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에 대한 형성적 동료평가 프로그램 사례 분석

        신종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3

        대학의 수업 개선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오랜 기간 동안 외국 대학들에서 시행되고 있는 수업에 대한 동료평가(peer review of teaching)에 대하여 최근에는 국내 대학들에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신종호와 홍성연(2013)은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하여 국내 대 학에 적용할 수 있는 동료평가 프로그램 모형들을 개발하고, 우선적으로 형성적 동료평가 프로그램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후속 연구로 국내 대학에서 진행된 수업에 대한 형성적 동료평가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여 동료평가의 효과와 함께 프로그 램의 형태와 참여자의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동료평가의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 형성적 동료평가 프로그램은 수업 공개 및 동료 교수 간의 대화를 활성화하여 수업개선을 위한 협력 적 교육 문화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교수들은 동료평가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수업에서의 문제점 분석 및 수업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수업 기술을 획득할 수 있으며, 전공이 같은 교수그룹인 경우 교과내용, 전공특성, 학생특성을 고려한 논의 및 피드백을 상호 교환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동료평가 프로그램은 교수들이 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게 하는 내재 적 동기부여 역할을 하였다. 동료평가 프로그램의 형태와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동료평가가 형성적 목적 이라 하더라도 프로그램 참여 동기와 참여자의 특성에 따라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과 기대, 멘토의 자격에 대한 의견이 달랐다. 또, 동 료평가 과정에서 제공되는 대화와 피드백의 내용과 형태도 참가자의 특성과 그룹 구성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 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에서 동료평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수전략이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연구

        신종호 한국초등교육학회 1999 초등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교사들이 사용하는 읽기 교수전략이 초등학생들의 읽기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171명의 미국 초등학교 2,3,4학년 학생들과 10명의 담임교사였다. 교육과정중심측정(Curriculum-Based Measurement)선택형 읽기 검사도구를 이용해 한해 동안 학생들의 읽기 수행을 매달 측정하였으며, 교수전략 설문지를 이용해 교사들이 사용한 읽기 교수전략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교수전략 변인은 크게 어휘력 증진, 독해력 증진, 학습동기 유도, 형성평가 교수전략으로 분류되었으며,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Hierarchical Linear Models)을 이용해 교사들이 사용한 교수전략과 학생들의 읽기 성장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형성평가 교수전략이 다른 교수전략들보다 학생의 읽기 능력 발달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떻게 교사들이 학생들의 수업참여와 수업에 대한 이해를 계속 평가하고 그 결과를 수업활동에 활용하도록 도울 수 있을지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reading-instructional strategies (i.e., word-skill, comprehension, motivation, and assessment practices) on reading growth for elementary-school studen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71 students in grades two through four and 10 classroom teachers. Students' reading performance was repeatedly measured with the Curriculum-Based Measurement (CBM) maze task during the school year and the survey questionnaire on reading-instructional strategies was administered to teachers at the end of the school yea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only assessment practi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tudents' reading growth over a school year. Students whose teachers reported they more actively monitored student progress and adjusted instruction based on student performance showed higher growth rates by .38 increase per month in the number of correct choices on the CBM maze task, on average, than students whose teachers did less. As a conclusion, discussed was how to help teachers to monitor student progress and accommodate instruction in a logistically efficient way.

      • KCI등재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실수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창의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도전 목표의 조절된 매개효과

        신종호,김명섭,최병호,박준수,김종백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8 창의력교육연구 Vol.18 No.1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at perception of error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self- efficacy and creative performance.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challenge goal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the errors perception. One hundred thirty-four college students performed creative tasks under 1 of 2 groups: Challenge goal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performing creative tasks, participants were asked to indicate their perception of errors during creative tasks. Participants' creative performance was assessed by using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The results showed that creative self-efficacy positively affected the perception of errors. Error risk-taking, espec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formance (fluency and originality). These mediating effects were only significant when challenge goal was presented.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crucial roles of creative self-efficacy and challenge goal for promoting creative performance.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실수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창의적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 실수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가 도전 목표의 제시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134명을 대상으로 창의성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 후, 과제 중 실수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이때 참여자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에는 도전 목표를 제시하였고 다른 집단에는 단순히 성취 기준만을 제시하였다. 이후 전문가합의법을 활용하여 유창성과 독창성을 평정하였다. 연구 결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과제 중 발생하는 실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수에 대한 인식 중 실수 위험 감수는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유창성, 독창성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였으며, 도전 목표의 제시 여부가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단순히 성취 기준만 제시한 경우에는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실수에 대한 인식, 창의적 수행 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도전 목표를 제시한 경우에는 실수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본 연구 결과는 실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대학생의 창의적 수행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이 과정에서 창의적 자기효능감 증진과 도전 목표의 제시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 기초교양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고찰

