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과정 비교

        김영연,장선진,김수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과저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특기?적성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균형 있는 교육과정 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의 내용과 범주, 프로그램의 양이 학교별, 학년별로 어떻게 다른지, 프로그램을 과학의 세부분야인 생물, 화학, 지구과학, 물리, 환경으로 나눈다면 특별히 중점을 두고 있는 분야가 어떤 것인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인터넷 검색과 이메일 면접 그리고 문헌조사를 택하였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과학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최근 몇 년동안 운영하는 학교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였고 미국에서는 4개 대학과 1개 초등학교였다.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와 미국의 특기?적성교육제도는 공히 학생들의 방과후 교육활동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시행기관과 수혜자가 같은 기관이었지만 미국은 대학과 지역사회의 개입으로 인하여 공급자와 수요자가 다양한 형태이다. 담당영역은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어를 위시한 정규교육관련이었지만 미국은 폭력 예방, 레크레이션 등의 사회교육적 내용이었다. 둘째, 우리나라와 미국 모두 초등학교 4학년에 프로그램이 편중된 졍향이었다. 셋재, 내용별 분석에서 우리나라는 인체에 대한 프로그램, 색소분리, 다양한 지구과학이 많은 반면 미국은 생태학, 다양한 화학, 기상학, 천문학, 화석학, 환경 관련 프로그램이 많았다. 또한 우리나라와 미국은 공통적으로 전기와 에너지에 관련된 다양한 물리 분야를 다루는 프로그램이 많았다. 다섯째, 학년에 따라 개설 프로그램이 특징을 보였다. 생물분야에서 우리나라는 2학년, 미국은 4학년에 많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구과학분야는 우리나라는 3~4학년, 미국은 3학년에게 많은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물리분야는 우리나라는 1~2학년에게 미국은 4학년에게 많은 양의 프로그램수를 제공한다. 환경분야는 양국 모두 매우 부족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중점분야는 화학, 물리 순이었고 취약분야는 환경, 생물, 지구과학 순이었던 반면 미국의 중점분야는 생물이었고 취약분야는 화학, 물리, 지구과학 순이었다. The current after-school science curricula both in Korea and the USA were examined and compared in order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in science after-school curriculum in Korea. Information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searching as well as email and telephone communication with teachers. Five Korean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s in addition to four American university extension programs and one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quantity, contents and way of management of the programs as wel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 the educational institute is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object of education is also schoo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n the USA, however, educational institutes are elementary school, university, and community center.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number of the programs, indicated that the maximum numbers of program were found in the 4th grade in both countries. However, Korean elementary schools open more subjects in after-school science program than American institutions do. Third, Korean curricula emphasize the fields of physics and chemistry more than other fields, but U. S. A focused on the biology and earth science, In conclusion, students of both countries should learn the knowledge of all kinds of science fields.

      • KCI등재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의 의미와 구성 체계 탐색 : 우리나라 과학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예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8 교육과학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과학교육과정에 대한 시야를 넓히고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의 의미와 구성 체계 및 특징을 탐구하는 것이다. 문헌 검토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의 의미를 검토한 결과, 이것은 지역화된 미국 교육 체제의 특성상 모든국민에게 질 높은 과학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국가 개입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등장했으며, 과학교육의 목표를 ‘과학적 소양 함양’으로 규정하고 그에 도달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 평가하는 길잡이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둘째, 국가과학교육기준의 구성 및 체제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이것은 상호 관련된 6개의 하위 기준들을 제시하고 있었다. 기준들의 특징을 살펴보면, 교사의 역할과교육이 강조되고 있고, 과학 평가와 학습내용의 범위가 확장되어 상세하고 다양한 수준에서 제시되고 있으며, 교육체제와 정책에 관한 지침을 두어 과학교육의 총체적인변화를 시도하고 있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이 우리나라과학교육과정 개정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한 결과로써, 과학교육의 목표는 충분한 물적?인적 자원을 기반으로 실제적인 사회문화적 요구조사 및 연구를 통해 장기적 비전을 제시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정의 범위가 교사 교육을 비롯한 현실적 지원 및 정책계획에 이르기까지 확대되어야함을 제의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의 개발과정을 반성하고, 그 과정에 교육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실제적 지원방안과 정책적 결정까지 포함하도록 과학교육과정에 대한 시각이 변화해야 함을 권고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the structure of NationalScience Education Standards(NSE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gain insightsfor science curriculum reform in Korea. Findings from the literature reviews are as follows. First, NSES appeared as theneed of national leadership increased to provide high quality science education to allstudents, in the context of highly localized education system. It serves as a guidelineof 'what and how to do' in order to achieve 'the scientific literacy,' which is theultimate goal of the science education. Second, NSES presents six interrelated standardsto attain scientific literacy. For the holistic change of the science education, thosestandards emphasize a)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teachers' role and the need ofprofessional development for science education reform; b) to expand and diversify theareas of science contents and the ways of assessment; and c) to provide criteria toselect school science programs as well as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policies. The investigation of NSES provides useful insights toward science curriculumreform in Korea: a) the goal of sciences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providelong term vision, which reflects its own societal demands; b) the scope of sciencecurriculum reform should be extended to contain actual plans for teachersprofessional development, financial resource, policy making, and so on. The studysuggests that the future science curriculum reform in Korea should consider how tosupport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terms of financial support and educationalpolicy based on the vision of the thing which is needed to sustain change.

