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현황과 전망

        임종한,장성실,김성아,문재동,채창호,홍윤철,김수영,김진석,김영욱,한상환,이혜숙,원종욱,송동빈,하은희,강성규 대한산업의학회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2

        기존의 특수건강진단과 작업환경측정을 통한 직업병 관리가 진폐증, 소음성난청 등의 소수 특정질환에 국한되고 실제 직업병 발생 규모 파악이나 신종 직업병의 발견에 한계를 보인다는 사실은 산업의학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공감을 이루고 있다. 미국과 영국 등에서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에 대한 경험은 우리 나라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에도 새로운 자극제가 되면서, 1998년이후 인천, 대전, 여천, 구미, 부울경 지역에서 지역 직업성질환감시체계를 산업보건관리의 중요한 시스템으로 구축하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새로이 구축되어지는 이들 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는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질환, 활용 가능한 인적자원 및 자료원, 지역 의료체계의 특수성 등에 따라서 목적과 방법을 달리하면서 독특한 형태로 발전을 하고 있다. 각 지역단위 감시체계들이 그 상황에 맞게 독특한 목적과 전략들을 발전 시키면서도, 향후 발전할 국가적인 차원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을 위하여 직업성질환 감시의 기본 전략 등을 공유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환례 정의 및 기본적인 등록 서식의 공유, 직업성질환 감시 자료원의 발굴, 공동의 정보 네트워크 및 직업성질환 감시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직업성질환 감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여러 기초 인프라 구축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수집된 자료의 질 관리를 위한 직업성질환 감시의 원칙 제정과 감시 전략의 공유 등이 필요하며, 전국적인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하부구조라고 할 수 있는 지역감시체계의 기초 토대 마련과 강화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계획과 관리

        조수헌,홍윤철,임종한,장성실,천병철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1

        직업성 질환에 관련된 다양한 진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하여 직업성질환의 예방 목적으로 이를 활용하고 자하는 노력이 우리나라에서도 이제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다. 최근의 자료 시스템의 구축과 관리 방법의 향상은 새로운 직업성 잘환감시방법을 개발하게 하여 직업성질환과 손상을 예 방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기존의 산업보건사업의 성과를 계승하면서, 외국의 직업성질환 감시의 여러 경험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한국적인 직업성질환 감시 모델을 구축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발적인 지역차원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들이 틀을 잡아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본격적으로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수립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 방법론을 마련하고 공유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는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계획과 관리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감시체계를 우리나라에 정립하려는 노력들의 일환으로 최근 직업성질환감시연구회의 결성 및 각 지역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운영 등이 조금씩 결실을 맺어가고 있어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최근에 인천, 천안, 대전, 여천, 구미 등에서 지역단위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있고 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는 특수건강진단과 작업환경측정 자료를 전산화하여 이를 직업성질환 감시에 사용하는 전국단위의 감시체계와 천식, 근골격계질환, 피부질환 등 질환별 감시체계 등이 시도되고 있다.둘째, 이러한 움직임은 과거에 비하여 한층 발전된 양상이고 바람직하지만 이제는 국가적 차원에서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조율할 지를 고민하고 계획하여야 할 때이다. 즉 한국산업안전공단과 지역단위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들의 역할분담과 상호 정보의 교류 등이 정리되어야 이를 바탕으로 유기적인 국가 직업성질환 감시체계가 구축될 수 있다.셋째, 이를 위하여서는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의 방법론을 서로 교류하고 공유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서는 이를 표준화하여 기본적인 자료의 교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역할은 최근에 결성된 직업성질환감시연구회와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그리고 대한산업의학회, 산업간호학회, 산업위생학회 등이 협력하여 학술적인 작업과 함께 실무적인 지침을 만들어나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Serial Ultrasonographic Evaluation of Postpartum Uterine Involution in Miniature Schnauzer Dogs

