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용효과성분석을 통한 마이스터고등학교의 취업 성과 분석

        고귀영,민지식,박자경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4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i) to determine whether the employment outcomes of graduates of specialized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show differences at the school level and (ii)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Meister High School policy by comparing differences between schools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To this end, a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 and Cost-Effectiveness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1st and 3rd years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Survey II” survey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n graduates’ wages is that Meister High Schools receive higher wages than specialized high schools. Each had an interactive effect. In the case of job satisfaction, which is the qualitative achieve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terest in specialized subjects had a positive effect, and participation in-field experience and type of school had an interactive effec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cost-effectiveness, it was analysed that the cost-effectiveness of Meister High School on the employment rate was higher, and the cost-effectiveness of work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also higher in Meister High School.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및 마이스터고등학교 졸업생의 취업 성과가 학교 단위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비용 효과성 측면에서 학교 간 차이를 비교하여 마이스터고등학교 정책의 효과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조사한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의 1차년도와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다층모형 분석과 비용효과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졸업생의 임금에 대한 영향은 마이스터고등학교인 경우 특성화고등학교에 비해 더 많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과 학교 유형, 전문교과 흥미도와 학교유형, 전문교과 흥미도와 예산, 전공동아리와 학교유형이 각각 상호작용 효과를 가졌다. 직업계고등학교의 질적 취업 성과인 직장만족도의 경우 전문교과에 대한 흥미가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현장체험 참여여부와 학교 유형이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냈다. 비용효과성 차이 분석결과 취업률에 대한 마이스터고등학교의 비용효과성이 더 높게 분석되었고, 업무만족도 및 직장만족도에 대한 비용효과성 역시 마이스터고등학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잠재계층분석(LCA)을 활용한 대졸 초기경력자 이직준비 추이 및 유형 분류

        고귀영,민지식 한국인력개발학회 2022 HRD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잠재계층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현재 일자리를 가진 대졸 초기경력자의 이직준비를 유형화하고, 2010년과 2018년의 이직준비 유형의 변화 및 특성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의 2010년부터 2018년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직준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연도별 이직준비 비중의 추세선을 그려 추이를 분석하였고, 이직준비에 따른 유형화를 위하여 잠재계층분석(LCA)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 초기경력자의 이직준비는 2010년 이후 자격증 취득과 정보의 활용 측면에서 상당한 변화 양상을 보였다. 둘째, 2010년과 2018년의 이직준비 유형을 비교한 결과 ‘어학-자격증 집중형’의 경우 꾸준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자격증-민간정보 집중형’이 새로운 유형으로 확인되어 고용정보를 활용하는 형태에 변화가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이직준비 유형에 따라 소득, 직업, 외국어 필요 정도 등의 직업적 특성은 2010년과 2018년 모두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직의 유형과 특징, 변화 과정을 파악하는 것은 고용 정책의 시행과 효과성을 판단하기 위한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2010년과 2018년에 분류된 유형 중‘자격증-민간정보 집중형’,‘어학-자격증 집중형’의 경우 추가적으로 유형 내 특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함에 따라 학력에 따른 이직 준비 유형의 차이를 구명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추가자료를 활용하여 고졸자와 대졸자의 이직 준비 및 양상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 및 비교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ims to classify the pattern of preparation for turnover, especially for early-career employees. using the latent class analysis(LCA) method, We drew out the pattern of preparation for turnover in 2010 and 2018. And we also visualize and compare these results to follow the trend of preparation change. We used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for the analysis process.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obtaining qualifications and using information during preparation for job change of early-career employees after 2010. Second, we compared the types of turnover preparation in 2010 and 2018. ‘Language-certification intensive’ type continued to occupy a large proportion, and ‘certification – private information intensive’ type emerged as a new type.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way employment information is used. Thir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income, occupation, and level of foreign language need were different in 2010 and 2018 according to the type of job prepar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hat utilize the information of turnover preparatio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s a determining criterion to implementing and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employment policies for early-career employe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dditional examinations on the both 'certification-private information concentrated' and 'language-certification intensive' type.

