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노동인권교육 활성화 방안 탐색

        최준호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explore ways to revitalize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for out-of-school youths by examining the status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for out-of-school youths and examining the necessity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used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out-of-school youths and the legal basis for out-of-school youth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and based on this examination, it further explored programs as well as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urrently,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 is the core of the support system for out-of-school youths in Korea.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at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at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 is inadequate and needs improvement in the functional aspects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that requires various educational factors in order for the out-of-school youths to understand labor society and establish correct values and attitudes for labor rights. Therefore, as part of the plan to revitalize labor rights education for the out-of-school youths who often have less learning opportunities comparatively, this study presented the development area, details, and core competencies for labor rights education of out-of-school youths, and practical strategies.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 could strengthen the organic cooperation system with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individual schools, and other related institutions for a further and continues link between finding out-of-school youths and labor rights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노동인권교육 실태를 살펴보고 노동인권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해 봄으로서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한 노동인권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탐색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학교 밖 청소년 현황 및 학교 밖 청소년의 노동인권교육의 법적 근거와 함께 노동인권교육 실태 등에 관하여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노동인권교육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구축 및 교수학습 실천전략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지원체제의 중핵을 차지하는 곳은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이다. 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의 노동인권교육 실태를 분석한 결과,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의 노동인권교육은 건전한 사회인으로 성장하기 위해 노동사회를 이해하고 노동인권에 관한 올바른 가치와 태도를 정립할 수 있도록 여러 교육적 요소를 포괄해야 하는 노동인권교육의 기능적 측면에서 볼 때 미흡하고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기회 보장에 있어 열악한 조건에 놓여 있는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한 노동인권교육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노동인권교육을 위한 개발 영역과 세부 내용 및 핵심역량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교수학습의 목표, 내용체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체계를 중심으로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가 중심이 되어 시도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단위학교, 기타 유관기관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강화하여 학교 밖 청소년 발굴 및 노동인권교육 활성화를 더욱 지속적으로 연계해 나갈 수 있기를 제안하였다.

      •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Ⅴ: 질적 종단자료 심층분석보고서

        김희진,서고운,조혜영,민윤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2022년에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질적패널조사를 중심으로」연구가 마지막으로 수행됨에 따라, 협동연구에서 더욱 다양한 주제로 질적 종단자료 심층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수집된 학교 밖 청소년 질적패널 대상의 종단적 면접자료를 활용하여, 질적연구와 학교 밖 청소년에 전문성을 지닌 전문연구자들과 함께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발달 및 성인기 이행, 지원서비스와 관련한 심층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① 학교 밖 청소년이 학교를 그만둔 이유와 경험, 자퇴에 대한 인식 변화, 그리고 성인기 이행, ② 후기청소년기 학교 밖 청소년 진로발달 및 자립과정, ③ 취약한 상황의 학교 밖 청소년 경험에 관한 질적 종단 분석, ④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받은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준비 경험에 관한 종단적 질적연구로, 총 4개 주제의 심층분석이 수행되었다. 20대 중·후반의 기존 패널과 10대 중·후반인 신규 패널의 면담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한 사례도 있었으나, 대체로 분석 내용에 맞게 기존 또는 신규 패널의 질적자료를 따로 분석하였다. 각 연구자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으며, 본 보고서의 마지막 장에 이러한 내용들을 통합하여 학교를 그만두기 전 단계와 이후로 구분하여 정책과제들을 제시하였다. ‘학교를 그만두기 전 단계 지원’에서는 학교를 그만두기 전의 일련의 과정에 대한 더욱 체계적인 관리, 취약한 상황에 놓인 청소년을 위한 학교 내 전문가의 적극적인 개입, 정규교육 과정에서의 진로교육 강화를, ‘학교를 그만둔 이후의 지원’으로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체계 강화, 취약한 환경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 강화, 대입지원 강화,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부정적 인식개선으로 요약, 정리하였다. As “A Study on Community-based Support for Out-of-school Youths: With a Focus on Qualitative Panel Data” was conducted last in 2022, we attempted an in-depth analysis of qualitative longitudinal data in more diverse topics for cooperative research. To this end, we used the longitudinal interview data on the qualitative panel of out-of-school youth collected from 2018 to 2022 and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with specialized researchers with expertise in qualitative research and out-of-school youth, focusing on their career development, transition to adulthood, and social services. Specifically, the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in total 4 topics: ① reasons why out-of-school youth dropped out of school and their experiences,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quitting school and transition to adulthood, ②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and independence of out-of-school youth in adolescence, ③ longitudinal qualitative analysis on the experiences of out-of-school youth in vulnerable situations, and ④ longitudinal qualitative research on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 of out-of-school youth who received social services.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 interview result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between the previous panel of youth in their mid- to late 20s and a new panel of youth in their mid- to late teens, but generally qualitative data of the previous panel or the new panel that meets the contents of analysis was separately analyzed. Each researcher that participated in the in-depth analysis suggested various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these contents were integrated in the last chapter of this study, providing policy tasks for before and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Support before dropping out of school’ included more systematic management for the process before quitting school, active intervention of in-school experts for youth in vulnerable situations, and enhancement of career education in formal education. ‘Support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included reinforcement of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system, greater support for out-of-school youth in a vulnerable environment, greater support for college admission, and reform of the negative perception on out-of-school youth.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조례 분석-서울특별시 본청 및 25개 기초자치단체 조례를 중심으로-