        Yeo, Woon-Chang,Kim, Bang-Sil,Yun, Chang-Jin,Park, Chul-Ho,Kim, Jung-Bae,Moon, Jin-San,Suh, Guk-Hyun,Oh, Ki-Seok,Son, Chang-Ho 韓國受精卵移植學會 2007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22 No.4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normal appearance of the postpartum uterine involution. Postpartum changes in uterine shape, architecture, echogenicity and diameter were monitored with ultrasonography in 8 Miniature Schnauzer dogs. Vaginal discharge was observed visually during the 3 weeks of postpartum. A large amount of viscous dark green discharge changed progressively to a small amount of transparent discharge. In the uterine shape, the transverse images were crescent or polygonal at the beginning, but became circular after 16 days. At postpartum day 24, the longitudinal images of placental and interplacental sites were similar to each other The echogenicity of uterine structure was clearly distinguishable among the hyperechoic serous membrane, hypochoic myometrium, hyperechoic endometrium, and anechoic uterine contents during the first week postpartum, but afterward the interluminal boundaries and echogenicity became obscure gradually. In addition, the anechoic substance of the endometrial cavity was not observed after postpartum day 28. In the uterine diameter, the diameter of placental sites decreased markedly from 24 mm at the first day postpartum to 13 mm at day 7, and the diameter of interplacental sites decreased from 15 mm at postpartum day 1 to 10 mm at day 7. At postpartum day 65, the uterus (6.4 mm) changed little and had a uniform homogenous echo, and thus it was confirmed that uterine involution was completed at that time in Miniature Schnauzer dogs.

      • SCOPUSKCI등재

        Regionalization of neonatal intensive care in Korea

        Chang, Yun-Sil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11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4 No.12

        In the current era of low-birth rate in Korea, it is important to improve our neonatal intensive care and to establish an integrative system including a regional care network adequate for both high-risk pregnancies and high-risk newborn infants. Therefore, official discussion for nation-wide augmentation, proper leveling, networking, and regionalization of neonatal and perinatal care is urgently needed. In this report, I describe the status of neonatal intensive care in Korea, as well as nationwide flow of transfer of high-risk newborn infants and pregnant women, and present a short review of the regionalization of neonatal and perinatal care in the Unites States and Japan. It is necessary not only to increase the number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beds, medical resources and manpower, but also to create a strong network system with appropriate leveling of NICUs and regionalization. A systematic approach toward perinatal care, that includes both high-risk pregnancies and newborns with continuous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also needed, which can be spearhead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ive advisory board to propel systematic care forward.

      • KCI등재

        태아 영아의 생존 한계의 변화에 대한 연구

        최창원,황종희,심재원,김성신,고선영,이은경,장윤실,박원순,Choi, Chang Won,Hwang, Jong Hee,Shim, Jae Won,Kim, Sung Sin,Ko, Sun Young,Lee, Eun Kyung,Chang, Yun Sil,Park, Won Soo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2

        목 적 :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삼성서울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서의 시기에 따른 태아 영아의 생존 한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방 법 : 1994년 1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였던 출생체중 800 g 미만의 초극소미숙아 73명, 재태연령 27주 미만의 초극소미숙아 117명이 연구대상이었다. 연구대상 초극소미숙아들의 의무기록을 생존여부와 만성폐질환, 미숙아 망막증, 뇌실내 출혈와 뇌실주위 백질연화증을 포함하는 주요 합병증들의 발생유무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태아 영아의 생존 한계는 생존율이 50%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정의하였고 총 연구기간을 1998년 이전(제 1기)과 1999년 이후(제 2기)의 두 시기로 나누어 태아 영아의 생존 한계와 주요 합병증의 발생빈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태아 영아의 생존 한계는 제 1기에는 출생체중 800 g대, 재태연령으로는 26주 대에서 제 2기에는 출생체중 600 g대, 재태연령으로는 24주 대로 현저히 낮아졌다. 제 2기에서의 이 한계 출생체중 대와 재태연령 대에서의 주요 합병증들의 발생빈도는 50% 미만이었다. 주요 합병증들의 발생빈도는 출생체중이나 재태연령이 감소함에 따라서 반드시 증가하지는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 본원에서는 출생체중이 600 g 이상이거나 재태연령이 24주 이상인 초극소미숙아들에게는 적극적으로 소생술을 시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출생체중과 재태연령의 초극소미숙아에서 주요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은 그보다 조금 더 큰 출생체중, 더 많은 재태연령의 그것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To determine the change in the limit of viability in fetal infants and the incidence of major complication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at Samsung Medical Center(SMC). Methods : Sevety-three infants weighing less than 800 g at birth and 117 infants born earlier than 27 weeks gestational age, who were admitted to NICU at SMC between November 1994 and December 2002, were enrolled. Their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with a focus on the survival and major complications, including chronic lung disease, retinopathy of prematurity, intraventricular hemorrhage, and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The limit of viability in fetal infants was defined as the birth weight or gestational age at which a 50% survival rate is reached and the incidence of major complications were compared by period(period I : Nov. 1994-Dec. 1998, period II : Jan. 1999-Dec. 2002). Results : The limit of viability in fetal infants was markedly lowered from birth weight range of 800-900 g or gestational age range of $26^{+0}-26^{+6}$ weeks in period I to birth weight range of 600-700 g or gestational age range of $24^{+0}-24^{+6}$ weeks in period II. The incidence rates of major complications at the limit of viability were all less than 50% in period II. There was no definite trend toward increased incidence of major complications as birth weight get smaller and gestational age get younger. Conclusion : Our results indicate that at present, fetal infants whose body weight is over 600 g, or whose gestational age is over 24 weeks should be resuscitated vigorously. The risk of major complications at this birth weight or gestational age seems to be not greater than that at a bigger birth weight or an older gestational age.

