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 원예활동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행복감과의 관계 연구

        김재희(Kim, Jae Hui)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0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원예활동을 실시한 후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원예활동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에 위치한 S와 K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0명과 비교집단 20명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S어린이집의 실험집단은 유아 원예활동을 실행하고, K어린이집의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 기초한 자연탐구 및 예술경험영역활동으로 진행하였다. 정서조절능력 검사도구는 양옥승(2011)의 자기조절능력 검사도구(Self-Control Rating Scale; SCRS)를, 행복감 검사 도구는 이은주(2010)의 유아행복척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5.0을 활용하여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유아 원예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원예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육기관 현장에서 유아들에게 흥미로운 원예활동 프로그램으로서 교육적 효과가 있는 지속가능한 활동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was purpo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orticultural activities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happiness through the experiment. For this research, forty 5-year-old children of tow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do were divided into 20 preschoolers of an experiment group and 20 children of a comparative group.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had positive influence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All sub-factors of the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such as recognizing emotions, coping with emotions, suppressing emotio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variances. It meant that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for preschoolers. Second,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had positive influences on young children’s sense of happiness. All sub-factors of the happiness such as parental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immersion, spirituality, emotion, health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variances. It meant that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sense of happiness for preschoolers. It could be expected to utilize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as an educationally effective and sustainable progra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후보

        개정 누리과정과 통합된 장애유아의 놀이 지원에 관한 연구

        원계선(Won, Kye Son)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0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시행됨에 따라 장애유아의 자유놀이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지원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통합환경에서 장애유아의 자유놀이 참여 증진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2019 개정 누리과정의 특성과 장애유아의 놀이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다음 선행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통합된 장애유아의 놀이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통합된 장애유아의 놀이 참여 증진 방법을 찾기 위해 우선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은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는 것이다. 장애유아의 놀이는 학습의 도구로서의 가치만이 아니라 비장애 유아와 마찬가지로 그들의 삶의 질을 결정할 수 있는 하나의 권리로 인식되어야 한다. 선행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장애유아의 자유놀이 참여 증진을 위한 교수전략으로 유아중심 교수법, 자연적 교수법, 최소촉진 전략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아중심, 놀이중심에 기초하여 장애유아가 자유놀이에 최대한 참여하도록 촉진하는 절차를 도식화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에서의 실행연구를 후속 연구로써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effective supporting method to encourag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free play in an inclusive setting under the Revised Nuri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reviewed. Then,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effective strategies were explored for supporting the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setting. For the supervision of the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setting, the value of the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discussed in advance.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not only be recognized as a tool of learning, but also as a right to determine their quality of life like young childre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the child-centered education, the naturalistic teaching and the least prompting strategies were suggested as the effective methods to increase the levels of particip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play. In conclusion, the process of supporti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free play was schematized based on child-centered and play-centered education. Lastly, the research on the actual practice in the field was suggested as a follow-up study.

      • KCI등재후보

        유아의 ‘성인지 감수성’ 그림책 경험에 관한 연구

        김정숙(Kim, Jung Suk),문수영(Moon, Soo Young)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1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성인지 감수성’ 그림책 경험에 관한 연구로서 유아가 갖는 성 인식을 분석하여 교육적 의미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직장어린이집과 국공립 어린이집 만 3-5세 유아 10명이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으로 ‘성인지 감수성’ 과 관련된 그림책을 읽어주고 질문에 답하는 면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의미 분석 결과 유아의 이전 경험에 따라 성인지 감수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유연함이 동시에 존재하였다. 세부내용으로 신체적 외모, 힘, 정서, 역할에 따라 성인지에 대한 감수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유아의 ‘성고정 관념’을 벗어나기 위해 이전 경험이 중요하며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적극적인 성인지 감수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올바른 성인지 감수성 교육을 위해서는 ‘성역할’ 에 대한 양성평등 교육을 통해 유아의 발달 수준에 맞는 교육목표와 내용, 교육방법이 구체화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유아교육 현장의 다양한 수업사례가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을 갖는다. This study examines is a study on children s gender cognitive sensitivity experience of picture 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gender perceptions of children. For this study, 10 children aged 3 to 5 years from a workplace daycare center located in Gyeonggi-do and a national or public daycare center participa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tilised, focusing on interviews in which people listened to picture books related to gender cognitive sensitivity and answered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semantic analysis, there were both stereotypes and flexibility regarding gende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hildren s previous experiences. As for the details, the sensitivity to gender was different according to physical appearance, strength, emotion, and rol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previous experiences are important to break free from the gender stereotype of young children, and proactive approach to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s required. For proper gender-sensitive education,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gender equality of ’gender roles’ should be specified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contents, and educational method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al level of children.

