Jik-jae faction, or even killing off the king`s half brother Yeongchang Daegun in the early days of the king`s reign, were all led by the Nam`myeong members, and the leader Jeong In-ho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ll of those incidents. His actions were based upon a belief -a political philosophy- that any disruptive element which could turn out to be harmful to the legitimacy of the king`s heritage should be destroyed. Yet such obsession eventually invited a criticism and resistance, which called the king a ``murderer`` of his brother, and a person who abandoned his duty to his mother(step mother actually). And it also created a cause for the Nam`in(the "Southerners") and Seo`in(the "Westerners") party members, to fight and expel the Nam`myeong regime. The inherent weakness of the Nam`myeong school members` academic achievements drove them to promote a movement which claimed that their master Jo Shik should be enshrined at the National Literary shrine("文廟從祀"). Yet in the process Jeong In-hong chose to ``degrade`` and criticise the achievements of Yi Eon-jeok and Yi Hwang, and even tried to remove the tablets of some of the honoraries who were already enshrined there. This turned out to be a very unpopular choice of action, and the Nam`myeong regime lost support from many Confucian scholars. Also in retaliation, the name of Jeong In-hong himself was scratched from the 『Cheong`geum-rok』 Manifest, which was a list of Confucian students of the Seong`gyun-gwan university. As a result, in the latter half of Gwang`hae-gun`s reign, the Buk`in(the "Northerners") lost support from the other parties(``south`` and ``west``), therefore was placed in a very lonely and precarious situation inside the government, and after Jeong In-hong was executed by the new regime that installed Injo as the replacement king in 1623, the Nam`myeong school itself was politically demolished beyond recovery. Nam`myeong school was one of the leading academic groups that engaged in political and philosophical discussion in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the Twe`gye school and Yulgok school. Yet after the political party that was called the Northerners was politically defeated in 1623, people`s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Nam`myeong school in general, which was the mother group of that political faction, came to exhibit a considerable and harsh downfall.

      • 21세기 활학(活學)으로서의 남명학

        정우락 ( Jeong Woo-rak ) 南冥學硏究院 2018 南冥學 Vol.23 No.-

        이 논문은 남명학의 대중성과 실천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기획된 것이다. 남명의 본의를 염두에 두면서, 내부로 갇힌 남명학이 아니라 외부와 소통하는 남명학, 현실과 유리된 남명학이 아니라 현실과 맞물린 살아 있는 남명학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이로써 본고는 우리 시대인 ‘21세기’를 주목하고, 방법론상으로는 ‘活學’을 강조한다. 즉 남명학이 현실과 소통하면서 스스로 살아 있기 때문에 다른 사물을 살릴 수 있는 ‘활학’으로 기능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남명의 경의학은 ‘자득’, ‘실질’, ‘하학’을 인소로 하는 활학이다. 이는 <신명사도·명>이라는 극도로 함축된 형태의 글과그림으로 나타난다. 경의학에 기반한 이 도설은 우주론, 수양론, 치국론으로 개방되어 있다. 우리는 이를 주체적 개방성이라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주체성은 부동심을 기반으로 한강한 기상을 담보하며, 개방성은 進德과 居業의 실천성을 확보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新南冥學을 건설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실증주의나 구조주의에 함몰되어 있는 기존의 남명학이 아니라, 대중적이며 실천적인 방향으로 전개되는 새로운 남명학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남명학으로 향유하는 문화론적 접근과 남명학으로 행동하는 실천론적 접근이 있다. 본 논의는 기본적으로 후자에 기초한 것인바, 이 방면에서의 지속적인 관심과 실천이 뒤따를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in the aspect of ensuring the popularity and practicality of Nammyeonghak. Keeping in mind Nammyeong's original purposes, it was oriented toward Nammyeonghak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nstead of being trapped inside and living Nammyeonghak engaging the reality instead of being separated from it. The study thus focused on the current "21st century" and emphasized "Hwalhak" as its methodology. That is, Nammyeonghak should be able to function as "Hwalhak" to bring other objects to life as it is alive, communicating with the reality. Nammyeong's Gyeonguihak(敬義學) is a type of Hwalhak whose elements include "Jadeuk(自得)", "Siljil(實質)", and "Hahak(下學)". It is illustrated in texts and images in an extreme implication format called "Sinmyeongsado·myeong(神明舍圖·銘)". Based on Gyeonguihak, this illustration is open to the cosmos, training, and governance theories. It can be called independent openness. Independence has a powerful underlying spirit based on an imperturbable mind, and openness ensures the practicality of Jindeok(進德) and Geo-eop(居業). Here, it is needed to construct neo-Nammyeonghak, which represents brand-new Nammyeonghak that will develop in a popular and practical direction instead of the old Nammyeonghak that has sunken into positivism or structuralism. There are two approaches: one involves a cultural approach to enjoy with Nammyeonghak, and the other does a practical approach to act with Nammyeonghak. The present study was basically based on the latter and expects that ongoing interest and practice will follow in this area.