      • KCI등재

        The Korean Neonatal Network: An Overview

        Chang, Yun Sil,Park, Hyun-Young,Park, Won Soon The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2015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0 No.suppl1

        <P>Currently, in the Republic of Korea, despite the very-low-birth rate, the birth rate and number of preterm infants are markedly increasing. Neonatal deaths and major complications mostly occur in premature infants, especially very-low-birth-weight infants (VLBWIs). VLBWIs weigh less than 1,500 g at birth and require intensive treatment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The operation of the Korean Neonatal Network (KNN) officially started on April 15, 2013, by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with support from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NN is a national multicenter neonatal network based on a prospective web-based registry for VLBWIs. About 2,000 VLBWIs from 60 participating hospital NICUs are registered annually in the KNN. The KNN has built unique systems such as a web-based real-time data display on the web site and a site-visit monitoring system for data quality surveillance. The KNN should be maintained and developed further in order to generate appropriate, population-based, data-driven, health-care policies; facilitate active multicenter neonatal research, including quality improvement of neonatal care; and ultimately lead to improvement in the prognosis of high-risk newborns and subsequent reduction in health-care cos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eonatal medicine in Korea.</P>

      • SCOPUSKCI등재

        신생아 집중치료를 받은 극소저출생체중아 치료성적의 시기에 따른 변화

        김성신,김문희,심재원,고선영,이은경,장윤실,강이석,박원순,이문향,이상일,이흥재,Kim, Shung Shin,Kim, Moon Hee,Shin, Jae Won,Ko, Sun Young,Lee, Eun Kyung,Chang, Yun Sil,Kang, I Seok,Park, Won Soon,Lee, Mun Hyang,Lee, Sang Il,Lee, Heung J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7

