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인 근로자 직무만족도 분석

        박자경,김종진,강용주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9 연구보고서 Vol.1 No.1

        In this paper,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examined. A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as used. Results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garding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workplace barriers and accommodations exert the dominant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considering other determinant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education, position, and type of employment (contract-based versus permanent, full-time) also have in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Workplace barriers, accommodations, salary, and job suitability have 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lso accommodations have an effect on job suitability. Multiple group analysis showed that workplace barriers exert the dominant influence on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disabled blue-collar workers, while accommodations exert the dominant influence on disabled white-collar employees, in regard to satisfaction at work.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provides both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some strategie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및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취업결정과 학생 및 학교 변인의 위계적 관계

        박자경,최수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cision level of employment in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se factors. F-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students' decision to work and related variables.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HGLM) method using school level variables was used to clearly distinguish differences between schools.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of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differ significantly from most of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sion of employment depends on gender, degree of proficiency, preference degree, and education aspiration among students. Especially, The level of school - level variabl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t the level of student 's decision to work.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whether the school type was high school or meister high school.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school environment had an interaction effect on socioeconomic status and degree of professionalism in employment decis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effect of educational aspirations on employment decision, School environment was analyzed as having interaction.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및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취업결정 여부에 대해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변인의 위계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취업결정 및 관련 변인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F-검정을 실시하였고, 학교 수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학교 수준 변인을 활용한 위계적 일반화 선형모형(HGLM)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취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대부분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생 개인 특성 중 성별, 전문교과 잘하는 정도, 좋아하는 정도, 교육포부에 따라 취업 결정 여부가 달라졌으며, 특히 전문교과에 대한 흥미가 높을수록 취업을 결정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취업 결정에 있어서 학교수준 변인이 높은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교 유형이 특성화고등학교인지 마이스터고등학교인지에 따라 그 차이가 뚜렷하게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직업계고등학교 학생의 취업결정에 있어서 사회경제적 지위와 전문교과 잘하는 정도에 대해 학교환경이 상호작용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포부가 취업결정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학교유형, 수업분위기, 학교환경 모두 상호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취업포부와 학생 및 학급 수준 변인의 위계적 관계

        박자경,최수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yment aspiration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tudent-level and classroom-level variables. To this end, a class-specific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ird-year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765 copies of data from a total of 38 classes were secur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employment aspirations and student and classroom-level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total variance of emplyment aspiration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variance expla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classroom was 14.3%. Second, it was found that interest in specialized subject, average grades, and career support from fami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emplyment aspira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level of emplyment aspirations by classroom vari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head teacher was the head teacher, the industry major of the classroom, and the degree of employment support. According to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accumulate empirical studies on the measurement of employment quality and employment aspiration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systematic career guidance considering employment aspirations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more research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homeroom teachers needs to be conducted, and additional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school-level variables and classroom-level variables is needed.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취업포부와 학생 특성 및 학급 수준 변인의 위계적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특성화고등학교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급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8개 학급의 765부의 자료를 확보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취업포부와 학생 및 학급 수준 변인 간의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취업포부의 전체 변량 중 학급 간 차이로 설명되는 변량은 14.3%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취업포부 수준에 전문교과 수업 흥미와 평균 성적, 가정의 진로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급별 평균 취업포부 수준은 부장교사 여부, 담당 학급의 계열(공업), 취업지원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에 따라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의 질에 대한 측정 및 취업포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축적될 필요가 있고,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취업지도에 있어서 취업포부를 고려한 체계적인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제언을 하였다. 또, 특성화고등학교 학생과 담임교사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가 더 수행되어야 하고, 학교 수준 변인과 학급 수준 변인의 차이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 KCI등재