        김광병,김수정 사회복지법제학회 2020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1 No.2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 "Ordinances in Support of Out-of-School Youths" was enacted in a form reflecting the consistency with the "Act on Support for Out-of-School Youth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ut-of-School Youth Act"). For this purpose, as of August 2020, the ordinances ena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25 local governments in Seoul were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the provisions of the ordinanc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levels of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s in Support of Out-of-School Youths" were very low,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dinances and the laws was not harmonious. In some cases, the provisions of the "Out-of-School Youth Act" were taken without modification and enacted as ordinances, or the provisions of the law were selectively excluded even if there was no ordinance, it was possible to apply based on the "Out-of-School Youth Act." In addition, although the ordinances of the local governments had to be enacted in detail, there were many more abstract provisions than the "Out-of-School Youth Act"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indicating that the function of the ordinances did not work well. In some instances, however, some specific ordinances were enact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 It can be observed that the function of the ordinance has performed effectively in that the provisions such as "Support for costs for certifications required for academic progress and employment" and "Scholarship support to provide career exploration opportun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Introduction of special guidance programs for youth at risk of school interruptions" and "Guide to family consultation and support for the youth outside school" were included neither in the "Out-of-School Youth Act" nor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It can be construed that this was establish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problems, and desires of different local governments. Since ordinances have features that need to be established by embodying the provisions of the laws or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the current method of enacting the ordinances needs to be amended. Seeing that the provisions stipulated by laws and regulations are applied consistently nationwide, it is redundant to repeatedly stipulate them in the ordinances. Instead, it is required to make efforts to stipulate the provisions missing in the laws and regulations, reflecting the different needs of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n order for the "Out-of-School Youth Act," the metropolitan government's ordinances, and the regional municipalities' ordinances to function in harmony, the provisions of the ordinance reflecting the problems and desires, which are the characteristic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Out-of-School Youth Act" at the level of the metropolitan ordinances. In addition, the regional municipalities' ordinance needs to be configured of the provisions of the ordinance reflecting the problems and needs of different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Out-of-School Youth Act"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조례’가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학교밖청소년법)’과의 관계를 반영한 형태로 제정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8월 현재 기준 서울특별시 본청 및 서울시 25개 기초자치단체에서 제정된 조례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조례의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조례’의 제정 수준은 매우 낮은 상태로 조례와 법령과의 관계가 조화롭지 못했다. ‘학교밖청소년법’의 내용 그대로 가져와 조례로 제정하였거나, 선택적으로 법의 내용을 제외시킨 수준으로 굳이 조례가 없더라도 ‘학교밖청소년법’에 근거하여 지원이 가능한 수준이었다. 또한 기초자치단체 조례가 구체적으로 제정되어야 함에도 ‘학교밖청소년법’과 서울시 본청 조례보다 더 추상적으로 제시된 내용도 많아 조례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한 일부 특색이 있는 조례 내용이 제정되기도 했다. 서울시 본청 조례의 ‘학업진행 및 취업에 필요한 자격취득을 위한 비용 지원’과 ‘진로탐색 기회 제공을 위한 장학금 지원’ 기초자치단체 조례의 ‘학교중단위험 청소년 대상 특별지도 프로그램 운영’, ‘학교 밖 청소년 가정에 대한 상담 및 지원 안내’ 등은 ‘학교밖청소년법’에는 없거나 서울시 본청 조례에도 없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조례의 기능이 잘 작동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곧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성, 문제, 욕구를 반영하여 제정됐다고 해석할 수 있다. 조례는 법령의 내용을 구체화하거나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제정되어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현재와 같은 조례의 제정 방식은 수정될 필요가 있다. 법령에서 규정한 내용은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조례에서 그 내용을 반복적으로 규정할 필요는 없으며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법령에 없는 내용을 규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학교밖청소년법’과 광역자치단체 조례, 기초자치단체 조례가 조화롭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광역자치단체 조례 차원에서 ‘학교밖청소년법’에 근거하여 서울시의 특성인 문제와 욕구를 반영한 조례 내용을 구성하고, 기초자치단체 조례에서는 ‘학교밖청소년법’과 서울시 본청 조례에 근거하여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문제와 욕구를 반영한 조례 내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학업중단 결정에 대한 학교밖 청소년의 인식 연구

