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계고 학점제 성과관리 모델 개발 연구

        류지은(Ji-eun Ryu),서예린(Yelin Suh),정지용(Ji-yong Jeo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1

        이 연구는 직업계고를 중심으로 고교학점제의 성과관리 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성과관리 모델에 근거하여 수정된 IPA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에 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과 전문가 자문을 통해 투입, 과정, 산출에 따라 10개 영역 및 34개의 성과지표로 구성된 직업계고 학점제 성과관리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209개 직업계고 학점제 연구․선도학교의 학교관리자와 학점제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성과관리 모델에 수정된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정된 IPA 분석을 통해 집중적인 개선이 필요한 요소가 도출되었으며, 학교관리자와 학점제 담당 교사 간에 집중 개선이 필요한 요소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직업계고 학점제 성과관리 모델(안)과 수정된 IPA 분석 결과는 단위학교의 학점제 도입과 운영을 위해 필요한 지원 방안을 강구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high school credit system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centered on vocational high school and obtain implications by deriving revised IPA analysis. This study derived a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for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consists of 10 areas and 34 performance indicators according to input, process, and output. We conducted a demand survey to teachers and analyzed the revised IPA. Through the revised IPA analysis, we identify the factors that need intensive improvemen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factors requiring intensive improvement between school managers and practitioners. This study s results contribute to devising the necessary support plans for the credit system s introduction and operation.

      • KCI등재

        직업계고 교원의 교사학습공동체가 학습자 중심 수업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정 이해도와 교육과정 재구성의 매개효과

        류지은(Ji-eun Ryu),서예린(Yelin Suh),정지용(Ji-yong Jeo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주체로서 학생이 강조됨에 따라 직업계고에서 학습자 중심 수업이 이루어짐에 있어 교원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가 교육과정 이해도 및 재구성을 매개로 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514개의 직업계고등학교의 수업 담당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에는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사학습공동체와 학습자 중심 수업의 관계에서 교육과정 이해도와 교육과정 재구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교사학습공동체가 학습자 중심 수업과 교사의 교육과정 이해도 및 재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원의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육과정 이해도와 재구성을 각각 매개하여 학습자 중심 수업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이해도와 재구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습자 중심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갖는 시사점으로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한 학교의 지속적인 지원과 교육과정 이해 및 재구성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여러 형태에 따른 영향을 비교해보거나 질적 연구 방법론을 이용하는 등의 시도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articipation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teachers influences through understanding and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in activating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as students are emphasized as the subject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class teachers at 514 vocational high schools, and a PROCESS macro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dual-mediated effect of the curriculum understanding and reorgan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had a direct influence 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nd teachers understanding and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teachers not only affecte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by mediating curriculum understanding and reorganization, but also affecte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by sequentially mediating curriculum understanding and reorganization. A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there is a need to prepare a plan for continuous support of the school for revitalization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teacher and revitalization of curriculum understanding and reorganization. It was suggested that attemps should be made such as comparing the effects of various forms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teacher or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 KCI등재

        서울시 교육주체의 미래농업에 대한 교육수요 분석

        정진철(Jinchul Jeong),서예린(YeLin Suh),강민지(MinJi Kang),조홍용(HongYong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농업 유망분야를 도출하여 중등단계에서 교육의 필요성이 인정되는지 확인하고, 서울시 소재 중학교에 소속된 학생 및 학부모, 교원을 대상으로 도출된 미래농업 유망분야에 대한 교육수요를 확인하고자 함에 있다. 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관련 선행연구 고찰과 함께 1차 전문가자문을 실시하여 미래농업 유망분야를 도출하였으며, 이후 도출된 분야에 대해 2차 전문가 자문을 실시하여 미래 농업에서의 중요성, 인력의 충분성,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인력양성의 필요성 지표를 통해 중등단계 교육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중학생 및 학부모, 교원을 대상으로 미래농업 유망분야에 대한 친숙도와 선호도를 바탕으로 수정된 IPA 분석을 실시하여 미래농업과 관련된 교육수요를 확인하였다. 결과 전문가 자문실시 결과 16개의 미래농업 유망분야가 도출되었으며, 신품종 개발과 같이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것을 제외하고,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인력양성 필요성이 인정되었다. 도출된 16개의 미래농업 유망분야에 대한 서울시 교육주체의 교육수요를 분석한 결과, 농산물이력정보, 반려동물, 도시농업 등의 미래농업 유망분야에 대해 교육수요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등단계에서부터 학생들이 미래농업 유망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교양 수준의 교육과 진로교육, 나아가 전문적인 직업교육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특히 미래농업 유망분야 인력양성을 위한 농업계열 중등교육기관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인 서울시에서도 향후 미래농업 종사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 혹은 교육기관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omising fields for future agriculture and to confirm whether the necessity of education is recognized at the secondary level in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by experts and to confirm the demand for education in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f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of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first, a promising field for future agriculture was derived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advice. And then experts have confirmed the necessity of secondary education by using the importance of future agriculture, the sufficient of workforce, and the necessity of workforce development at the high school level. Results As a result, 16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were derived, and except for those requiring high-level knowledge and skills, such as the development of new varieties, the necessity workforce development at the high school level was recognized. Second, a revised IP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familiarity and preference for promising fields in future agriculture for educational participants to confirm the education demand related to future agricultu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emand for education in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such as agricultural product history information, companion animals, and urban agriculture. Conclusions This study's results contribute to the necessary to provide liberal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as well as vocational education, to help students choose a career path from secondary school to a promising agricultural field. In particular, the Seoul, which does not have agricultural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to foster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urriculum or educational institution to foster future agricultural workers in the future.

