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동인권교육의 원칙 및 내용체계에 관한 기초 연구

        설규주,옹진환,정수진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9 시민교육연구 Vol.51 No.4

        Numerous reports and surveys have highlighted the human rights on labor, especially for young people, as an important social issue. This issue has to be discussed and debated through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in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link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the youth's recognition of labor human rights and strengthen their competencies to solve labor proble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the following work. First,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labor and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were presented. In particular, the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was examined in term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process of specifying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curriculum, the Philadelphia Declaration and the Beutelsbach consensus were reviewed, and the meaning, direc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of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were proposed in connection with the current curriculum. This could be the base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and enable stable teachings in school. Lastly, an alternative curriculum was proposed to strengthen the contents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by conducting FGI(focus group interview) with experts in human rights on labor and curriculum. Through this, we expect that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revised and textbook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school-level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청소년들의 노동인권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가 드러나면서 학교 노동인권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우리 사회에는 노동이라는 용어를 금기시하거나 불편해 하는 시선도 있어서 노동 관련 내용이 교육과정에서 충실하게 다뤄지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이 연구는 노동인권에 관한 청소년들의 인식 개선 및 노동문제 해결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노동인권교육의 원칙과 내용체계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 문헌을 살펴보면서 노동 및 노동인권교육의 의미와 의의를 제시하였다. 특히 노동인권교육을 민주시민교육과 사회과교육의 차원에서 조명하면서 그 시의성과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노동인권 교육과정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는 필라델피아 선언 및 보이텔스바흐 합의를 검토하였고 현행 교육과정과의 연계 속에서 노동인권교육의 의미, 방향, 교수학습원칙을 제안하였다. 이는 노동인권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고 학교 현장에서 안정적인 수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노동인권 및 교육과정 전문가들과 협의회를 거쳐 노동인권교육 내용을 강화한 대안적 교육과정(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가 향후 노동인권교육을 위한 학교급별 자료집 개발은 물론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정신과 의사에게 시행되는 인권교육 이대로 좋은가

        강유리,안준호,주연호,김창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6 신경정신의학 Vol.55 No.4

        ObjectivesZZ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annually since Korea enacted human rights legislation in 200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ttitudes of Korean psychiatrists toward human rights education and assess the relevance of the provided education materials. MethodsZZQuestionnaires comprised of 8 items were provided to 274 psychiatrists attending the April 2015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seminar. In addition, 12 cases related to education material developed by the Korean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were examined to determine whether the material’s content was relevant and appropriate for human rights education. ResultsZZData from 267 psychiatrists that answered all requested question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lthough respondents in general accepted the beneficial int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the majority of respondents (71.5%) disagreed with the mandatory 4 h of annual human rights education. Approximately half of respondents (49.4%) believed that frequency of such education should be decreased. A substantial percentage of respondents (38.7%) expressed overall dis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program, and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55.6%) were skeptical that the current education program could produce a real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human rights. The case reviews highlighted several problems. First, all education materials were heavily weighted toward psychiatric hospitalization legal proceedings rather than human rights. Among the 12 cases examined, four were considered inappropriate for human rights education because they were presented as if human rights abuse was synonymous with violation of a law, even if the law was ambiguous. ConclusionZZThe current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does not meet psychiatrists’ expec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the purpose and means of providing human rights education to psychiatrists.

      • KCI등재

        지리교과에서 인권 교육의 가능성 탐색

        김대훈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지리교과에서 인권 교육의 가능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먼저 인권 개념의 형성과 발달 과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인권 개념을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 다음 지리교과에서 인권 교육의 가능성을 지리를 통한 인권 교육과 지리적 인권에 대한 교육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지리를 통한 인권 교육에서는 지리교과의 고유한 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인권 교육의 가능성을 탐구하였고, 지리적 인권에 대한 교육에서는 주거권, 도시권, 환경권을 지리적 인권 내용으로 개발한 후 지리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지리교과는 인권을 교육함으로써 학교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부응하고, 지리교육의 목적인 시민성을 함양하며, 지리교육 내용지식의 원천을 다양화하는 효과가 있지만 사회과 통합 논의에 흡수될 우려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the possibil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 First, after theoretically examin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ncept of human rights, the concept of human rights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Next, the possibil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geography subject was explored, as divided into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geography and education about geographical human rights. In the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geography, it is explored that the possibil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by applying a unique learning method of geography subject. In the education about geographical human rights, it is developed that the rights to environment, the right to housing and the right to the city as the geographical human rights contents, and its relevance to the geography curriculum was examined. Finally, by educating human rights, the geography subject had the effect of meeting the changes of the paradigm of school education, cultivating citizenship for the purpose of geography education, diversifying the source of knowledge of geography education contents. But it was pointed out that the possibility of being absorbed in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 KCI등재후보

