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성화고교생의 경제적 스트레스, 학교소속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학교만족도의 관계규명

        주영주,김동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4 교육과학연구 Vol.45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conomic stress, school belong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school satisfaction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school education are based on ERG(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theory(Alderfer, 1972). Participants attended a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n Korea. A hypothetical model was proposed, which was composed of economic stress, school belong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exogenous variables; and career maturity and school satisfaction as endogenous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belong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Second, economic stress, school belong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최근 부각되고 있는 청년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등학교부터 직업능력을 기를 수 있는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국가의 정책지원이 강화되고 있다. 특성화고등학교가 학생들에게 보다 나은 교육프로그램을 제공 할 수 있게 학교교육성과인 진로성숙도,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고 이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교 교육성과에 영향 미치는 변인은 동기이론의 대표적인 Alderfer의 ERG이론을 통해 경제적 스트레스, 학교소속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의정부의 A특성화고등학교 2학년 재학생 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결석자, 무응답자 등을 제외한 277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특성화고교생의 경제적 스트레스, 학교소속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학교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교생의 학교소속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경제적 스트레스, 학교소속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의 경제적스트레스, 학교소속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관리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서 학생들에게 적용한다면, 학교교육의 성과인 진로성숙도와 학교만족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고등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학교소속감과 우울, 불안 간의 관계

        김현주 ( Hyun Ju Kim ),김자경 ( Ja Kyoung Kim ),신보희 ( Bo Hee Shi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통합학급에 입급된 장애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 소속감과 우울, 불안 정도를 비교하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U시와 B시에 위치한 44개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201개의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고등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학교소속감 수준은 고등학교 학년, 장애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영역인 학교편안감에서 지체장애학생이 학습장애 학생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학교애착감에서 고등 학교 3학년 장애학생이 고등학교 1학년 장애학생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등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우울 수준은 우울정서 및 행동장애 하위영역에서 부분통합된 장애학생이 완전통합된 장애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행동장애 영역에서 중학교 1학년 장애학생이 중학교 3학년 장애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고등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불안 수준은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중·고등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학교소속감과 우울, 불안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우울과 불안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 depression, and anxie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of the secondary schools. Participants are 20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wo cities, B & U.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 according to the disability types and high school grades.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how higher level of sense of school-comfort tha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third grad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 higher level of sense of school-attachment than the first grad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high schools.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re observed in the total scores on all domains of depression. But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evel of melancholy emotion and behavioral problem between the students in the special classes and the full inclusive classes. Also the first grad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 higher level of behavioral problem than the third grad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s. Thir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level of anxiety on all domains. Fourth, there a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 and depression, between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 and anxiety. Bu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 KCI등재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학업성취도 관련변인 연구

        주영주,이정원,김동심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9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belonging, parent support, school satisfaction, achievement in Jayul private high school. For this study, A Jayul high private school in Korea was chosen to conduct survey. A hypothetical model was proposed, which was composed of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belonging, parent Support as exogenous variables, school satisfaction, achievement as endogenous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ademic self-efficacy affect achievement. Second, school belongin affect school satisfaction. 본 연구는 2010년 우리나라 교육현장에 처음으로 도입된 자율형사립고등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의 학습적 인과관계를 밝혀,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자율형사립고등학교 운영방안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 부모지원, 학교만족도, 학업성취도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서울의 A자율형사립고등학교의 2학년 재학생 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32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 부모지원이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학교소속감이 학교만족감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 부모지원, 학교만족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는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자율형사립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소속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교육적 성과가 높아질 것이다.

