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양돈용 유산균의 선발

        유자영,양시용,송민동 建國大學校 自然科學硏究所 2002 建國自然科學硏究誌 Vol.13 No.1

        본 연구는 가축의 장내에서 유익한 영향을 주는 유산균을 돼지의 분변으로부터 분리하고 내산성과 내담즙성이 뛰어난 균을 선별하여 유산균 생균체를 준비하고자 실시하였다. 분변에 섞여 있는 다른 균들과 산이나 담즙액에 약한 균들은 처음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pH를 2.0으로 맞춘 MRS broth에 배양시키고 oxgall이 첨가된 배지에 도말하여 40개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BCP배지를 이용해서 유산의 생성여부를 확인하고, O.D값과 pH를 측정하였으며, 그람염색과 형태관찰을 통하여 33개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중에서 산에 대한 내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12개의 균주를 분리해냈고, 12개의 균주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3회에 걸쳐 시험하고 내산성과 내담즙성이 우수한 3개의 균주를 선별하였다. 마지막으로 담즙산 농도별 시험을 행함으로써 가축의 장까지 살아서 도달하기 위해 꼭 갖추어야 할 조건인 내산성과 내담즙성이 가장 좋은 #32-1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유산균이 생균제로서의 기능을 수해하려면 oxgall이 0.3% 함유된 배지에서 성장할 수 있을 정도의 내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보고가 있는데 #32-1 균주의 경우 담즙액의 농도가 3%인 배양액에서도 높은 생존률을 보임으로써 생균제로서 사용하기위해 갖고 있어야 할 담즙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다고 판단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creen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direct-fed-microbials. A lactic acid bacteria which has resistant to acid and bile salts were isolated from swine feces. Among the previously obtained acid tolerant strains, three of them show resistant to artifical gastric juice and bile. Finally, 321- stain was selected for good growth an high survival rate. The finally selected 32-1 stain was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alivarius. The strain, which named L. salivarius JY 32-1, was able to tolerate acid condition down to pH 2.5 and could also tolerate bile at 3%.

      • 이행성 협심증 환자에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이정우,박형서,박용규,노상필,이유선,정승현,김보영,이재환,최시완,정진옥,성인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소 2003 충남의대잡지 Vol.30 No.1

