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선추적 데이터 기반 AI 실시간 온라인교육 맞춤형 피드백 시스템 설계 및 사용의향 평가

        김동심,류다현,박규동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7 No.1

        With the advancement of AI and big data, it has become possible to deliver personalized feedback to learners by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their learning process and performance. In a technology-enhanced learning, automated feedback provided to learners at the right time provides an opportunity to compare current performance with desired performance results. This helps learners to identify their learning situation and make maximum efforts to improve their learning immersion and participation. In addition, instructors can provide relevant feedback to learners when needed, saving time and effort required to input repetitive feedback.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ystem that provides personalized feedback to promote learning participation, which ultimately leads to better learning outcomes during online learning. Specifically, it analyzes the learner's gaze data, such as gaze duration and eye blinks, to provide customized feedback that helps students immerse themselves in learning. Based on big data analysis of learner behavior data, synchronous learning prescriptions are provided to increase learning participation. In this study, we designed a dashboard for the system's learners and confirmed their intention to use it among actual users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54.9% of the need was positive, 13.4% were neutral, and 31.7% were negative, and the intention to use was 68.3% positive, 10.7% neutral, and 21.0% negative. These results confirm expectations for future use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system development.

      • KCI등재

        영재의 사회적 책무성 도구 개발 및 타당화

        김동심(金東心)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아시아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에게 요구되는 사회적 책무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영재의 사회적 책무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리더십, 사회환원 및 공동체 의식을 하위요소로 구성한 초기 18문항을 선정하였다. 영재교육, 교육행정 및 교육공학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 경기도의 A영재교육원 학생 89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공통요인 부하량이 낮은 1문항을 제외한 17문항을 최종 도구로 선정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경기도 교육청 산하 B, C, D, E의 영재교육원 196명을 대상으로 한 본 조사에서 모델 적합도가 모두 양호하여, 최종적으로 영재의 사회적 책무성 도구가 개발되었다. 전체 신뢰도인 Cronbach의 α는 .94이고, 하위요인간의 상관분석 실시 결과, 모두 .0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도구는 영재의 사회적 책무성을 측정하기에 타당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영재의 사회적 책무성과 관련된 연구 및 정책 등에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social responsibility for gifted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cale. Based on the results of a literature review, 18 items are developed. These 18 items were then reviewed by six experts. For the revised-item analysis, 89 gifted students were chosen for the survey.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one items were deleted. Finally, 17 items in 3 categories were developed based on EFA.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as conducted with the 196 participants. The model fit of the scale was good. In addition, the factors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their reliability was good.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was appropriate. This scale can help evaluate the social responsibility for gifted students.

      • 지역관광개발의 영향지각에 관한 연구 :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김동심 문화관광연구학회 2001 문화관광연구 Vol.3 No.3

        This study is not present explanatory or conclusive study results, but exploratory study. Tourism affects the society and culture of a destination regions and tourism has both negative and positive impacts on a local community. Tourism development is usaually justified on the basis of economic benefit and challenged on the grounds of social, cultural, or environmental de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revious survey research on the impacts of tourism development It is suggested that future attempts to develop measures of impacts of tourism development be undertaken through testing of all the related concepts and meanings of the particular attribute under examination An obvious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is the direct empirical research.

      • KCI등재

        교원연수 성과평가 설문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김동심,하영자,정유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목적 본 연구는 교원연수 플랫폼에 활용될 교육의 성과 평가를 위한 설문도구 문항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교육성과 설문문항은 교사의 연수이력과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추적조사가 가능한 플랫폼 기능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교육이 종료된 후의 결과를 1회만 측정하는 기존 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고, 개인특성, 학습과정과 결과를 모두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교사, 연수담당자 등의 관계자 인터뷰와 선행연구를 통해 초기문항을 개발하였고, 교원 원격연수에 참여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교육 전과 후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결과 최종 교육 전에 다루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6문항, 자기주도 학습준비 5문항, 과제기대 3문항, 교육 후에 다루는 학습참여도4문항, 실행계획 3문항, 학습환경 만족도 5문항, 학습만족도 7문항, 현업적용도 4문항을 확정하였고, 최종 신뢰도(Cronbach's α) 는 .92-.93이다. 결론 개발된 도구가 향후 교사의 학습활동 데이터와 연계됨에 따라, 이를 바탕으로 실제 교원연수 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설문도구의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수학과학영재의 컴퓨팅 사고력 예측변인 규명 연구

