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미국 초등 사회 교과서의 공민 관련 단원 내용 분석 – 플로리다주 교과서를 중심으로 -

        설규주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9 시민교육연구 Vol.51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n civic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and to draw its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K-5 used in Florida, one of the big stocks in the textbook market were analyzed. The focus of the analysis was on how citizens and governments are defined, how their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s are described. The results show that a citizen is defined as a member of a country, and the government as a group of people who run a community, state or country. In addition, in the part on citizens, the responsibilities of citizens are found to be more emphasized than the rights of them. Moreover, citizens’ roles are often confined to having interests and participating in the issues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ountry. Overall, there are more descriptions on the government and country such as rules and law, constitution,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the symbol of the US rather than on citizens’ lives. This result tells us that the area of civic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United States puts more emphasis on dedicating to one’s community than on citizens’ rights, and focuses more on constitutional order and the tradition of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s than on citizens’ active role in relation to the government. Considering that social studies aims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 it is necessary to put more emphasis on citizens’ keeping checks and monitoring on the government and having interests in the global issues. 이 연구는 미국 초등 사회 교과서의 공민(Civics) 관련 단원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국 교과서 시장 측면에서 중요한 대형주에 속하는 플로리다주의 유치원부터 5학년까지의 사회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초점은 시민과 정부가 각각 어떻게 정의되고 있으며, 각각의 특징이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 양자의 상호작용은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지에 두었다. 분석 결과, 시민은 국가의 구성원으로, 정부는 지역사회, 주, 국가를 운영하는 사람들의 집단으로 정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민 관련 내용에서는 시민의 권리보다는 책임을 더욱 많이 강조하고 있었고, 시민의 역할을 주로 지역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정도로 한정하여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시민의 생활에 관한 내용보다는 규칙과 법, 헌법, 정부 조직, 국가 상징 등과 같은 정부와 국가 측면의 내용이 많은 편이었다. 이를 통해 미국 초등 사회 교과서의 공민 영역에서는 국가를 비롯한 여러 공동체에 헌신하는 것을 더 강조하고 있고, 정부에 대한 시민의 적극적 역할보다는 미국의 헌법적 질서와 정부 조직의 전통에 더 비중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민주시민의 양성을 지향하는 사회과의 목표를 고려할 때, 정부에 대한 시민의 견제와 감시 및 지구적 이슈에 대한 관심을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노동인권교육의 원칙 및 내용체계에 관한 기초 연구

        설규주,옹진환,정수진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9 시민교육연구 Vol.51 No.4

        Numerous reports and surveys have highlighted the human rights on labor, especially for young people, as an important social issue. This issue has to be discussed and debated through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in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link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the youth's recognition of labor human rights and strengthen their competencies to solve labor proble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the following work. First,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labor and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were presented. In particular, the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was examined in term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process of specifying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curriculum, the Philadelphia Declaration and the Beutelsbach consensus were reviewed, and the meaning, direc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of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were proposed in connection with the current curriculum. This could be the base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and enable stable teachings in school. Lastly, an alternative curriculum was proposed to strengthen the contents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by conducting FGI(focus group interview) with experts in human rights on labor and curriculum. Through this, we expect that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revised and textbook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school-level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청소년들의 노동인권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가 드러나면서 학교 노동인권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우리 사회에는 노동이라는 용어를 금기시하거나 불편해 하는 시선도 있어서 노동 관련 내용이 교육과정에서 충실하게 다뤄지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이 연구는 노동인권에 관한 청소년들의 인식 개선 및 노동문제 해결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노동인권교육의 원칙과 내용체계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 문헌을 살펴보면서 노동 및 노동인권교육의 의미와 의의를 제시하였다. 특히 노동인권교육을 민주시민교육과 사회과교육의 차원에서 조명하면서 그 시의성과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노동인권 교육과정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는 필라델피아 선언 및 보이텔스바흐 합의를 검토하였고 현행 교육과정과의 연계 속에서 노동인권교육의 의미, 방향, 교수학습원칙을 제안하였다. 이는 노동인권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고 학교 현장에서 안정적인 수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노동인권 및 교육과정 전문가들과 협의회를 거쳐 노동인권교육 내용을 강화한 대안적 교육과정(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가 향후 노동인권교육을 위한 학교급별 자료집 개발은 물론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코로나 시대의 민주시민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이 갖는 함의

