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망」의 텍스트 언어학적 접근

        차윤정 우리말학회 2001 우리말연구 Vol.11 No.-

        텍스트 언어학의 탄생은 각각 별개의 학문 분야로 연구되어 오던 언어학과 문학의 접목올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반데이크는 생성문법의 영향 아래 텍스 트에도 표충구조와 심충구조가 설정될 수 있다고 보고 거시구조와 거시규칙의 개념을 제안하여 텍스트의 주제를 찾아가는 과정올 설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생성문법의 구조 도해를 기반으로 초구조롤 계충적으로 배열된 범주적 나무그 림으로 제시하여 다양한 종류의 텍스트 구조들올 보여주고 있다. 특히 초구조 중 서사구조와 형성규칙의 설정은 문학적 텍스트의 새로운 해석 방법을 제시했 다고 할 수 었다 물론 이에 대한 비판도 있지만1) 거시규칙올 적용하여 거시구 조를 찾아가는 과정이 텍스트 수용자들이 텍스트를 요약하고 주제룰 찾아가는 인지적 과정올 해명하는 하나의 시도라는 점에서, 그리고 초구조의 설정이 직 관적으로 인식해 왔던 텍스트의 종류 별 특정과 그 변형을 좀더 논리적인 방법 으로 설명하고자 했던 점에서 기여하는 바도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An Alternative Method for Vocabulary Learning Using Quizlet

        차윤정,김혜숙 영상영어교육학회 2016 영상영어교육 (STEM journal) Vol.17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mobile-based vocabulary learning can be replaced by a typical form of paper-based vocabulary learning for Korean EFL students in the university setting. 81 university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representing two different major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t the beginning of the research, the two groups respectively learned vocabulary by two different modes, worksheets versus mobile-based study. After the mid-term exam, those who had learned vocabulary with worksheets then used the mobile-based method, and vice versa. Eventually, all the participants studied words both with worksheets and through mobile vocabulary learning modes. For mobile-based vocabulary learning, Quizlet, the mobile app was used to provide vocabulary lists for the participants. Pre- and post-vocabulary tests, a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o explore the participants’ perspectives and preferences towards usage of the two different modes. Results revealed a positive effect of practicing vocabulary within the group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experiencing the two modes. Participants demonstrated various attitudes and perspectives regardless of the two different modes used for learning vocabulary.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found in the research.

      • KCI등재

        비동일성의 관점에서 본 로컬리티와 표상

        차윤정 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15 한국민족문화 Vol.56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 and becoming of locality and the question of its signification based on the thought of postmodern nonidentity and also to examine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the research category set for representation, which is a typical concept of identit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examined thoughts of identity and nonidentity in relation to the question of "archetype", and shed light on Deleuze"s "event" which is a representative concept of nonidentity thinking. Then, by appropriating the concept of "event" to the study of locality, it discussed the becoming and significance of locality and the case of representation. An "event," which is transient and fluid and for which an archetype cannot be postulated, flows in a state of flux with virtuality until it manifests itself to become a reality. This is similar to the idea that locality, constructed through space and time, social structure, human connection, and internalexternal interaction of a locale, is fluid and cannot assume an archetype. This is analogous to the fact that locality is divided into what is latent and what is revealed. That an event bears meaning in various ways through systematization after its manifestation is also similar to how locality manifests in certain conditions and becomes meaningful in different ways through systematization. Furthermore, locality, which is signified in various ways, is signified once again through contextual changes after it is represented. Thus, when event is appropriated to the study of locality focusing on its concept and becoming and the question of its signification, locality generated and systematiz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its features and aspects grounded on nonidentity thinking, can be thought as the existence of difference. In addition, through various possibilities of representation and its resignification, the path of converging representation towards the principle of identity is blocked opening the possibility to move towards nonidentity thinking. 이 글에서는 탈근대적 비동일성의 사유에 기반하여 로컬리티의 개념 및 생성과 존재 양상, 의미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와 함께 동일성의 대표적 개념인 표상의 연구범주 설정이 가진 한계와 해결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동일성과 비동일성의 사유를 ‘원형’, ‘시뮬라크르(사건)’의 문제와 관련하여 살피고, 비동일성의 사유의 대표적 개념인 들뢰즈의 ‘사건’을 조명하였다. 그리고 ‘사건’ 개념을 로컬리티 연구에 전유함으로써 로컬리티의 생성과 존재 양상, 의미, 표상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순간적이고 유동적이며 원형을 상정할 수 없는 ‘사건’은 잠재성을 가지고 유동적으로 흐르다가 발현됨으로써 현실화된다. 이는 공간과 시간, 사회구조, 인간의 접합, 로컬 내외부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되는 로컬리티가 유동적이며 원형을 상정할 수 없다는 점, 로컬리티가 잠재적인 것과 발현되는 것으로 나뉘는 점 등과 유사하다. 또한 사건이 발현되면서 계열화를 통해 다양하게 의미화 되는 것 역시 로컬리티가 특정 국면에서 발현되면서 계열화를 통해 다양하게 의미화 되는 양상과 유사하다. 나아가 다양하게 의미화된 로컬리티는 표상된 후 맥락의 변화에 의해 재의미화 되는데, 이런 점에서 로컬리티 연구에서 표상은 사유방식으로서의 표상이 아닌 재현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사건의 개념과 생성, 의미의 문제에 주목하여 이를 로컬리티 연구에 전유할 때, 비동일성의 사유에 기반한 로컬리티의 특성과 국면에 따라 다양하게 생성되고 계열화되고 표상/재현 되는 로컬리티가 차이의 존재로서 사유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로컬리티의 표상/재현의 가능성과 맥락에 따른 재의미화를 통해 표상/재현이 동일성의 원리로 수렴되는 경로를 차단하고 비동일성의 사유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 KCI등재