      •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유치원 교육과정의 역사적·철학적 기초

        이은화,이정환,이경우,이기숙,박은혜,홍용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1997 교육과학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유치원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유치원의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이론적 근거를 역사적ㆍ철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화유치원 설립 당시부터 현재까지의 교육과정의 성립 및 변천과정과 철학적ㆍ심리적 사조를 살표보고 이들의 영향이 이화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부분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1914년 한 미국인 선교사에 의해 설립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유치원은 설립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며 선도적 역할을 담당해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과정의 측면에서는 유아들의 전인발달 특히 사회ㆍ정서적인 발달을 중요시하고 우리의 전통사상과 기독교정신, 진보주의 이론 및 구성주의가 그 철학적ㆍ심리적 기초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the curriculum for Ewha Lab Kindergarten.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mainly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wha Lab Kindergarten, which was founded in 1914, is the very first kindergarten for Korean children. It has played the leader's role of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since then. Second, the curriculum of Ewha Lab Kindergarten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 kindergartens' from its beginning in the sense that it was based on the firm belief of child-oriented philosophy. Third, essence of the curriculum for Ewha Lab Kindergarten has remained the same despite of its several changes. It has put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child, especially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child-oriented curriculum which is based on the child's interests and experiences. Fourth, the curriculum for Ewha Lab Kindergarten was influened by several philosophies and psychological theories. Among those, Korean traditional thoughts, Christianity, Progressivism, and Constructivism are the most salient. Because Ewha Lab Kindergarten was founded by American missionary, Christianity was the basis for the curriculum. Examples can be that hymns, prayer, and bible stories are included in the curriculum and Easter, Thanksgiving, and Christmas are also celebrated. Perspectives on the purpose of education,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the teacher's role were influenced by Korean traditional thoughts. The contents, teaching strategies, the teacher's role,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were heavily influenced by both Progressivism and Constructivism.

      • KCI등재

        과학의 본질과 과학교육에 관한 구성주의적 관점

        서예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7 교육과학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과학 교수학습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보다 적절하고 의미 있는 과학경험을제공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과학적 지식의 본질과 과학교육에 관한 철학적 관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전통적으로 과학적 지식은 실증주의의 영향력 하에 실재를 반영하는 객관적 진리로 여겨져 왔다. 따라서 과학교육은 과학적 지식의 암기와 표준화된 양적 측정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과학적 지식의발생 및 발달과정의 특성에 관한 연구들은 사회적이고 주관적인 과학적 지식의 본질을밝혀주었다. 이렇듯 과학에 관한 맥락적 성격을 강조하는 철학관으로서 구성주의는 과학학습에 있어서 학습자의 인지구조와 경험의 질적 변화 및 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의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발달하였다. 최근, 구성주의는 고도로 다원화된 현대사회의 특수성으로 인해 보다 정교한 형태의 사회문화적 구성주의로 발전하였는데 주로 권력과 문화의 측면에서 과학학습에 관한 평등성과 수월성에 문제를 제기한다. 이러한 시각은과학의 교수학습에 있어 다양한 학습자들의 관심과 요구가 사회적 주류집단의 이익에의해 간과되지 않아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진정한 과학교육을 위해 모든학생들에게 이미 규정된 동일한 과학교육과정과 방법을 적용하기보다 서로 다른 사회문화적 가치와 기대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과학을 가르치고 배울 것을 제안한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the nature ofscience and scientific knowledge as a basis to understand the complexities of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s well as to provide meaningful science learningexperiences for learners. Through examining literature, it is revealed thatscientific knowledge has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ofobjective truth or reality, under positivism. However, close examinations of howscience has developed disclose that subjective and social factors play a crucialrole in the prod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By challenging the predominantview of knowledge and science, constructivism has been developed as a newphilosophical perspective by stressing the cognitive structure to be found in theindividual learner and focusing on the 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Recently, constructivism has been elaborated in the form of socioculturalconstructivism, addressing the issue of equity and excellence in science learningin terms of power and culture. Such a perspective emphasizes that the voicesand interests of some groups of learners should not be privileged at the expenseof others. The study suggests tha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ought to bedeveloped in a way to acknowledge different sociocultural values and demandsfrom diverse learners, rather than to provide same science curriculum andmethods for all of them.