      • KCI등재

        glmmLasso 기계학습 기법을 통한 일반고와 특성화고 고등학생의 학교소속감 예측 변수 탐색

        유진은,구미령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2

        Although students’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at-risk students including early dropouts,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research on high school students’ sense of belonging. While confirmatory research requires solid theoretical background, exploratory research particularly via machine learning is unbounded by established theory and thus can make contributions to the existing body of literature.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and identifying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students’ sense of belonging enrolled in genera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ELS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6 fourth wave data (824 variables of 1,775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854 of 739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with glmmLasso,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In particular, vocational high school data were high-dimensional and thus machine learning was a necessary tool. Specifically, glmmLasso, grouped as penalized regression among machine learning, is known to consider the hierarchical data structure resulting from multistage sampling schemes in variable selection. Among student, teacher, principal, and school variables explored, a total of 20 and 21 variables were selected as important for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respectively. Policy suggestions and future research topic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학교소속감이 중도탈락을 막을 수 있는 중요한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특히 고등학교 학생에 대한 학교소속감 연구는 그 수가 많지 않다.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분야에서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하는 탐색적 연구가 학문적 기여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일반고 및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소속감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교육종단연구 2016 4차년도 데이터의 일반고와 특성화고 학생, 교사, 교장, 학교 변수를 모두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75개 일반고 1,775명의 824개 변수 자료와 36개 특성화고 739명의 854개 변수 자료를 기계학습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일반고와 특성화고에서 각각 20개와 21개의 학생, 교사, 학교 관련 변수가 선택되었다. 학교소속감을 개인의 심리적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교사, 교장, 학교 변수까지 모두 모형에 투입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의 변화를 꾀하였다. 기계학습 기법 중 벌점회귀모형으로 분류되는 glmmLasso를 활용하여 변수 선택 시 자료의 위계적 구조를 반영한 점 또한 연구 의의라 하겠다. 특히 특성화고 자료는 사례 수보다 변수 수가 더 많은 고차원 자료였으므로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학교소속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주제 또한 논하였다.

      • KCI등재

        자율고교생과 특성화고교생의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 부모지원, 학교만족도,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와 잠재평균 분석

        주영주(朱玲珠),김동심(金東心),이광희(李光熙)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아시아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 부모지원, 학교만족도 및 학업성취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학교유형상 목적이 다른 자율고교생과 특성화고교생의 잠재평균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 및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A자율고교생와 B특성화고교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 부모지원은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율고교생과 특성화고교생의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 부모지원, 학교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자율고교생의 자기효능감, 학교만족도가 특성화고교생에 비해 높았으며, 효과크기는 자기효능감, 학교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개 유형의 고등학교에서는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 부모지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제공한다면 학교교육의 성과인 학교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nd invest the difference among self-efficacy, parental support, school belonging, school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the high school education by school type. For this study, 444 students at High school in Korea completed surveys in the fall semester of 2012(222 students: prestigious private school, 222 students: specialized vocational school).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self-efficacy, parental support, school belonging affect school satisfaction. Second, Self-efficacy affect achievement. Third, According to latent means analysis, Specialized vocational school students shows significantly lower latent mean values than prestigious private school students on two factors(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In the case of specialized vocational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highly affected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instructional design methods and management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in prestigious private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school.

      • KCI등재

        마이스터고 학생의 학교소속감, 학교만족도, 학교수업 및 진로지도에 대한 인식 : 특성화고 및 일반고 학생과 비교를 중심으로

        배상훈,김환식,김효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4 No.3

        This study compared a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satisfaction on school, and the perception on the effectiveness of classes and career guidance on career development among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from different school types - Meister,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s. Samples include 417 Meister school students, 450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458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One-way ANOVA was employed to find whether differences exist on those three variables among the three student groups. Multi-level modeling was conduct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type and dependent variables. Meister students showed a higher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and school satisfaction than comparison groups. Compared to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Meister students were found to perceive that school classes and career guidance are helpful for their career development and preparation for job. 본 연구는 마이스터고의 성공 가능성 탐색을 위해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학교소속감, 학교만족도, 학교수업 및 진로지도의 적절성 및 효과성에 대한 인식을 일반고 및 특성화고 집단과 비교․분석하였다. 마이스터고, 일반고, 특성화고 각각 11교를 선정한 후, 학교별로 2010년(1학년) 20명, 2011년(2학년) 25명을 무선표집하여 2회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수행하였고, 종속변인값과 종속변인의 2010-2011 변화율에 대한 학교유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마이스터고 학생들은 비교 집단보다 소속감과 만족도가 높았으며, 학교수업과 진로지도가 진로개발과 직업준비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2010년 1학년에서의 이러한 차이는 2011년 2학년까지 유지되고 있었다. 이는 마이스터고가 조기 취업을 결정한 학생에게 직업교육을 충실히 수행하는 교육기관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 KCI등재후보

        교수와의 유대관계가 대학생의 학교소속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영진(Young-Jin Choi)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14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2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respect to students from a specific school in the Ulsan area from May 2014 until August 2014 to reveal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on the students’ a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and their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lues for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A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and the quality of live was greater in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in students 20 years old or younger than students 21 years old or older and in freshmen students than sophomore stud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and a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and between the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and quality of life and a correlation among each of their sub-factors. Third, the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a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More specifically,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munication and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rofessors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 subfactor of a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and communication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rofessors had an effect on the level of job participation. Fourth, the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More specifically,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an effect on physical awareness, a subfactor of quality of life. By expanding the scope of study subjects and verifying other factors, it is necessary for follow-up studies that may even reveal the order of relationship among the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a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and quality of life.

