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 현장체험학습의 창조교육 교수-학습 5단계 적용

        김정아 ( Kim Jeong-a ) 창조교육학회 2017 창조교육논총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five stages of teachinglearning in creativity education to field experience study. The field experience study is a significant matter for youth as adolescence is decisive period to show creativity. Since educational fun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being strengthened by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ield experience study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attain educational objectives to cultivate and remedy vulnerable sensibility and personality of youth. In particular, carrying out the field experience stufy for youth by applying the five stages of teaching-learning in creativity education allows them to build up creative capabilities through the field experience study for solving problems creatively and pursuing creative value. The state of Idea is the introduction of the field experience study. It is the stage of imagination that youth conceive the idea of doing the activities of good sensibility and personality, including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the field experience study. The stage of Discovery is the preparation of the field experience study. It is the stage of pouring out their will and passion into the value, thinking the value of imagination positively. The stage of Digging is that the process of the field experience study is changed to reasonable and systematic conception so that each learner's individual creative ability is implemented uniquely. The stage of Manifestation is that the consilience of knowledge from the field experience study converges on sensibility and personality. The stage of Development is the stage of application and evaluation process of the field experience study. It is the stage that the learner's creative capability is set up as the new value is objectified. Applying the five stages of teaching-learning in creativity education to field experience study makes several subjects incorporated and converged then creative value can be realized. The field experience study can be incorporated on the basis of knowledge unit of subject and sensibility and personality can be converged on it so that the displayed value of creative capabilities allows youth to experience creative vivid knowledge integrally.

      • KCI등재

        카지노리조트 현장실습에 대한 직원과 실습생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손재영(Jae Young Son) 한국관광연구학회 2013 관광연구저널 Vol.2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good suggestions for tourism field study. The previous tourism field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rainee, so there haven`t business opinion. So this study surveyed trainee and employee and tried to find two groups differences. From theoretical study this study find out 3 main structural elements(trainee, business and school), and then extracted 25 field study variables for field survey. The dap.142ta which was made by 393 questionnaires collected by trainee and employee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field study main factors are ``conditions of employment``, ``trainee`s personally characteristics``, ``workshop`s physical environment``, ``preparation or assistance of school``, `` field study program and operation``, ``appropriateness and fairness of operation``, `` field study staff``. And these factors affected al1 field study`` results(self development, employment, make decision for one`s path, learning skill, make network, satisfacti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rainee and employee on the field study factor`s order and it`s affections to field study results.