        비제도권 인권교육 현황분석을 통한 학교인권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조태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0 사회과교육연구 Vol.17 No.3

        The necess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is increasingly stressed along with recent social phenomena. So far, a lot of studies have been implemented on this issue, and human rights education must be provided as part of institutional school education to stay abreast with the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human rights education in a bi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Four noninstitutional human rights-related organization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to serve the purpose from among lots of related institutions: SARANBANG Group for Human Rights, Dasan Human Rights Center and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The selected institutions respectively represented national agencies, nongovernment group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goals and ideology of each group were discussed, and literature review was done to compare their human rights education, objectives of that education and relevant activities by utilizing their websites and data published by them and by having an interview with people in charg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ome limits to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due to a lack of national guidelines about the directions of that, social perception of looking at the issue just from an ideological perspective, physical school environments, and awarenes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nd there were favorable prospects for this issue as well, which are expected to lead to the realization of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For instance,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the way teachers and students look at the issue, and that education could be offered in social studies class. Besides, human rights-friendly school setting will possibly be create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tate of noninstitutional human rights education provided by human rights groups to discuss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though it produced little immediate visible results. Lots of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 the future into this issue to determine how to actualize human rights education as part of institutional school education. 인권교육은 최근의 사회상과 맞물려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인권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당연히 귀결되어져야 할 것이 바로 ‘학교인권교육의 도입’이다. 본 연구는 비제도권 인권교육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학교인권교육 도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더불어 학교인권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여 그 방향성 정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한 비제도권 인권관련단체는 인권운동사랑방, 다산인권센터, 국제사면위원회,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4곳이다. 먼저 각 단체들이 추구하는 인권교육의 개념, 목표 및 이념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단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권교육의 세부목표, 인권교육 관련 활동내용, 인권교육의 내용 구성 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홈페이지 및 발간자료 등을 통한 문헌연구와 더불어 인권교육 담당자와의 면담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교인권교육의 한계 요인으로 국가 수준의 인권교육의 방향 정립이 없다는 점, 인권교육은 이념적 접근이라는 사회적 인식, 학교의 비민주적인 환경 요인, 학교의 교사 및 관리자의 인식문제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학교인권교육이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 요인으로는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의식 변화, 사회과 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인권교육의 가능성, 인권친화적인 학교환경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비제도권 인권단체의 인권교육 현황분석을 통하여 추상적이나마 학교인권교육 도입에 있어서의 체계적인 방향정립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차후, 구체적인 학교인권교육의 도입방안, 목표, 교육내용, 교육과정 수립 등에 대한 연구와 시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인권교육법 입법의 교육적 의미와 과제 : 인권교육의 국제동향을 기반으로

        전윤경(Jeon Yun Gyeong)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0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9 No.1

        본 글은 인권교육의 국제동향에 비추어 인권교육법안이 갖는 교육적 의미와 과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UN의 문헌을 통해 인권교육의 국제동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2007년부터 국회에 제안된 5개 인권교육법안의 구성과 내용을 검토하였다. 셋째, 인권과 인권교육 이론가들의 연구를 참고하여 인권교육법 입법의 교육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넷째, 결론으로 인권교육의 법제화를 위한 교육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향후 인권교육법 입법을 위하여 인권과 교육, 그리고 법의 균형점 모색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tasks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Act based on international trends in human rights education.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international trends in human rights education were explored in United Nations reports and literature. Secondly, this article review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five human rights education bills proposed in the National Assembly since 2007. Third, based on the abov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human rights education legislation were discussed by referring to research on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education theories. Finally, the conclusion presented educational tasks for the legisl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The legisl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act needs to find a balance among human rights, education, and law.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인권 존중하기 그리고 교육하기: 인권 친화적 체육수업의 설계 및 실행

        이규일 ( Gyu Il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1 체육과학연구 Vol.22 No.4