        목적 : 관상동맥의 경련에 의한 이형성 협심증환자에 있어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의 결과는 매우 다양하다. 이에 저자들은 충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에서 관상동맥조영술상 이형성 협심증으로 확진된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연구하였다. 방법 : 1995년 1월부터 2002년 3월까지 흉통을 주소로 충남대학교병원 순환기 내과에 입원하여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관상동맥의 내경이 50% 미만의 협착이 있고, 에르고노빈(ergonovine) 유발검사도 이형성 협심증으로 진단을 받은 233명중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 받은 183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결과의 판독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기전 심전도상 ST분절의 상승(5예)이나 하강(8예)이 있는 경우 EH한 T파의 역위(19예)가 있는 32명의 환자를 제외한 총 1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운동부하는 Marquette사의 case 15 답차를 이용하였고, Bruce protocol에 따라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최대로 실시하였으며 각 stage 및 운동후의 혈압을 측정하고 12 유도 심전도를 기록하였다. 결과 : 1) 임상적 특성 - 내원시 임상 상은 안정형 협심증이 39예(25.8%), 불안정형 협심증이 103예(68.2%), 심근경색증이 9예(6.0%)이었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결과 양성 군과 음성군간에 있어서 당뇨병, 고혈압, 비만도, 총 혈청콜레스테롤치, 현재의 흡연 여부, 병력상 운동시 흉통의 유무, 내원시 임상적 진단, 협착의 정도, 연축의 수 등을 조사하였는 바 어떠한 인자들도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2)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 받은 151명의 환자중 음성인 경우는 134예(88.8%)이었고, 양성인 경우는 17예(11.2%)이었다. 양성 소견을 보인 환자들중 ST 분절의 상승이 4예(2.6%), ST 분절의 하강이 13예(8.6%)이었다. 3) 관상동맥조영술 - 관상동맥조영술상에서 혈관 경력 위치는 우관상동맥이 70예(46.1%), 좌전하동맥이 44예(28.9%), 좌회선동맥이 17예(11.2%)의 순으로 나타났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상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예중 Ⅱ, Ⅲ, aVF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1예는 관상 동맥조영술상 우관상동맥에서 경련이 발생하였고, V2-V4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2예중 관상동맥조영술상에도 좌전하행동맥에서 경련이 나타난 예는 1예이었으며 다른 1예는 좌회선동맥에서 경련이 나타났고, V5-V6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1예는 관상동맥조영술상에도 좌회선동맥에서 경련이 나타났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상 V5 또는 V6에서 ST 분절의 하강이 있엇던 13예중 6예(46.1%)는 관상동맥조영술상 우관상동맥에서 경련이 발생하였고, 3예(23.1%)는 좌전하행동맥에서, 1예(7.7%)는 좌회선동맥에서, 나머지 3예(23.1%)는 2개의 혈관이나 기타 분지에서 경련이 발생하였다. 결론 : 1) 이형성 협심증 환자는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에서 11.2%의 양성소견을 보였다. 이중 ST 분절의 상승은 2.6%이었고, ST 분절의 하강은 8.6%이었다. 2) 이형성 환자중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음성을 보이는 경우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이기 보다는 이형성 협심증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이형성 협심증 환자중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ST 분절의 상승을 보이는 경우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이기 보다는 이형성 협심증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결과에 대한 당뇨병, 고혈압, 비만도, 총 혈청콜레스테롤치, 현재의 흡연여부, 병력상 운동시 흉통의 유무, 내원시 임상적 진단, 협착의 정도 등 어떠한 인자들도 3그룹(ST 분절의 상승, ST 분절의 하강, 음성)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5) ST 분절의 상승 부위와 관상동맥조영술상 관상동맥의 연축이 일어나는 혈관과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다. No reports in the literature describe the results of exercise testings in a large number of patients with pure variant angina(coronary stenosis <50%) in Korea. In this report, We present the results of treadmil exercise testing in 151 patients with variant angina. 151 patients with angiographically proven coronary artery spasm underwent a treadmil exercise test.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variant angina patients classified according to ST-segment response to exercise were analyzed. Of 151 patients underwent a treadmil exercise test, negative result was seen in 134 patients(88.8%) and positive result was in 17 patients(11.2%). Of 17 patients saw positive result, exercise-induced ST segment elevation was present in 4 patients(2.6%) and ST segment depression was seen in 13 patients(8.6%).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T segment response to exercise and the clinical variables(diabetes, hypertension, obesity, total cholesterol, current smoking, effort angina, clinical diagnosis, and degree of stenosis) assessed. Of 4 patients with ST segment elevation in treadmil exercise test, 1 patient with ST segment elevation in Ⅰ,Ⅲ,aVF had spasm in right coronary artery(100%) on coronary angiography, of 2 patients in V2-V4 had spasm in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in 1 patient(50%) and 1 patient in V5-V6 had spasm in left circumflex artery(100%). Positive treadmil exercise test was present in 11.2% of variant angina patient. If we have negative treadmil exercise result in patients with clinical manifestation of unstable angina at admission, we may have a suspicion of variant angina rather than multi-vessel disease. If we have exercise-induced ST segment elevation in patients with clinical manifestation of unstable angina at admission, we have a suspicion of variant angina rather than multi-vessel disease. Our result suggest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te of the ST segment elevation and the artery involved is quite good.

      • SCIESCOPUSKCI등재

        Serum IP-10 Levels Correlate with the Severity of Liver Histopathology in Patients Infected with Genotype-1 HCV

        You, Chan Ran,Park, Su-Hyung,Jeong, Sung Won,Woo, Hyun Young,Bae, Si Hyun,Choi, Jong Young,Sung, Young Chul,Yoon, Seung Kew The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the Korean 2011 Gut and Liver Vol.5 No.4