        김동심 한국영재학회 2019 영재교육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수학과학영재의 컴퓨팅 사고력(창의성, 알고리즘적 사고, 협력, 비판적 사고 및 문제해결력)을 예측하는 변인을 찾기 위해, 자기조절학습, 수학적 자기효능감, 그릿을 예측변인으로 선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A지역의 B, C영재교육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9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과학영재의 창의성, 알고리즘적 사고 및 비판적 사고에 수학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이 유의하게 예측한다. 둘째, 수학과학영재의 협력에 수학적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예측한다. 셋째, 수학과학영재의 문제해결력에 자기조절학습, 수학적 자기효능감 및 그릿이 유의하게 예측한다. 넷째, 수학과학영재의 통합적 컴퓨팅 사고력에 수학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 그릿 순으로 예측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수학과학영재의 컴퓨팅 사고력을 예측하는 변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학영재교육 운영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variables affecting computational thinking of mathematics and science gifted students. This study supposes that variables affecting are self-regulated learning,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grit. Computational thinking is composed of creativity, algorithmic thinking, cooperativity,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97 mathematics and science gifted students in gifted institu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hypothetical model proposed self-regulated learning,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gri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reativity, algorithmic thinking, cooperativity,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s dependent variable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and mathematics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creativity, algorithmic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Mathematics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cooperativity. Also, self-regulated learning,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grit significantly predicted problem solving. Lastly, self-regulated learning,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grit significantly predicted computational thinking.

      • KCI등재

        온라인교육 확대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과 일상의 변화

        김동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4

        The spread of COVID-19 served as an opportunity to convert offline-centered higher education to online education. This study confirmed the learning and daily life changes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s onlin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expands. Based on the changes i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and daily life, it was intended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higher education. This study tried to grasp the learner-centered change situation through the photos and explanations taken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the photovoice method for four months for four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two themes and four sub-specific details were identified. Specific topics were ① Online learning (Generation Z learners who learn anytime, anywhere, Build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② Learning management (study in the online library with friends, diversifi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③ Relationships around me (stronger family relationships, time with precious friends); ④ What is different from before (take care of your health. hobby collector). The above results made it possible to confirm how university students perceive online classes, how they manage their learning, what concerns relationship formation, and what has changed the most. Based on this, suggestions were made on how higher education can support university students to play more diverse roles. COVID-19 확산은 오프라인 중심의 고등교육을 온라인교육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교육에서의 온라인교육이 확대되면서 대학생인 인식한 학습과 일상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학생의 학습행태와 일상의 변화를 기반으로 고등교육이 앞으로 나아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의 대학생 4명을 대상으로 4달여간의 포토보이스 방법을 통해 연구 참여자가 촬영한 사진과 설명을 통해 학습자중심의 변화상황을 파악하려고 하였다, 그 결과, 학습과 일상 각 2가지 주제가 확인되었고. 하위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① 온라인수업(언제 어디서나 학습하는 Z세대 학습자, 온라인 학습환경 구축), ② 학습관리(온라인 독서실에서 친구와 함께 공부, 다양해진 학교 밖 경험), ③ 나를 둘러싼 관계(끈끈해진 가족 관계, 소중한 친구와의 시간) ④ 기존과 달라진 점 (젊어도 건강관리는 필요, 취미 수집가)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이 온라인수업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학습에 대한 관리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 관계형성에 대한 고민은 무엇인지, 가장 크게 변화하게 된 점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고등교육이 더욱 다양한 역할을 하기 위해서 대학생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교육에서 교수자 얼굴 포함 여부에 따른 학습자 인지부하, 집중력, 성취도의 차이 연구

        김동심,류다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6 No.6

        As online education spreads, research on effectively creating various types of online educational content is underway. There are differing opinions on the impact of content screen elements, such as including an instructor's face and gestures on the learning process and outcom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including an instructor's face and gestures influences learners' cognitive load, concentration, and achievement. Using the prominent instructional design model ADDIE, lecture content was created with and without an instructor's face and gesture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56 university students without prior knowledge of ADDIE. After watching online educational content,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learners' cognitive load, concentration, and achievement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Lecture content, including an instructor's face and gestures, showed a relatively low cognitive load. Specif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subfactor of cognitive load related to material design and overall cognitive load.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ntration and achievement among groups based on including an instructor's face and gesture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for online education content creation are proposed.