      • KCI등재

        방과후 예술치료교육 실태 및 교사들의 인식 조사

        정현주,정여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을 위해 제공되고 있는 예술치료교육의 형태와 목적,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학교 현장의 필요와 요구에 따른 예술치료교육 프로그램의 내실화 방안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는 일반 교사 82명과 특수교사 30명, 총 112명이 설문 조사에 참여하였다. 조사 결과, 일반학교의 경우 평균 주 5-6회, 특수학급/학교의 경우엔 2-3회로 예술치료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었다. 일반학교는 미술치료 실시가 가장 높았으며 특수학급/학교에는 음악치료가 가장 높았으며, 프로그램 운영 목표로는 심리적 이완 및 정서 안정이 가장 높았다. 학교 현장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정서행동 문제로는 감정 충동조절, 집중력 결핍 문제, 또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정서·행동문제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93%가 '그렇다’고 동의하였고, 응답자의 55%가 이러한 문제를 다루기 위해 예술치료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방과후 학교 외에 예술치료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항에서는 ‘학교 상담망을 통한 방안’이 가장 높았으며, 예술치료교육 프로그램의 질 강화를 위해서는 ‘심리치료 및 치료교육의 현장 경험’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 학교 현장에 나타나고 있는 학생들의 정서 및 행동 문제를 위한 방안으로 학교 중심의 특성화된 예술치료교육이 체계화되어야 하며 보다 질높은 전문가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firstly, to examine the facts on the Arts Therapy Education Programs (ATEPs) in the after-school setting and secondly, to find out about the teachers' perceptions on its needs. The schools were selected by contacting music therapists, art therapists and dance/movement therapists who were working in school settings. Survey was administered to 112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ATEPS as an after-school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in regular school settings, an average of 5-6 group sessions took place, whereas in special school settings or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an average of 2-3 group sessions took place. For students without any disability, art therapy was most frequently offered, whereas for those with disabilities, music therapy was the most frequently offered program. Teachers perceived that the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such as, impulsive behaviors, attention deficit, and lack of social skills were becoming severe in school settings. Most of the participants (93%) responded that school needs efficient interventions for the stud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s one of the strategies, some participants (55.3%) responded that ATEPs may work as an alternative one. As for the objective of the program, alleviating emotional tension was rated highest for all schools. Lastly, on the question asking for other ways of offering ATEPs besides after-school, the highest rated response was ‘through school counseling’. Results also showed that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ATEPs, field experience of therapists was the most vital factor. At the same time, professionally developed arts therapy contents in music, art, dance and movement are warranted.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영재교육에 대한 대중 인식 분석

        김주아,이경숙,이제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4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level and trend of interest in gifted education, analyzing the results of text-mining of gifted education related texts collected from representative newspapers and analysis of the Naver social networking service "Knowledge In(Jishik In)”Q&A. Texts on gifted education were collected from 2,026 questions and answers in the Naver "Knowledge In(Jishik In)” Q&A for 5 years between March 2012 and February 2017, and 934 articles from 9 daily and 10 financial newspapers in Korea. Through text mining,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texts and they were visualized by word cloud. Results indicated that gifted education was appeared with schools, educational centers for gifted students mathematics, science, study, tests and preparations etc., so that it was highly co-appearing with entering academy for the gifted, science gifted schools and foreign language schools. Because of heavy focus on math and science, unbalanced subject interest was found. Words related to educational performance such as winners of arts or ballet competitions and International Olympiads appeared frequently. The year-long comparison shows that the number of articles of interest in gifted education is decreasing as a whole, but interest in gif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increasing 본 연구는 영재교육에 대해 일반 대중이 가지는 사회적 관심과 인식 분석을 통해 영재교육의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2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지난 5년 간 네이버지식인 플랫폼에 올려진 영재교육에 대한 질문 2,026건과 9대 일간지와 10대 경제지의 영재교육관련 기사 934 건에 대해 텍스트 마이닝을 수행하였으며, 연관어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시각화하였다. 네이버 지식인의 질의 분석 결과 영재교육에서 학교, 영재교육원, 수학, 과학, 공부, 시험, 준비 등이 많이 출현된 단어로 영재교육이 영재학교나 과학고 등 특수목적고등학교 입학과 동시출현이 높았다. 다른 영역에 비해 수학, 과학의 출현 비중이높아 영재교육에서 영역 편중을 보여주고 있다. 언론 기사에서는 예술, 발레 콩쿠르와 올림피아드 수상 같은 교육성과 단어의 출현이 높았다. 연도별 비교에서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 기사 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유아에 대한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북한 교육에서 사교육 활용의 양상과 그 의미