      • 남명학 연구 : 교육학 1965-2002

        사재명 南冥學硏究院 2002 南冥學硏究論叢 Vol.10 No.-

        本考在南冥學的諸的領域中以南冥學敎育的視点關述了以觀点. 第一, 南冥敎育硏究是즘樣形成的, 其主題是什??? 第二, 南冥敎育的硏究動態是什??? 第三, 本來的硏究課題究竟會是什??? 爲了闡明以上三点的問題分析提示硏究動態. 摸索出以基礎的南冥敎育發展 方向. 便必爲了當前最適合首要的 目的. 解放后, 南冥學硏究有了質與量的飛躍. 南冥敎育領域也有了相當的發展. 爲了某一學科領域約發展. 回顧其曆史, 反省及明視其曆吏是非常必要的. 特別是, 在紀念南冥先生誕辰500周年, 以及在南冥學迎來了一개蓮勃發展的新的春天的今朝, 具體分析綜合南冥學, 以及展望以其未來也是一件흔有意義的事情. 在本硏究中, 分析37年(1965-20102年)間揭載的學位論文及一般論著的結果關于南冥敎育的硏究大體可分爲南冥敎育思想, 以及學派的敎育繼承. 第一, 南冥敎育思想試圖尋조其敎育理念, 目的, 內容及方法. 第二, 南冥學派敎育硏究其學派的敎育思想及關于繼承的一些硏究. 例如, 對南冥的直傳及再傳門人的硏究等. 南冥學派敎育中的代表性直傳門人硏究有 德溪 吳健, 守愚堂 崔永慶, 來庵 鄭仁弘, 寒罔 鄭逑, 東罔 金宇옹, 禮谷 郭走日, 大笑軒 趙宗道, 篁암 朴齋仁, 再傳門人有 來庵門人, ??悶堂 朴絪 等. 南冥敎育的硏究動態 :第一, 敎育思想一般. (南冥敎育思想, 南冥學派的敎育思想, 南冥敎育思想的繼承, 比較敎育, 儒精神等). 第二, 敎育制度(敎育組織, 機構, 制度, 法令等). 第三, 敎育的內容及方法(南冥工夫論, 南冥 敎育方法, 南冥學派的敎育方法等). 第四, 敎育的社會經濟背景(敎育文化, 繼承的基盤等). 第五, 敎育的問題(敬義, 批評約討論). 以上記述約是關于南冥學硏究中的南冥敎育的硏究動態, 以其爲基礎展望的未來課題如下 :第一, 對南冥學派的??別史硏究. 第二, 南冥敎育史料集成的編纂及發行. 第三, 南冥敎育的正題及硏究書的發行. 第四, 考察南冥敎育思想及南冥學派的敎育活動是즘繼承的, 幷硏究他們相互之間的作用. 第五, 擴大南冥敎育的硏究領域.