      • KCI등재후보

        체험학습에 기반한 대학교양수업의 사례 연구

        이지연(Lee, Ji-y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6

        오늘날 교육현장은 급변하는 시대상황에 따라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변화에 주도적으로 대응 할 수 있는 인재양성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부합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창의·융합적 지식’와 ‘논리적·비판적인 사고’와 ‘문제해결력’등의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체험학습을 기반한 대규모로 운영되는 학습자 주도적 일반교양 교과목인 『매스컴과 현대사회』와, 소규모로 운영되는 교수자 주도적 1학년 교양필수 교과목인 『독서와 글쓰기』, 『발표와 토론』 수업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2014년 4월16일-5월23일 동안 D대학의 뒷산인 오동공원에서 학습자들은 3회에 걸쳐 숲 체험학습과 글쓰기를 실행하였다. 오동공원은 도시숲 형태를 갖추고 있어 학습자가 75분간이라는 학습 시간 내에 활용할 수 있었으며, 산림치유사의 도움을 받아 지도 할 수 있었다. 또한 대규모로 운영되는 『매스컴과 현대사회』은 현장체험학습으로서 강의내용과 연계하여 학습자 자기도적으로 실행하였다. 현장체험학습의 체험적 조사분석 글쓰기와 숲 체험학습을 통한 글쓰기를 토대로 몇몇 사례를 선별해 체험학습 전/후를 비교분석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대학교양교육에서 체험학습을 특별히 강조하는 것은 그간 입시위주교육은 객관식 지필고사에서 다루기 힘든 정의적 내용이나 삶의 여러 현장을 체험함으로써 얻게 되는 주관적, 인격적 지식을 소홀히 해 왔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체험학습은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산 지식을 배움으로써 교과교육의 내실화할 뿐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의 삶의 세계를 체험함으로써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는 인성교육의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Today, education is being demanded of the necessity of cultivating talented individuals, who can react quickly to new changes and play a leading role in compliance with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In order to cultivate those talented persons, it is emphasized on developing the competence of the creative and integrated knowledge,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field study-based classes: the ‘Mass Communication and Modern Society’ class which is the learner-centered general education course on a large scale, and the ‘Reading and Discussion’ and ‘Presentation and Debate’ classes which are the instructor-led, required liberal arts courses on a small scale. During April 16 and May 23, 2014, the learners practiced the forest field study and writing three times in the Oh-dong park, which was located at D University. The Oh-dong park which has a form of urban forest enabled the learners to utilize it for 75 minutes within the class hour, and a forest therapist to help them. In the ‘Mass Communication and Modern Society’ class on a large scale, the learners practiced the self-directed learning as the field study in relation to the lecture. As the case stud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field study, which was based on the writing through the forest field study as well as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e reason for emphasizing the field study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is because the entrance examination-centered education neglected personal and subjective knowledge that can be gained through experiencing various fields of life or affective content that is difficult for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with multiple-choice tests to deal with. In this regard, the field study provides the opportunity of personality education that enables people to better understand and be interested in others by experiencing diverse lives of individuals. The field study also enables to sustain the curriculum education by learning practical knowledge through the concrete and direct experience.