        현재 학교 사회는 과거 교권 중심 논리에서 빠르게 인권 중심 논리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체육수업은 구조적으로 인권 침해 논란의 소지가 크다. 이에 따라, 체육교과 교육 분야에서는 인권 친화적 체육수업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때, 인권 친화적 수업은 학생의 인권이 존중되는 수업이자, 인권을 교육의 내용요소로 삼아 적극적으로 교육하는 두 측면을 갖고 있다. 체육수업의 환경은 인권 보호를 요구하는 환경이지만, 역으로, 인권 교육을 위한 최적의 환경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인권 존중 및 교육을 위한 인권 친화적 체육수업을 설계하고 실천하고자 한다. 먼저, 보호의 측면에서, 체육수업의 인권 소외적 구조 및 전략을 탐색하고, 교육의 측면에서, 교육 내용 분석 및 학습 활동을 구성하여, 인권 친화적 체육수업을 설계하였다. 이를 실행하여, 수업의 구체적인 실행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안정된 교수 활동``, ``따뜻한 수업 분위기``, 그리고 ``통합적 인권교육``을 인권 체육수업의 실행 의미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인권 친화적 체육수업의 방안 및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school society have been changed from a society based on ``teacher`s authority`` to ``student`s human rights``. Particularly, physical education as a subject that had more problems about human rights than that of the other subjects had to find out the ways to aim for practicing physical education for friendly human rights. The meaning of "Friendly Human Rights" connotes not only protecting student`s human rights but also educating positively that. A teaching environment of P.E. was the very strong possibility to violate students`s human rights, however, inversely, the environment was the best condition for educating for human rights. Therefore, in this study try to design and practice ``friendly human rights teaching`` in P.E. For these, first, I explored on the structure to violate human rights of students and the strategical ways to solve the problems, in sequence, I tried to analyse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for education. I provided the concrete teaching process, and the meanings of that showed as ``stable teaching``, ``warming instructional atmosphere``, ``integrated education for human rights``. Lastly, I provided the ways to protect the problems of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to educate positively that.The school society have been changed from a society based on ``teacher`s authority`` to ``student`s human rights``. Particularly, physical education as a subject that had more problems about human rights than that of the other subjects had to find out the ways to aim for practicing physical education for friendly human rights. The meaning of "Friendly Human Rights" connotes not only protecting student`s human rights but also educating positively that. A teaching environment of P.E. was the very strong possibility to violate students`s human rights, however, inversely, the environment was the best condition for educating for human rights. Therefore, in this study try to design and practice ``friendly human rights teaching`` in P.E. For these, first, I explored on the structure to violate human rights of students and the strategical ways to solve the problems, in sequence, I tried to analyse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for education. I provided the concrete teaching process, and the meanings of that showed as ``stable teaching``, ``warming instructional atmosphere``, ``integrated education for human rights``. Lastly, I provided the ways to protect the problems of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to educate positively that.

      • KCI등재

        초등학교 인권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도덕 교과서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조성현,정영선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1 동북아법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seek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situations where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is emphasized in the school field.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nalysis criteria are established through theoretical review of prior studies and related literature, and the 2015 revised moral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re analyzed based on these and is suggested where should be improved. The moral textbooks are analyzed focusing on the category and scope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roportion by category, education for human rights accounts for the largest percent of 44.2, followed by education on human rights by 33.7%, education for human rights the lowest of 22.1 percent. The emphasis on education for human righ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mainly deal with functional aspects of human rights. Second, in terms of proportion by area, the basic conceptual area for human rights is 24.4%, the laws and institutions on human rights area for human rights is 9.3%, and the analysis and resolution of human rights issues is 20.9%, the value and attitude area of ​​respect for human rights. 23.3%, participation and practice in solving human rights issues were 22.1%, showing a generally even distribution, but the laws and institutions on human rights were significantly lower.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significant improvement measures could be extracted. Education on human rights requires supplementing the contents of the Basic Concept of Human Rights and developing terminology, and education for human rights requires various case studies related to students' daily liv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education through human rights, contents and methods for students to actually participate should be presented. The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arranged in a balanced manner by grade and, for human rights education is conducted integratedly, education on human rights, education for human rights, and education through human rights should be presented in one chapter.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 results of textbook analysis, a research on textbook-oriented school curricula is needed to prevent human rights education from being conducted as a one-tim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인권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의 인권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분석 준거를 설정하고 2015 개정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분석하고 개선되어야 하는 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분석 준거는 초등 도덕과의 교육 목표와 리스터의 인권교육의 세 가지 측면,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제시한 내용을 재구성하여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분석대상은 인권교육과 관련이 있는 도덕과로 선정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정된 초등 3~6학년 도덕 교과서이다. 도덕 교과서를 인권교육 범주와 영역, 그리고 내용 요소로 분석하여,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주별 비중을 살펴보면, 인권을 위한 교육이 44.2%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다음은 인권에 대한 교육이 33.7%. 마지막으로 인권을 위한 교육이 22.1%로 나타났다. 인권을 위한 교육에 편중되어 있어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는 인권의 기능적인 측면을 주로 다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영역별 비중을 균형을 보면, 인권에 대한 기본 개념영역이 24.4%, 인권에 관한 법과 제도영역이 9.3% 인권문제의 분석 및 해결방안 모색영역이 20.9%, 인권존중의 가치와 태도영역이 23.3%, 인권문제 해결을 위한 참여와 실천이 22.1%로 대체로 고른 분포를 보이나 인권에 관한 법과 제도영역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개선방안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인권에 대한 교육은 ‘인권에 대한 기본 개념’의 내용 보완 및 용어 개발이 필요하며, 인권을 위한 교육의 경우 학생들의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다양한 사례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인권을 통한 교육의 경우 학생들이 실제 참여할 수 있는 내용과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인권교육 내용을 학년별 균형있게 배치하고, 인권교육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단원에 인권에 대한 교육, 인권을 위한 교육, 인권을 통한 교육이 모두 제시되어야 한다. 인권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얻은 시사점과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 인권교육이 창의적 체험활동 등으로 일회성 인권교육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교과서 중심의 학교 교육과정의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인권교육의 의미 재탐색 - 최근 제기되는 의문을 중심으로 -