        설규주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4

        이 연구는 코로나 19가 가져온 변화와 도전 속에서 민주시민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민주화 이후 국가주의적 시민교육에 대한 비판과 성찰이 이어졌고 그와 함께 민주주의의 본질적 가치를 지향하는 민주시민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이 성장해 왔다. 더 나아가 국가의 이념과 가치를 넘어 지역사회, 지구촌 등을 아우르는 다양한 공동체 속에서 인권, 자유, 평등, 연대 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코로나 19라는 지구적 대재난은 한국의 민주시민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코로나 19가 가져온 위기로는 물리적·심리적 단절과 봉쇄, 특정 국가나 집단 및 개인에 대한 낙인과 혐오, 격차와 불평등의 심화, 인권 침해 논란 등과 같은 것을 꼽을 수 있다. 반면, 코로나 19가 가져온 도전과 기회로는 지구촌의 연결에 대한 각성, 연대감의 발현, 비대면 접촉 증가로 인한 시공간적 제약 감소, 시민교육의 역할 증대 등을 들 수 있다. 코로나로 인해 주어진 위기를 넘어서고 기회를 적극 활용하기 위한 민주시민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과제로는 국내외 연대 강화, 민주주의와 시민 참여 활성화, 비판적 사고와 논쟁 강조, 디지털 리터러시 강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국의 교육 모델을 지구적 공공재의 하나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irections and agendas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challenging circumstances due to the changes and challenges brought about by COVID-19. Criticism and reflection on the statist brand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nsued, spurring the growth of a different form oriented toward essential values of democracy. COVID-19 as a global disaster posed questions as to how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proceed in the future. COVID-19 caused such risks as disconnection and shutdown, stigma and hatred, disparities and inequalities, new controversies on human rights violations, while it also brought new opportunities. For example, COVID-19 renewed awakening to the interconnectedness of the global village, activated practices of solidarity, increased contacts and affirmation of the importance of unified educational responses. In order to cope with the risks and make good use of the opportunities, we have several tasks to do. They can be abbreviated as emphasis on the power of intra- and inter-country solidarity, stress on the power of democracy and civic participation, focus on the power of critical thinking and debate, and attention to the power of digital literacy.

      • KCI등재

        세계시민사회의 성장 : 반성과 전망

        설규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교육논총 Vol.31 No.1

        "세계시민사회는 개별 국가 차원을 넘어 거대한 세계 시장의 영향력과 주도적인 패권국가 및 개별 국가의 권력을 비판하고 견제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세계시민사회는 아래로부터 도전해오는 초국가적 정치․문화 네트워크로 이해할 수 있다. 이로써 곧 정치, 경제 엘리트 중심의 ‘위로부터의 세계화’의 문제점을 교정하는, ‘아래로부터의 세계화’를 지향하고 있다. 세계시민사회는 전자매체와 교통통신의 발달에 힘입어 경제적 세계화의 모순에 대응하기 위해 초국가적 쟁점들과 조직들을 매개로 하여 성립된다. 이러한 증거들은 세계 여러 나라와 지역에서, 그리고 환경, 인권, 평화, 반전, 반핵 등 다양한 쟁점들을 통해 널리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세계시민사회는 때로는 국제 NGO의 분포 및 영향력의 불균형, 재정의 부족, 국가와 시장 사이에서 견제의 대상을 명확히 설정하지 못하는 문제 등의 한계를 안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보다 질적인 면에서의 성숙, 주변부 국가로의 확대, 세계적 연대 지향, 국가와의 협력 및 활용, 시민교육 강조 등을 추구해야 한다."

      • KCI등재

        사회통합 프로그램 <한국사회 이해> 과정 수업의 실태와 개선 방향에 대한 기초 연구

        설규주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9 다문화교육연구 Vol.12 No.3

        Korean Ministry of Justice provides would-be naturalized Koreans and permanent residents with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s (KIPP).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one of the programs to educate them, holds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ose people are valuable human resources who can play important roles in present and future Korea.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how the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instructions are being implemented, what kinds of problems it has, and what can be done for its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some classes of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were observ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lecturers and the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lecturers and the students were under pressure when preparing for the comprehensive test. Second, classes were mostly given in the form of lectures due to limited amount of time and test preparation. Third, the lecturers and the students have developed a positive relationship of affection and trust even when they had to spend a whole day for the class.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es seem to appear to meet two different needs at one time—to obtain basic knowledge on Korean society and to pass the comprehensive test. In order to make the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instructions more effective, it is recommended that the institutions should revise the curriculum and provide more supports to the lectur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odify relevant systems and to make efforts to render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to be a par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not just as a way of adaptation of the immigrants. 영주권자나 귀화자는 대한민국의 현재와 미래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중한 사람들이므로 이들을 양성하는 법무부 사회통합 프로그램 중 하나인 <한국사회 이해> 수업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사회 이해> 수업이 어떤 모습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어떤 특징을 띠고 있는지 살펴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 이해> 수업의 실태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한국사회 이해> 수업을 직접 관찰하고 강사 및 수강생과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사와 수강생들은 <한국사회 이해> 과정 수업이 한국사회에 대한 기본 소양 함양을 위한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면서도 종합평가 시험에 대비해야 한다는 부담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제한된 시간과 시험 준비 등으로 인해 주로 설명식 수업과 문제풀이 수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셋째, 매주 일요일 하루 종일 긴 시간 수업이 이루어지는 가운데서도 강사와 수강생 간의 애착과 신뢰 관계가 잘 형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전반적으로 <한국사회 이해> 수업이 기본 소양 함양과 시험 합격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절충적으로 지향하면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사회 이해> 강좌가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편, 강사 지원 등 강좌와 강사의 여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사회 이해>를 비롯한 사회통합 프로그램이 단지 이민자 적응 교육 차원을 넘어 민주시민교육의 일환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제도 정비 및 지원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 시민사회의 성장과 학교 인권교육의 과제

