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를 살아내는 유아의 삶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유미(Lee, YouMe),안지혜(Ahn, Jee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를 살아내는 유아의 삶을 들여다보고 유아가 체험한 현상 속에 담겨진 본질을 보다 심층적으로 기술하고 이해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코로나 시기에 어린이집 재원 중인 유아들과 이들의 생각을 지근거리에서 읽어낼 수 있는 교사 2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교사 2인과의 심층면담 자료, 유아들의 이야기와 그림표상 자료를 수집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결과 코로나 상황에서 유아가 체험한 내용과 그 의미를 분석한 결과, 첫째, 체험된 시간으로는 ‘달라진 일상’, ‘낯선 것이 적응되어지는 시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 드러났고, 둘째, 체험된 공간으로는 ‘경계지워진 공간’, ‘마주봄이 아니라 나란히나란히’, ‘어린이집은 하나의 탈출구’로 드러났다. 셋째, 체험된 감각으로는 ‘나의 일부가 된 마스크’, ‘심리적 방역이 필요해’이며, 마지막으로 체험된 관계로는 ‘관계의 단절’, ‘예민해진 부모’, ‘다시 돌아보게 되는 가정의 역할’, ‘새로운 기회’로 드러났다. 결론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재난상황에서 자칫 간과되기 쉬운 유아의 삶을 주목하고 유아의 코로나 19 체험의 본질적인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코로나 19를 통해 드러난 유아의 유능함과 우리사회 돌봄 가치의 현주소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토대로 코로나19 이후에도 유아 삶의 변화 양상에 주목할 것을 후속연구로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ives of young children surviving COVID-19 and specify and comprehend the essence conveyed in the phenomena they have experienced. Methods For the purpose, I selected young children who are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despite COVID-19 and two teachers who can read their minds. I collected resour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the children s stories and images for a phenomenological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in relation to COVID-19 and the significance, I ha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lived time can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daily life’, ‘adaptation to unfamiliar things’, and ‘unpredicted situations’. Second, lived space can be classified into ‘borderless spaces’, ‘side-by-side, not face-to-face’, and ‘child care is an escape exit’. Third, lived body is ‘mask is a part of me now’ and ‘I need psychological quarantine.’ Last, lived relationship is ‘isolation of relationships’, ‘sensitive parents’, ‘redefinition of role of family’, and ‘new opportunities.’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current study is that it focused on the lives of young children that may easily be overlooked in the pandemic situation and examined the essential meaning of young children s experience with COVID-19 on the in-depth level. I discussed the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revealed through COVID-19 and the current value of care in the Korean society and suggested further studies on the change of lives of young children after COVID-19.