        이주연,정제영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out-of-school youths and reason why they have regret or satisfaction on their drop-out decisions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out-of-school youths.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recognition of out-of-school youths. For analysis, 12 of out-of-school youths were interviewed from shelters, alternative schools, and welfare agencies. The research results are like those; First, unlike the myth that the almost of out-of-school youths would be regret for their drop-out decisions, considerable numbers of youths have positive recognition. Second, youths of the regret group, they had difficulties in adapting in out-of-school life, and longing for school life. On the other hand, youths of the satisfaction group had found an alternative way to learn or live, and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decision of school drop-out. Third, youths of the regret group, who had experienced maladjustment in the school life, hesitated to return to school. On the other hand, youths of the satisfaction group would not like to return to schoo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olicies of prevention and intervention for out-of-school youths need to be diversified. 이 연구는 학업중단에 대한 학교밖 청소년의 인식과 그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여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밖 청소년 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쉼터, 대안학교, 복지기관 등을 통해 섭외된 12명의 학교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밖 청소년이 학업중단 결정에 대해 후회하고 있을 것이라는 사회적 통념과 달리, 일부 청소년은 자신의 학업중단 결정에 만족하며 이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업중단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관련하여 학업중단 결정을 후회하는 청소년은 학교 밖 사회에서의 부적응(무기력, 학위취득의 어려움, 일탈 및 비행)을 주요 요인으로, 학교에 대한 그리움(친구들과의 추억, 교사의 돌봄과 관심)을 부수 요인으로 지목한 한편, 학업중단 결정에 만족하고 있는 청소년은 학교 안에서 받은 상처(성적경쟁 소외, 교우갈등 및 따돌림, 교사와 갈등)을 주요 요인으로 학교 밖에서 찾은 대안(새로운 배움, 상처 치유)을 부수 원인으로 지목하여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학업중단 결정을 후회하는 청소년은 과거 학교생활 부적응 경험으로 인해 실제 학업복귀를 시도하는 일에 대하여 양가감정을 가지고 있었던 반면, 학업중단 결정을 만족하는 청소년들은 현재 사회 적응 정도와 상관없이 학업복귀를 모두 거부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업중단 예방과 학교밖 청소년 지원 정책의 접근방식이 다양화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다시 맞이하는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 학교밖지원사업에 참여한 취약가정 학교밖 청소년에 관한 해석학적 근거이론 연구