      • 17세기 南冥學派의 政治的 分化와 文景虎의 역할

        薛錫圭 남명학연구원 2002 南冥學硏究論叢 Vol.11 No.-

        이 논문은 17세기 남명학파의 정치적 분화양상을 문경호의 정치적 입장과 역할을 통해 조명한 것이다. 曺植에 의해 확립된 남명학은 16세기 훈척정치의 극단적 상황에서 出處의 정당한 방향을 성리학의 세계관에 근거하여 모색하는 과정에서 체계화되었다. 그는 순선의 리와 겸선악의 기의 가치 대립적 관계를 전제로 이기분대론을 성립시켰다. 이는 그의 세계관이 善·惡, 正·邪, 君子·小人의 가치 분별에 투철한 이분법적 구조로 형성되어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가 敬·義를 학문적 요체로 간주한 가운데, 내면적 修身에 철저하면서도 不義와 타협하지 않는 엄격한 자세를 견지한 배경도 여기에 있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이분법적 자세를 幾微, 곧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적용할 것을 제시했다. 이것이 결과적으로 남명학이 퇴계학이나 율곡학과 차별화되는 요인이 되는 것이자, 정인홍·김우옹·정구 등 그의 핵심 제자들이 현실대응자세에 일정한 시각차를 드러내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文景虎는 정인홍의 제자로서 그의 분대론에 투철한 원리적 군자소인론의 대응자세를 답습하면서도 정구·김우옹에게 從遊하고, 또 조목과도 친분을 유지했다. 이러한 그의 학문적 편력은 남명학의 가치 분별성과 퇴계학의 현실대응의 탄력성을 융합한 탄력적 군자소인론의 정치철학을 확립하는 토대가 되었다. 그는 임진왜란 당시 활발한 의병활동을 통해 국난극복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己丑獄事 당시 崔永慶의 寃死의 배후에 戚臣 沈義謙과 연계한 成渾이 있다는 사실을 폭로함으로써 전후 남명학파의 대북세력이 정국주도권을 확보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그러나 문경호는 원리적 군자소인론에 입각하여 남명학 지상주의를 지향하는 정인홍의 방침에 맹종하기를 거부했다. 그는 정인홍이 『南冥集』(甲辰本) 跋文에서 李彦迪·李滉의 학문과 처사를 비난한데 항의하는 한편, 그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독자적으로 跋文을 지어 『南冥集』(己酉本)을 재간행하기도 했다. 나아가 정인홍이 다시 晦退辨斥 事件을 일으키려 하자, 그는 편지로 疏議 자체를 중단할 것을 촉구함으로써 여타 학문의 貶毁를 통한 남명학의 우월성을 보장받으려는 시도에 동조하지 않았다. 이러한 일련의 사태가 남명학파가 정치적으로 분화하는 촉매제가 되었다. 永昌大君을 살해한 鄭沆을 斬할 것을 주장한 鄭蘊을 定罪하려는 원리적 군자소인론자에 대해 文景虎·李大期·姜大進 등 탄력적 군자소인론자들이 반발하고 나선 것을 계기로 남명학파가 분화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문경호 등은 비록 大北세력과 결별하기는 했지만, 기존의 西人이나 南人과의 제휴를 모색하기보다 中北의 제3의 정치세력 형성을 선택했다. 그것은 결국 남명학이 학문적으로나 정치적으로 퇴계학이나 율곡학과 쉽게 융합될 수 없는 독자성을 확보하고 있었음을 반영하는 것이라 하겠다. 나아가 이러한 남명학파의 내부적 分化는 남명학이 시대를 관통하는 규정성을 지닌 것이 아닌 시대의 상황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탄력성을 내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인조반정이후 서인세력의 정치보복의 상황에서도 남명학이 끈질긴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배경도 여기에 있었다. This study illuminates the political divergence of Nammyung(南冥) studies of the seventeenth century through the political stand and role of Mun Kyoung-ho. Nammyung Studies established by Jo Sik(曺植) was systematized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just direction of the world view of Neo-confucianism to go up in the world in the extreme situation of Hun Chuk politics(勳戚政治) of the sixteenth century. Jo Sik established the theory of Iigibunde(理氣分對論) whose assumption lies on the oppositional relation of pure good, Li(理) and the combination of good and evil, Gi(氣). This suggests his view of the world is formed by dichotomy of good and evil, the just and unjust, Gunja and Soin(the wise and unwise man). In the background of this view of the world, he considered Kyoung(敬) and Yeu(義) as entities of learning in the middle of a perfect self-cultivation of the mind, encompassing austere attitudes that don't compromise with injustice. However, he suggested that this dichotomy should be applied flexibly according to Gimi(幾微), or a similar situation. As a result, this aspect provided the factor for distinguishing Nammyung studies from Toegye(退溪) studies and Yulgok(栗谷) studies and the cause of his central disciples, such as Jung In-hong(鄭仁弘), Kim Uh-ong(김우옹), Jung Gu(鄭逑) exposing various views of confronting the actual. As the disciple of Jung In-hong, Mun Kyoung-ho followed his view of confronting the actual, the principal theory of Gunja and Soin based thoroughly on the theory of Bunde, yet keeping company with Jung Gu, Kim Uh-ong and Jo Mok(趙穆). The foundation of his political philosophy of the flexible theory of Gunja and Soin incorporating the discretion of the value of Nammyung Studies with the elastic confrontation of the actual of Toegye studies was formed from his academic wandering. O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not only did he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on murder and high treason in Gichuk(己丑獄事), but also disclosing that the complex relation with the dismissed subject, Sim Uy-gyum(沈義謙) was in the background of Choi Young-gyung(崔永慶)'s undeserved death, decisively contributed to Debuk(大北) forces of Nammyung studies securing the political hegemony. However, Mun Kyoung-ho defied Jung In-hong's policy which aimed at 'Nammyung studies for Nammyung studies' sake' based on the principal theory of Gunja and Soin. Not only did he protest that Jung In-hong criticized the academic attitudes of Li un-juk(李彦迪) and Li Hwang(李滉) at the epilogue of Nammyung Anthology(the edition of the year of Gabjin), but also, this protest being unaccepted, he publicized Nammyung Anthology(the edition of the year of Giyou) again inserting the epilogue which he wrote by himself. In addition, When Jung In-hong tried to raise the incident of Hetebyunchuk(晦退辨斥), he sent him a letter to request stopping the dispute, not agreeing on the trial to gain the predominance of Nammyung studies through depreciating other philosophies. A series of these events provoked the political divergence of Nammyung studies. Therefore, it was taken for granted that the flexible theorists of Gunja and Soin such as Mun Kyoung-ho, Li De-gi(李大期) and Gang De-jin(姜大進) didn't agree with principal theorists of Gunja and Soin who insisted on killing Jung Hang(鄭沆) who murdered a prince Yongchang(永昌). Even if a group of Mun Kyoung-ho departed from Debuk forces, they would rather choose forming a third political force, Jungbuk(中北), than in corporate with the existing political forces. This fact shows that Nammyung studies secured the originality both politically and academically from Toegye studies and Yulgok studies. In addition, the inner divergence of Nammyung studies shows that Nammyung studies contained the flexibility of confronting the change of the times actively. From this background, Nammyung studies survived even during the situation of the political repay after Injo Banjung.(仁祖反正).

