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당 함유 식품 섭취 증가가 어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시경,황은선,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7 자연과학 논문집 Vol.13 No.-

        우리나라는 지난 20년간 설탕소비량이 무려 20% 가까이 증가했고, 간식으로 인한 설탕 섭취량 증가는 아동의 식생활을 변화시킨 중요한 요인이 되었음에 불구하고 우리나라 아동의 설탕섭취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식품에 첨가되는 설탕은 열량만을 낼 뿐 그 외의 영양소는 들어 있지 않으므로 "빈(empty) 영양소"라고 불리며, 많이 섭취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영양소가 풍부한 다른 식품의 섭취가 적어져 영양불균형 상태를 초래할 수도 있다. 설탕으로부터 손쉽게 얻는 과도한 열량은 체지방으로 쉽게 축척되어 1차적으로 비만을 야기할 뿐 아니라, 당뇨병, 고지혈증, 충치, 과잉활동장애와 같은 2차적 문제들에 대한 심각성이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 당류 소비현황과 어린이 기호식품의 당함량 실태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 분석 및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 가공식품의 총당(total sugars) 함량표시는 의무화되어 있지는 않으며 과다한 당 섭취를 막고 과잉의 당 섭취로 인한 비만 등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총당(total sugars) 함량 표시는 시급하다. 어린이 및 청소년의 건강관리, 비만예방을 위한 당 함량 및 영양성분표시의 의무화가 필요하며, 어린이 기호 식품에 대한 정보를 어린이가 이해하기 쉽게 표기하여야 한다. 나아가 어린이는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는 시기인 만큼 바람직한 정책제시와 올바른 교육을 통하여 무분별한 당 섭취로 인한 어린이의 건강의 문제발생을 예방하고자 한다.

      • 골다공증의 위험인자 : 아산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김용배,장원기,황보영,김화성,안규동,이병국,이용진,이남수,이상건,이상범,이상우,이선정,이성수 순천향대학교 2006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2 No.1

        Objective : As the average lifespan of human increases, osteoporosis and osteoporosis-related fractures have become major health care problems. Despite recent advances in medical treatment, few studies have assessed the recognition of osteoporosis in general adults. This study examined the recognition of osteoporosis and analyzed the relating factors. Method : A population-based sample of 1086 adults in Asan-city, Korea was investigated with questionnaires and height, weight, Information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gender, age, economic state), lifestylef exercise, smoking, alcohol),medical history(progestin, GH, steroid, calcitonin, PTH), demographic parameter, obesity, stress, and family history was collected through an interview using a structural questionnaire. The level of obesity was measured by the body mass index(BMI). BMD(Bone mineral density) at the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Osteoporosis was considered to be T-score below -2.5. Results :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creased progressively with age, decreased with BMI and predominant in women by the result of x^(2) -test, T-test. Age, weight, BMI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steoporosis by the result of Pearson correlation ana1ysis(P<0.05). And age, gender, BMI, family history of osteoporosis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by the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P<0.05).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e, gender, BMI might be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And the history taking about family history of osteoporosis is helpful for diagnosing osteoporosis.

      •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관련변인 연구 : 시각장애·청각장애·지체부자유 학생을 중심으로 with special emphasis o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riment, and physical disabilities