        다층모형(HLM)을 활용한 시·도별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분석

        박자경,최수정,고귀영,유현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reer education gap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city and province, and to analyze the gap betwee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influence factors by dividing students into level and state and province level. To this end, the data of the 'School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in 2019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was used for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career teachers at that school. In order to identify the career education gap between cities and provinces, the QGIS program was used to check the results of the gap,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career education gap was tested throug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ost-test. After that, in order to confirm the career education gap between cities and provinces, the difference in career competency development was identified through hierarchial linear model (HLM) analysis by dividing it into student level and city/province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ap in the career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dividing the level of each province and province/province level, the results of the career education gap was large, and most of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er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he gap according to the level of explanation was also significa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fluence of the student level variab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gap in career education that there existed a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ctivity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depending on the state and province.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career education budget per stud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career activities on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individual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average career education budget per city/province, the higher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support by city and province should be provided, and career education opportunities and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should be guaranteed. In addition, the research should further subdivide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and analyze it to the city, county, and ward level, and research on career education gaps by city and province should be subdivided by school level. 이 연구는 시·도별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교육 관련 특성을 분석하고 학생 수준과 시·도 수준으로 나누어 진로개발역량 간 차이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2019년 ‘학교 진로교육 현황조사’ 자료 중 중학교 학생과 해당 학교의 진로 담당 교사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일원분산분석(ANOVA) 및 사후 검정을 통해 진로교육 특성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정하였으며 학생수준과 시·도 수준으로 나누어 다층모형(HLM) 분석을 통해 진로개발역량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및 진로교육 특성은 시·도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진로개발역량의 대부분은 학생 간 차이로 설명되지만 시·도 수준에 따른 격차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의 학생 수준 변인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시·도에 따라 학교 진로활동 만족도와 진로 개발역량의 관계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진로교육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중학생의 학교 진로활동 만족도가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학생 1인당 진로교육 예산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학생 개인차원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해당 시·도의 1인당 진로교육 평균 예산이 높아질수록 진로개발역량이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중학생 진로교육 효과성 증대를 위한 시·도별 맞춤형 지원이 제공되어야 하며 자유학기제를 고려한 진로교육 기회 및 조건을 보장해야 한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 17개 시·도 단위를 더욱 세분화하여 시·군·구 단위까지 분석해야 하며 시·도별 진로교육 격차 연구가 학교급별로 세분화되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장애인 단시간근로의 질 분석

        박자경 한국직업재활학회 2016 職業再活硏究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rt-time work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aspect of the work quality and to explore a support plan necessary for which the part-time work can become a useful occupational alternativ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difficult for employment or full-time work owing to a restriction caused by disability or to a problem in light of health. An indicator of analyz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was formed by adding the fairness(discrimination)⋅convenience offer index of reflecting a characteristic of employment in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job satisfaction index in addition to this after firstly selecting the indexes of wage, employment stability, social insurance, working-condition stability, and work fitness based on the indicator of measuring decent jobs in ILO. The analytical data were utilized the 7th Panel Survey Data of Employment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time workers and full-time workers were compared by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art-time workers and the full-time workers were not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ourly wage. In the employment stability and the subscription to social insurance, the part-time workers were indicated to be in the poorer employment condition than the full-time workers. Out of the index for work fitn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matching between two groups in the knowledge․skill application,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out of job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an opportun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matching between two groups. In the adjustment of working hours out of the fairness⋅convenience offer index, the part-time workers were shown to have more adjustment of working hours compared to the full-time workers. Based on the above analytical results, there was a suggestion of the expansion in part-time job with good qualit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ull-time work.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의 질 측면에서 장애인 단시간근로를 분석하고 단시간근로가 장애로 인한 제약이나 건강상의 문제로 취업이나 전일제근로가 어려운 장애인에게 유용한 직업적 대안이될 수 있기 위해 필요한 지원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근로의 질을 분석하는 지표는 우선 ILO의괜찮은 일자리 측정지표를 토대로 임금, 고용안정성, 사회보험, 작업환경 안정도, 일의 적합도 지표를 선정하고 여기에 장애인고용 특성을 반영한 공평성(차별)⋅편의제공지표와 직무만족지표를추가하여 구성하였다. 분석자료는 장애인고용패널7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성향점수매칭분석을 이용하여 단시간근로자와 전일제근로자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단시간근로자와 전일제근로자는 시간당 임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고용안정성과 사회보험 가입에서는 단시간근로자가 전일제근로자에 비해 열악한 고용조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의 적합도 지표 중 지식․ 기능 활용도 그리고 직무만족도 중 발전가능성, 교육훈련기회 만족도는 매칭 전에는 두 집단 간차이가 유의미하였으나 매칭 후에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공평성⋅편의제공 지표 중 근로시간 조정에서는 단시간근로자들이 전일제근로자에 비해 근로시간 조정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단시간근로의 질 개선을 위한 양질의 단시간 일자리 확대 등을 제언하였다