      • 특집 : 남명학파의 문화공간과 그 활용방안 -한국선비문화연구원 일원을 중심으로-

        손병욱 ( Byeong Ook Son ) 南冥學硏究院 2015 南冥學 Vol.20 No.-

        본고는 금년(2015) 상반기에 준공될 한국선비문화연구원이 자 리 잡은 지역 일원의 남명학파 문화공간과 그 행사를 개관하고 주 변의 환경·장소적 의미를 고찰한 뒤에, 이곳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하드웨어를 염두에 두고 그 소프트웨어를 마련해 보려는 것이다. 소프트웨어로서의 남명의 정 신이 무엇인가? 이것을 경의사상을 중심으로 하는 ``참선비 이념``, ``강하면서도 선한 문화국가 이념``, 그리고 ``조화와 포용의 정신``으로 제시하였다. 이제 이러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활 용할 것인가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실천적 선비정신에 대한 연구의 장으로 활용하는 방안 외에도, 인성교육의 장으로 활 용하는 방안, 문화관광적인 전시체험(展示體驗)의 장으로 활용하는 방안, 통일한국의 전야기(前夜期)를 사는 현재의 관점에서 미 구(未久)에 다가올 통일한국시대에 바람직한 통일문화 확산을 위 한 장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특히 앞으로 인성교육을 통해서 실천적 선비정신을 제대로 확산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남명의 만년저작인 「신명사도」를 게임화하고,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건물을 지을 것을 건의하였다. 앞으로 남명학파 의 뿌리인 가야문화에 대한 연구 3주 동안의 교육을 위한 효율적 이고 기본적인 프로그램의 마련 등이 후속적인 연구과제로서 수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In this paper, the writer tried to research the meaning of hardware in the area of KSCI, which would be built up until June of this year(2015). After this study, the writer tried to research the meaning of software, such as the thoughts, the spirit, and the Ideology of Nammyeong(南冥). As the result, the writer presented the Ideology of true Seonbi focused on the GyeongYi(敬義) thoughts, the Ideology of strong and good cultual nation as korean future vision, and the spirit of harmony and comprehension. After this study, the writer tried to research the method to use these hardware and software. As the result, the writer presented the method for using the space to research the actual Seonbi spirit, to teach human being``s good personality, to show and experience the aspect of cultual sight-seeing, and to spread the ideal culture for Korean unification in near future. Especially the writer gave the strong present to use his important paper of old year, which was called Sinmyeongsado(神明舍圓). This paper has very important meanings in the area of education for human being``s good personality. For this purpose, the writer presented to build the building to play game according to the principal of Sinmyeongsado(神明舍圓). Finally the author stressed on researching the culture of Gaya(伽椰), which was regarded as the root of Nammyeong School, and preparing the programme for 3 week education, because 21 days are regarded as the numbers for changing self.