        김은주,김동일,최종근,노선옥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5

        본 연구는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실시된 조사연구로서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 고등부 1학년 학생 중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3)에서 실시한 국가수준교육성취도 평가의 참여가 가능한 707명이 그 연구대상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연구협의회, 전문가 검토, 검사 방법의 수정 및 조정 작업, 평가 실시를 위한 설명회 개최, 학업성취도 평가 실시, 장애 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관한 설문 조사 실시로 이루어졌다. 자료는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결과 선택 형 문항의 득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의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한편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과 성취도에서 얻은 평균의 차이를 변량분석, 또는 상관 분석하였다. 또한 장애 학생들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필요한 경우 2002년 국가 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연구-총론-(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3)에서 제시된 일반 학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부 6학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항목별로 결론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성별로 학력차가 나지는 않으며 장애 유형별로도 차이가 크지 않으나 일반 학생에 비하여 학력이 낮은 편이다. 한편 배경변인에 있어 장애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TV/비디오시청, 진학 포부 수준, 대화의 빈도, 취미생활과 집안일을 돕는 정도 등이며 지체부자유 학생은 TV/비디오 시청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진학포부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청각 장애 학생은 집안 일을 많이 거들지만 진학포부 수준은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 학생은 취미생활에 대한 대화를 많이 나누지만 집안일은 거의 돕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의 배경 변인 중 일부는 장애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설명력은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청각장애 학생의 경우 수학에 대한 설명력을 지닌 변인은 아버지의 학력, 학교숙제 수행방식, 수업 내용 이해 정도. 학습지 활용 정도,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 구성 변인 등이었으며, 국어과의 경우 장서보유 정도, 국어 공부에 대한 대화 빈도, 국어 교과에 대한 가치 인식과 성차 인식이었다. 지체부자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에서는 학생의 중요 덕목에 따라 국어와 수학 두 교과에서 설명력을 지녔으며 교과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의 경우 수학과 에서만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시각장애의 경우 TV/비디오 시청 정도는 영어 교과에서 성취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은 2002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결과 보고된 일반 학생의 경우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일반 학생의 경우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전체 변인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따라서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본 연구의 변인이라고 할 수 있는 학생 개인변인으로 설명될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학부 3학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항목별로 결론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초등부 6학년과 마찬가지로 성별로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과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을 뿐 다른 장애 유형별 남녀 집단 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 학생에 비하여 학력이 낮은 편이다. 한편 배경변인에 있어 장애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TV/비디오시청, 진학 포부 수준, 대화의 빈도, 취미생활과 집안일을 돕는 정도 등이며 지체부자유 학생은 TV/비디오 시청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진학포부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부 6학년과 같은 형태를 보였다. 한편 중학부 3학년은 일반 학생과 비교해 볼 때 숙제 도움 대상에서 특히 부모의 도움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진학에 관한 대화가 적은 점은 특히 일반 학생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일반 학생의 경우 부모의 도움을 받는 경우가 드물고 진학이나 취업에 대한 대화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 학생의 경우 일반 학생에 비하여 늦은 시기까지 부모의 도움을 받는 한편 진학이나 진로에 관하여 아동과 부모 모두 불투명한 전망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부 6학년과 같이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설명력은 크지 않다 고 할 수 있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 학생의 중요 가치와 진학포부수준, 국어 공부를 하는 이유, 국어 수업 내용 이해 정도에 따라서는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서 활용 정도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수학의 통계적 유의 차가 검증되었을 뿐이다. 셋째, 고등부 1학년의 교과별 평균과 성차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고등부 1학년의 경우에도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과 마찬가지로 일반 학생에 비하여 낮은 성취 정도를 보이는 한편 성취 정도의 차이는 고등부 1학년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대화의 빈도의 경우 진학이나 직업 선택에 대한 대화가 늘어나지만 다른 대화 내용은 줄어들고 진학포부 수준의 경우 특히 청각장애 학생이 낮고 모호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체부자유 학생의 경우 일반 학생 및 다른 장애 유형의 학생에 비해 독서 시간과 TV/비디오시청 시간이 긴 것은 고등부 1학년 학생의 배경 변인에서 나타나는 특성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숙제 도움 대상 면에 있어서도 전 장애 영역에서 여전히 부모의 도움을 많이 받는 점과 학습과 관련한 행동 통제가 어려운 대신 자아 효능 감과 학습전략이 향상되는 점 역시 학생의 배경변인에서 나타나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고등부 1학년 역시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과 같이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가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 내용으로는 학생의 중요 덕목과 수학공부를 하는 이유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수학, 진학포부수준에 따라서는 지체부자유 학생의 국어와 수학, 어머니의 학력, 학교 숙제 수행 방식에 따라서는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에서만 통계적 유의 차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관련 변인이 증가하거나 감소 하는 정도에 따라서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일관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고 특정 항에 있어 증가하는 경우가 많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변인이라 할지라도 학생의 지원을 위한 일반화 자료로 쓰기에는 무리가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장애 학생은 장애의 강점과 약점이 강하게 반영될 수 있는 배경변인에 있어서 장애 유형별로 빈도의 차이를 나타내지만 그렇지 않은 배경 변인에 대해서는 장애 유형별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업성취도와 배경변인과의 관계에서 전체 장애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 변인은 없으며 한 장애 유형에서 여러 교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역시 초등부 6학년 과정의 학생의 덕목밖에 없어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가져오는 강력한 변인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배경변인에 따른 학력차이가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은 장애 유형과 학년에 따라 달라지며 학생의 개인 변인은 학년이 증가할수록 설명력이 약해진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and related vari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7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or physical disabilities who were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first grade of high school and were able to participate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executed by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As for the methodology of study, this study utilized literature search, research council, expert reviews, correction and adjustment work of research method, information forum for the execution of academical achievement test, poll on national level academical achievement test, etc. Resources were utilized as follows. First,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calculated only from the right answers for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one point were granted to each right answer in 6th grade, and two point in 3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1st grade in high school. Second, Variation that could exercise influence o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was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Thir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vari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vari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lso, the outcome from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compared to the outcome from non-disabled students presented by national level academical achievement test, 2002 introduction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003).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process and outcom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nder gap was not significant in scholastic ability of the disabled students except for Korean class of visually impaired middle school third grade students. The gap was not so big for types of disabilities but it was safe to say that more proportion of disabled students showed slow progress in basic education than non-disabled students. Second, the actual condition of variation related to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disabled students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individuals and famili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 worse situation than non-disabled students are, especially in their parents' scholastic ability and jobs. 2)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inly did homework as activities directly related to study and they showed high level of dependency on their parents with their homework. 3)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ed poor scholastic strategies in terms of self-control in learning attitude composed of scholastic strategies, attitude control, and self-efficacy. They suffered difficulties in controlling their attitudes. Also, their self-efficacy was low. 4)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intained good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and teachers, but they were poor in understanding lessons, preparing for classes, and utilizing materials in their study of school subjects, and they felt a lot of difficulties toward class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variation, it was hard to find same relationships as those of non-disabled students in all grades and subjects, so it was safe to say that variations that affected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different from those of non-disabled students.