        <P><B>Background/Aims</B></P><P>Interferon-γ-inducible protein 10 (IP-10) plays important roles in the pathogenesis of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IP-10 levels and liver pathology in patients with chronic HCV infection.</P><P><B>Methods</B></P><P>The serum IP-10 concentration was assessed in 85 patients with chronic HCV infection using a solid phase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a liver biopsy specimen was obtained. The pathology was scored using the Knodell histologic activity index (HAI).</P><P><B>Results</B></P><P>Of the 85 patients, 58 had genotype 1 HCV infection, 21 had genotype non-1, and 6 were undetermined. The serum IP-10 levels did not differ between patients infected with genotype 1 and genotype non-1 (p=0.472). In patients with genotype 1 infection, the total HAI score and the stage of fibrosi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serum IP-10 level (r=0.555, r=0.578, p<0.001). Furthermore, the serum IP-10 concentrations of patients with severe fibrosis (stages 3, 4) were higher than those of patients with mild fibrosis (stages 0 to 2; 214.4 vs. 72.3 pg/mL, p=0.002) among patients with genotype 1 infection. However, in patients without genotype 1 infection, the histopathology was not associated with the serum IP-10 level. A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serum IP-10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fibrosis (stages 3, 4) in patients with genotype 1 infection (odds ratio, 1.034; 95% confidence interval, 1.006 to 1.064; p=0.018).</P><P><B>Conclusions</B></P><P>Serum IP-10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liver histology in genotype 1 HCV infection.</P>

      • 미디(Midi) 분석엔진 기반의 통합 음악제작/검색 솔루션 설계 및 구현

        유시혁 ( Si-heok You ),이동규 ( Dong-kyu Lee ),김동영 ( Dong-young Kim ),유미영 ( Mi-young You ),이향미 ( Hyang-mi Lee ),배지혜 ( Ji-hye Ba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2

        컴퓨터의 발전과 함께 음악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곡 작업은 전문가부터 일반인에게 이르기까지 사용자의 폭을 넓혀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작곡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단순한 텍스트 기반의 음악 검색이 아닌 미디(Midi) 분석엔진 기반의 다양한 검색방법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통합 음악제작/검색 솔루션을 구현하였다. 또한, 휴대성(Portability)을 위하여 MS 사의 WindowsPhone7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구현을 통해 PC기반의 프로그램을 모바일 환경에서 작동 및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 KCI등재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항뮐러관 호르몬에 관한 연구

        유시연 ( Si Yeon You ),박소연 ( So Yun Park ),양가영 ( Ga Young Yang ),정경아 ( Kyung Ah Jeong ),김영주 ( Young Ju Kim ),정혜원 ( Hye Won Chu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5

        목적 다낭성 난소증후군(polycystic ovary syndrome) 환자에서 항뮐러관 호르몬(anti-Mullerian hormone)을 측정하여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임상적, 생화학적 특징 및 관련 지표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Rotterdam European Society for Human Reproduction and Embryology기준에 따라 진단된 100명의 다낭성 난소증후군 환자에서 혈중 항뮐러관 호르몬을 측정하였다. 신체계측, 혈액검사, 질식 또는 직장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였다. 다낭성 난소 형태(polycystic ovarian morphology, PCOM)와 고안드로겐혈증에 근거한 표현형에 따라 4군으로 분류하여, 항뮐러관 호르몬과 인슐린 저항성 등의 다낭성 난소증 후군 관련 지표들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항뮐러관 호르몬 농도는 4.1-21.0 ng/mL 범위에 있었으며 평균 10.4 ± 4.1 ng/mL이었다. 항뮐러관 호르몬 농도의 범위에 따라 분류한 저(4-8 ng/mL), 중등(8-12 ng/mL), 고(>12 ng/mL) 농도의 3군 간의 인슐린 저항성 관련 지표들은 차이가 없었다.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표현형에 따른 분류에서 항뮐러관 호르몬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둔부 둘레비, 총 및 유리 테스토스테론,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 식후 2시간의 인슐린과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지수는 다르게 나타났다. 총 테스토스테론과 초음파로 관찰한 난소 부피 및 난포 개수는 항뮐러관 호르몬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결론 다낭성 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증가되어 있는 항뮐러관 호르몬 농도는 총 테스토스테론과 다낭성 난소 형태의 초음파 소견과 상관성이 있었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Mullerian hormone (AMH) and parameters related to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Methods We measured serum AMH levels in 100 women with PCOS by Rotterdam European Society for Human Reproduction and Embryology criteria. We conducted somatometry, blood test and transvaginal or transrectal ultrasound test. We compared and analyzed AMH and parameters in terms of insulin resistance according to PCOS related phenotypes. We divided phenotypes into four groups by polycystic ovarian morphology (PCOM) and hyperandrogenemia (total testosterone [TT], free testosterone [fT]). Results AMH levels ranged from 4.1 to 21.0 ng/mL and the mean level was 10.4 ± 4.1 ng/mL. Signifi cant differences in parameters of insulin resistance were not observed among low (4 to 8 ng/mL), moderate (8 to 12 ng/mL), and high (>12 ng/mL) levels of AMH. Significant differences in AMH were not observed among groups according to PCOS related phenotypes. Weight, body mass index, waist-hip ratio, TT, fT,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2-hour insulin and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index were different signifi cantly according to PCOS related phenotypes. TT, ovarian volume and follicle numb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MH. Conclusion Increased serum AMH levels in PCOS are correlated with TT and PCOM.