      • KCI등재

        엇갈린 행보

        허용호(Heo, Yong-Ho) 한국민속학회 2012 韓國民俗學 Vol.56 No.-

        이 글은 미국의 연행 중심론과 한국의 현장론간의 비교를 시도한 것이다. 두 연구 방법론의 전개 양상, 내용, 지향점 등에 대해 각각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교를 하면서 그 차이를 드러냈다. 두 방법론이 드러내는 차이를 중심으로 논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연행 중심론은 즉흥적인 변형, 연행마다 새롭게 창출되는 의미, 의미의 다중성과 충돌 등에 관심을 보인다. 이러한 관심은 곧, ‘보편적이고 영원한 진리 탐색에 저항’, ‘과거 지향적 민속학에서 현재 지향적 민속학으로’, ‘정태적 구조 중심의 논의에서 연행과 사회 문화의 구성 과정 그 자체의 동태적 양상 중시로’라는 인식론적 전환을 말하는 것이다. 연행 중심론은 어떤 규범적인 법칙을 추구하려 하지도 않았으며, 총체성 혹은 전체성과는 거리가 있는 지향점을 가지고 있었다. 어떤 정태적 본질과도 거리가 있는 것이 연행 중심론의 문제의식이었다. 동태적인 과정에 주목하는 연행 중심론은 구성주의적 사유를 선취한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학사적 차원에서 본다면 연행 중심론은 인식론적 전환의 궤적을 그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비록 그 전환을 방해하는 진정성 추구의 양상이 보이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인식론적 전환이라 평가할 수 있는 행보를 하고 있는 것이다. 현장론은 연행 현장, 미시적 접근, 공시적 관점, 가변성 등에 주목하는 연행 중심론의 편향을 넘어서려 했다. 연행 중심론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시한 것들까지 염두에 두면서 변증법적 통합을 시도했다. 하지만 그 시도는 또 다른 편향을 낳았다. 새롭게 염두에 둔 전승현장, 거시적 접근, 통시적 관점, 지속성 등의 강조로 수렴되는 결과를 낳게 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어떤 선험적인 본질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모든 연행과 모든 전승을 제어하는 규칙과 규범을 추론하고, 나아가 그 원리를 해명하는 것이 현장론의 목적이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진정한 민속, 온전한 민속, 지속적 전통 등을 곳곳에서 강조하는 것 역시 어떤 선험적으로 가치 있다고 생각되는 것을 미리 상정하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현장론은 연행론이 떠났던 처음 자리로 돌아오게 되었다. 기존의 고착되고 정체된 것, 보편적이고 영원한 것에 도전하며 형성이 된 연행 중심론이 처음 출발했던 자리로 다시 돌아와 버린 것이다. 다분히 반구조주의적이며 구성적인 과정을 중요시 하는 출발의 입장에서 다시 구조주의적이며 본질주의적인 출발 이전의 인식으로 돌아가 버리고 있다. 구성주의적 선언과 도전에서 비롯된 현장론이 결국 도전하고 배격했던 그 인식으로 회귀해 버리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결국 연행 중심론과 현장론의 행보는 엇갈린다. 연행 중심론이 인식의 전환이라는 어쩌면 혁명적인 궤적을 그리고 있다면, 현장론은 시공간적으로 시야의 확장을 도모하다가 인식론적으로 회귀라는 궤적을 그리고 있다. 연행 중심론의 전환이라는 궤적에는 탈구조주의와 구성주의라는 인식이 주도적인 반면, 현장론의 회귀라는 궤적에는 구조주의와 본질주의가 자리하고 있다. 서로 다른 인식론적 지반 위에서 연행 중심론과 현장론은 자리하고 있다. 한때 잠시 만나는 듯 했지만, 현장론은 다시 돌아가 버렸다.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I investigate unfold aspects, contents, aim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respectively, and bring out the differences through the comparison those. The result of discussion on the differences of two methodology is as follow.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pay attention to emergent variation, new meaning which is created every performance, multiplicity and conflict of meaning etc. That attention imply epistemological turn which are ‘resistant of an inquiry into the nature of universal and eternal truth’, ‘from the past-intention folklore to the present-intention folklore’, ‘from a discussion of static structure to an attach impotance to dynamic aspects of construction process of performance and social culture’.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do not inquire into the normative rule. The think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is a far cry from any static essence.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which pay attention to a dynamic process is the preoccupation of constructivist thinking. Even though It seems that authenticity which interrupt the turn is seeked, We can say that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leave the trajectory of epistemological turn in terms of folklore study. The field-contextual study try to overcome a tendency of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which is inclined toward performing field, microscopic approach, synchronic perspective, variability etc. Mindful of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to neglect things, the field-contextual study try to dialectical integration. However that attempt produce another inclination which is inclined toward traditional field, macroscopic approach, diachronic perspective, durability, etc. That result from a belief of a priori essence. The purpose of field-contextual study is reasoning of rule and norm which control every performance and tradition, and explanation of that fundamentals. The emphasis of authentic folk, continuous traditions also imply that a priori thing which is supposed to worthy is establish in advance. And then the purpose of field-contextual study return to the beginning place from which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is departed.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which challenge the static, the universal, the eternal return to the beginning place. From the viewpoint of departure which is anti-structuralism and consider a constructive process, return to the recognition of before departure which is structuralism and essentialism. In consequence, track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are crossed. As for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leave the trajectory of ‘epistemological turn’, the field-contextual study leave the trajectory of ‘epistemological return’. Post-structualism and constructivism are dominant in the trajectory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but on the other hand structuailism and constructivism are dominant in the trajectory of field-contextual study. On the different bas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each settle down. At one time two methodology meet a little whil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return to the old place.