      • KCI등재

        기업 내 교육훈련 전이의 영향요인 및 성과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고귀영(Gwi-young Ko),서예린(Yelin Suh),유현주(Hyun-joo 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 중하나인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직 차원, 학습 현장 차원, 개인 차원으로 구분하여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교육훈련 이후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반응 차원, 스킬 및 태도변화 차원으로 구명하였다. 다음으로 교육훈련 전이의 성과 역시 구분하여 구명하고 이들을 고려하여 교육훈련 설계 시 고려해야 할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업 내에서의 교육훈련 전이를 연구한 학술지 중 준거에 의해 분류된 총 61편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 첫째,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차원 변인은 학습문화 요인, 사회적 지원 요인, 기술적 지원 요인, 수행 기회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교수내용, 교수전략, 교수자 요인은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현장 차원의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차원의 요인은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넷째,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 후 변인으로는 반응 차원, 스킬 및 태도 변화 차원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교육훈련 전이의 성과로는 조직 성공 변인들이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현장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transfer of training, which is one of the indices that can confirm the outcome of education in the enterprise, at organizational level, at the level of the learning field, and at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transfer after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were identified as dimensions of response, skill and attitude change. Also, the outcome of the transfer of training were also identified to suggest the characteristics to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A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61 journals classified by criteria among academic journals that studied the transfer of training within the enterpris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variables affecting the transfer of training could be classified into learning culture factors, social support factors, technical support factors, and performance opportunity factors. Second, the contents of teaching, teaching strategies, and instructor factors were derived as variables at the level of learning field that affect the transfer of training. Third, the individual level factors affecting the transfer of training could be classified into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Fourth, the dimension of response and the dimension of skill, and attitude change was derived as a post-training variable affecting the transfer. Fifth, organizational success variables were derived as variables as a outcome of the transfer of training.

      • KCI등재

        COVID-19 시기의 청년층 고용의 질 변화 유형화 연구

        최지훈,고귀영,유 현 주,서예린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4 No.4

        이 연구는 COVID-19 발생 시기의 청년층 고용의 질 변화를 유형화하고 그 영향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원표본의 경우 각각 19년도, 20년도에 조사된 13차, 14차 조사 자료를, 추가표본은 동일한 기간에 조사된 5, 6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시기 임금근로자로 재직 중인 청년층의 임금수준 변화, 근로시간 변화, 직장만족도 변화를 기준으로 고용의 질 변화를 유형화한 결과 4개의 집단으로 유의미하게 구분되었다. 둘째, 청년층 고용의 질 변화 유형화 결과 다수의 청년층은 ‘고용의 질 유지’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의 질이 개선된 것은 ‘직장만족도 증대’집단이었으며 고용의 질이 저하된 집단은 ‘임금감소’ 및 ‘근로시간 증대’집단이었다. 셋째, 청년층 고용의 질 변화 유형별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수행한 결과 개인의 일자리 특성 요인이 고용의 질 변화에 주요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COVID-19 발생 이후 청년층 고용의 질 및 고용 변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제언과 향후 연구를 위한 논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블루칼라 및 연관직종 간 이동 패턴 분석: 현시연관성지수를 중심으로

        최수정,고귀영,민지식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vement patterns between blue collar related occupations. In this study, occupational Structure of entire occupation and structure of blue collar related occupations in Korea were derived from the pattern of job mobility Using the 17th(2014) to 21st(2018) KLIPS dataset and information of employment type, average wage, size of workers from Korean Labor Force Survey were used as an attribute data. Revealed Relatedness Index was calculated by R and STATA 14.0, and the pattern of occupational movement was analyzed by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Netminer 4. As a result, jobs requiring general job skills such as ‘general and keyboard worker(31)’, ‘sales workers(52)’, and ‘other clerical support workers(44)’ have high job mobility in sub-major(2digit) level of KSCO(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and managing jobs such as ‘chief executives, senior officials and legislators(11)’ The mobility was the lowest. And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Controlling the average wage and number of workers, blue collar related cluster are including ‘sales workers(52)’, and ‘other clerical support workers(44)’, not only major group 7 and 8 in KSCO classifying as blue collar occupation. Finally, based on the In-Out degree centrality, ego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tails of movement between occupations with the top 3(in-out each) centrality occup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shift in the job structure and blue-collar-related occupations in Korea and discuss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 COVID-19 전·후 청년층 고용의 질 변화 유형화 연구

