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이 아동의 학교 또래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교환경의 매개효과

        오현미(Oh, Hyun Mi)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0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학교환경, 아동의 학교 또래적응의 수준과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아동의 화용언어능력과 아동의 학교 또래적응 간의 관계에서 학교환경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 10차년도(2017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10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아동 594명과 그들의 모, 담임교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모형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은 아동의 학교 또래적응과 학교환경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환경은 아동의 학교 또래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환경은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이 아동의 학교 또래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아동의 학교 또래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환경을 탐색함으로써 아동의 학교 또래적응과 원활한 학교생활을 지원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level and variable of children s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school environment, children s school peer adjustment, and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environment in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 s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and their school peer adjustment. This study were used 10th year (2017)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of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94 children who had participated in the 10th year survey and their mothers and homeroom teachers. For collected data,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23.0 and AMOS 22.0.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s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 s school peer adjustment and school environment. Second, school environment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 s school peer adjustment. Third, school environment partially mediated in the effects of children s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on their school peer adjustment. Through the forego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hildren s school peer adjustment and smooth school life by exploring human environment affecting school peer adjustment of children.

      • KCI등재

        그림 그리기 활동 지도과정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어려움 및 제안

        오현미(Oh, Hyeun-Mi),배지희(Bae, Ji-Hi)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8 교육과학연구 Vol.49 No.3

        This study examined the practices of drawing activitie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difficulties with as well as suggestions for improving drawing activitie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found that art activitie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were conducted in the form of large-group activities, free-choice activities, and child-initiated individual drawing activities. Th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guiding children"s drawing activities due to low interest in art and lack of knowledge about teaching methods. Parents" expectations for high quality artwork aggravated their difficulties. The teachers also expressed concerns related to the use of drawing sheets which may hinder children"s creative development. The teachers expected in-service teacher training to enhance their efficacy in guiding children"s drawing activities. They also expressed the need for diverse art education programs that could be used to promote children"s visual expression of their experiences, feelings, and thoughts through art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

        여성과 사회 진보

        오현미(Oh, Hyunmi) 한국여성연구소 2018 페미니즘 연구 Vol.18 No.1

        한 세기 전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를 포함한 많은 진보주의자들은 20세기가 여성의 시대가 될 것이라 전망했다. 이는 인류의 진화와 사회 진보를 가져올 자질을 여성이 가지고 있다는 인식에 기초했다. 인류의 진화, 사회 진보에서 여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생각은 19세기말과 20세기 초의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공황으로 인한 자본주의의 위기는 이기심, 경쟁과 같은 자유방임 사상이 옹호한 가치의 위기로 인식되었다. 이기심, 경쟁은 동시에 빅토리아 시대 남성의 자질이었다. 따라서 자유방임의 실패는 곧 남성적 특질의 실패를 의미했다. 자유방임의 실패 이후 시대정신이 사회성, 협동, 이타성을 강조하는 집산주의로 전환되었다. 이런 분위기에서 이런 도덕적 자질을 갖는다고 여겨졌던 여성의 사회적 역할이 주목받게 된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사회주의 페미니스트 엘리자 버트 갬블은 인류 진화사에 대한 재구성을 통해 사회 진보에서 여성의 역할을 체계화한다. 우선 그녀는 진화론 ‘다시쓰기’를 통해 당대 지배적 담론인 ‘여성의 열등성’이란 견해를 비판하고 ‘여성의 우월성’을 주장한다. 다음으로 그녀는 ‘여성 선택’ 관념에 근거해서 인류 진화사에 대한 진화론과 인류학의 남성편향을 비판하고 여성 중심의 인류 진화사를 재구성한다. 갬블의 시각에서 볼 때 여성은 새로운 시대의 미래적 가치를 체현하지만 자본주의의 여성 억압으로 인해 자신의 사회적 가치를 발휘하지 못했을 뿐이다. 이 논리의 결과 여성해방은 여성에 국한되지 않고 전 인류적인 보편성을 획득한다. 여성의 해방은 사회변혁에서 핵심이며 낡은 가치를 체현한 남성을 포함한 인류를 동시에 해방시키는 것을 의미했던 것이다. About One century ago, the progressives including the liberalist and socialist argued that the next century would be the Women’s Era. This argument wa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women have the properties which would generate human evolution and social progress. The concept that women would play an essential part of human evolution and social progress, came into mind in the background of transition from 19th to 20th Century. The crisis of ‘laissez-faire’ which had favored the value such as selfishness, competition, was equated with the crisis of capitalism resulting from economic depression. The value such as selfishness, competition was also equated with men’s properties in Victorian Era. Thus the failure of ‘laissez-faire’ implied the failure of men’s properties. Since then the spirit of the times had changed in the direction of collectivism emphasizing sociality, corporation, altruism. In this atmosphere people paid attention to the women’s social role who possessed these moral properties. In these context socialist feminist Eliza Burt Gamble theorized about the role of woman in the social progress by reconstruction of the history of human evolution. First, she tried to ‘rewrite’ the evolution theory and she criticized hegemonic dogma of woman’s inferiority to man. And she tried to prove the woman’s superiority to man. Second, she criticized the male bias of evolution theory and anthropology. And then she reconstructed the history of human evolution based on the concept of ‘female selection’. In the perspective of Gamble, although woman embodied the value of future, woman did not exert her social value because of suppression of capitalism. As a corollary, women’s liberation had gained more universal implication not confining to the women but influencing all human beings. The emancipation of women did take a key position in social transformation because if women would liberate then the men and all human who embodied old social values would liberate together.