      •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 활성화 방안

        박자경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7 연구개발 Vol.- No.13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여성장애인은 장애와 성별로 인한 이중 장벽으로 사회적 불이익을 겪는 대표적인 집단이다. 여성장애인이 경험하는 문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등 삶의 전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고용영역에서는 여성장애인의 문제가 보다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낮은 경제활동참가율, 높은 실업률은 여성장애인의 고용문제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이다. 특히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전체 여성이나 남성장애인에 비해 저조한 것은 장애나 성별로 인한 한계로 여성장애인들이 경제활동에 참여할 여건이 충분히 조성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노동시장 내 여성장애인의 배제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실태나 현황을 제시하는데 그치고 있어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경제활동과 관련된 여성장애인의 애로사항과 직업욕구를 조사하여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II. 연구과제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둘째, 여성장애인이 경제활동에 참여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직업욕구는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셋째,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요인과 직업욕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III. 연구방법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첫째,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요인을 분석하고 둘째, 여성장애인이 경제활동에 참여하면서 경험하는 애로사항과 직업욕구를 분석하였다.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요인 분석은「2005년도 장애인 실태조사」원자료를 활용하여 인구학적 요인, 인적자본요인, 가구요인, 장애요인, 차별요인 중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경제활동 참여요인 분석을 위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성장애인 욕구 분석은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정보시스템에 등록된 여성장애인 505명을 대상으로 경제활동 참여 시의 애로사항과 직업욕구를 분석하였다. 욕구분석을 위해서는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IV. 분석 결과 및 논의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요인 분석 결과, 연령, 6세 미만 자녀 유무, 직업훈련, 가구주 여부, 가구소득,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가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20대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이 가장 높고 그 외 연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은 20대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세 미만 어린 자녀가 있는 여성장애인은 6세 미만 자녀가 없는 여성에 비해 경제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직업훈련을 받은 경험이 있는 여성장애인, 가구요인에서는 여성가구주, 자신을 제외한 타가구원 소득이 낮은 여성장애인의 경우 경제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장애요인에서는 정신적 장애인, 중증장애인들이 신체장애인이나 경증장애인보다 경제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성장애인 욕구 분석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여성장애인이 경제활동에 참여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으로는 여성에게 적합한 일자리 부족,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가장 크게 지적되었다. 그 외 남성에게 우선권이 부여되는 문제, 임금 격차, 여성근로자 지원제도의 부족 역시 중요한 어려움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학 전 자녀가 있는 여성의 경우 육아 지원등 여성근로자 지원제도가 부족한데 대해 어려움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우선과제에서는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 임금 등 근로조건의 개선, 직업훈련의 확대 및 강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여성장애인들의 취업 준비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절반 이상의 여성장애인들이 취업을 위해 별도의 준비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많은 여성장애인들이 어떻게 취업 준비를 할지 몰라서, 적절한 프로그램이나 교육기관을 찾지 못해서, 취업 준비를 할 용기나 엄두가 나지 않아 취업 준비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성장애인의 희망 직종은 여성장애인 특성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많은 여성장애인들이 제조관련 단순노무직, 서비스관련 단순노무직과 같이 저숙련, 저임금 일자리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많은 여성장애인들이 현재의 취업 여건을 고려하여 취업 직종을 선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있는 여성장애인은 6세 미만 자녀가 없는 여성에 비해 경제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직업훈련을 받은 경험이 있는 여성장애인, 가구요인에서는 여성가구주, 자신을 제외한 타가구원 소득이 낮은 여성장 V.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 활성화 방안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요인과 욕구 분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경제활동 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여성장애인 생애주기별 지원제도가 강화되어야 한다. 여성장애인에게 연령은 결혼 및 출산과 같은 생애주기별 주요 사건과 밀접히 관련되며 노동시장에서 요구하는 인적자본으로서의 경쟁력과도 관련되기 때문에 경제활동 참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생애주기별 특성이 반영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취학 전 자녀가 있는 여성장애인의 육아 부담을 경감시킬수 있는 지원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탄력적인 근무시간제도의 운영, 재택근무의 활성화, 시간제 근무의 다양화 등 근로형태가 다양한 일자리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직장보육시설의 설치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많은 여성장애인이 직장보육 서비스를 실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현행 직장보육서비스 제공 사업장의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할것이다. 또한 육아 및 가사 부담이 경감되어 노동시장에 재진입하고자 하는 여성장애인들의 경우 경력단절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보다 초점이 두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정규교육 후 노동시장 진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20대 여성장애인의 경우에는 직업훈련을 강화하는 등 장기적인 투자를 통해 보다 좋은 일자리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보다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여성장애인을 위한 취업지원서비스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관련 기관 간 연계를 통하여 여성장애인들이 자신의 특성에 맞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공단 지사, 여성장애인단체 등을 중심으로 여성장애인 고용협의체를 구성하고 서비스 연계절차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여성장애인에 대한 실효성 있는 차별 금지 조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여성장애인이 경험하는 차별 문제는 2007년 제정된「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을 통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효성 있는 제도의 운영을 위해서는 차별입증 책임 조항, 차별행위에 대한 제재 조치의 강화 등 지속적인 법률 개정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VI. 연구의 의의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전체 여성이나 남성장애인에 비해 특히 낮은 것은 본 연구에서 뿐 아니라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문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과 관련된 연구들은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실태 및 현황을 단순히 제시하는데 그치고 있어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논의를 전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요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여성장애인 욕구를 조사하여 여성장애인의 특성을 반영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연령별 특성, 취학 전 자녀 양육 문제 등 지금까지 경험적으로 논의되던 여성장애인의 특성이 구체적으로 논의되었으며, 이는 향후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원제도를 마련하는데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장애인 단시간근로 결정요인과 일자리 이동 분석