      • KCI등재

        유-초 연계를 위한 유아교사 역할 인식과 실행 간 차이 분석 : 유아교사의 전문성 수준별 비교

        이유미(Lee Youme),이미현(Lee Mi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에서는 유-초 연계를 위한 유아교사 역할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실행 간 차이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유아교사의 전문성 수준별로 비교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만5세반 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를 활용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주요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초 연계를 위한 유아교사 역할의 실행정도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정도에 비해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수준별로 역할의 인식과 실행을 비교한 결과 전문성 상·하 집단 간 유-초 연계를 위한 유아교사 역할의 인식과 실행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초 연계를 위한 유아교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결과, 전문성 상·하 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사회정서 지원 및 기본생활습관 지도는 인식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아 현행 수준을 유지해도 좋으나, 학습능력 향상 및 교수계획은 인식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아 이들 역할에 대한 인식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와의 협력은 전문성 상·하 집단 간 상이한 양상을 보였으며 전문성 하 집단의 경우 인식도와 실행도 모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초연계를 위한 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aspect of the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and the practice of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for the continuity between nursery and primary education compared by the degree of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study aimed at 213 teachers for a class for five-year-olds working for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n which the SPSS is appli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e of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for the continuity between nursery and primary education showed significantly lower degree in general comparing to the perception for the importance; seco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y the degree of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isplayed in both the recognition and the practice of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for the continuity between nursery and primary education between the high professionalism group and the low professionalism group; and third,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n the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for the continuity between nursery and primary education, the both groups showed high degree of perception and practice in socioemotional support and basic life habit guidance, which indicates that the existing standard may be maintained, whereas their perception for their roles should be urgently improved as low figures was showed in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and teaching plan. Meanwhile, the both groups showed a different aspect in support with parents, and the low professionalism group in particular suggested that it is weak in both the degree of perception and practice. Based on the outcome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 for the continuity between nursery and primary educ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공정성, 유아권리인식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공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유미(Lee, YouMe),안지혜(Ahn, Jee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공정성, 유아권리인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가 유아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정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경기 및 전남지역 소재 4년제 대학 유아교육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와 AMO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측정모형의 구조적 관계 분석을 위해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공정성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식에 의한 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와 공정성, 유아권리인식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는 공정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유아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예비유아교사의 공정성은 유아권리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가 유아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정성은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유아권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이 중요해지는 오늘날, 예비유아교사의 공정성이 유아권리인식을 결정하는 요인임을 입증하고 유아교사가 갖추어야 하는 윤리적 자질로서 공정성의 가치를 조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공정성의 내용이 포함된 유아권리인식 증진 프로그램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fairness, and perception of children s right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fairness in the effect of pre-service teachers life satisfaction on children s rights percep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62 pre-school teachers who a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in Gyeonggi and Jeonnam.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program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ife satisfaction and fairness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he perception of children s rights. Second, life satisfaction of pre-service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airness, and no effect was found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 s rights. It was found that the fairness of the pre-service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 s right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fairness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pre-service teachers life satisfaction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 s right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s that the fairness of the pre-service teacher is a determining factor in the perception of children s rights, and illuminates the value of fairness as an ethical quality that an early childhood teacher must poss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roposed to develop a program to promote perception of children s rights including fairness for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청각 영상자극에 따른 유아의 전두부 뇌파반응에 대한 연구

        이유미(Lee, YouMe),남효순(Nam, Hyo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본 연구는 시청각 영상자극에 따라서 유아의 전두부 뇌파반응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측정을 실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2명으로, 뇌파 측정 장비(QEEG-4)로 유아 별 기초뇌파를 측정한 후 시청각 자극으로 선정된 다큐멘터리 영상과 애니메이션 영상물을 차례로 제시하고, 이를 통해 두뇌의 안정 상태와 긴장 상태를 의미하는 알파파와 베타파의 상대파워에 대한 뇌파활성 반응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영상 자극 간의 뇌파활성도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설계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알파파의 상대파워 지수는 기초자극, 다큐멘터리 영상자극, 애니메이션 영상자극 순으로 활성화 되었다. 둘째, 베타파의 상대파워 지수는 애니메이션 영상자극, 다큐멘터리 영상자극, 기초자극 순으로 활성화 되었고, 영상자극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디지털시대에 살아가는 유아들이 생활 속에서 일상적으로 접하게 되는 다양한 영상자극들이 두뇌의 활성 뿐 만 아니라 정서 안정성이나 감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an attempt to examine how young children s prefrontal EEG(Electroencephalogram) response may differ according to the audio-visual image stimulation, this study measured EEG. The subjects were 22 five-year-old children attended at day care centers. The study first measured basic brain waves using EEG measuring(QEEG-4) devices and suggested documentary images and animation images selected for audio-visual stimulations one by one. Based on these, the study measured brain activity indexes regarding relative powers between Alpha wave and Beta wave meaning the state of stability and that of tension respectivel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lative power indexes of Alpha waves were activated in the order of basic stimulation, documentary image stimulation and animation image stimulation. Second, relative power indexes of Beta waves were activated in the order of animation image stimulation, documentary image stimulation and basic stimulation. And there emerg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mage stimul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diverse range of image stimulations children experience at this digital era may have an impact not only on brain activation but also on their emotional stability or feelings.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과의 관계

        이유미(Youmee Lee),정주리(Juri Joeng)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이 연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간의 관계, 성별과 계열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 성별, 계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G광역시 3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51명을 대상으로 지필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시험불안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신감은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걱정과 정서 모두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기조절 효능감은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걱정과 부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서 성별과 계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신감을 보였고,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정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연계열의 학생들이 인문계열의 학생들보다 전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과 계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기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신감만이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걱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정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신감이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첫째, 성별과 계열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서 차이를 발견함으로써 각 집단에 따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시험불안을 낮추기 위해 상이한 개입방법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시험불안의 하위요인들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고등학생의 시험불안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에 대처하기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어떤 하위요인에 개입해야 할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시험불안을 낮추기 위해 자신감을 높이고, 자신의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난이도의 과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격려해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with a sample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ir’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level. A total of 515 surveys were analyzed (189 men, 362 women). A correlation analysis, t-tes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date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by gender (men vs. women) and maj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s. sciences and engineer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was negatively related to test anxiet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by gender and major. Specifically, 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levels of the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and self-confidence sub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than female students did. In addition, students majoring in sciences and engineering reported higher level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subfactor than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did. Only the self-confidence subfactor of academic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worry subfactor of test anxiety. Furthermore, the self-confidence and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sub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emotion subfactor of test anxiety. The implications for teachers, school counselors, and resear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보금자리주택지구의 사업과정 및 디자인 다양화를 고려한 총괄계획가에 의한 디자인조정체계 분석 연구