      • KCI등재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단기간 아연 보충에 따른 아연과 구리 영양상태

        오현미(Hyun Mee Oh),윤진숙(Jin Sook Yoon)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9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whether a short-term zinc supplementation could improve the zinc status without adverse changes in copper status among type 2 diabetic patients. Seventy-six diabetic subjects and 72 normal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supplemented and control groups. Forty-four diabetic patients and 34 normal subjects were supplemented with 50 mg zinc gluconate daily for 4 weeks. Dietary intakes of participants were measured for two non-consecutive days by 24-hour recall method. Nutritional status of zinc and copper were also evaluated by biochemical measurement of fasting plasma samples and spot urinary collection. At baseline, diabetic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dietary zinc intake and higher urinary zinc excretion than the normal adult group (p<0.05, p<0.0001). Plasma level of zinc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abetic and normal adults at baseline. However, plasma zinc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diabetic patients and normal adults after zinc supplementation. The changes in plasma copper levels following zinc supplementa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iabetic subjects as well as in normal adul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our weeks of zinc supplementation did not influence Cu status and that it ma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zinc status. Therefore, we suggest that Zn supplementation for a short-term period may improve marginal zinc status of diabetic patient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ir copper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2):229~235, 2009)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진화심리학과 개인화

        오현미(Oh Hyeon-Mi),장경섭(Chang Kyung-Sup) 한국이론사회학회 2014 사회와 이론 Vol.24 No.-

        1970년대 등장한 사회생물학은 페미니즘의 강한 반발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지적 유행이 되고 있는 진화심리학에 대해 페미니즘은 침묵으로 반응해왔다. 사회생물학은 핵가족을 자연적인 것으로 보며 핵가족의 결속이 영구적인 이유를 인간 여성의 성적 수용성에서 찾았다. 즉 사회생물학은 20세기 중반 남성 생계 부양자 가족 형태를 자연화하고 그 보편성과 영속성의 근거를 생물학을 통해 뒷받침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반면 1990년대 이후 등장한 진화심리학은 핵가족을 상대화하여 남녀 결합의 여러 형태 중 하나로 그 위치를 재조정하였다. 여기서 여성은 주체화된 개체로서 다양한 남녀 관계를 선택하는 전략적 행위자가 된다. 또한 진화심리학은 남녀 관계에서 조화뿐 아니라 갈등에 주목하고 그 이유를 남녀의 진화된 성 심리와 전략의 차이를 통해 설명한다. 이제 진화심리학은 핵가족을 보편적이고 자연적인 것으로 보지 않으며 남녀 관계의 다양성과 갈등의 진화적 원인을 설명하는 데로 초점을 이동하였다. 진화론적 사회과학의 이러한 변모는 한편으로 페미니즘과 같은 과거 비판 진영의 입장을 누그러뜨렸고, 다른 한편으로 관련 주제의 새로운 사회이론들과의 친화력을 강화시켰다. 예컨대 진화심리학의 관점은 사실상 동시대 사회학자인 울리히 벡의 개인화 논의와 많은 부분 공통점을 갖는다. 진화심리학은 분석의 초점을 가족 단위에서 남녀 개인으로 옮겼고, 또한 개인의 전략적 선택과 그 선택이 낳는 남녀 관계 갈등에 분석의 상당 부분을 할애한다. 이런 점은 벡이 말하는 남녀의 가족적 존재에서 개인적 주체로의 변화, 개인 중심의 선택이 불가피해지는 상황, 선택이 야기하는 남녀 갈등에 대한 논의와 친화력을 보인다. 그런데 최근 개인화 현상이 서구 이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동아시아 지역의 차별적인 상황을 함께 감안하면, 진화심리학과 벡의 개인화론의 이론적 공통점은 기본적으로 서구의 후기 근대라는 특정한 역사·사회적 맥락에 기초한 것이며, 진화심리학적 논의가 비서구적 상황에 적용될 때 개인-가족-사회관계에 대해 내용적으로 훨씬 복잡하고 정교한 발전을 거쳐야 할 필요성을 암시한다. When sociobiology emerged on the scene in the 1970s, it was met by strong resistance from feminism. However, since becoming a popular intellectual current in the 1990s, evolutionary psychology has been met by silence from feminist camps. Sociobiology “naturalizes” the nuclear family and finds a biological reason for the eternal family bondage in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sexuality. As a result, sociobiology was inevitably criticized for its naturalizing and advocating of the nuclear family and patriarchy. Evolutionary psychology, on the other hand, relativizes the nuclear family and re-adjusts its position as but one of multiple forms of union between male and female. Here, women, as subjectivized individuals, are strategic agents who select from a variety of male-female relations. In addition, evolutionary psychology points not only to harmony but also to conflicts in male-female relations, explaining the conflicts in terms of the different sexual psychologies and strategies that have evolved for the two respective genders. Evolutionary psychology does not view the nuclear family as universal and “natural”, and moves its focus to the explanation of evolutionary causes for the various clashes in male-female relations. On the one hand, this development in evolutionary social science has allayed the erstwhile critical stance of feminism, while on the other hand, it has strengthened affinities with new, thematically-related social theories. For example, the perspective of evolutionary psychology bears many points in common with sociologist Ulrich Beck’s contemporary discussions of individualization. Evolutionary psychology shifts analytical focus from the family unit to the individual man and woman, and gives extensive analytical weight to the strategic choices made by the individual and the gender conflicts those choices cause. This point shows affinity with Beck’s discussions of the shift from family to individual subject, the conditions inevitably created by individual-centered choice, and inter-gender conflicts brought about by that choice. However, considering together the differential conditions of the East Asian region where the phenomenon of individualization is currently accelerating even faster than in the West, it is concluded that the theoretical commonality between evolutionary psychology and Beck’s thesis of individualization is fundamentally based in the particular socio-historical context of the late modern West. Evolutionary psychology, if to be applicable to non-Western contexts, faces a necessity for much more complex and elaborate evolutions regarding relations between individual, family, and society.