        신종호,송하석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1

        Considering the number of non-face-to-face classes occurring in the Covid-19 era, it is now widely recognized that blended learning will become the new normal for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However, detailed discussions have not sufficiently taken place as to why blended learning is necessary in the post-Corona era, nor how this type of learning should be applied and practiced.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the necessity of applying blended learning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basic and general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It also examines the methods and requirements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blended learning for these future classes. As blended learning enables ‘'student-centered teaching’ or ‘active learning’in order to develop the various competencies without excluding knowledge education, it is suitable for basic and general education that aims to strengthen competencies as well as to acquire knowledge. As a method for practicing blended learning for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first,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ized video-lectures for the uniformity of th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nd for the improvement of learning effectivenes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modular content in the form of micro-learning. Seco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and general education subjects and and the learners themselves, it is suggested that we customiz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each student level using learning analy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ird, we emphasiz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el for blended learning for each subject and to strengthen the competencies of professors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blended learning classes in basic and general education. Fourth, we suggest that an organization-oriented curriculum redesign project be implemented to change the educational method to blended learning and to spread it on a large scale at the university level. 코로나 시대에 경험한 비대면 수업의 장단점에 비추어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교육은 블렌디드 러닝이 뉴노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왜 블렌디드 러닝이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하고 실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기초교양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블렌디드 러닝의 적용 필요성과 기초교 양교육 수업에서 블렌디드 러닝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법과 요구사항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블렌디드 러닝은 ‘지식교육을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역량의 구성요소를 균형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학습자 참여 중심 수업’이 가능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지식 획득과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는 기초교양교육 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기초교양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의 실천을 위한 방법으로서 첫째, 학생들 의 학습경험의 균일화와 학습 효과성 향상을 위한 표준화된 동영상 개발과 활용, 마이크로 러닝 형태의 모듈화 콘텐츠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둘째, 기초교양교육 교과목 특성과 학습자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분석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학생 수준별 맞춤형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셋째, 기초교양교육에 서 블렌디드 러닝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과목별로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교육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잘 운영할 수 있도록 교수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교수개발이 필수적임을 강조하였다. 넷째, 블렌디드 러닝으로의 교육방법 변화와 대학차원의 대규모 확산을 위해서는 개별 교수자가 아닌 조직 중심의 교육과정 재설계 프로젝트를 실행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육청 공무원의 데이터 활용실태 및 교육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인식 연구 - A도교육청을 중심으로

        신종호,Shin, Jong-Ho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교육청 공무원들의 데이터 활용 실태와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광역시·도교육청 차원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도교육청 공무원 4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교육청 공무원들이 업무에 활용하는 데이터 유형과 출처는 다양하였으며, 데이터 활용에 있어 데이터 수집 및 정제가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데이터 활용을 위한 소속 교육청의 인프라는 부족한 실정으로,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이 가장 필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빅데이터에 대한 지식수준은 낮지만 빅데이터 활용의 관심과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빅데이터 활용 목적은 현재의 교육 문제점과 해결 대안, 미래 예측에 대한 전망과 해결, 교육 수요자들의 요구 파악 등 교육정책 의제 설정과 관련되어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nvestigating the actual state of data utilization and the perception of big data utilization by officials of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for big data utilization. An online survey of 440 people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types and sources of data used for work varied, and data collection and refining were the most difficult parts. The infrastructure for data utilization was insufficient and the most necessary factor. The purpose of big data utilization wa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olicy agenda.

      • KCI등재

        운영 중 터널에 작용하는 간극수압 평가기법

        신종호,신용석,최규철,Shin, Jong-Ho,Shin, Yong-Suk,Choi, Kyu-Cheol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8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0 No.4

        지중터널은 대부분 지하수위 하부에 위치하므로 지하수 처리문제는 터널의 장기운영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배수형터널의 경우 수리기능이 원활하면 라이닝에 수압이 작용하지 않으나 장기 운영으로 인해 배수시스템의 열화가 진행되면서 라이닝 배면에 설계 시 고려하지 않았던 간극수압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를 잔류수압이라 한다. 잔류수압은 피에조미터로 그 측정이 가능하나 이는 라이닝 및 배수시스템을 훼손할 염려가 있어 부적합하기 때문에 라이닝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작용수압을 평가할 수 있고, 운영 중 라이닝의 건전도 평가(health monitoring) 시 수압상태의 파악이 가능한 비파피 예측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 및 수치해석적 방법을 사용하여 운영 중 터널에 작용하는 간극구압(잔류수압) 예측기법을 제시하였으며, 본 해석방법을 이용하면 비파괴 방법으로 라이닝에 작용하는 간극수압의 파악이 가능하다. 제안된 방법은 이론적 예측기법과 수치해석 결과인 정규화 간극수압 분포곡선과를 병용함으로써 터널 운영단계에서의 잔류수압에 대한 안정성 검토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Control of ground wat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long-term operation of tunnel because most of tunnel is located in the ground. In case of leakage tunnel, there is no pore water pressure on the lining when the drainage system is properly working. After long-term operation, however, the pore water pressure can be developed on the lining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drainage system. The increased pore water pressure on the lining is termed here as 'residual pore water pressure'. Residual pore water pressure can be measured by piezometer, but it is generally not allowed because of damages of drainage system. Therefore, an indirect and nondestructive method is required for evaluating the residual pore water pressure. Moreover, understanding of pore water pressure is needed during healthy operation of the lining. In this study, a new method for evaluation of pore water pressure on the lining during operation is proposed using theoretical and numerical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method is particularly useful for stability investigation of pore water pressure on the lining during operation using theoretical analysis with normalized pore water pressure cur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