        설규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사회과교육 Vol.44 No.1

        In these days, the discourse on ‘civil society’ and ‘human rights’ is actively arising in Korea, while their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in under way.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seems to always have to do with that of human rights.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growth of civil society is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social extension of human rights. A lot of demands from civil society can be condensed into the expansion of human rights in the long run. And it is through the endeavors and struggles of civil society that the declarative and symbolic level of human rights has moved up to the institutional level of human rights. The role of education is expected to be important in the future, if we want to make civil society and human rights tied in a more positive manner. In this respect, participation-centered model of human rights education can be a way of reflecting the struggle experiences of civil society into human rights education. In that way, students can take part in a small-scale citizen's campaign. In other words, participation-centered model emphasizes the process of plunging oneself into the various and usual cases of violating human rights, and of making efforts to resolute the problems. It is educationally adequate to make good use of the major agents and examples of civil society as the subjects and contents, reflecting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into human rights education. Participation-centered model can be rather a human rights education movement and a citizen's campaign than a merely exceptional event. 최근 한국에서는 ‘시민사회’와 ‘인권’에 관한 담론 및 제도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둘은 서로 관련이 깊다. 즉, 시민사회의 성장은 곧 인권의 신장과 그 역사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시민사회의 요구들 중 많은 부분이 결국 인권의 확대로 수렴되어 왔고, ‘선언적’, ‘상징적’ 수준의 인권이 ‘제도화’로까지 나아갈 수 있었던 것은 시민사회의 지속적인 참여를 통한 교정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이러한 현상과 역사적 사실의 차원을 넘어 시민사회 성장과 인권 신장의 관계가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낳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권교육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의 인권교육은 시민사회의 발전을 ‘반영’한 것임과 동시에 시민사회의 발전도 ‘견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점에서 학교 인권교육은 시민사회의 참여 및 성장의 경험을 충분히 담아낼 필요가 있다. 즉, 실제로 우리 가까이에 있는 일상 속에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크고 작은 인권침해의 현장에 몸소 참여하여 그것의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더욱 강조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은 곧 단순한 이벤트성 사회참여의 경험을 넘어 하나의 인권교육운동이자 시민운동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 프로그램 교재의 한국 사회문화 관련 내용 분석

        설규주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3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s run by the Ministry of Justice play an important role in coping with growing immigration in Korea. All immigrants joining the Program use two kinds of textbooks: (1)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2)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In December 2020, the newly revised textbooks were published; it is necessary to examine if they are assisting immigrants’ anticipatory socialization into Korean socie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wo newly revised textbooks used for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s run by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o suggest implications on how to further improve them. For this purpose, the content on Korean society and culture in the revised textbooks were analyzed. These are the major findings. First, Korean Language and Culture mostly deals with Korean society and culture while rarely touching on Korean politics, laws, history and geography. Second, both textbooks partly reflect the comparative view of culture. Third, the holistic view of culture can be found only in the second book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but not very often. Fourth,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covers more current issues and statistics tha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whil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deals with more useful items for daily lives and traditional Korean culture than the other. Fifth, considerable relevance when it comes to topics has been found between the two textbooks. In order to develop further improved textbooks on Korean society and culture for future immigrants, the developers of the textbooks should select more current and useful materials on Korean society and culture with holistic and comparative views of cultu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 developers of each book to work in closer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이 연구는 2021년부터 사용되고 있는 법무부 사회통합 프로그램 교재의 한국 사회문화 영역 내용 분석을 통해 이민자용 한국 사회문화 영역 교재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개정된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재 4권, <한국사회 이해> 교재 2권의 단원별 구성과 비중, 사회문화에 대한 접근 방식의 특징, 두 교재의 관련성 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와 한국문화>에서는 주로 사회, 문화 분야의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고, 정치, 법, 역사, 지리 등은 많이 등장하지 않고 있다. 둘째, 두 교재 모두 문화 비교론적인 관점을 일정 부분 반영하고 있다. 셋째, 사회문화에 대한 총체론적 관점은 주로 <한국사회 이해> 교재에서 일부 나타나고 있다. 넷째, <한국사회 이해>는 대체로 시사적인 소재, 통계 수치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한국어와 한국문화>에서는 상대적으로 학습자의 일상생활 및 한국의 전통문화 관련 소재들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다섯째, 두 교재에서 다루는 소재 간 관련성과 계열성을 상당 부분 갖추고 있다. 향후 한국 사회문화 영역 교재 구성과 관련한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재 간의 관련성과 계열성 및 비교 문화론적 관점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사회 이해> 교재에서는 총체론적 관점 반영이 좀 더 필요하다. 셋째, 한국 사회문화 관련 소재를 다양화하고 소재의 시사성, 실용성 등을 더욱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두 교재의 집필 과정에서 개발진 간의 더욱 긴밀한 협력과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 KCI등재