        박자경 한국직업재활학회 2016 職業再活硏究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short-time labo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what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these people who had difficulties doing full-time work due to their disabilities or health reasons to take advantage of short-time labor as an efficient job alternat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rt-time labor of the disabled were analyzed, and the determinants for their short-time work and their job mobility were analyzed as well. The data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ere utilized in this study,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made. As a result, there were three major reasons that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chose short-time work. One was restrictions caused by disabilities, and another was being unable to get a full-time job. The third was flexible working hours. When the characteristics of short-time work were compared with those of full-time work, short-time work was more prevailing among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were female, who weren't highly educated, who had severe disabilities and/or who were in bad health. As for working conditions including job stability, the status of the short-time workers was lower than that of the full-time workers.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short-time labor of the disabled were gender, age, health status and whether to be a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 or not, and those who were service workers, sales associates or simple laborers or who were self-employed or in the public service industry were more likely to do short-time work. Concerning job mobility, the factors that exerted an influence on their transfer to full-time work were health state, the degree of disabilities, age and academic credential. The mobility from short-time work to unemployment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whether to be a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 or not.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how to ensure the job stability of short-time workers with disabilities, how to assist their health promotion and disability management in their workplaces, how to accelerate their transfer to a full-time job and how to provide more chances for jobless disabled people to do short-time work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장애인의 단시간근로가 어떤 특징과 제한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단시간근로가 장애나 건강상의 이유 등으로 전일제근로가 어려운 장애인에게 유용한 직업적 대안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방안들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장애인 단시간근로의특성을 분석하고 장애인 단시간근로 결정요인과 일자리 이동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장애인고용패널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로지스틱분석과 다항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이단시간근로를 선택하는 중요한 이유는 장애로 인한 제약, 전일제 일자리를 찾지 못해서, 자유로운근무시간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일제와 비교하면 단시간근로는 여성, 저학력자, 중증장애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는 장애인에게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안정성 등 고용여건에서는 단시간근로자들의 지위가 전일제근로자에 비해 많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들의 단시간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건강상태, 기초생활수급여부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판매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 그리고 사업개인공공서스업 분야에 종사할 경우 단시간근로를 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시간근로자들의 일자리 이동을 분석한 결과, 전일제근로로 이동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상태, 장애정도, 연령, 학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시간근로에서 미취업 상태로의 이동에는 기초생활수급여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단시간 근로자들의 사업장 내 건강 및 장애관리 지원, 단시간 근로 장애인의 고용안정성 확보,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차별 예방 조치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농업인과 비농업인의 디지털 역량 영향 요인 분석