        구정화 ( Koo Jeong-hwa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논의되어 온 인권육의 의미를 정리하고, 최근 인권교육과 관련하여 새롭게 제기되는 의문에 대하여 논의하면서 인권교육의 의미를 탐색하여 확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인권교육이 갖는 특징을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인권교육은 인간으로서 존엄한 삶을 위해 필요한 권리로 보아야 한다. 둘째, 인권교육은 학습자의 삶과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내용 구성을 통해 사회 변화를 고려하는 학습경험이어야 한다. 셋째, 인권교육에서는 사회적 약자의 관점과 경험을 강조한다. 넷째, 인권교육에서는 사회구조적 관점을 채택해야 한다. 다섯째, 인권교육에서는 인권친화적 환경을 강조한다. 이러한 특징에 더하여 최근 인권교육 논의에서 인권교육의 실천이 확장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제시되는 세 가지 의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면서 인권교육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세가지 의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교육은 친사회적이지 않지 않은가? 둘째, 인권교육에서 책임도 함께 가르쳐야 하지 않는가? 셋째, 인권 관련 업무 담당자 대상 인권교육에서는 그 담당자의 권리를 왜 강조하지 않는가? 인권이 갖는 특성으로서 개인과 국가기관 간의 관계에서의 인권 현상의 발생, 사회에서 인권이 갖는 긍정적 가치, 인권교육에서 상호호혜성 등을 고려하여 이러한 세 가지 의문이 인권과 인권교육에 대한 오해에 기반한 것임을 논의하였다. 더불어 향후 인권교육의 의미 정립을 위해서는 인권교육 실천의 장이 더 확장되고 그 과정에서 인권교육의 의미 탐색이 누적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ean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its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to review the mean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by discussing newly raised questions related to human rights education. First,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education are summarized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1)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viewed as a human right necessary for a dignified life. 2)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a learning experience that considers social change through the composition of contents based on learner`s life and experience. 3) human rights education emphasizes the perspective and experience of the socially weak and alienated. 4) in the human rights education, the social structure view must be satisfied. 5) human rights education emphasizes human rights friendly environment. In addition to these features, researcher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education centered on newly emerging questions. The following questions are related. 1) is human rights education not pro-social? 2) should not we do responsibility education along with human rights education? 3) why do not we emphasize the rights of the person in charge of human rights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such as the occurrence of human rights phenomen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tate institutions, the positive values of human rights in society, and mutual reciprocal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education, these questions are misunderstandings about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education.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mean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to become clearer in the future, it is suggested that the field of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further expanded and the mean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more in the process.