      • KCI등재후보

        유아 놀이 관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 유아교사의 놀이 지원에 대한 관점 변화

        윤성운(Yun Seong Un),성은영(Sung Eun Young)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1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놀이 관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 유아교사의 놀이 지원에 대한 관점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A지역 B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재학생 10명으로, 놀이 영상 관찰 후 작성한 관찰일지를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유아교사들은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고 분석하는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 교사 중심의 놀이 지원에서 유아들의 놀이 흐름과 맥락, 현재 유아들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흥미와 관심 등을 고려한 유아 중심의 놀이 지원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들은 교사의 놀이 지원에 있어서 매 순간 교사가 개입하여 무엇인가를 제공하거나 언어적인 상호작용을 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벗어나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고, 유아의 놀이를 지켜보면서 기다려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으로 변하였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들은 유아의 놀이 지원 방향에서 초기에는 물리적 자원이나 놀잇감 활용에만 초점을 두었으나, 점차적으로 유아 놀이에 대한 다양한 지원 방향을 모색하는 것으로 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 교사들에게 유아들의 놀이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놀이를 유아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예비 유아교사들이 다양한 상황에서 직접 놀이를 체험해볼 수 있게끔 하여 놀이 지원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perspective on the play suppor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he observation process of early childhood play. The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play guidance education in the training course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students in the third yea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B junior college in Area A. The participants observed the play videos, and the observation logs were then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petition of observing and analyzing children s pla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ved from teacher-centered play support to children-centered play support considering the flow and context of children s play and attention and interest in children s current play.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being patient while watching children s play while observing children s play, shifting away from the view that the teacher should intervene in the teacher s play support every moment. Thir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cused only on the use of physical resources or toys in the early stages of supporting children s play, but gradually changed to seeking various support directions for young children s play. These results sugges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hould continue to provide opportunities to observe children s play directly so that they can understand it from an infant s point of view, an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experience it in various situations to develop play support capabilities.

      • KCI등재후보

        레지오와 발도르프 유아교육 비교 : 교육혁신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정윤경(Chung, Yun Kyoung)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0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레지오(Reggio Emilia)와 발도르프(Waldorf) 유아교육이 지닌 교육 혁신적 특성과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관련 문헌을 분석하는 문헌연구를 사용하여, 레지오와 발도르프 유아교육이 갖는 교육 혁신적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유아교육은 모두 유아 존재를 유아교육의 출발점이자 목적으로 강조한다. 둘째, 두 유아교육은 이성 중심 주체, 완비된 실체로서 개별 주체라는 근대적 주체 개념 대신, 대안적 주체로서의 유아관을 보여줌으로써, 근대교육의 한계를 극복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두 유아교육은 지식의 전달과 수용이 아닌 새로움의 창발을 강조하면서 창의적 교육을 지향한다. 넷째, 두 유아교육은 교사-유아 간 관계의 중요성과 교사의 지속적인 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레지오와 발도르프 유아교육은 모두 교육(학)에서의 이론과 실천의 이분법이라는 오래된 난제를 극복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innovativ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Reggio Emilia approach and Waldorf education. In particular, the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both educations was that both of the tw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modern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a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the related literature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of the tw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approach emphasized the children themselves as the starting point and purpose of education. This is in line with the ‘child-centered innovation plan advocated in the「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Second, the two education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modern education by showing child as an alternative subject. Reggio Emilia approach regarded child as a changeable subject which is open to a continuous mutual process with meaningful others, and Waldorf education considered a child as a integrated existence of body, soul, and spirit. Third, the two education aimed for creative education, emphasizing the emergence of novelty, not the transfer and acceptance of knowledge. Fourth, the two educati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child and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growth of teachers. Finally, Reggio and Waldor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we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old difficulty of the dichotomy of theory and practice in education.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셀프리더십과의 관계

        장하늘(Jang, Ha Nul)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19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셀프리더십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와 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셀프리더십을 예측하는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사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의 단계선택방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셀프리더십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수준은 모두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셀프리더십 간의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 감성리더십의 하위요인은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셀프리더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교직을 수행하며 느끼는 만족과 교사 스스로 동기부여, 보상을 높이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의 중간관리자 역할의 중요성과 감성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termine how teachers perceptions of middle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how middle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relates to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and to predict trends of middle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at institu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eachers perceptions of middle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came out above average. Second, middle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In other words, as the level of middle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increase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level were also raised. Finally, sub-factors of middle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tend to affect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e importance of middle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Significance of the enlightenment in middle managers roles and the necessity of variable educational supports along with program development are suggested to improve middle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 KCI등재후보

        STEAM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STEAM 관련 교육 경험한 교사중심으로

        강경희(Kang, kyung hee)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0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STEAM 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유아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사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유아 STEAM 교육의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합과 융합에 대한 이해도’가 다소 낮게 나타났다. 유아 STEAM 교육의 내용 요구도에서는 교사대 아동비율, 또래관계증진, 창의성, 과학에 대한 성취, 실생활관련 내용에 대한 부분이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현장 적용성을 위한 환경 요구도에서는 프로그램 개발 및 지도안, 원장, 교사의 의지와 신념, 학부모의 인식, 지속적인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STEAM 교육을 실행하는데 물리적 환경개선을 위한 유아교육학계의 노력과 정책적 지원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eed for awareness of infant STEAM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teacher education, and to seek ways to enhance the on-site applicability of infant STEAM education. 198 infant teachers with experience in STEAM-related education took part in this research.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STEAM education and the awareness of the need were high overall, bu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integration and convergence was somewhat low. In the section of the demands of STEAM education for infants, the teachers replied that teacher-infant ratio, the promotion of peer relationship, creativity, achievement in science, and real life-related content were relatively insufficient. And in the section of the environmental demands for field applicability, the teachers replied that the program development and guidance, the attitude and belief of directors and teachers, awareness of parents, and continuing teacher education were need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orts of the pedagogic circle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al policy level support should be sought to implement the infant STEAM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과 논리 및 논술 교육의 쟁점과 방향