      • KCI등재

        페미니즘에서 ‘다윈 효과’

        오현미(Oh, Hyunmi) 한국여성연구소 2017 페미니즘 연구 Vol.17 No.2

        1세대 페미니즘 운동이 고양된 시기는 다윈 진화론의 영향력이 강력했던 시기와 교차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논문은 미국의 1세대 페미니즘 운동에 미친 ‘다윈 효과’를 살펴본다. 일련의 여성 참정권론자들은 진화론과 진화론이 밝힌 ‘차이’ 관념을 적극 수용했다. 이들이 진화의 결과 형성된 남녀 차이라는 관념을 수용한 이유는 기존의 신학적, 자연법적 담론이 가정하는 ‘동일성’의 프레임이 여성의 ‘독자적’ 참정권을 부정하는 근거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진화론은 페미니스트들에게 여성문제에 대한 토론과 논증에 필요한 과학적 방법을 제공하였다. 나아가 페미니스트들은 진화론을 여성의 삶에 대한 변화를 옹호하는 ‘진보사상’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페미니스트들이 진화론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난점을 해결해야 했다. 이들은 다윈이 말한 여성의 열등성이란 편견을 비판해야 했고 ‘차이’에 기초해서 ‘평등’한 참정권을 말해야 하는 외견상의 모순을 해결해야 했다. 이를 위해 이들은 담론의 초점을 ‘평등’에서 ‘등가성’으로 옮겼고 남녀 차이를 등가로 보는, ‘다르지만 동등한’이라는 논리를 발전시킨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는 평등-차이 딜레마에 대한 하나의 역사적 해법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U. S. women’s right movement gained ground in Victoria era, so evolutionary theory gained ground too. This article will detect what is the ‘Darwinian Effect’ on U.S. First Wave Feminism in this context. Why several feminist include Blackwell had accepted the discourse of difference in Darwinism? Because the traditional discourses of the Bible or Natural law which identified male with female did support women’s oppression rather than right. As a result the discourse of women’s suffrage movement have changed the frame from identity(equality) to difference. In addition the ‘Darwinian Effect’ was that the discourses of women’s suffrage movement have changed the frame from theology and metaphysics to positive(empirical) science. To reconcile the seeming contradiction of arguing for equality on the basis of difference, women’ right proponents advanced argument that women were “different but equivalent to men”. In this research we may find a historical solution of the dilemma of equality versus difference.

      • KCI등재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오현미(Hyunmi Oh),이유미(Youme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사회적 기술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7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유아 1,203명과 그들의 담임교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모형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기술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을 제안한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social skill and aimed to lear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and their social skill. Methods: Materials of the 7th year Korean Children’s Panel (2014) of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used in the study. The subjects included 1,203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7th year survey and their homeroom teachers. Collected data underwen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alysis of structural model,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23.0 and AMOS 22.0. Results: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ocial skill; (2)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3) teacher-child inter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ocial skill; and (4) teacher-child interaction partly mediated in the effect of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on their social skill. Conclusions: The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and their social skills. Therefore, the authors proposed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