      • KCI등재

        대학생의 경제, 교육, 미래 불평등과 계층이동에 관한 인식 탐구

        김동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대학생의 경제, 교육, 미래 불평등과 계층이동에 관한 인식 탐구김 동 심** 요약: 본 연구는 대학생이 인식하는 불평등과 계층이동을 살펴보기 위해, 불평등 순환모델(OED)모형에 따라 경제, 교육, 미래 변인을 선정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의 학생 379명을 편의표집하였다. OED모형에 따라 경제(소득분위, 용돈, 현재 SES, 부모의 SES), 교육(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미래(미래직업 성공인식, 미래SES)의 변인을 선정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경제불평등은 교육불평등을 예측하지 않았다. 미래직업성공인식에는 교육불평등요인, 미래SES는 현재SES가 예측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모세대의 SES보다 미래 본인의 SES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세대내 이동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불평등과 계층이동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불평등, OED모형, 고등교육, 계층이동, 대학생 □ 접수일: 2022년 5월 27일, 수정일: 2022년 6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이 논문은 한신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한신대학교 교수(Professor, Hanshin Univ., Email: southpaw61@hs.ac.kr) Exploring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Economic,Educational, Future Inequality and Class MobilityDongsim Kim Abstract: In order to examine inequality and class mobility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selected economic, educational, and future variables based inequality cycle model (OED), and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detail. For this purpose, a convenience sampling of 379 students from university A was conducted. Economy (income, pocket money, present SES, parent SES), education (career self-efficacy, academic self-efficacy,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future (recognition of future job success, future SES) variables were sele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confirmed. As a result, first, the economic factors did not predict the educational factors. but all educational variables affect future job success and family SES affects future SES. Second, with regard to the possibility of class mobility, future SES was perceived more positively than current SES. Also, the movement within generations was perceived positive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implications are presented. Key Words: Inequality, OED, Higher Education, Class Mobility, University Student

      • KCI등재

        배분이수제 기반의 교양교육 성과 평가 연구

        김동심,이영주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 Research top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based on distribution requirement. · Research background: The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are divided into student outcomes and satisfaction, and this is compared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and the degree of completion of a distribution requirement.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Student outcomes were divided into humanities value, scientific value, knowledge convergence, and creative problem-solving. · Research meth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conveniently sampling 606 universit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compared through the t/F test. · Research results: First, outcomes of student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higher than that of non-metropolitan student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majors was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letion of distribution requirement, the more diverse the academic fields were completed in general education, the higher the student's outcomes in all areas except for creative problem-solving. Third, the differences in general educ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university location, major, gender, and grade were all significant.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as higher as the distribution requirement area increased.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Based on these results, a plan to improve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ies was proposed. · 연구 주제: 대학 교양교육에서 배분이수제의 성과인 학생성과와 교양교육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 연구 배경: 교양교육의 성과를 인구사회학적 특징, 배분이수제 영역 이수에 따라 비교하였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학생성과는 인문학적 가치, 과학적 가치, 지식융합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으로 구분되어 살펴보았다. · 연구방법: 전국의 대학생 606명을 편의표집하여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t/F검정을 통해 비교되었다. · 연구결과: 첫째, 전 영역의 학생성과가 수도권 대학 학생이 비수도권 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양교육에서 학문계열을 다양하게 이수할수록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학생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교양교육 만족도는 대학소재지, 전공, 성별, 학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교양교육 만족도는 배분이수제 영역이수 수준이 높을수록 높았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대학의 교양교육의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교양교육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자유학기제 운영에 따른 교육성과 변화 분석 : 진로성숙도, 인지적·정의적·사회적 핵심역량,학교만족도를 중심으로

        김동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3

        2016학년도 전국 중학교에 진로교육을 강화하고, 다양한 방식의 수업을 적용한 자유학기제가 전면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의 교육성과로 진로성숙도, 인지적·정의적·사회적 핵심역량 및 학교만족도를 선정하여, 자유학기제가 운영된 한학기 동안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측정오차를 통제하여 비교하는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2016학년도 2학기에 자유학기제를 운영한 남자 중학교 1개교와 여자 중학교 1개교를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집단별로 동일성 검증 절차를 거친 후, 잠재평균을 비교하였다. 잠재평균분석 결과, 자유학기제 운영에 따라 진로성숙도, 사회적 핵심역량 및 학교만족도가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대적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Cohen의 효과크기를 확인한 결과, 진로성숙도와 학교만족도은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 사회적 핵심역량은 작은 수준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자유학기제 운영 방향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re allowed to spend a free learning semester without tests and assessment starting in 2016. It was designed to provid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 chance to search for their future career through various kinds of job-experience activities. In the free learning semester, students only take necessary subjects like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and use the rest of their curriculum time for career exploration, club activities, physical training and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 performance(career maturity, cognitive/affective/sociocultural core competencies, school satisfac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For this research, surveys were administered with first grade students at two middle schools. A total of 522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career maturity, social-core competencies, and school satisfaction were the variables tha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free learning semester. Career maturity, social-core competencies, and school satisfaction latent mean after free learning semester were higher than that before. Career maturity and school satisfaction effect size were medium, social-core competencies effect size was small. This study proposed strategies for the successful free learning semes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