      • KCI등재

        한국 민요 현장연구방법론 -음악인류학적 관점에서-

        이용식 한국민요학회 2022 한국민요학 Vol.64 No.-

        From the 1970s when the research of folksongs has been developed, the field research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methodology in this field. The collection of research material from the field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research. Field research was the new academic orientation of this field that distinguished the new methodology from the older decades. However, with the disappearance of the natural transmission of the folksongs, it has been difficult to study the folksongs through field research. The field research is the basic and fundamental methodology of the folksong study. In this paper, I explore the new methodology of field research to study folksongs to lighten the ultimate field theory of folksongs. Folksong is humanly made so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ng, we have to understand the human who sings the song. We have to study the human who sings the song and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song to discover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song. It should be studied in both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son as the result of the communal culture and the individual experience and the esthetic value of the human who sings the song. The ‘armchair musicologist’ who analysis the music which was collected other scholars can make the fallacy because s/he does not have the full understanding of the singer. We have to find a new field since the natural transmission of the folksongs is not exist anymore. In order to make a successive field research we have to find a co-researcher who has a deep understanding of the song. We have to extend our research about the folksongs of the neighboring cultur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folksongs and the change and accultration due to the cultural interrelationships. The short-period of quantitative study on folksongs is not effective anymore. We have to pursue the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long-term participation-observation and the ethnographical study on field research. In this way, the ultimate understanding of the folksongs and the human who sings the song can be successively achieved. 민요 연구가 본격적으로 발전하던 1970년대 이후 현장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현장에서의 자료수집은 민요 연구의 시발점이있고, 현장연구는 이전의 민요 연구와 다른 학문적 지향을 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급격한 사회변화로 민요현장이 와해되면서 민요 연구에서의 현장연구는 점차 어려운 현실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연구는 민요 연구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방법론이다. 이글에서는 자연전승이 소멸된 민요를 연구하기 위한 현장연구방법론을 제시하여 궁극적인 민요 현장연구방법론을 펼쳤다. 민요는 인간이 부르는 노래이고, 그 노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노래를 부르는 인간에 대한 이해를 해야 한다. 노래를 부르는 인간과 그 노래가 연행되고 전승되는 사회문화 맥락에 대한 이해가 되어야 그 노래의 본질적 성격을 밝힐 수 있다. 공동체 문화의 산물로서의 민요에 대한 사회문화적 맥락만이 아니라 민요를 부르는 인간의 개인적 인생 경험과 미학적 가치관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제대로 민요를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민요 연구는 현장연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단순히 다른 조사자들이 수집한 음원 자료를 연구실에서 기계적으로 분석하는 ‘안락의자 음악학자’는 민요의 가장 중요한 가창자에 대한 이해가 없이 껍데기만을 분석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민요의 자연전승이 소멸된 현재의 상황에서 새로운 현장을 이해해야 한다. 현장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음악적 지식을 갖춘 공동연구자를 발굴해야 한다. 또한 이웃 문화의 민요로 연구영역을 확장하여 우리 민요의 독특한 특징과 문화 간의 상호교류로 발생하는 민요의 변화와 변용에 관해서도 연구해야 한다. 민요에 관한 연구는 단기간의 양적 연구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장기간의 참여관찰에 의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현장연구에 기초한 민족지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연구를 통하여 민요와 이를 만드는 인간에 대한 궁극적 이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학교 밖 역사교육을 위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다시 보기 - 대구교육박물관의 1일 현장체험학습을 중심으로 -

        유득순 ( You Deuk-soon ) 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논집 Vol.76 No.-

        This study has started from two interests: an interest in museums where educate public history, and an interest in whether educational programs by public institutions with a big budget are operated appropriately for the educational purpose. One-day field study of the Daegu Museum of Edu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eld study”) target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field study is required to ensure high quality of education and publicness. It is because the field study is linked to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schools with annually about 10,000 student participants and a large scale of investment in budget and manpower. In order to confirm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field trip,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actual operation and analyzed problems of the filed study from 2018 to 2019 by focusing on the operation plan review and satisfaction survey result. As a result, the following problems have been confirmed. First, the field trip seems to be lack of sufficient consideration in the process of targeting participants and designing the program. Second, the program content may be inadequate to meet the education goals and themes. The program composition can be insufficient for the intended subject. Third, the linkage with school education seems not to be properly maintained. In order to improve these aspects, the followings are proposed: First, it is suggested to readjust the education target of the field trip. Considering the exhibition contents and curriculum in the museum,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range in the participant betwee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Second,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the museum program should be reorganized to fully utilize the exhibition materials and to strengthen hands-on experience. In other words, students should be given more chances to involve themselves in research activities of the museum exhibition and to learn from the direct engagement. Third, it is also required to strengthen the linkage wi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schools. There should be proper interaction between the museum and schools so as to develop both pre-activities and review session at school.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would propose a new alternative program in order for the Daegu Museum of Education to secure its identity as a public museum and to attain the purpose of student education.