      • 남명학의 대중화와 인문정신 콘텐츠 발굴

        최은주 ( Choi Eun-joo ) 南冥學硏究院 2018 南冥學 Vol.23 No.-

        본 논문의 목적은 넓게는 인문학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위에서 전문 지식의 대중화를 고민하고, 구체적으로는 ‘남명학’이라는 전문 지식을 보다 많은 대중에게 보급하고 전파할 수 있도록 지금 현대 사회에 알맞은 방향과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남명학 대중화 작업의 현주소를 살펴보면서 그 성과와 한계를 점검해 보았다. 그리고 빠르게 변화한 대중의 요구에 어떻게 부응해야 파급력의 확산을 도모할 수 있는지 그 방법적 측면을 들여다보고, 그 속에서도 남명학의 대중화가 궁극적으로 현대 사회에서 무엇을 위해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지 그 책임과 역할을 되새겨 보고자 했다. 여기에서 ‘남명학’은 좁은 의미의 남명학으로, 남명 조식의 학문과 사상 등 그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자료들로 그 대상을 제한하였다. 남명화 대중화 작업의 현재 성과 위에서 시급한 것은 스마트폰 시대에 지금 대중들의 원하는 방식으로 새롭게 소통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먼저 전제되어야 할 것은 남명학과 관련된 자료들을 1차 가공(원문이미지, 원문 및 국역 텍스트 등)하여 디지털 아카이브로 온전하게 구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안에 축적된 날 것의 자료를 1차 가공하고 이것을 다시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2차 가공해 이야기 콘텐츠를 생산한다. 그리고 이렇게 가공된 이야기콘텐츠를 기반으로 다양한 그렇지만 쉽고 분명한 주제의 텍스트·이미지·동영상 등으로 3차 가공을 시도하고, 이것을 소셜 미디어의 채널이나 플랫폼을 개설해 보급 전파한다. 더불어 콘텐츠의 지속적인 공유와 확산이 가능하도록 콘텐츠 형태를 끊임없이 진화시켜야 한다. 다만 유의해야 할 점은 소셜 미디어 안에서는 콘텐츠가 상호공유되는 가운데 개개인의 생각과 의견, 감정들이 덧붙여질 수 있으므로 그 내용이 본래의 의도와 달리 변형되거나 왜곡될 위험이 늘 따라다닌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지금 시대가 선호하는 형태의 콘텐츠 생산에 앞서 그 뿌리와 기초를 튼튼하게 다져야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생산된 콘텐츠는 마지막 형태가 아무리 변화하더라도, 그 뿌리를 언제든지 추적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둠으로써 본질 자체의 변형과 왜곡을 차단할 수 있다. 남명학의 대중화 목적은 단순히 남명학을 알리는 것이 아니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남명학을 알 수 있도록 만드는 가운데 그 안에서 공감과 감동을 느끼게 하고 다시 이로부터 스스로를 돌아보며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고자 함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남명학을 알리려면 지금 시대에 맞는 방법이 필요하다. 남명 조식의 학문과 사상, 그리고 그의 실천적 삶은 변함없지만 그 안에 담긴 정신적 가치를 현대적 코드로 재해석해 지금 대중들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만 한다. 더불어 대중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어내야 하는데, 이는 대중의 무관심 속에서는 무엇을 위한 시도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지금은 대중들과 소통하기 위해서 소셜 미디어 활용과 이 안에서 소비되는 디지털 콘텐츠 생산이 필수적이다. 말하자면 내용의 본질은 변함없지만 그것을 전달하는 형태와 방법은 시대의 변화에 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성 위기의 사회에서 ‘남명학’은 지금의 시대에 맞는 대중화의 방법으로 지금의 시대에 필요한 인간관과 가치관을 정립하는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opularization of expertise in the soci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humanities in general, and specifically to find out the direction and method suitable for the modern society to promote and disseminate the expert knowledge of 'Nammyeong Studie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present status of the popularization of Nammyeong Studies and then its outcomes and limitations. In addition, it aimed to investigate how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rapidly changing public in order to expand its impact, and review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to what the popularization of Nammyeong Studies is ultimately aimed at what for in this modern society. In this study, 'Nammyeong Studies’ is used in the narrower sense, which limits the subject to the materials related directly to him, such as the study and thought of Nammyeong Jo Sik. What is urgent in the current performance in terms of the popularization of Nammyeong Studies is that it is now necessary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the way they want in the smartphone era.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this is to firstly process the materials(original image, original text, and translated Korean text) related to Nammyeong Studies to keep them in intact forms through digital archive. It needs to undergo the first processing of the raw data accumulated inside and then the second processing so that it can be understood easily again to produce story content. Based on this processed story content, it needs to try the third processing of the texts, images and videos of various but easy and clear themes, and to open channels and platforms for social media to spread them. In addition, the form of content must be constantly evolved to enable the continuous sharing and diffusion of content.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n social media, content is mutually shared, and individual thoughts, opinions and emotions can be added, so that the content is always subject to the risk of being transformed or distorted unlike the original in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rmly establish its root and foundation before producing the content of the form that the present age prefers. The content created through these steps can block the transformation and distortion of the essence itself by opening the way to trace its root at any time, no matter how the last form changes. The purpose of popularization of Nammyeong Studies is not simply to introduce it. It aims to make people feel sympathy and emotion while letting more people know Nammyeong Studies, and to create an opportunity to look back and reflect on themselves. In order to introduce Nammyeong Studies to many people, a method appropriate to the present age is required. Nammyeong Jo Sik’s study and thought and his practical life are unchanged, but we have to reinterpret the mental values i n them with modern codes and make the public understand and sympathize. In addition, it needs to attract the attention and interest of the public because it is impossible to try for something in the public's indifference. Now,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t is essential to utilize social media and produce digital content that is consumed in it. That is to say, the nature of the content does not change, but the form and the way of conveying it must meet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in the society of humanity crisis, 'Nammyeong Studies' sh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human view and values necessary for the present age as a method of popularization for the present age.