        최지훈,고귀영,서예린,유현주 한국고용정보원 2022 세미나 자료 Vol.- No.-

        이 연구는 COVID-19 발생 전 · 후 청년층 고용의 빌 변화를 유형화하고 그 영향요인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원표본의 경우 각각 19년도, 20년도에 조사된 13차, 14차 조사 자료를, 추가표본은 동일한 기간에 조사된 5, 6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전후 임금근로자로 재직 중인 청년층의 임금수준 변화, 근로시간 변화, 직장만족도 변화를 기준으로 고용의 질 변화를 유형화한 결과 4개의 집단으로 유의미하게 구분되었다. 둘째, 청년층 고용의 질 변화 유형화 결과 고용의 질이 개선된 것은 ‘직장만족도 증대’집단이었으며 고용의 질이 저하된 집단은 ‘임금감소’ 및 ‘근로시간 증대’ 집단이었다. 셋째, 청년층 고용의 질 변화 유형별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수행한 결과 개인의 일자리 관련 변인이 고용의 질 변화에 주용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COVID-19 발생 이후 청년층 고용의 질 및 고용 변화와 관련된 제언과 의의, 그리고 향후 연구를 위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COVID-19발생 전후의 청년층 고용의 질 변화를 확인하는 첫 시도였으며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 · 경제적 충격이 청년층의 삶에 얼마나 큰 타격을 주었는지 포착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COVID-19 발생 이 후 청년층 일자리 관련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팬데믹 이전 노동시장 진입자를 기준으로 연구 대상을 구분하는 시도가 지속되어야 한다. 셋째, COVID-19라는 경직된 상황에서 고용과 노동시장의 유연성은 증가하고 있음을 이해하고 재직자 대상 경력개발 지원과 정책 형성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COVID-19 전후로 관찰되는 청년층 고용의 질 변화를 보다 장기적인 차원에서 조명해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다층모형(HLM)을 활용한 시·도별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분석

        박자경,최수정,고귀영,유현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reer education gap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city and province, and to analyze the gap betwee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influence factors by dividing students into level and state and province level. To this end, the data of the 'School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in 2019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was used for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career teachers at that school. In order to identify the career education gap between cities and provinces, the QGIS program was used to check the results of the gap,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career education gap was tested throug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ost-test. After that, in order to confirm the career education gap between cities and provinces, the difference in career competency development was identified through hierarchial linear model (HLM) analysis by dividing it into student level and city/province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ap in the career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dividing the level of each province and province/province level, the results of the career education gap was large, and most of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er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he gap according to the level of explanation was also significa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fluence of the student level variab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gap in career education that there existed a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ctivity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depending on the state and province.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career education budget per stud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career activities on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individual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average career education budget per city/province, the higher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support by city and province should be provided, and career education opportunities and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should be guaranteed. In addition, the research should further subdivide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and analyze it to the city, county, and ward level, and research on career education gaps by city and province should be subdivided by school level. 이 연구는 시·도별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교육 관련 특성을 분석하고 학생 수준과 시·도 수준으로 나누어 진로개발역량 간 차이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2019년 ‘학교 진로교육 현황조사’ 자료 중 중학교 학생과 해당 학교의 진로 담당 교사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일원분산분석(ANOVA) 및 사후 검정을 통해 진로교육 특성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정하였으며 학생수준과 시·도 수준으로 나누어 다층모형(HLM) 분석을 통해 진로개발역량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및 진로교육 특성은 시·도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진로개발역량의 대부분은 학생 간 차이로 설명되지만 시·도 수준에 따른 격차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의 학생 수준 변인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시·도에 따라 학교 진로활동 만족도와 진로 개발역량의 관계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진로교육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중학생의 학교 진로활동 만족도가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학생 1인당 진로교육 예산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학생 개인차원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해당 시·도의 1인당 진로교육 평균 예산이 높아질수록 진로개발역량이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중학생 진로교육 효과성 증대를 위한 시·도별 맞춤형 지원이 제공되어야 하며 자유학기제를 고려한 진로교육 기회 및 조건을 보장해야 한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 17개 시·도 단위를 더욱 세분화하여 시·군·구 단위까지 분석해야 하며 시·도별 진로교육 격차 연구가 학교급별로 세분화되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Q방법론을 활용한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업계고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 분석