      • KCI등재

        Outcome of donor biliary complications following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 Hyun Young Woo ),( In Seok Lee ),( Jae Hyuck Chang ),( Seung Bae Youn ),( Si Hyun Bae ),( Jong Young Choi ),( Ho Jong Chun ),( Young Kyoung You ),( Dong Goo Kim ),( Seung Kew Yoon ) 대한내과학회 2018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33 No.4

        Background/Aims: Biliary complications are the most common donor complication following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term outcomes of biliary complications in right lobe adult-to-adult LDLT donors, a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endoscopic treatment of these donors. Methods: The medical charts of right lobe donors who developed biliary complications between June 2000 and January 2008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Of 337 right lobe donors, 49 developed biliary complications, including 36 diagnosed with biliary leakage and 13 with biliary stricture.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biliary leakage was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right lobe bile duct orifices. Sixteen donors, five with leakage and 11 with strictures, underwent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graphy (ERC). ERC was clinically successful in treating eight of the 11 strictures, one by balloon dilatation and seven by endobiliary stenting. Of the remained three, two were treated by rescue percutaneous biliary drainage and one by conservative care. Of the five patients with leakage, four were successfully treated using endobiliary stents and one with conservative care. In overall, total 35 improv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All inserted stents were successfully retrieved after a median 264 days (range, 142 to 502) and there were no recurrences of stricture or leakages during a median follow-up of 10.6 years (range, 8 to 15.2). Conclusions: All donors with biliary complications were successfully treated non-surgically, with most improving after endoscopic placement of endobiliary stents and none showing recurrence on long term follow-up.

      • SCISCIESCOPUS
      • SCIESCOPUSKCI등재

        Original Article : Serum IP-10 Levels Correlate with the Severity of Liver Histopathology in Patients Infected with Genotype-1 HCV

        ( Chan Ran You ),( Su Hyung Park ),( Sung Won Jeong ),( Hyun Young Woo ),( Si Hyun Bae ),( Jong Young Choi ),( Young Chul Sung ),( Seung Kew Yoon ) 대한간학회 2011 Gut and Liver Vol.5 No.4

        Background/Aims: Interferon-γ-inducible protein 10 (IP-10) plays important roles in the pathogenesis of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IP-10 levels and liver pathology in patients with chronic HCV infection. Methods: The serum IP-10 concentration was assessed in 85 patients with chronic HCV infection using a solid phase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a liver biopsy specimen was obtained. The pathology was scored using the Knodell histologic activity index (HAI). Results: Of the 85 patients, 58 had genotype 1 HCV infection, 21 had genotype non-1, and 6 were undetermined. The serum IP-10 levels did not differ between patients infected with genotype 1 and genotype non-1 (p=0.472). In patients with genotype 1 infection, the total HAI score and the stage of fi brosi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serum IP-10 level (r=0.555, r=0.578, p<0.001). Furthermore, the serum IP-10 concentrations of patients with severe fi brosis (stages 3, 4) were higher than those of patients with mild fi brosis (stages 0 to 2; 214.4 vs. 72.3 pg/mL, p=0.002) among patients with genotype 1 infection. However, in patients without genotype 1 infection, the histopathology was not associated with the serum IP-10 level. A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serum IP-10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fi brosis (stages 3, 4) in patients with genotype 1 infection (odds ratio, 1.034; 95% confi dence interval, 1.006 to 1.064; p=0.018). Conclusions: Serum IP-10 concentration was signifi cantly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liver histology in genotype 1 HCV infection. (Gut Liver 2011;5:506-51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