        박자경,최수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6 No.1

        이 연구는 농업인과 비농업인의 디지털 역량 차이를 확인하고, 디지털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1년 디지털 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농업인과 비농업인의 디지털 역량 차이와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기기 활용도의 변화를 확인하고, ANOVA 분석으로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후, 농업인과 비농업인을 대상으로 각각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디지털 역량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농업인의 디지털 역량이 비농업인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농촌에 거주하는 사람이 도시 거주민 보다 디지털 역량과 활용도 모두 낮게 나타났다. 디지털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거주지역, 연령, 디지털 기기 활용도,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 등이었다. 디지털 기기 활용도는 연령에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농업인과 농촌 거주민을 위한 디지털 역량 강화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in digital literacy between farmers and non-farmers and analyze factors influencing digital literacy. Utilizing data from the 2021 Digital Divide Survey, the study analyzed differences and influencing factors in digital literacy between farmers and non-farmer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mployed to examine changes in digital literacy and device usage, with ANOVA analysis used to confirm differences. Subsequently,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separately for farmers and non-farmer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digital literacy.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ly lower digital literacy among farmers compared to non-farmers, with rural residents showing lower digital literacy and usage than urban residents. Factors influencing digital literacy included gender, location of residence, age, device usage, and attitudes toward digital technology. Device usage exhibited an interaction effect with age. Based on the findings,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policies to enhance digital literacy for farmers and rural residents.

      • KCI등재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 분석

        박자경,김종진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9 재활복지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적(신체상태), 심리적(장애수용), 사회적(사회적 지지 및 사회참여), 사회경제적 요인(사회경제적 수준)들이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의 장애인 삶의 질 연구에서 간과하고 있는 장애수용 요인을 포함시키고 장애와 관련된 신체상태, 사회참여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장애인 고유의 삶의 질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신체상태, 사회경제적 수준과 같은 객관적 요인들과 장애수용, 사회적 지지와 같은 주관적 요인들을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을 포괄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223명의 성인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최종 21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요인들이 어떤 경로를 통해 삶의 질에 직접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수용과 사회참여 요인이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장애수용과 사회참여를 매개로 삶의 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상태는 사회참여를 매개로 삶의 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경제적 수준은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specified the effects of physical, social, psychological, socioeconomic factors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for a sample of 215 adults with disabiliti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MOS 7.0 program utilizing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ffected subjective quality of life. Also social participation affected subjective quality of life. But No direct effect has been found between socioeconomic level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Physical function gave no direct effects to subjective quality of life. Here social participation was played as an intervening factor. Social support gave no direct effects to subjective quality of life. Here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played as intervening factor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provide both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some strategies of improving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기금의 합리적 운용방안