      • KCI등재

        기업 내 교육훈련 전이의 영향요인 및 성과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고귀영(Gwi-young Ko),서예린(Yelin Suh),유현주(Hyun-joo 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 중하나인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직 차원, 학습 현장 차원, 개인 차원으로 구분하여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교육훈련 이후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반응 차원, 스킬 및 태도변화 차원으로 구명하였다. 다음으로 교육훈련 전이의 성과 역시 구분하여 구명하고 이들을 고려하여 교육훈련 설계 시 고려해야 할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업 내에서의 교육훈련 전이를 연구한 학술지 중 준거에 의해 분류된 총 61편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 첫째,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차원 변인은 학습문화 요인, 사회적 지원 요인, 기술적 지원 요인, 수행 기회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교수내용, 교수전략, 교수자 요인은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현장 차원의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차원의 요인은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넷째,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 후 변인으로는 반응 차원, 스킬 및 태도 변화 차원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교육훈련 전이의 성과로는 조직 성공 변인들이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현장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transfer of training, which is one of the indices that can confirm the outcome of education in the enterprise, at organizational level, at the level of the learning field, and at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transfer after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were identified as dimensions of response, skill and attitude change. Also, the outcome of the transfer of training were also identified to suggest the characteristics to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A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61 journals classified by criteria among academic journals that studied the transfer of training within the enterpris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variables affecting the transfer of training could be classified into learning culture factors, social support factors, technical support factors, and performance opportunity factors. Second, the contents of teaching, teaching strategies, and instructor factors were derived as variables at the level of learning field that affect the transfer of training. Third, the individual level factors affecting the transfer of training could be classified into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Fourth, the dimension of response and the dimension of skill, and attitude change was derived as a post-training variable affecting the transfer. Fifth, organizational success variables were derived as variables as a outcome of the transfer of training.

      • KCI등재

        학력 수준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영흥(Young-heung Kim),서예린(Yelin Suh),박자경(Ja-Kyung Park)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력 수준이 노동시장 성과인 고용여부와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분석자료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패널조사 데이터의 1차, 3차, 6~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 시 STATA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Mincer의 임금함수를 토대로 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선택편의를 보정하기 위해 처치 확률가중치 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개인의 최종 학력 수준을 결정하는 데 월평균 가구소득 및 교육비, 부모학력, 고등학교 소재지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여부에 학력 수준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금에 학력 수준, 경력년수, 역량, 성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택편의 보정 이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결론으로는 첫쩨, 개인의 최종 학력 수준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학력 수준은 근로자의 고용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남성 및 여성과 같은 개인의 성별이 노동시장 성과 중 하나인 개인의 고용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학력 수준은 근로자의 임금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력년수와 개인의 역량과 같은 입사 이후의 변화 가능성이 높은 요인들도 근로자의 임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evel of education on employment status and wages, which are labor market outcom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analysis data used the data from the 1st, 3rd, and 6th to 12th years of the 2005 panel survey data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Mincer's wage function were performed using the STATA 17.0 program, and treatment probability weighting techniques were used to correct for selection bia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has a major influence on determining an individual's final level of education. Second, rather than the level of education, gender, such as male and female, affects whether an individual is employed, which is one of the labor market outcomes. Third, the level of education has a major impact on the wages of workers, and this wage premium effect still exists even after adjusting for the selection bias according to the parents'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which affects the final level of education. Fourth, factors that are highly likely to change after joining the company, such as years of experience and individual competency, also have a major impact on workers' wages. Based on these conclusions, sugges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국외 교원양성기관의 진로교육 교육과정 운영 사례와 함의

        정진철(Jinchul Jeong),류지은(Ji-eun Ryu),서예린(Yelin Suh)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1

        학교 현장에서 진로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현재,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진로전담교사를 포함한 모든 교사들이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진로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교사들의 진로교육 관련 전문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는 현직 교사 대상의 진로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와 함께 교원양성과정에서의 예비교원 대상의 진로교육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교원양성과정에서 진로교육 비중을 확대할 경우, 장기적 관점에서 모든 교사가 진로교육을 이해하고 관련 기초지식과 기초역량을 갖추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일본, 프랑스, 핀란드, 오스트리아 등 4개 국가의 국외 교원양성기관의 진로교육 교육과정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국내 교원양성기관의 진로교육 운영 강화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activate career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all teachers including career dedicated teacher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and to have the capacity to carry out career education. In order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related to career education of teachers, it is possible to consider career education for preliminary teachers in the process of teacher training as well as training for strengthening career education capacity for current teachers. If the proportion of career education is expanded in the course of teacher training, all teacher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career education, basic knowledge and basic competency in the long ter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cases of career education curriculum of foreig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in four countries such as Japan, France, Finland and Austria,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career education of domestic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