        조현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5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ctual use of private education in North Korea in multiple layers and reveal its meaning. Study results show the following patterns of private education use in North Korean education. First, the use of private education in North Korea's daily education was subdivided into a generalized phenomenon of private education, private edu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word of mouth, and an implicitly allowed private education market. Second, supply and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was divided into the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the form of private education providers, and the space where private education takes place. Third, the influence of parents on private education was found to create an educational gap in terms of parents’ unconditional prioritizing of their children, the planning of their children’s careers, and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The meaning of the use of private education derive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parentalism” that fosters “artificial talent” is emerging. Parents’ support for thei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is the result of human instinct to pursue more education as quality of life improves, but parentocracy disguised as meritocracy is reproducing educational inequality socially and culturally, justifying the social exclusion of groups who cannot participate in private education. Second, the socio-cultural duality of the enthusiasm for education has appeared. North Korea's enthusiasm for education has positive aspects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through fostering science and technology talent, and negative aspects such as an educational gap and class division in terms of socio-cultural aspects according to parents’ affection and desire for their children. Parents in North Korea are using strategies for their children to obtain good jobs by being rewarded through institutional school education, while justifying their dominance through private education. 본 연구는 북한의 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사교육의 실제를 다층적으로 탐색하고 그 의미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북한 교육에서 사교육 활용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교육 일상에서의 사교육 활용은 사교육 현상의 일반화, 입소문으로 전해지는 사교육 정보들, 암묵적으로 허용되는 사교육 시장으로 세분화되었다. 둘째, 사교육 수요 및 공급 형태는 사교육 수요의 요구, 사교육 공급자 형태, 사교육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사교육에 투입되는 부모의 영향력은 자식은 무조건 내세우기, 자녀 진로의 설계자, 부모 능력에 따른 교육격차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사교육 활용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 수재’를 만드는 ‘부모주의’가 부각되고 있다. 자녀의 사교육에 투입되는 학부모의 지원은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더 많은 교육을 받고 싶은 인간의 본능에 따른 결과이지만, 업적주의로 포장된 부모주의는 사교육에 참여하지 못하는 집단에 대한 사회적 배제를 정당화하면서 사회문화적으로 교육불평등을 재생산하고 있다. 둘째, 교육열의 사회문화적 이중성이 나타났다. 북한의 교육열은 과학기술인재 양성을 통한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긍정적 측면과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애정과 욕망에 따라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교육격차와 계층분화라는 부정적 측면을 모두 내포하고 있다. 북한의 학부모들은 사교육을 통해 자신의 지배를 정당화하는 동시에 제도권 학교교육을 통해 보상을 받으며 자녀의 좋은 직업 획득을 위한 전략을 활용하고 있다.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교육과정 및 연령을 중심으로

        김희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7 교육과학연구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학습자의 교육과정/연령별에 따른 목표지향성 및 자기효능감이 어떤 차이를 나타내 보이는지 규명함으로써, 향후 평생교육기관에서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충남지역에 소재한 C, K 대학교의 평생교육원과 M, Y 평생학습기관의수강생 26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성인학습자의 교육과정을크게 직무기술향상 과정, 자격증 과정, 교양교육 과정으로 대별하였고, 연령은 35세 이하, 35-45세, 46세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검사지는 목표지향성검사와자기효능감검사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11.0 v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변량분석이 실시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성인학습자의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교육과정에 따라 숙달목표지향 및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셋째,성인학습자의 연령에 따라 숙달목표지향 및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때 성인학습자의 수강과정이나 연령에 따른목표지향성이나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인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the adults' goal orientations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types of adults' age and curriculum.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questions that this study addresses to answer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 significantcorrelation between adult learners' goal orientations and self-efficacy? Secon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adult curriculums in the degree of their goal orientations and academic self-efficacy? Thir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their goal orientations and academic self-efficacy as function of ages?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264 adult learners. The survey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Goal Orientation Scale and Self-efficacy Scale. The reliability coefficients(Cronbach α) of these scales were .82 and .79 respectively.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for data analysis were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ANOVA by SPSS for win(11.0 v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dult learners' goal orientations and self-efficacy.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curriculums in the degree of their mastery goal orientations and academic self-efficacy.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their goal orientations and academic self-efficacy as function of 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