        조진옥,명소연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aving school and then process of life of vulnerable families out-of-school youths through encounter out-of-school youths supporting project. We applied Rennie's hermeneutic grounded theory methodology for this study to integrally analyze in and out school, psychiatric characteristics, and recovery processes of life. This study analysis was constructed based on 137 meaning units, 30 subordinate categories, 9 hermeneutic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and process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we found that out-of-school youths had life cycle of undergoing repeated difficulty in the critical period which played a vital role in their development and growth at school, at home and in a world.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their healing and growing occurred through the second prenatal period in which they modified the orbit of life cycle supported by out-of-school youths supporting center and counselors' effective interventions and support. And finally, vulnerable families out-of-school youths were sustained learning and grew continually to raise their living foundation in a world out of school. This research could serve as a continual, specific exploration for the life circumstances and its recovery process of out-of-school youths in vulnerable families and understand their growing process through the interventions of social capital, out-of-school youths supporting project.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 basis data for practical and political support and prevention of school dropout to youths of vulnerable families with difficulties in and out school. 본 연구는 취약가정 청소년들의 학교이탈과 이후 삶의 과정을 학교밖 지원사업 조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에 있어 학교안과 밖에서 나타나는 취약가정 학교밖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과 삶의 과정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분석에서 137개의 의미단위, 30개의 하위범주, 9개의 해석학적 범주가 형성되었으며, 핵심범주분석과 과정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첫째, 학교밖 청소년들이 가정, 학교 그리고 세상 속에서 발달과 성장이 이루어지는 결정적 시기에 어려움이 반복되는 인생의 굴레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밖 지원사업의 물적 인적 자원 조우를 통해 인고의 시간을 함께 버티고 제2의 태내기를 거치며 치유와 성장이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밖 세상에서 배움을 지속하고 삶의 터전을 일궈가는 계속되는 성장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취약가정의 학교밖 청소년들이 처한 환경과 심리적 상황을 학교 안에서부터 밖 그리고 사회적 자본인 학교밖 지원센터의 조우까지 구체적이고 연속적으로 살펴 본 것에 있다. 이를 통해 학교 안과 밖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실질적인 정책적 지원과 학교중단 예방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학교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익중,박재연,김은영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predict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of school youth and out-of-school youth.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12 to 18 consisted of 4,076 students enrolled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nd 423 out-of-school youths in shelters and juvenile detention centers. Data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whether they attended school, sex, depression, media coverage of celebrity suicid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of suicidal ideation. In addition, drinking, passive attitude, suicide survival, family discord, conflict with friends, and suicide website visits appeared to influence suicidal ideation of school youth. In contrast, these factors appeared to be unrelated to suicidal ideation of out-of-school youth but economic conditions had a significant affect. Second, regardless of whether they attended school, sex, drinking, suicide survival, suicide website visits were identified to predict suicidal attempts. Passive attitude, depression, impulsivity, conflicts with friends appeared to affect suicide attempts of school youth. In contrast, these factors appeared to be unrelated to suicidal attempts of out-of-school youth but media coverage of celebrity suicide was a significant variable. Based on these results, suicid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with the necessary policy measures for school and out-of-school youth were presented with a special emphasis on differences between school and out-of-school youth in predicting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학교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12세에서 18세 사이의 중학교, 인문계고, 전문계고 총 54개교에 재학 중인 학생 4,076명과 청소년쉼터, 소년원에 있는 학교밖 청소년 4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재학여부와 상관없이 성별, 우울, 유명인 자살보도는 자살생각에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자살위험요인으로 밝혀진 음주, 수동적 삶의 자세, 주변인 자살, 가정불화, 친구와의 갈등, 자살사이트 방문경험 등이 학교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교밖 청소년은 이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상태가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학교 재학여부와 상관없이 성별, 음주, 주변인 자살, 자살사이트 방문경험이 자살시도에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수동적 삶의 자세, 우울, 충동성, 친구와의 갈등 등이 학교청소년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교밖 청소년은 이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명인 자살보도가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학교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예방과 개입전략에 대해 차별적 강조점과 필요한 정책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 중단과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참여 경험 연구