        박미현(Park, Mi hyun),최종문(Choi, Jong moon)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16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과 논리 및 논술교육의 쟁점과 방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과 논리 및 논술교육 강의계획서 A, B, C 를 비교하여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주체, 교육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유아교육에서 논리 및 논술은 유아교육학 전공학생들의 사고력과 표현력을 기르기 위해서 필요하다. 두 번째로 유아교육에서 사고력 향상과 표현력 신장을 위해 유아교과 논리 및 논술 교육을 가르쳐야 한다. 세 번째로 유아교육에서 논리 및 논술은 유아교육학 전공자로 교과 논리 및 논술교육이 가능한 유아교육전공자가 가르쳐야 할 것이다. 네 번째로 유아교육에서 논리 및 논술을 사고력, 표현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방법으로 가르쳐야 한다. 방법으로 토론을 통한 게임, 글쓰기, 영화에세이, 비판적 글읽기와 성찰적 글읽기 등이 있다. 결과적으로 유아교과 논리 및 논술교육과 관련된 문제해결을 위해 정체성과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여야 하며, 학생들의 수준을 반영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들의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rections and issues of logic and writing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ssues and directions of the education, we analyzed syllabus A, B, C of logic and writing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hy logic and essay writing education ne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required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abilities and expressive skills of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what are you going to teach? Logic education and essay writing education should taught side-by-side. Third, who should teach?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e to teach logic and essay writing education. Fourth, how do you teach? it is required that students must learn to logical thought to give evidences for their arguments. There are discuss game, A4 writing, movie essay writing, critical reading, reflective reading, and so on. As a result, identity and orientation of logic and essay writing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on the basis of this condition. Also,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reflecting students’ level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educational sites.

      • KCI등재후보

        성찰일지 활용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남효순(Nam, Hyo Soon)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0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찰일지를 활용한 특수교육학개론 수업 참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고, 성찰일지를 활용한 수업이 갖는 교육적 의미와 이와 관련한 수업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교육학개론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56명이며, 수업 전 후로 작성된 성찰일지, 면담자료, 연구자 일지, 수업 결과물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들에게 나타난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의 대상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특수아를 무한한 잠재력이 있는 대상으로서 인식하기에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특수아와 양육자의 어려움 공감하기에 대한 변화가 나타났다. 넷째, 예비교사로서의 봉사 실천하기와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기에 대한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교수-학습과정에서 나타난 성찰일지 작성과 수업에서의 활용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특수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에 효과적이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changes through participation in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ourse using the reflection journal, and to learn about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lessons using the reflection journals and related instructional design.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5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aking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studies. Qualitative analysis was done by collecting data such as reflection journals, interview data, researcher journals, and class results written before and after classes. First, there were changes in perception of the object of special education. Second, there were change in recognizing special children as objects with infinite potential. Third, there were change in empathy between special children and nurturers. Fourth, there were change in the practice of serving as a pre-service teacher and positively recognizing oneself.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preparation of the reflection journal and the use in the class that appeared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was effective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and the positiv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유아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실내놀이 공간 현황분석 연구 : 경기도 S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김정숙(Kim, Jung Suk)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19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유아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실내놀이 공간분석 연구로 유아 신체발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환경인 공동 놀이실 및 강당의 현황분석을 통해 신체활동공간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경기도 S시에 국공립, 법인 외, 직장, 민간어린이집 중 무작위로 153곳을 선정하여 공동놀이시설과 강당 등 실내 신체활동 공간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세먼지 또는 황사 발생 시 유아 신체건강 증진을 위한 실내 대근육 활동 공간 또는 강당 공간이 부족하다. 둘째, 49인 이하 민간어린이집의 강당 설치 현황은 22곳 중 0곳으로 0.00%이다. 결론적으로 유아들이 실내에서도 활동적인 놀이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내놀이 공간의 확대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유아의 신체 건강 증진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를 바탕으로 어린이집 인가설치기준에 영유아 15명 이상이 실내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공동 놀이실 및 강당이 필수적으로 설치되길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spa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joint play room and auditorium, which are physical environments that influence the physical development of infants. In this regard, 153 randomly selected national, non-corporate, workplace, and private nursery schools in S City, Gyeonggi-do, surveyed the current state of indoor physical activity spaces such as joint play facilities and auditoriums.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lack of indoor large muscle activity space or auditorium space for improving infant physical health when fine dust or yellow dust could occur. Second, the installation status of the auditorium for private nurseries with 49 people or less is none, which is 0.00%.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indoor play area so that the children can be fully active in the room, which can contribute to the physical health of the child. In addit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a joint play room and auditorium, which can be used for indoor physical activity by more than 15 infants, will be installed in the child-care foundation cri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