      • KCI등재

        연행 연구와 공부 모임이라는 또 하나의 길

        허용호 한국구비문학회 2016 口碑文學硏究 Vol.0 No.42

        이 글은 향후 구비문학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기 위한 연행 연구 분야에서의 상황 점검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2000년대 초반 민속극 연구자들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논의는 필자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토로에서 시작하여, 구비문학 분야 연구자들의 연구 동향 검토에 대한 메타적 검토, 그리고 주목할 만한 2000년대 초반 이후의 민속극 연구자들의 움직임에 대한 고찰로 이어졌다. 논의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구비문학적 연구라는 틀은 우리 주변에 편재해 있다. 그 틀은 하나의 규율로 구비문학 영역 내부에서는 물론이고 외부에서 역시 작동한다. 국문학 혹은 구비문학적이지 못한 연구, 민속극에 포함되지 않은 영역, 민속학으로 넘어간 연구 등의 언명 속에서 그 규율이 작동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규율은 구비문학계를 축소시킨다. 하나의 굴레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그런데 구비문학계를 축소시키는 굴레는 비단 개인 경험 차원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필자 개인의 경험을 넘어서서 여러 다른 구비문학 연구자들에게도 나타난다. 국문학회에서 여러 구비문학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민속극의 연구 동향 검토를 보면, 2006년을 기점으로 민속극 관련 연구의 미미함이 반복적으로 지적된다. 하지만 이는 적절한 지적이라 할 수 없다. 구비문학이라는 굴레 속에서 민속극주의적인 편견으로 검토가 이루어졌기에 미흡이나 정체라는 평가를 하게 된 것이다. 이 지적은 기존의 전통적인 민속극 영역 안에서 이루어진 연구의 미흡함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2000년대 초반 민속극 연구자들은 연행 연구로의 전환을 시도한다. 그 전환이 주목되는 것은 집단적인 하나의 흐름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민속극 연구자들의 움직임은 연행 현장과 공부 모임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들은 민속극 연구자라기보다는 연행 연구자라는 호칭이 보다 적절한 듯 보인다. 구비문학적 굴레 혹은 전통적인 구비문학의 틀에서 그들은 자유롭다. 하지만 그들의 움직임에 대한 전망이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다. 그 지위나 위상이 어정쩡하기에 안정적이지 못하다. 그래서 그 전망을 아직 단언할 수 없다. 일시적 현상으로 귀결될 것인지, 아니면 보란 듯이 또 다른 장을 만들지 알 수 없다. 그럼에도 구비문학의 활력을 위해서는 2000년대 초반 이후 민속극 연구자들의 전환적 움직임을 주시해야 한다. 살아 움직이는 연행 현장과 소규모 공부 모임을 중심으로 모여 있는 그들에 대한 적절한 수렴 대책이 필요하다. 더 이상 주변적이라고, 혹은 비공식적이라고 배제할 것이 아니다. 거대한 전환은 혹은 새로움의 활력은 언제나 주변에서, 비공식적인 영역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situation in the field of performance study for the revitalization of future oral literature study. To that end, I examine a trend of folk drama researchers in the early 2000s. The discussion is proceed in the following order, exposing of my experience, meta review of the trend of oral literature study, and a trend of folk drama researchers in the early 2000s. What was discussed as follows. The frame named oral literary study is omnipresent around us. That frame is operated as a discipline both in and out of the field of oral literature. We can confirm that discipline is operated in statements, such as follows: ‘Not all Korean literary research or not all oral literacy research’, ‘an area not included in the folk drama’, ‘go on to the folklore research.’ That discipline make reduce the oral literacy world. And now the restriction which reduce the oral literacy world do not only appear in the personal experience dimension. Beyond my experience, the restriction appear on the other oral literature researchers. To examine the reviews of a trend of folk drama study which is examined by several oral literature researchers, ‘a meager result of the folk drama study’ is pointed out repeatedly begging in 2006. But That is not appropriate. The review is examined as the prejudice of folk dramatism in the restriction named oral literature, so it is judged a meager or stagnant. Above the point out is modified as ‘a meager result of study in the conventional field of the folk drama.’ Folk drama researchers attempt the turn as performance study in the early 2000s. The turn is noteworthy, because it form a collective stream. The movement of folk drama researchers is characterized as performance field and study group. It is appropriate, they are not called as the folk drama researchers but performance researchers. They are free from the oral literary restriction or conventional frame of oral literature. But their prospect is not bright. We don’t know the movement of them is a temporary phenomenon or make the another world. Nevertheless, for vigor of the oral literature we watch the turned movement of folk drama researchers in the early 2000s. A measure which converge them who are gather around living performance field and small study group is needed. It is not excluded as for peripheral or informal any more. Because the great turn or vigor of newness always come from peripheral or informal area.