      • 기획논문 : 인조반정(仁祖反正)과 남명학파(南冥學派)의 문학(文學) -몇몇 남명학파(南冥學派) 문인(門人)을 中心으로-

        강구율 ( Koo Youl Kang ) 南冥學硏究院 2011 南冥學 Vol.16 No.-

        이 논문은 인조반정이라는 정치적 사건이 남명학파의 문학, 특히 한시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남명학파 문인이란 시기적으로 볼 때 남명의 직접 제자가 아니라 재전 혹은 삼전제자이거나 사숙문인들을 통칭한 것이다. 이제 이들 남명학파 문인들을 그들의 현실적 성격에 따라 재조문인, 귀향문인, 재야문인 등 세 부류로 나누고 문인들 중에 문집도 남아 있으며 비교적 문학사적으로 비중이 있는 몇몇 문인들의 문학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남명학파 문인들 가운데 조정에 남아서 자신의 정치적 신념을 현실정치에 반영한 그룹을 재조문인이라 한다. 재조문인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동계와 한사이다. 이들이 反正 이후에 보이는 문학적인 경향은 대체로 정치적 입지가 곤란한 상황에서도 出仕에 대한 강한 집착을 보인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귀향방식을 보면 약간의 차이가 있다. 동계는 임금의 허락을 기다리는 면모를 보인다. 이에 반해 한사는 동계와는 다르지만 자발적인 귀향이기보다는 약간의 여운을 남기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재조문인들의 한 특징이라고 하겠다. 둘째 인조반정이라는 정치적 사변이 일어났을 때 곧바로 벼슬을 버리고 귀향하거나 일정한 시차를 두고 귀향한 일군의 문인들을 귀전문인이라고 명명한다. 이들은 대체로 반정이 일어났을 때 벼슬을 버리고 귀향하는 특징을 보인다. 그렇지만 모정 배대유는 반정에 대한 강한 불만과 함께 자신이 받은 은혜를 저버리지 않으려는 의지를 보이면서 곧바로 사직하고 귀향한다. 이에 비해 오계 조정립은 곧바로 사직하지 않고 한참 뒤에 타의에 의해 부처되고 그 후에 귀향한다. 그렇지만 귀향한 이후의 작품 세계에서는 선계지향과 안분자족을 노래하고 있다. 이로써 모정보다 오계는 현실참여에 대해 강한 집착을 보이기는 하지만 귀향 이후에는 선계지향과 안분지족의 경향을 보인 사실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남명학파 문인들 가운데 아예 출사하지 않고 재야에 묻혀 살면서 제자를 양성하거나 유자 본연의 자세를 견지한 일군의 문인들을 재야문인라고 명명한다. 이들 재야문인들의 시세계는 앞에서 살펴본 재조문인이나 귀전문인과는 그 경향을 달리하고 있다. 이들은 대체로 자기 당대의 현실문제에 대해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때로는 갈등과 고민을 겪고 또 때로는 비판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은거의 삶을 살면서 자연과의 합일을 지향하기도 하고 구도에의 지향을 보이기도 한다. 그렇지만 그들의 교조(敎祖)인 남명과는 달리 신선 세계를 지향하면서 유가적 범위를 벗어나는 경향을 보이는 사람은 많지 않다. 오히려 남명과 일부 제자들의 개방적 태도와는 경향을 달리하는 듯하다. 그리고 선비 본연의 자세를 강조하는 것도 이들 문학의 하나의 특징이라고 하겠다. This paper is prepared so that the political event named Injobanjeong(仁祖反正) investigates effect getting to Nammyeonghakpa`s(南冥學派) literature, especially Hansi(漢詩). Nammyeonghakpa literary man, who say from here, says disciple`s disciple or grandchild disciple. And disciples, who admire Nammyeong, are included. Now, divide these Nammyeonghakpa disciples into three classes that it is Jaeyamunin(在野門人) is Gwihyangmunin(歸田門人) is Jaejomunin(在朝門人) according to their realistic personality. And Collection of works among disciples remains and wish to examine literary characteristic of disciples who importance is as Bachelor of Arts. First, group which remains in government among Nammyeonghakpa disciple and reflects oneself political belief in practical politics says that it is Jaejomunin. Jaejomunin`s representative person is Donggye(桐溪) and Hansa.(寒沙) Despite political situation is difficult situation after that Injobanjeong if see their literary tendency, it shows excessive fondness that is strong about that station. And if see their going home mode, there is some difference. Donggye shows characteristic to return to hometown because take king`s permission. On the other hand, Hansa is showing bearing which leave some emotional resonance rather than return to hometown voluntarily differed from Donggye. it can be called that these inclinations are characteristic of Jaejomunin. Second, When the political event called Injobanjeong happened, there is disciple, who abandons government post immediately and returns to hometown. And disciple, who return to hometown after considerable hour passes. It is known that these are Gwijeonmunin. These show characteristic that abandons government post and returns to hometown generally when Injobanjeong got up. However, Mojeong(慕亭) Baedaeyou(裵大維) shows will which oneself with strong complaint about Injobanjeong does not go back on favor that receive. And retire immediately and returns to hometown. While, Ogye(梧溪) Jojeongrip(曺挺立) is exiled by other people`s will without retiring immediately for a time behind and returns to hometown thereafter. However, he is displaying Sinseonsegye(神仙世界) and Anbunjijok(安分自足) in work after return to hometown. Finally, there is a person, who foster disciple living under Jaeya(在野) without taking office from the first among Nammyeonghakpa disciple. And it is known that group`s disciples are Jaeyamunin(在野門人) as long as keep firm confucianist natural poise. As examine in front, these Jaeyamunins` world of art is showing other characteristics with Jaejomunin and Gwijeonmunin. Generally, these people have extensive consideration about real problem in age that own live. And these people suffer discord and agony and criticize this to real problem. These people show characteristic that desire Jayeanhapil(自然合一) and pursue Tao(道) as people live life of retirement. However, unlike Nammyeong, there were not many people, who escape confucianist extent. Preferably, it shows other characteristics with open stance of Nammyeong and some disciples. And I will say that to emphasize Confucianism scholar natural position is one characteristic of these literature.