        박자경,남용현,김경아,김규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6 연구개발 Vol.- No.5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기금을 안정적·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 재활기금은 현재 장애인고용촉진 사업을 수행하는 거의 유일한 재원이지만, 사업주가 납부한 부담금으로 대부분 조성됨에 따라 장애인고용이 증가하면 기금은 감소하는 구조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는 결과적으로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사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금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사업성격별로 다양한 재원을 활용하는 방안과 지출 측면에서 기금 지원 사업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제시된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제2장에서 기금의 수입 구조와 지출 구조를 살펴보았고, 제3장에서는 부담금 제도와 기금으로 수행되는 사업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제4장에서 합리적인 기금 운용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일본과 독일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제5장에서는 수입 측면에서 타 재원을 활용하는 방안과 지출측면에서는 기금으로 수행되는 사업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는 기금의 수입ㆍ지출 현황, 사업별 실적 및 2005년 장애인근로자 실태조사 원자료(raw data)이며, 각 자료에 대한 기술통계치를 산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그에 따른 개선방안들은 다음과 같다. ■ 기금 구조분석 결과와 재원 다각화 방안 기금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1991~2005년까지의 수입·지출을 분석한 결과, 기금 수입의 대부분은 사업주가 납부한 부담금으로 조성되며, 일반회계 등 타 재원의 활용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출측면에서는 공단 출연금과 고용장려금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최근, 수입증가율에 비해 지출 증가율이 높으며 특히 고용장려금의 증가가 급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기금 수지의 적자 및 불안정성이 초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사회보험, 일반회계 재원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각 사업의 목적 및 내용, 대상에 근거하여「고용보험법」과「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검토하였고, 일본과 독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먼저 사업목적 및 사업내용을 검토한 결과, 고용보험기금으로 수행되는 고용보험사업 중 고용알선사업, 고용안정사업, 직업능력개발사업은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기금으로 수행되는 고용환경개선사업, 고용알선사업, 직업능력개발사업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업대상 측면에서는 장애인의 실업률이 고령자나 여성의 실업률보다 훨씬 높은 점 등 장애인들이 노동시장 내 대표적 취약계층이므로 고용보험사업과 근로복지사업에서 우선적 정책대상이 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사회보험 재원의 확보에 이어 일반회계 확보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과 독일의 사례를 참조하여 장애인고용촉진공단운영비 등 장애인고용촉진사업을 수행할 때 소요되는 행정적 비용은 기초 인프라에 해당되는 만큼 일반회계를 통해 지원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기금에서 지원하고 있는 직업재활지원사업은 사업내용과 대상을 고려할 때 일반회계에서 지원이 이루어지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제도 및 사업평가 결과와 개선방안 합리적인 기금 운용을 위해서는 재원다각화와 같은 수입구조의 개선뿐 아니라 장애인 고용촉진을 위한 제도와 기금으로 지출되는 사업이 효과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고용부담금제도와 기금 지원 사업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먼저 부담금제도를 분석한 결과, 부담금 업체 중 고용률이 0.5% 미만인 사업체 비중이 가장 높으며, 대기업의 장애인 고용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장애인 고용률이 0.5% 미만인 사업체, 그리고 대기업의 경우 장애인을 다수 고용하거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사업체에 비해 장애인 고용에 대한 적극성이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들 사업체에 대한 고용의무가 강화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고용률별(0.5% 미만, 0.5~1%, 1~2%), 사업체 규모별(500인 미만, 500~1000인 미만, 1000인 이상)로 부담금을 차등징수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금 지원 사업에 대한 평가에서는 장애인 고용환경개선 및 고용유지사업, 고용장려금, 취업알선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등의 장애인 지원제도는 모두 고용확대에 일정 부분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사업들은 임금수준, 고용형태와 같은 고용의 질에는 기여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직의사나 이직장애인의 근속년수를 통해 측정한 고용유지 효과에서도 마찬가지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들의 고용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인적자본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기적인 지원과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전제하고, 단기적인 측면에서는 취업한 장애인들의 재교육이나 재훈련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특히 재훈련의 기회를 제공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훈련비 지급, 훈련기간 동안의 임금 지원 방안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근속은 생산성과 경력에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임금 등 고용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루어져 한다고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들의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 즉 고용환경개선사업을 통해 근로하기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거나 고용유지관리비용의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합리적인 장려금 지출을 위한 개선방안에서는 장애인고용에 따른 비용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지원을 하고, 별도의 지원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원을 축소 또는 폐지한다는 원칙에 따라 장려금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장애정도별 지원에서는 중증장애인에 대한 지원의 폭을 넓히고 별도의 지원이 필요하지 않은 경증장애인(예를 들어 5급, 6급)의 경우 장려금의 축소나 폐지 등의 제도개선을 검토해야 한다. 또한 지원 시점과 관련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지원이 필요한 입사 초기에 더 많은 장려금을 지급하고 일정시기 이후에는 장려금을 축소하거나 폐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장려금 업체에 근무하는 장애인들의 고용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장려급 지급 시 임금수준, 고용형태 등을 보장하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즉 고용형태나 임금수준에 상관없이 고용률을 산정해 주는 것이 아니라 상용직으로 고용한 경우, 일정 기간 이상 고용한 경우, 최저임금 이상을 지급한 경우 등에 한정하여 고용률을 산정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이러한 지급조건들은 일시적으로 장애인 고용을 위축시킬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고용의 질을 개선하는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 기금을 합리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기금과 관련한 기존 논의와 비교하여 가지는 의의는 부담금과 장려금을 통해 기금수지를 조정하려던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기금을 합리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금의 합리적인 지출을 위해 기금 지원 사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기금 지원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실적(output)위주의 성과 뿐 아니라 참여도, 만족도, 고용유지, 고용의 질 등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성과를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