      • KCI등재

        한국어 명사어절의 시각적 정보처리과정과 관련된 좌우반구의 언어처리과정 탐구: 좌우시야 분할 연구

        김상엽,구민모,김제홍,남기춘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2 No.1

        Even though language processing is quite dissimilar on each hemisphere, it has been rarely studied what language information could be utilized to recognize Korean noun Eojeol in bilateral hemispheres. Eojeol is adequate for speculating language processing as it is a complicated lexical-unit in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contribution of bilateral hemispheres to visual processing on Korean noun Eojeol through visual half-field study. In this study,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e is that Eojeol was presented in the central visual field, the other is that Eojeol was presented in the right or left visual field. Afterwards,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lexical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response time of Eojeol decision. It shows additionally significant lexical-variables in left and right visual field compared to center visual field. Tthe ‘root frequency’ variable was additionally significant in the right visual field. On the other hand, ‘number of strokes’, ‘number of syllables’, ‘number of letters’, ‘number of objective meanings’, and ‘number of subjective meanings’ variables additionally were significant in the left visual field. The reason for additionally significant lexical variables in each visual field was due to the induction of functional deficit in one hemisphere leading to primary Eojeol processing in the other hemisphere. This cognitive processing has a relation with the hemisphere-specific function of bilateral hemispheres.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functional contribution of the bilateral hemispheres that could be involved in the language information processing of noun Eojeol through the visual half-field study. 좌우반구의 언어정보처리 특성은 매우 상이하나 좌우반구에서 어떤 종류의 언어정보가 다르게 재인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한국어 어절은 형태소, 단어, 문장성분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복잡한 언어단위로 좌우반구에서 여러 종류의 언어정보를 다른 방법으로 정보처리 할 가능성을 조사하기에 적절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절판단과제(Eojeol decision task)를 좌우시야분할 연구방법(visual half-field study)으로 제시하여 명사어절 정보처리과정과 관련된 좌우반구의 어절정보처리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어절이 중앙시야에 제시되는 실험과 우시야 혹은 좌시야에 제시되는 실험이 수행되었다. 그 후에 어절판단시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어절변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이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어절이 중앙시야에 제시될 때에 비해 우시야 혹은 좌시야에 제시될 경우 추가적으로 유의미한 어절변인들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우시야 조건에서는 ‘어근 빈도’ 변인이 추가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좌시야 조건에서는 ‘획 수’, ‘음절 수’, ‘자모 수’, ‘사전적 의미 수’, 그리고 ‘주관적 의미 수’ 변인들이 추가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각 시야 조건에서 추가적으로 유의미한 어절변인들이 나타난 이유는 자극정보처리를 한쪽 반구가 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유도할 경우 다른 쪽 반구 기능이 미숙하게 나타나 이를 보상하기 위한 인지처리반응이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이 인지처리반응은 해당 반구에서 정보처리 할 수 있는 반구-특성적(hemisphere-specific) 기능과 관련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명사어절이 중앙시야에 제시된 경우와 우시야 혹은 좌시야에 제시된 경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반응을 통해서 명사어절 정보처리 과정에 관여할 수 있는 좌우반구의 정보처리에 대해 탐구하였다.