      • 시중 판매중인 Fresh-Cut 채소 제품의 품질평가

        조순덕,박주연,김은정,김동만,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Vol.9 No.-

        Fresh-cut 채소 제품이 소비자에 의해 선택되어 소비되려면 이의 친환경적 원료생산과 가공, 포장, 서빙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체계적인 품질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갈변제어, 연화제어 및 미생물적 제어 등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중 유통 · 판매되고 있는 fresh-cut 채소제품의 품질을 비교평가하기 위해 현재 유통되고 있는 9개사 제품을 선정하였으며, 관능검사를 포함하여 vitamin C, 무기질, 중금속 함량, 잔류농약 및 미생물오염 정도를 조사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갈변 등 품질변화로 인해 전반적인 기호도가 그다지 높지 않았다. 채소류에서 중요 영양성분인 vitamin C 함량은 9개사 모든 제품의 주재료인 양상추에서 거의 검출되지 않았고 다른 채소류의 vatimin C 함량 역시 식품성분표보다 소량이었다. 무기질 함량 역시 극히 소량이었는데, 이는 박피, 절단 등의 최소 가공 공정을 거치면서 파괴되기 쉬운 vitamin C와 무기질이 대부분 손실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안전성측면에서 평가한 잔류 중금속 함량의 경우 몇 개의 제품에서 구리와 납이 소량 검출되었으며 잔류농약은 검출되지 않았다. Most fresh-cut agri-food products are less stable than the unprocessed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a quality control system for fresh-cut agri-food products. In this study, the vitamin C, mineral, residual heavy metal contents and pesticides of various fresh-cut agri-food products were analysed. Through the sensory evaluation, the reason for the lower than expected overall acceptability in most products is that cut products are likely to cause browning and easily lose their freshness. Therefore, the postharvest technology that can maintain the quality, freshness and appearance must be supplied. Vitamin C contents did not exist in all salad products of the selected 9 companies, although vitamin C and mineral contents that are main nutrients that can be supplied mainly in salads. The results showed that vitamin C and mineral contents were very small and extremely small in other vegetables compared with the standard of a food ingredient, It is possible that vitamin C and most minerals are easily destroyed were lost through the minimal process like peeling and cutting. In safety side, the remaining heavy metal contents of fresh-cut agri-food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copper and lead existed in some products because cadmium in agricultural produce is only controlled by the minimum standard of heavy metal contents in Korea. No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cted in all products.