        조혜영,김영란 한국미래교육학회 2018 미래교육연구 Vol.8 No.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chool drop out experiences of youths and their participation in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 For this,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6 youth participants who attended the center after their school drop out. Major results are follows. First, background of school drop out is related with the school factor or family and individual factor. Youths’ experiences after school drop out were spending time without any plan or having hard time practicing their own plan. Some youths have experienced negative relationship or conflicts with their family members. However, when some participants had psychological support from family members, they came to reflect their own situation and have positive views on their career. Participants got informed with the out-of school youth support center by their acquaintances or friends or self-search. Although youth informed from their acquaintances hesitated to visit the center with negative stereotype of center and did not want to reveal their own personal history at the beginning, they continued to attend after they were welcomed with good feeling since their first visit. Youth participants who searched the center by themselves decided to attend the center without any hesitance. They developed their own willingness to pass the qualification exam for high school graduate certificate with teachers’ support and compliment in the center. They achieved psychological and social support from their peers from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such as cultural events and camps. Furthermore, they got helps in terms of career planning by exploring their own interests through various activities as well as preparing the qualification exam. 이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학업 중단 과정과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참여 경험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업 중단 후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를 이용하였던 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학업 중단 계기는 주로 학교 관련 요인과 가정 및 개인 관련 요인을 들 수 있었다. 이들의 학업 중단 이후 경험은 계획 없이 막연한 시간을 보내는 생활을 하거나, 학업 계획을 세웠지만 실천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였다. 일부 청소년들은 학교를 그만 둔 후 가족 구성원들과 부정적인 관계가 형성되거나 갈등이 심화되는 경험을 하였다. 하지만, 일부 참가자들은 지속적으로 가족 구성원의 심리적 지지를 얻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자신의 처지에 대해 다시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며, 긍정적인 진로 전망을 갖게 되었다.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에 대한 정보는 주변 지인이나 친구를 통해 얻거나 적극적으로 검색 후 얻고 있었다. 지인으로부터 정보를 얻은 청소년의 초기 경험은 부정적 선입견이나 자신에 대한 정보 노출을 꺼려 방문을 기피하지만 일단 방문 후에 호감을 갖고 센터 이용을 지속함을 알 수 있었다. 적극적으로 정보를 찾아 센터를 방문한 청소년들의 경우 바로 프로그램 참가를 결심하고 있었다. 이들은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프로그램 중 고졸 자격 취득을 위한 검정고시 준비 과정에서 센터 선생님들로부터 칭찬과 격려를 받으며 도전의 의지를 키우게 된다. 그리고 문화체험이나 캠프 등 활동 참여 과정에서 또래 유대를 형성하기도 하는 등 심리적 지원 및 사회적 지지를 얻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검정고시를 준비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체험을 통하여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한 탐색을 함으로써 진로 계획 수립에도 도움을 얻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학교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익중(Ick Joong Chung),박재연(Jae Yeon Park),김은영(Eun Young Ki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4 No.-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학교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12세에서 18세 사이의 중학교, 인문계고, 전문계고 총 54개교에 재학중인 학생 4,076명과 청소년쉼터, 소년원에 있는 학교밖 청소년 4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재학여부와 상관없이 성별, 우울, 유명인 자살보도는 자살생각에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자살위험요인으로 밝혀진 음주, 수동적 삶의 자세, 주변인 자살, 가정불화, 친구와의 갈등, 자살사이트 방문경험 등이 학교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교밖 청소년은 이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상태가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학교 재학여부와 상관없이 성별, 음주, 주변인 자살, 자살 사이트 방문경험이 자살시도에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수동적 삶의 자세, 우울, 충동성, 친구와의 갈등 등이 학교청소년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교밖 청소년은 이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명인 자살보도가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학교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예방과 개입전략에 대해 차별적 강조점과 필요한 정책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predict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of school youth and out-of-school youth.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12 to 18 consisted of 4,076 students enrolled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nd 423 out-of-school youths in shelters and juvenile detention centers. Data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whether they attended school, sex, depression, media coverage of celebrity suicid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of suicidal ideation. In addition, drinking, passive attitude, suicide survival, family discord, conflict with friends, and suicide website visits appeared to influence suicidal ideation of school youth. In contrast, these factors appeared to be unrelated to suicidal ideation of out-of-school youth but economic conditions had a significant affect. Second, regardless of whether they attended school, sex, drinking, suicide survival, suicide website visits were identified to predict suicidal attempts. Passive attitude, depression, impulsivity, conflicts with friends appeared to affect suicide attempts of school youth. In contrast, these factors appeared to be unrelated to suicidal attempts of out-of-school youth but media coverage of celebrity suicide was a significant variable. Based on these results, suicid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with the necessary policy measures for school and out-of-school youth were presented with a special emphasis on differences between school and out-of-school youth in predicting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 정보연계 강화를 위한 법률개정 방안