      • KCI등재

        21세기 창조사회와 문화예술 분야 연구

        신동엽(Dongyoub, Shin),김선혁(Sunhyuk,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인사조직연구 Vol.20 No.3

        본 논문에서는 최근 사회과학의 여러 분과 학문들에서 새로운 연구 분야로 각광 받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 전반으로도 폭 넓은 관심을 끌고 있는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연구가 상시 창조적 혁신이 강조되는 21세기 창조사회의 인사조직 분야 연구에 중요한 미래 발전 방향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문화산업 개념의 확산과 함께 학계와 실무 업계에서 공히 최근 급속하게 증가해온 문화예술과 경영의 만남은 기존 경영학적 관점에서 문화예술 분야를 바라보는 접근이 주가 되어왔는데, 문화예술 분야의 규모 성장과 효율성 증대, 그리고 문화예술의 혜택을 누릴수 있는 소비자층의 확대 등에서 실제로 다양한 기여를 했다. 그러나 동시에 이런 일방향적 접근은 문화산업논리가 제시하듯이 문화예술 분야를 다른 산업들과 동일한 경제적 이윤을 추구하는 시장의 한 유형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실천적으로는 문화 산출물의 다양성 감소, 단기 성과주의로 인한 장기적 문화예술 발전의 좌절, 그리고 경제적 가치로 평가할 수 없는 문화예술만의 내재적 가치의 생산과 확산에서 시장실패 등 심각한 부작용도 낳았을 뿐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문화예술 분야만의 특수성에 대한 경시로 인해 그 핵심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설명하지 못할 뿐 아니라,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근본적 접근을 통해 얻을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학문적 지식과 통찰력 획득의 기회도 충분히 살리지 못했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인사조직 분야를 비롯한 전체 경영학과 문화예술 분야간 바람직한 만남은 반드시 양측이 서로에게 새로운 지식과 통찰력을 제시하면서 공동으로 발전해나가는 상호충실화적 접근이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는 또 문화예술분야의 본질적 특성을 고려할 때 환경의 불확실성과 역동성이 높은 상황, 경쟁과 성과창출이 창조적 혁신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상황, 그리고 새로운 형태의 조직과 조직화가 필요한 상황에 관한 인사조직 분야 연구에 문화예술 분야가 특히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문화예술 분야에 관한 다섯 가지 대표적인 인사조직연구 주제들을 고찰하는데, 첫째, 문화예술 분야의 특수성과 보편성의 관점에서 상업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간 갈등을 다루는것, 둘째,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창조적 혁신의 원천과 과정을 연구하는 것, 셋째, 프로젝트기반 임시 조직화가 일반적인 문화예술 분야의 독특한 조직화 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최근 다른 산업들에서 확산되고 있는 프로젝트 조직에 대해 이해하는 것, 넷째, 필드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자원과 역량들을 역동적으로 연결해서 문화 산출물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문화예술 분야의 구조를 네트워크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 그리고 다섯째, 일반적 상품의 성과지표로 평가하기 힘든 문화예술 산출물의 성과 문제에 대한 전략경영적 연구와 조직생태학적 관점에서 정체성이 문화예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 등이다. 결론에서 본 논문은 문화예술 분야와 인사조직 분야의 바람직한 만남을 통해 추진될 필요가 있는 미래 연구 방향으로 첫째, 개별 예술가나 조직, 산업 등 전통적 연구 분석단위를 넘어서서 보다 거시적으로 전체 조직군이나 조직필드, 그리고 조직집합 수준에서의 연구와 보다 궁극적으로는 이들간 상호작용과 관계구조를 다루는 공동체 생태학적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 재즈의 즉흥연주 방식으로부터 완전히 새로운 조직화 형태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듯이 인사조직과 상관없는 문화예술의 핵심적 요소인 문화예술 산출물 자체의 형식과 내용에 대한 예술이론과 미학적 관점의 접근으로부터 완전히 새로운 인사조직 이론과 관점을 도출하는 것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 분야와 같은 새로운 연구 영역으로 단순한 수평적 확장만으로는 인사조직 분야의 근본적 발전이 어려우며 새로운 현상의 이해와 설명에 걸 맞는 완전히 새로운 개념, 이론, 그리고 세계관의 공동진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 한다.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arts and culture field that is attracting growing interest from various social science disciplines can also serve as a promising new area of future management studies. In the 21<sup>st</sup>century, society is characterized by the high value and importance given to creative innovation by most industries and sectors. The recent application of conventional management theories to the management of cultural industry organizations has made significant bottom-line contributions to the industry as a whole, such as volume growth, efficiency increases, and the expansion of the consumer base. However, this unilateral application of a managerial perspective has also produced various negative by-products, since the existing managerial approach regards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simply as another type of market; driven by economic efficiency and motivated by self-interest. Negative by-products include the reduction of diversity incultural outputs, a focus on short-term returns at the cost of long-term artistic values, and market failure to produce and distribute those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that cannot be easily evaluated in terms of economic value. Furthermore, the unilateral