      • 다양한 열처리 온도가 절단 연근 및 우엉의 외관에 미치는 영향

        장민선;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1 자연과학 논문집 Vol.17 No.-

        It is known that heat treatments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fruits and vegetables quality such as extending storability and marketing by inhibition browning.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quality of fresh-cut lotus roots and burdocks were investigated with the focus on color and appearance. Lotus roots and burdocks were purchased from a local market in Seoul, Korea. Lotus roots and burdocks were washed, peeled and cut into 3 〜5 mm thick slices with a sharp stainless knife. The prepared peeled and sliced lotus roots and burdocks were dipped for 1 min in water at 20, 30, 40, 50, 60, 70, 80, 9 0°C. Especially burdocks in treated hot water at 50°C delayed browning. However, L value of burdocks treated hot water at 80 °C were increased highly during storage. Lotus roots and burdocks treated hot water at 50 °C showed the best appearance. The use of heat treated lotus roots and burdocks for fresh-cut processing may be improve the quality such as inhibition of browning and extend shelf life for the product

      • 기왕 제왕절개 반흔 부위에 착상한 자궁외 임신의 보존적 치료 3례

        박선영,박혜인,김윤숙,김종수,최승도,선우재근,배동한 순천향의학연구소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2

        In past decade, ectopic pregnancy developing in the previous cesarean section scar has been the rarest forms of ectopic pregnancy and very dangerous because of the risk of uterine rupture and hemorrhage. These pregnancies once carried a maternal mortality rate of 40% to 45%, and until recent years they usually resulted in abdominal hysterectomy as a life-saving procedure. However, increas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childbearing capacity has led to several successful attempts at conservative management that include intraamniotic and systemic methotrexate administration, suction curettage followed by insertion of an intracervical 30-mL Foley catheter ballooning and angiographic artery embolization. We present three cases of ectopic pregnancy developing in the previous cesarean section scar in which successfully treated with conservative management.

      • 비엔나협약규정 신호체계와 우리나라 신호체계에 관한 비교연구

        장건영,이정윤,김진태,장명순 東亞大學校 建設技術硏究所 2004 硏究論文集 Vol.27 No.2

        20세기 말 국제사회는 정치 경제적인 교류 · 협력의 증가에 따른 국제 경제활동 빛 여가활동범위의 확대로 국가간 방문교류가 증가했다. 1968년 국제연합 (UN, United Nation)은 국제도로교통을 활성화하고 도로안전의 증진을 위하여 도로교통에 관한 국제협약인 도로교통협약(Convention on Road Traffic)과 표지 및 신호체계협약(Convention on Road Signs and Signals)을 선포하였다 2002년 10월 기준으로 표지 벚 신호체계협약에는 50개국이 가입하였고 도로교통협약에는 60개국이 가입한 상태이다. 국내에서는 도로교통에 관한 이 국제협약이 ‘비엔나협약’이라고 통칭되고 있으며 1968년에 버엔나협약 제정시 승인 서명만 했을 뿐 비엔나협약에 가입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엔나협약의 신호체계와 극내 신호체계를 비교하여 (1) 그 차이점을 분석하고, (2) 비엔나협약 표지 빛 신호체계협약 가업을 가정시 유발되는 문제점에 대한 개선사항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차량 신호등의 형태 및 가변형 가변등의 형태 녹색등 황색등 적색등의 동일 색의 화살표시등으로의 교체 가능성 여부, 녹색등화 적색등화 황색등화의 의미, 적색등화 점멸의 의미, 화살표시등의 등화, 녹색등과 적색 및 황색등과의 동시 등화 운용여부 등에서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비엔나협약 표지 및 신호체계협약 가업을 가정시 유발되는 문제점에 대한 개선사항으로는 (1) 도로교통법의 적색신호 및 황색신호 시 우회전허용 또는 비보호 우회전 허용에 관한 내용의 검토, (2) 국내에 현재 운영중언 4색등의 사용을 금하고 직진 및 좌회전 두 개의 전용 신호등으로 구분한 신호등 재설치 및 이에 따른 국내 지역제어기 교체 검토 빛 새로운 지역제어기의 운영 소프트웨어 개발 검토, (3) 가변형 가변등의 가변차로 전환 신호기의 교체 검토, (4) 도로교통법에서의 적색신호등의 점멸에 관한 내용의 검토, (5)도로교통법에 화살표시등에 대한 법규정 신설에 관련된 내용 검토 및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하향 황색 화살표시의 방향을 상향으로 전환에 관한 검토, (6) 도로교통법에 자전거 전용신호등에 대한 법규정 신설에 관련된 내용 검토, (7) 비엔나협약 표지 및 신호체계협약에 따라 수정되는 신호체계에 대한 기존 운전자 재교육의 필요성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오렌지 껍질로부터 분리된 프라보노이드의 화학요법 감작효과