      • KCI등재

        중도입국청소년의 학교소속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서은주,차승은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1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를 조사한 실증자료를 바탕으로 중도입국청소년의 학교 소속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문화부조화가설과 문화적응가설을 중심으로 분석하 였다. 전체 279명의 중도입국청소년에 대한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중도입국청소년들의 학교소속감 수준은 척도중간값 보다 높 았고 반면에, 문화적응스트레스 수준은 중간값 보다 낮았다. 둘째, 부모의 지지가 낮을 수록 학교소속감은 높게 나타나, 부모의 지지가 낮은 경우 학교에서 사회적 지지를 얻 는 대체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교사와 학교친구와의 관계가 좋 으면 학교소속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적응가설을 지지한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도 학교소속감에 부적영향을 미쳐 문화부조화가설을 지지한다. 마지막으로 학교소속감은 중도입국청소년의 성별·연령·한국 내 거주기간·부모의 경제적 자원과 무 관하게 나타나 학교시스템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소속감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개입에 함의를 도출하였다. Based on empirical date investigating adolescent immigrants,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 of adolescent immigrants focusing on the cultural dissonance hypothesis and cultural adaptation hypothesi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urvey data of 279 cases of adolescent immigrant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 immigra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showed relatively high sense of school belonging and relatively low on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Second, the lower the parental support, the higher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 This results indicates that when the parental support is low, it forms an alterna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support in school. In addition, if the relationship with school teachers and friends is good,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 increases. This results supports the cultural adaptation hypothesis. Third, cultural adaptation stress also affects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 negatively, and it supports the cultural dissonance hypothesis. Lastly, the importance of the school system was emphasized as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 of adolescent immigrants is irrelevant to the gender, age, duration of residence in Korea, and parents' economical resources of adolescent immigra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practical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ool of adolescent immigrants.

      • KCI등재

        성취목표지향성, 학교소속감 및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신종호(申宗昊),연은모(延殷模),이유경(李裕京),정은경(鄭殷敬),김명섭(金明燮)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개별적인 성취목표지향성이 학교소속감을 통해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예술 고등학교 1~3학년 555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지향성, 학교소속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소속감은 학교생활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반면, 개별적인 성취목표지향성은 학교생활만족도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특히, 그동안 학습자의 정서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던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오히려 그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학교소속감을 매개로 할 때 숙달접근목표 지향성은 학교생활만족도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학습자의 학교생활만족도가 특정한 학습목표 성향이 아닌 소속감과 같은 사회 환경적 변인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더욱 만족스러운 학교생활을 위해 학생들이 속한 집단 혹은 공동체에 대해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motivation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n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the mediating role of sense of belonging. This study used survey data from 555 1st through 3rd grade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at an arts high school in Gyeonggi-do. As a result, Sense of belonging showed significant relations to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whereas individual goal orientations did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 to school life satisfaction except for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Although known for its positive relationship to students’ emotions,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showed negative relation to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this study. However, such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became positive through mediation of the sense of belong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not only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belonging between individu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but also empirically confirmed that sociological variables such as sense of belonging had even stronger relation to satisfaction of school life than personal variables such as one’s person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hich had been known as a critical factor that could affects students’ emotions in classroom.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ere is a need to make school environment so that students could obtain sense of belonging.

      • KCI등재

        대학생들의 학내 인권침해 피해 및 인권상황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설적 설명모델의 검증

        이민식 한국인권학회 2023 인권연구 Vol.6 No.2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affecting human rights violations and human rights condition evaluations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by testing a hypothetical explanatory model. To this end, survey data produced from the “Study on the Violence and Human Rights Violation in University Campus and Human Rights Improvement Plan”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2019) were analyzed. As the result of the AMO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various difficulties that students experience in college life weakened their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and increased the damage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addition,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college life recognize the human rights-friendly role and value of universities as important, but are relatively indifferent to the information (systems, responses, etc. of their schools) related to human rights violations. Students with a strong sense of belonging to schools value the human rights-friendly role and value of universities, are more interested in human rights violations, and appreciate the level of human rights protection of schools. However,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human rights violation in schools had more knowledge of human rights violations, but were less aware of the level of human rights protection. Students who value the human rights-friendly role and value of universities tended to evaluate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school well, but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knowledge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school tended to evaluate the level of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school. Even in the overall model that controlled exogenous variables, these relationships between latent variables were very stable and the goodness-of-fit of the model was improved by some parts compared to the structural model. In addition, phantom variables were used to analyze the magnitude and significance level of indirect effects of individual paths between latent variables, and finally,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