application of managerial perspectives has resulted in the belittlement of the arts and cultural field’s idiosyncratic characteristics and the loss of opportunities to learn from this distinctive field. In this regard, this paper argues that true cross-pollination between the arts and culture field and management studies is where both of these two fields provide new insights and knowledge unavailable elsewhere to each other. Thus, a genuine interest in and study of the arts and culture field is likely to provide the field of management studies with especially valuable new insights for industry contexts where the environment is highly uncertain and dynamic, competitive performance is dependent on creative innovation, and a completely new way of organizing is needed. To facilitate a cross-pollination between these two fields, this paper discusses the following five central research agenda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fields of arts and culture and management studies: 1) Studying the tension between commercial values and artistic values in the arts and culture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ism and particularism; 2) Inquiring into the origin and processes of creative innovation based on the observation of artists and their artistic processes; 3) Targeting new insights about project-based temporary teams by analyzing the unique organizing modes in the arts and culture field, where temporary project-based team structures have been prevalent for centuries; 4) Acquiring a new understanding of network dynamic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al structures in the arts and culture field, where actors produce and distribute cultural outputs by combining diverse resources and capabilities scattered across the entire field; and 5) Studying the determinants of performance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from the strategic choice perspective of strategy and the identity theory of organizational ecology. In the concluding section, this paper suggests two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in this area: First, we recommend expanding the level of analysis from the traditional organizational and industry levels to more macro levels, such as population, field, organizational set, and community. Second, we recommend obtaining completely novel insights about management phenomena by looking into areas of art studies that have no direct association with management considerations. For example, we may learn about a new organizing mode from the logic of jazz improvisation.

      • KCI등재

        A Study on the Safe and Educational Plans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Such As School Trip: A Study on the Safety Manual for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Sejong City Office of Education

        Chang Gil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Vol.10 No.5

        Although field experience learning such as school trips is emphasized at the school site throug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t often ends with customary events due to problems such as safety issue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alternatives to that. A lot of accidents, such as the Sewol ferry accident in 2014, occurred during the field experience study operation. Therefore, by analyzing the “Safe and Educational Operation Manual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such as School Trips” of the Sejong City Office of Education, we explored student safety measures that ensure the safety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As a result,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field-experience learning,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allocate experts in charge of experiential learning to the (South and North) School Support Center to perform school support work. Also, field experience learning should be operated in a small-scale and tema-type to proceed safely and educationally. Finally, local governments and 17 provincial superintendents councils should work together to develop and disseminate field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