        박찬걸 한국소년정책학회 2022 少年保護硏究 Vol.35 No.2

        As about 50 thousand students drop out of school every year, support for them to continue study and enter society by linking with public support system even after they give up studies, but it has been regulated to like with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hereinafter ‘Support Center’) only for those who agreed with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so far, and by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low rate of like, the 「Act on Support for Out-of-school Youth」(hereinafter the ‘Act on Out-of-school Youth’) was revised on March 23, 2021 and started to take effect from September 24, 2021, enabling link to support center without advance consent in case youths subject to compulsory education leave school. However, like on inform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not subject to compulsory education is allowed only in case they agree with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2021 Basic Education Statistics, high school students take 45.1% out of all dropouts, which is the highest percentage as compared wi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many students out of dropouts are still in blind spot, so improvement of the situation is considered necessary. Especially, all men have the right to receive education equally in accordance with Article 31 of the Constitution, and as free education to high school expanded with revision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on December 3, 2019, which provides a fair chance of education to every citizen through strengthened publicnes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er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youths who want to continue keep on studies or hope to get a job or career searching after giving up high school for preventing social gap caused by educational gap and enable them to realize minimum right to education by linking quickly and assuring rights and opportunities to receive adequate education within the public support system for youths in high school level and grow as a healthy member of society.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research, this manuscript aims to prepare a plan for revision of law for strengthening like of information of out-of-school youth by generating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law revision that establishes a legal basis to link with support centers without their consent in case it is unable to confirm consent of youth or parents at the level of high school for smooth link of information of out-of-school youth eligible for free education.

      •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Ⅲ: 학교 밖 여성 청소년을 중심으로

        오은진,장희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학업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성별, 학업중단 유형 등에 따른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청소년기는 성별에 따른 사회문화적 현상을 내재화하는 경향이 다르기 때문에 청소년 정책지원에서 여성과 남성이 겪는 위기 경험에서의 성별 차이를 고려한 정책과제를 개발해야 하며, 이를 지역사회의 지원체계를 통해 충분히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학교 밖 청소년과 관련한 개괄적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여 집단의 차이를 확인한 후 학교 밖으로 나온 위기 여성청소년들의 생활 경험과 심리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 중에서도 더 많이 소외되고 취약한 여성 청소년의 실태를 질적조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위기 여성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학업중단 학생 현황 중 성별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2차 자료 분석으로서 2018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결과 중 성별차이에 초점을 두고 재분석하였다. 셋째, 학교 밖 여성 청소년 8명 및 이들 중 일부가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쉼터 관계자 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화상 방식을 통한 심층면접조사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과 분석과 정책 제언에 대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학교 밖 여성 청소년 현황을 분석하였고, 학교밖 위기 여성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과 지원 요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학교와 지역사회의 정서적 지원체계의 강화, 노동시장의 사회적 안전망 강화, 지역사회 직업 · 진로 멘토링 사업, 다양한 지역지원체계의 접근성 제고 및 직업탐색 공간의 다양화, 심리 정서적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상담 제공, 여성청소년의 성 · 건강관리에 대한 접근성 제고 등의 여러 정책과제들을 제안하였다. With respect to out-of-school youths, a detailed approach based on gender and reasons for dropping out is necessary. In particular, since youths tend to internalize what is unfolding socio-culturally before them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policy tasks that consider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crisis experience of male and female youths must be established.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these tasks through the support system of the local community. To that end,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related to out-of-school youth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ender groups, and then attempted to grasp the life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states of the female youths in crisis who have dropped out of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an in-depth analysis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status of female youths who are more marginalized and vulnerable, and to propose support plans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For this purpose, we first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female youths in crisis and out-of-school youths, and examined the gender of students dropping out of school. Second, as a secondary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2018 out-of-school youth survey were re-analyzed to focus on gender differences. Third, in-depth video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out-of-school female youths and two field workers from the youth shelter where some of the interviewees reside. Finally, an expert advisory meeting was held to thoroughly analyze the results and put forward policy recommendations.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out-of-school female youths, and extracted their dropout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policy tasks such as reinforcing the emotional support system of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strengthening the social safety net in the labor market, starting vocational and career mentoring programs in the local community, enhancing the accessibility of various local support systems, diversifying job search channels, examining the psycho-emotional situation, providing custom-tailored counseling services, and enhancing accessibility to sexual and health counseling of female youths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