      • 투고논문 : 임진왜란기(壬辰倭亂期) 진주지역(晉州地域) 남명학파(南冥學派)의 의병활동(義兵活動)

        박용국 ( Yong Guk Park ) 南冥學硏究院 2011 南冥學 Vol.16 No.-

        이 글은 임진왜란기 진주지역 남명학파의 의병활동을 연대기적 방법으로 정리한 것이다. 임진왜란기 진주지역의 의병활동은 주로 진주 동부지역 남명학파 인물들이 주도하였다. 그들은 金大鳴, 孫承善, 許國柱, 鄭惟敬, 河天瑞, 姜起龍, 鄭承勳 등이며, 주로 學脈이나 婚脈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진주지역 남명학파의 의병활동은 1592년 5월 중순 무렵 진주성 방어체제 구축에 크게 기여하고, 이후 진주 인근의 왜적을 방어하여 6월 중순까지 안정을 가져왔다. 그리고 왜군이 6월 중순 이후 1천여 명 이상의 병력을 동원하여 진주를 공격하자, 김대명ㆍ정유경 등의 의병은 金時敏의 官軍과 연대적인 방어체제 구축하여 고성과 진해의 적을 격퇴하여 물리쳤다. 1592년 제1차 진주성 전투 때 外援한 의병장은 곽재우를 비롯하여 尹鐸과 鄭彦忠, 崔堈과 李達, 趙凝道와 鄭惟敬 등이었다. 특히 정유경은 5월 중순 의병을 일으킨 이후 진주성 전투에서 가장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응원을 하였다.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곽재우ㆍ최강 등은 수성과 외원이 불가능하다고 하여 의병을 보존하는 실리를 택하였다. 반면에 정유경과 강기룡 등과 같이 진주지역 남명학파 의병장들은 수성을 택하여 장렬히 순절했다. 成汝孝와 같은 진주지역 유생도 입성하여 희생되었으며, 韓誡, 김대명, 정승훈 등은 입성하지 않고 피난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chronicles the Euibyeong(義兵) militia activities of Namyeong Hakpa(南冥學派) based in Jinju region during the Imjin Waera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Euibyeong militia activities during that period were mostly led by soldiers of Nammyeong Hakpa in eastern Jinju region including Kim Dae-myeong, Son Seung-seon, Heo Gook-ju, Jeong You-kyeong, Ha Cheon-seo and Kang Ki-ryong. They created the network based upon their school(學脈) and marriage ties(婚脈). Euibyeong activities of Nammyeong Hakpa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establishing a defense system in Jinjuseong(晋州城) in the middle of May 1592, and the soldiers defended the attack of Waegoon(倭軍) near Jinju region until the middle of June. In addition, in mid-June when Weagoon mounted an attack on Jinju with a force of more than a thousand soldiers, soldiers including Kim Dae-myeong, Jeong You-kyeong fought off the enemy in Goseong and Jinhae by building a joint defense system with Gwangoon(官軍), represented by Kim Si-min. Kwak Jae-woo, Yoon Tak, Jeong Un-choong, Choi Gang, Lee Dal, Joe Eung-do and Jeong You-kyeong were among Euibyeongjang, the leaders of Euibyeong troops, who provided assistance for the first Jinjuseong Battle in 1592. In particular, Jeong You-kyeong was the one who gave most active and continuous support to the second Jinjuseong Battle in 1593 after raising Euibyeong by himself in mid-May. In the second Jinjuseong Battle in 1593, leaders including Kwak Jae-woo and Choi Gang made a practical decision to preserve their own Euibyeong troops as they found it impossible to provide help for the battle and protect the fortress, Jinjuseong. On the other hand, Nammyeong Hakpa Euibyeongjang based in Jinju such as Jeong You-kyeong and Kang Ki-ryong chose to protect Jinjuseong and died gloriously in defense of the fortress. Yousaeng(儒生) in Jinju region including Seong Yeo-hyo made an entry into the fortress and were killed by the enemy. It is assumed that Han Gye and Kim Dae-myeong fled, not making an entry into the fortress.