        이찬,류지은,고귀영 한국직업교육학회 2019 職業 敎育 硏究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the field training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teachers by using Q methodology. In this study, P-sample was composed of 30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The selected Q samples were arranged in the normal distribution form of 7 points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through varimax rotation using PQmethod program. As a result, there were three types of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cognition types in field training. Type 1 is defined as a student who participates in field training, educational value emphasized type which regards field training as an extension of school education, and type 2 is to emphasize the value of the field training by emphasizing the basic skills of the profession, 3 type defines the field trainee as a student but emphasizes the ability to improve the job ability by establishing a base of employment through field trai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field training are suggested.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특성화고등학교 및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계고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부장교사 대상 연수에 참여한 부장교사 30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선별된 Q표본을 7점 척도의 정규 분포 형태로 배치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Qmetho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베리맥스 회전(varimax rotation)을 통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유형을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직업계고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 유형 차이에 따라 세 가지 형태로 유형이 분류되었다. 1유형은 현장실습에 참여하는 실습생을 학생으로 규정하고, 현장실습을 학교 교육의 연장선으로 생각하는 교육적 가치 강조형, 2유형은 현장실습의 가치를 업무수행을 통한 직업기초능력 함양에 두는 직업기초능력 강조형, 3유형은 현장실습생을 학생으로 규정하지만 현장실습을 통해 취업 기반을 마련하고 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는 직무능력 강조형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직업계고 현장실습에 대한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과업 수행 역량의 숙련퇴화 정도에 따른 직종 유형화 연구: 숙련퇴화 민감도 지수(SI)를 중심으로

        최수정,민지식,고귀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6 No.1

        이 연구는 고령 근로자가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능력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두 번째로 각 직업에 필수적인 특정 역량을 기반으로 숙련퇴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지수화하여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O*NET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정을 수행하였다. 첫째, Belbase 외(2015)가 제안한 SI(Susceptibility Index) 지수(숙련퇴화 민감도 지수)를 가중치를 고려하여 역량별로 다시 계산하였다. 둘째, 숙련퇴화 지수를 기준으로 잠재계층분석을 사용하여 직업을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역량 집단'에 걸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집단 간 직업 특성의 차이를 구명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숙련퇴화는 전체적인 역량이 감소하는 것이 아닌 개별적 역량군에 따라 상이한 감소 경향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또한 숙련퇴화 민감도 지수를 기반으로 직종을 분류한 결과,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 이외에도 화이트칼라의 속성을 가지며 역량의 감소는 블루칼라와 유사한 직종이 하나의 집단을 구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한 연구의 시사점은 역량을 기반으로 직종을 분류하여 기존의 전통적인 직종 분류에 더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있다. 또한,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역량 퇴화 및 조기 퇴직 예측에 관한 향후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validates the significance of the abilities required by older workers to carry out their job responsibilities effectively, and secondly, offers a clearer understanding of how age-related declining manifests based on the specific abilities essential for each occupa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utilized O*NET data and conducted the following research process. Firstly, the susceptibility index, SI, was recalibra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relative importance of different abilities. Secondly, occupation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ir SI index, thereby allowing for a comparison of job characteristics within the dataset. Lastly, the latent class analysis method was employed to examine the pattern of SI across various ‘ability groups.’ One of the crucial findings from this research is the necessity to comprehend the decline in abilities within specific ability groups, such as cognitive or sensory abilities. The study also identified distinct clusters, such as white-collar and blue-collar groups, and a group with white-collar attributes but exhibiting a somewhat similar level of decline as the blue-collar group.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extend to the broader utilization of national data and its potential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future research concerning the prediction of ability decline and early retir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