        최철익,변익건,차윤정,김선필,민영돈,유진철,송재경 조선대학교 2001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6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overexpression of P-glycoprotein (Pgp) or multidrug resistanceassociated protein (MRP) confers multidrug resistance (MDR) to cancer cells. MDR cells could be sensitized to anticancer drugs when treated concomitantly with a chemosensitizer. In this study, orange peel have been screened for the development of chemosensitizers reversing MDR. Materials and methods : Expression of Pgp in AML-2/WT and AML-2/D100 were determin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and RT-PCR. Candidates for chemosensitizers were isolated, purified from orange peel using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and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whose structure was determined using ^1H-NMR, ^13C-NMR, ^1H-^1H-COSY, 13C-NMR, EI-Mass, IR. Chemosensitizing effect of NP-28 on AML-2/DX100 over expressing Pgp and MRP was determined by the MTT assay. Membrane toxicity was evaluated by the RBC hemolysis test. Antioxidant effects were examined by using a fluorescence probe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Results : A potent candidate, NP-28, has a flavonoid nucleus with some methoxy moiety. NP-28 is believed to have high therapeutic index, being non-transportable inhibitor and possibly, of inhibiting other efflux pumps such as MRP and antioxidant effects. NP-28 is also unlikely to be a substrate of Pgp. NP-28 did not increase Pgp levels. Conclusion : NP-28 has a Chemosensitizing effect to reverse Pgp-mediated MDR by increasing the intracellular accumulation of drugs. Furthermore, they do not increase expression of Pgp, which can allow a long term use without the concern about Pgp activation. NP-28 is anticipated as an ideal second-generation flavonoid chemosensitizer and/or possibly other therapeutic agents by further investigation.

      • KCI등재후보

        사망진단서(사체검안서) 상의 선행사인으로부터 사망통계의 원사인이 선정되는 비율 : 3개 대학병원에서 교부된 사망진단서를 중심으로

        박우성,박석건,정철원,김우철,탁우택,김부연,서순원,김광환,서진숙,부유경 한국의료QA학회 2004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1 No.1

        Background : To exatnine the problems intolved in writing practice of death certificates, we cotnpated the determination of underlying cause of death for wital statistics using recorded underlying cause of death in issued death statistics. Methods : We collected 688 rnortality certificates issue in year of 2,000 from 3 university hospitals. And we also collected vital statistics from ministry of statistics. The causes of death were coded by experienced medical record wpecialists. And causes of death determined at ministry of statistics for national vita statistics were mapped to causes of death recorded at each death certificates. The rate that underlying causes of death for vital statistics were derived from underlying causes of death recorded at issued death certificaties sere analysed. Results : 64.5% of underlying cause of death for could be derived from underlying cause of death recorded at issued death certificates, 8.6% derived from intermediate cause of death, and 3.9% derived from direct cause of death. In 23% of cases, underlying cause of death could not be derived using issued death certificates. The rate that underlying cause of death for vital statistics could be derived from underlying cause of death recorded at death certificates was different between 3 university hospitals. Ane the rate was also different between death certificates and postmortem certificates. We classified the causes of death using 21 major categories. The rate was different between diseases or conditions tha caused death too. Conclusion : When we examined the correctness of death certificate writing practice using abpve methods, cortectness of writing could not be told as satisfactory. There was difference in correctness of writing between hospotals, between death certificates and postmortem certificates, and between diseases and conditions that caused death. With this results, we suggested some strategy to improve the correctness of death certificate writing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