        이유미(Lee, You-Mi),염철호(Youm, Chirl-Ho),박광재(Park, Guang-Jae),노수미(Noh, Soo-Mi)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1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sign coordination system by master planner which is meditated and connected with various designs for creating integrated spacial environments for the design process and the diversity of design in the Bogeumjari Housing Site. To do so,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focused group interviews, individual interviews and a workshop.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asic design coordination system by Master Planner is composed of master planner, engineering company, master architect and block architect, (2) the another design coordination system for design competition is made up of master planner, engineering company, project architect/project manager and block architect, (3)the another design coordination system for large-scale housing construction plans consists of Master Planner, engineering company, master architect, master designer/total designer, (4) the problem of the design coordination system by master planner are the ambiguous role, the limitation of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the unsatisfactory design management system, the disconnected public design works, (5) the necessity to activate of the design coordination system and the revision of related code for cracking down the problems.

      • KCI등재

        이솝이야기에 기초한 교육연극 활동이 유아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이승복(Lee, SeungBok),이유미(Lee, YouM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이솝이야기에 기초한 교육연극 활동이 유아의 자기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K지역 소재 O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세 유아 16명이다. 이 중 실험집단인 8명의 유아에게 연구자가 개발한 이솝이야기에 기초한 교육연극 활동 교수모형을 2018년 4월 2일부터 5월 26일까지 8주간 총 30회 적용하였다. 자기표현력은 변창진과 김성회가 재구성한 척도를 활용하여 활동 사전 사후 2회 측정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Mann-Whitney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이솝이야기에 기초한 교육연극 활동으로 인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자기표현력 음성언어’ 항목과 ‘자기표현력 신체언어’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표현력 내용언어’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집단 간 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솝이야기에 기초한 교육연극 활동 교수모형이 만 3세 유아의 자기표현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향후, 교육연극 활동과 유아의 자기표현력 증진 교수모형에 관한 후속 연구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ducational play activity based on Aesop story on the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infants aged 3 in the O kindergarten located in K district.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educational play activity based on Aesop story developed by researchers was applied to 8 infant in experimental groups. The period was 8 weeks from April 2, 2018 to May 26, 2018 and applied 30 times in total. Self-expressive ability was measured by two measures of pre-test and post-test using the reconstructed scale of Byun and Kim(1980). The Mann-Whitney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s of self-expressive phonetic language and self-expressive body languag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due to the educational play activities based on the Aesop stor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self-expressive content language .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This study proved that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educational play activity based on Aesop story has a meaningful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of 3 year old infants. In the future, we intend to be the basis of the follow up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educational paly activity and improving the self -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중국 출신 고학력의 두 어머니가 자녀양육 과정에서 구성하는 ‘다문화’의 의미

        이상미 ( Lee Sangmi ),이유미 ( Lee Youm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출신 고학력의 어머니가 자녀양육과정에서 구성하는 ‘다문화’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국 한족과 조선족 출신 석사학위 이상의 고학력 어머니 2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국 출신 고학력의 두 어머니가 자녀양육과정에서 구성한 ‘다문화’의 의미는 첫째, ‘인정할 수 밖에 없는 팩트’, 둘째, ‘활용하기 나름의 자원’, 셋째, ‘스스로 선택한 거리’로 나타났다. 즉, 연구 참여 어머니들은 한국사회 다문화가정의 범주에 매몰되지 않고 학력이 주는 문화적 자본을 토대로 자신의 상황을 유연하게 수용하며 ‘다문화’의 의미를 주체적으로 재구성해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 여전히 존재하는 다문화가정에 대한 정형화된 이미지 재고와 글로벌 시대에 부응하는 다문화가정 지원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meaning of ‘multiculture’ that highly-educated mother from China constitutes in the course of child rearing.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selected two highly-educated Chinese mothers (1 Han Chinese, 1 Korean-Chinese respectively) with master’s degree or above who reside in the metropolitan area as study participants. For the data collected after having an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Study results show that the meaning of ‘multiculture’ that two highly-educated mothers from China constituted in the course of child rearing was First, the fact they cannot but accepting, Second, resource that they can take advantage of and Third, voluntarily distantiating. In other words,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reconstituting the meaning of ‘multiculture’ autonomously accepting one’s own situation flexibly based on the cultural capital coming from their academic ability without being buried in the category of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come base data for improving standardized image of multicultural family that still exists in our society and preparing a policy for supporting multicultural families that comes up to the global age.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유아교사 자질 인식 간 관계 비교연구