      • KCI등재

        인권교육이 청소년 인권침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소담,곽대경 한국범죄심리학회 2023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9 No.2

        This study tried to empiricall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experience in human rights education and human rights abuse experiences such as hate discrimination. Human rights education among teenagers can have a positive effect not only o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human rights or improving human rights sensitivity, but also on recognizing and respecting differences from others through human rights education. While research on human rights education is centered on educational measures or effects that need to be improved,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effect of the results of education and the behavior of adolescents' human rights violations.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the second data of the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from 2018 to 2020, and used data from 9,017 in 2018, 9,240 in 2019, and 8,346 in 2020 for the fin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year by year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8.0 ver. According to the study, the three-year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exceeded 70% in 2018, while less than 50% in 2019 and 2020, bu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t was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human rights violations of adolescents with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In other word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actual institutions and programs of youth human rights education based on the internalization of actual human rights education contents and operational methods to expect the effect of education. In particular, school violence is caused by mischief, and the beginning of the mischief can be caused by acts of human rights violations such as discrimination and hatr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human rights education that can contribute to preventing such acts of human rights violation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이 연구는 청소년의 인권교육 경험 여부와 혐오 차별 등의 인권가해 경험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청소년 간의 인권교육은 단순히 인권에 대한 개념이해나 인권감수성 향상의 효과뿐만 아니라 인권교육을 통해 청소년이 타인과의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여 차별로 이어지지 않게 할 수 있는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다. 인권교육 연구가 개선되어야 할 교육 방안이나 효과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반해, 교육의 결과와 청소년의 인권침해 가해행위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 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반복횡단조사를 수행한 2차 데이터를 연구자료로 선정하였으며, 2018년 9,017명, 2019년 9,240명, 2020년 8,34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통계프로그램 SPSS 28.0ver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빈도분석,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각각 연도별로 실시했다. 연구결과 3개년 간 인권교육 경험 여부는 2018년은 70%를 상회하는데 반해 2019년과 2020년은 50% 미만이었으나 연구결과는 공통적으로 인권교육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인권침해 가해행위의 정(+)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실질적인 인권교육 내용 및 운영방법에 대한 내실화를 바탕으로 청소년 인권교육을 실질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기관 및 프로그램 내용 등을 점검하여 인권교육으로 인한 교육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교폭력은 장난에서 기인하며, 그 장난의 시초는 차별과 혐오 등 인권침해 가해행위에서 비롯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권침해 가해행위를 예방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인권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청소년 인권교육 경험이 성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오유란,심혜인 한국치안행정학회 2022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9 No.2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experience of sexual crime damage and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Sex crimes against children and adolescents continue to occur, and are a big problem in society. In addition to sexual violence crimes, a wide range of damages such as sexual harassment, sexual harassment, and rape that can be experienced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should be considered.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and prevent changes and sexual damage to students through human rights education to improve human rights sensitivity, not simply conduct sex education to reduce sexual damage to teenagers. In particular, while empirical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youth human rights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discrimination and perpetration experiences, little discussion has been conducted on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sexual violence and sex crimes.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of sexual crime damage on campus, but it was found that the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xual crime damage on and off campus, including in the suburbs. In this regar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dolescents with experience in human rights education have become aware that their actions are damage to adult rights as a result of that education. In particular, when addi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on adolescents with experience in human rights education, the low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human rights education, the more they experienced sexual crime damage, which showed the possibil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addition, the fact that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human rights education in and out of school had experiences of sexual crimes than in school can be seen as a result of higher sensitivity to sexual crimes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Through this, it was hoped that it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youth human rights education. 이 연구는 청소년의 성피해 경험 유무와 인권교육 경험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사회의 큰 문제이다. 성폭력 범죄뿐만 아니라 교내외에서 경험할 수 있는 성희롱, 성추행, 강간 등 넓은 범위의 피해를 고려해 보아야 한다. 청소년들의 성적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단순히 성교육을 실시할 것이 아니라, 인권 감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권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변화와 성적 피해를 인지하고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중요다. 특히, 청소년 인권교육 강화 이후 효과성에 대한 실증연구가 차별 피해, 가해 경험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반해 성폭력, 성피해와의 영향관계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자료는 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9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결측값을 제외한 총 9,191의 자료를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하였다. 인권교육경험은 초·중·고등학생들의 교내에서의 성피해 경험유무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교외를 포함한 교내외에서의 성피해 경험유무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서는 인권교육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경우 그 교육의 결과로서 자신의 행위가 성인권의 피해임을 인식하게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인권교육 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추가 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인권교육에 대 한 만족도 수준이 낮을수록 성피해 경험을 한 것으로 보아 인권교육의 긍정적 영향의 가능성을 볼 수 있는 결과였다. 또한 교내보다 교내외 인권교육 참여 청소년의 성피해 경험이 있었던 것은 성피해 경험에 대한 민감도, 인권민감수준이 더 높았기 때문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 인권교육의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