        지역인을 고려한 『자갈치 아지매』의 언어 사용 양상

        차윤정,류지석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코기토 Vol.- No.68

        『자갈치 아지매』는 45년의 역사를 지닌 최장수 라디오 프로그램 중의 하나다. 『자갈치 아지매』가 이렇게 오랜 역사를 지닐 수 있었던 이유는 높은 청취율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갈치 아지매』가 지역인들의 정서에 부합함으로써 청취율을 높이기 위해, 지역어적 특성을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 그 언어 사용 양상을 분석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음운론적, 어법적, 어휘적 특성을 중심으로 『자갈치 아지매』의 언어 사용 양상을 살폈다. 『자갈치 아지매』에서는 음운론적으로는 경음화, 구개음화, 단모음화, 음운탈락 같은 부산․경남방언에서 많이 나타나는 음운현상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법적으로는 부산․경남방언의 대표적인 연결어미와 종결어미의 사용, ‘ㅂ’ 규칙 활용, 문법화한 ‘-가’, 인용표지 ‘-카다’ 등을 사용함으로써 부산․경남방언의 효과를 내고 있었다. 어휘 사용에 있어서는 개념을 전달해야 하는 명사의 경우, ‘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방언형을 사용하지 않는 데 비해, 상대적으로 동사와 부사에서는 방언형을 많이 사용하여 방언의 효과를 내고 있었다. 이처럼 『자갈치 아지매』에서는 의미 전달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한에서 방언의 특성들을 이용하여 청취자들에게 지역어로 방송된다는 인식을 줌으로써 청취율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ich language use pattern the radio program Jagalchi Ajimae show to satisfy the emotion of local people.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analysis, the phonological rules of Busan and Kyeongnam region such as glottalization, palatalization, monophthongization, phonological delection are largely discovered in this program. Grammatically the dialect effect of Busan and Kyongnam region is taken by using the regional dialect characteristics like conjunctive ending, final ending, ‘ㅂ’ regular conjugation, grammaticalized ‘-가’, quotation marker ‘-카다’ and so on. According to the use of words, the dialect form hardly appears except ‘기’ in the case of the noun conveying a concept but comparatively in the verb and the adverb usage, the dialect form is frequently seen, so it is more effective. In this way, the radio program Jagalchi Ajimae employs the strategy to increase the listening rates by using the dialect characteristics so far as it does not disturb the meaning transmission and by making listeners know to broadcast in the local language.

      • KCI등재

        Using a Student Response System (Socrative) as a Pre-Reading Method in an EFL Reading Environment

        차윤정 영상영어교육학회 2018 영상영어교육 (STEM journal)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a student response system (SRS), Socrative, can be effective in supporting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when applied at the pre-reading phase. The purpose of utilizing Socrative was to enhance participation and promote collaboration among learners when they interact with one another in order to discuss their background knowledge of the reading passage. The 81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undergraduate students from Gyeonggi province. They were assigned to two different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using Socrative, and a control group without Socrative. The participants took the pre-test prior to performing the pre-reading activities. Then, both groups went through identical pre-reading activities with the exception being that one group used Socrative. After the pre-reading activities, a post-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learning gai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within the group using Socrative from the pre- to the post-test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Socrative versus non-Socrative). Participants’ perspectives on using Socrative were reported using bot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Participant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using Socrative for reading classes.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futures studi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