        이상미(Lee, Sangmi),이유미(Lee, Youm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3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유아교사 자질 인식 간 차이 및 두 변인 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 내 서울에 소재한 4년제 대학 2곳과 중국 내 북경에 소재한 4년제 대학 2곳에 재학 중인 2, 3, 4학년 예비유아교사 386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유아교사 자질 인식 수준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행복감 수준은 중국 예비유아교사가 한국 예비유아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유아교사 자질 인식 수준은 한국 예비유아교사가 중국 예비유아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유아교사 자질 인식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행복감 수준에 따른 유아교사 자질 인식 수준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한국 예비유아교사들은 행복감 수준에 따라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 중 ‘전문적 지식’ 인식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중국 예비유아교사들은 행복감 수준에 따라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 인식과 개인적 자질 인식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배경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행복감이 한국과 중국 예비유아교사 모두에게 전문성을 갖춘 유아교사로 성장하도록 돕는 중요한 심리적 기제가 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feeling of happiness and perception of infant teacher quality among pre-service infant teachers in Korea and China as well as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variables. For this,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386 pre-service infant teachers of 2nd, 3rd, 4th grade undergraduates at two four-year-course colleges located in Seoul Korea and Beijing China respectively.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vels of feeling of happiness and perception of infant teacher quality of pre-service infant teachers in Korea and China. In the aspect of the level of feeling of happiness, Chinese pre-service infant teachers had the higher level than that of the counterpart. While, in the aspect of the level of perception of infant teacher quality, Korean pre-service infant teachers had the higher level than that of the counterpart. Second, among pre-service infant teachers in both countries,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feeling of happiness and perception of infant teacher qualit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perception of infant teacher quality depending on the level of feeling of happiness, Korean pre-service infant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at the perception of "expertise" out of professional qualities of infant teachers depending on the level of feeling of happiness. While, Chinese pre-service infant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of professional quality and personal quality depending on the level of feeling of happiness. This study might have its implications for that feeling of happiness could be an important psychological capability helping pre-service infant teachers in both countries grow as an infant teacher equipped with professionality as well as that this feeling of happiness could distinctly affect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infant teachers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background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자기개발 욕구와의 관계에서 교사 자긍심의 매개 효과 분석

        안지혜 ( Ahn¸ Jeehye ),이유미 ( Lee¸ Youm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자기개발 욕구와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서 교사 자긍심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본 설문조사에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힌 서울과 경기지역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현직유아교사 254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자기개발 욕구, 교사 자긍심은 양호한 수준이며 유아교사의 근무기관 유형 및 근무시간에 따라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자기개발 욕구, 교사 자긍심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가 자기개발 욕구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자긍심이 이들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교사 자율성, 전문성과 관련하여 오늘날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임파워먼트가 어떻게 교사의 자기개발 욕구로 이어지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으로서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 교사 자긍심의 가치를 입증하였다는 것이다. 본 결과를 토대로 우리사회에서 교사 자긍심을 향상시킬수 있는 근무여건 개선 및 교육의 대상자가 아닌 학습공동체의 주체로서 교사교육의 방향 전환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mediated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as a variable tha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self-development desire. Subjects to be studied were 254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ently work for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who would like to voluntarily take part in this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self-development desire, and self-esteem were observed to be good and al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s they work for and how long they work.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self-development desire, and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m. Thir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was observed to partially mediate the effects of empowerment on self-development desi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nswers how the empowerment, to which growing attention being paid today, leads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evelopment desire and that it proved the valu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in terms of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ased on the results,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s that would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and switching teacher education strategies as the main agent of learning community a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