      • 특집 : 南冥學의 문화공간적(文化空間的) 관점(觀點)에서 본 룡암서원(龍巖書院)

        김익재 ( Kim Ik Jae ) 南冥學硏究院 2015 南冥學 Vol.20 No.-

        南冥學派가 흥성하던 시기를 맞이하여 동시에 陽願 龍嚴書院, 德川書院, 新山書院은 현존하는 남명학파 문화공간으로서의 가치 또한 적지 않다. 그 중에서도 용암서원은 남명학파가 몰락한 이후 에도 오래도록 남명학파로서의 위상과 자존심을 고수했던 서원이 라 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용암서원은, 서원 자체의 역사 라 할 수 있는 院誌가 전해지지 않는 탓에, 지금의 모습으로 남아있 게 된 과정을 제대로 파악할 수가 없다. 더구나 다른 서원과 달리 용암서원이라는 이름을 갖기 전에 晦峴書院, 香川書院이라는 이름으로 명칭이 바꿔지는 과정을 거치면서 위치도 바뀌었는데, 지금은 당시 서원이 있었던 정확한 위치조차도 알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른 문헌에 남아있는 용암서원 관련 기록 의 편린을 모아, 가능한 범위 안에서 관련된 역사와 인물을 중심으로 용암서원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는 방법을 택했다. 하지만 그 렇게 만든 결과물이 만족스러울 리가 없는 만큼, 자료부족에 대한 아쉬움을 떨쳐버릴 수가 없다. 그렇다면 남명학의 문화공간이라는 측면에서 보는 용암서원도 당연히 그 가치를 제대로 드러낼 수가 없을 것이 자명하다. 그러 나 다행스럽게도 구전으로 전해오는 대략적인 위치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암서원을 무대로 활약했던 당시 인물들을 다수 파 악할 수 있고 또 그런 인물들과 관련된 유적들이 아직도 적지 않게 남아 있다. 이러한 자료들을 연결하여, 용암서원을 합천지역에 남아있는 남명학파 문화권역의 대표적이고 상징적인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게 만들어 간다면 그 또한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라고 본다. Seowon[서원書院] is a memorial hall for the great scholars and loyal subjects of the past. The Yong-am, Duk-chun, Shin-san three Seowons that recognized officially in the Nam-myoung scholar party``s prosperity period, are also very important as a cultural space of the Nam-myoung scholar party. Inter alia the Yong-am Seowon kept to the phase and pride of the Nam-myoung scholar party for a long time. But it has no Wonji [院誌, self-record of Seowon], so we have no way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Yong-am Seowon. In addition the Yong-am Seowon has another two names Hoi-hyun and Hyang-chun according to it``s moving, but now we don``t know even the loc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I have to gather the patchwork of records for the Yong-am Seowon in another books. But I am still feel very bad about the products, so cannot shake off the regret of gross inadequacies in the data. In that case, it``s certain that the Yong-am Seowon as a cultural space of the Nam-myoung scholar party cannot reveal it``s true character. But thankfully we can know the rough outline of their locations through the transmitting by word of mouth. Besides we can figure out the key men who played an active parts during that period. And much remains of the key figures are still exist too. Through connecting these data, we can make the Yong-am Seowon as a representative and emblematic space of the Nam-myoung scholar party``s cultural area. And I believe that is very important works to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