        목 적: 출생 체중 1,500 그램 미만의 극소저출생체중아(very low birth weight infant, VLBWI)의 치료성적은 신생아 집중치료술 향상여부를 모니터 하는 주요한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개원이래 최근 7년간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의 VLBWI 치료성적의 변화양상을 기간별로 관찰 분석하였다. 방 법: 1994년 10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중환자실로 생후 3일 이내 입원한 VLBWI 374명을 대상으로 기간을 나누어(I기 : 이미 성적이 보고된 1994. 10-1996. 9, II기 : 1996. 10-1998. 12, III기 : 1999. 1-2000. 12) 각 기별, 출생체중별, 재태기간별, VLBWI의 발생빈도와 생존율, 유병률 및 생존기간 등에 관해 의무기록지를 통한 후향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생존율은(생존아/총출생 VLBWI)${\times}100$으 로 산출하였고 생존아는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생존하여 퇴원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 VLBWI의 발생빈도는 기간별로 차이가 없었고(I기 : 1.3%, II기 : 1.5%, III기 : 1.4%), 생존율은 III기에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출생체중별 생존율에서 III기에서 750 gm 미만군(vs II기)과, 1,250-1,499 gm 군(vs I기)의 향상이, 1,000-1,249 gm 군에서는 II기(vs I기)의 향상이 의미 있었고 최저출생 생존아는 I기 624 gm($26^{+5}$주), II기 667 gm($25^{+6}$주), III기 480 gm($26^{+2}$주)였다. 재태기간별 생존율에서 III기의 25-26주군과 29-30군이 I, II기에 비해 의미 있게 향상되었고 최저출생 재태기간의 생존례는 I기 26주(970 gm), II기 $23^{+5}$주(791 gm), III기 $24^{+1}$주(740 gm)였다. VLBWI의 주요 유병률 중 III도 이상의 심한 뇌실 내 출혈의 빈도가 III기 5%로 I기 13%, II기 10.5%에 비해 의미 있게 감소되었고, 전체 사망 중 7일 이전 사망률이 III기(15.4%)에 I기(55.5%)에 비해 의의 있게 감소되었다. 결 론 : 최근 VLBWI의 생존율이 주요 유병률의 증가 없이 현저히 향상되었고, 특히 26주 이하, 750 gm 미만의 초극소미숙아의 생존율 향상이 두드러졌다. Purpose : The outcomes of infants weighing less than 1,500 gm(very low birth weight infant : VLBWI) reflect recent progress in neonatal intensive care. In this study, we analyzed changes over time in survival rate and morbidity of VLBWIs during the past seven years. Methods : A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was analyzed for VLBWI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Samsung Medical Center within three days from birth. We compared the outcomes of previous corresponding data(period I : Oct. 1994 to Sept. 1996), with the outcomes of period II(Oct. 1996 to Dec. 1998) and period III(Jan. 1999 to Dec. 2000). Results : As shown in Tables 1 and 3, the distribution of birth weight, gestational age(GA), gender, and inborn admissions did not change during the 7-year study. The overall survival rate of VLBWI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ime(period I : 72% vs period III : 88.3%, P<0.05). Between period I and period II, the birth weight-specific survival rate increased by 23.6%(75% vs 92.7%, P<0.05) for infants 1,000 to 1,249 gm. Between period II and period III, the birth weight-specific survival rate increased three times(20% vs 66.7%, P<0.05) for infants <750 gm. The survivors of lowest birth weight included infants at 624 gm(GA : $26^{+5}$ weeks), 667 gm(GA : $25^{+6}$ weeks) and 480 gm(GA : $26^{+2}$ weeks) in each period. The gestational age-specific survival rate in period III increased significantly in GA 25-26 weeks and 29-30 weeks(vs period I & period II, P<0.05). The survivors of lowest gestational age included infants at GA 26 weeks(970 gm), GA $23^{+5}$ weeks(791 gm) and GA $24^{+1}$ weeks(740 gm) in each period. The incidence of severe IVH(grade III, IV) and the early death rate(< seven days) decreased in period III(vs period I; P<0.05), reflecting improveme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Conclusion : The survival rate of VLBWI continues to increase, particularly for BW < 750 gm, GA < 26 weeks. This increase in survival is not associated by any increase in major morbidities.

      • SCISCIESCOPUS
      • KCI등재

        Regionalization of neonatal intensive care in Korea

        Yun Sil Cha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1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4 No.12

        In the current era of low-birth rate in Korea, it is important to improve our neonatal intensive care and to establish an integrative system including a regional care network adequate for both high-risk pregnancies and highrisk newborn infants. Therefore, official discussion for nation-wide augmentation,proper leveling, networking, and regionalization of neonatal and perinatal care is urgently needed. In this report, I describe the status of neonatal intensive care in Korea, as well as nationwide flow of transfer of high-risk newborn infants and pregnant women, and present a short review of the regionalization of neonatal and perinatal care in the Unites States and Japan. It is necessary not only to increase the number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beds, medical resources and manpower, but also to create a strong network system with appropriate leveling of NICUs and regionalization. A systematic approach toward perinatal care, that includes both high-risk pregnancies and newborns with continuous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also needed, which can be spearhead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ive advisory board to propel systematic care forw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