        소수자 혐오 문제에 대한 사회과교육의 대응 방안 모색 - 사회과교육의 세 가지 전통의 종합적 활용을 중심으로 -

        설규주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3 시민교육연구 Vol.55 No.1

        이 연구는 최근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소수자 혐오에 대응하기 위해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소수자 혐오라는 주제를 다룰 때 취해야 할 방향과, 사회과교육의 세 가지 전통을 소수자 혐오 관련 수업에 종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수자 혐오는 혐오의 대상이 되는 집단에게 심리적, 물리적 고통을 줄뿐 아니라 인간의 존엄성, 시민적 연대 등과 같은 민주적 가치를 훼손한다는 점에서 민주 사회를 위협한다. 민주 사회를 이끌어가는 시민의 자질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과교육은 마땅히 이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일종의 교과 총론 역할을 하는 사회과 성격, 목표, 교과 역량에 제시된 시민의 자질과 역량을 고려할 때, 그리고 교과서의 근거가 되는 성취기준을 고려할 때, 사회과에서 소수자 혐오 주제를 다루는 것은 타당하고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회과 교육과정과 수업의 기반이 되는, 바, 바스, 셔미스(Barr, Barth, & Shermis)의 세 가지 전통을 각각 소수자 혐오 관련 교육에 적용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민성 전달 전통에서는 아시아인(한국인 포함)에 대한 서구권의 혐오 문제를 학습하면서 그것을 다른 소수자 혐오에 대한 대응으로 확장하기 위한 출발점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사회과학 전통에서는 소수자의 범주, 소수자 혐오의 개념 등을 명확히 하고 증거를 통해 소수자 혐오 현상의 실태를 확인하는 탐구를 수행할 수 있다. 반성적 탐구 전통에서는 소수자 혐오 관련 쟁점에 대해 토론하면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회과교육의 세 전통을 활용하여 다양한 내용과 입체적인 방식으로 소수자 혐오에 대응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세계시민사회의 대두와 다문화주의적 시민교육의 방향

        설규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4 사회과교육 Vol.43 No.4

        시장경제의 보편화를 내세우며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위로부터의 세계화의 부정적 측면을 수정하고자 '아래로부터의 세계화'와 '세계시민사회'의 영역이 대두되고 있다. '아래로부터의 세계화'의 맥락 속에 있는 세계시민사회는 다양한 문화적 특수성에서 출발하면서도 보편을 지향한다. 이 과정에서 다문화주의와 세계시민사회는 서로 지지하고 요청하는 관계를 띤다. 다문화주의적 시민교육은 이러한 현실을 담아내고 동시에 그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응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쟁점 중심 지구촌 다문화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곧 '초국가적 쟁점'을 내용으로 '논쟁문제학습'을 방법으로 하는 것이다. 인권, 반전, 평화, 환경, 생존 등 초국가적 쟁점과 그것이 기반해 있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원인을 다문화교육의 내용으로 도입하여 논쟁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과 절차에 따라 접근해 보자는 것이다. 이는 곧 다양한 문화적 배경으로부터 시작하여 초국가적 쟁점을 공적이고 보편적인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세계시민사회의 기획과도 잘 부합한다. 'Globalization from above', giving priority to the universalization of market economy, has some negative aspects of insufficient consideration for various cultural identity. 'Global civil society', which is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from below' has been rising in order to rectify them. It seeks after universality, while it indeed starts from various cultural particularities. In this process, multiculturalism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global civil society, in that both of the two support and need each other.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must meet positively these phenomena as well as contain them. 'Issue-centered global multicural education' can be proposed for this purpose in this article, which includes 'transnational issues' as contents and 'controversial issues learning' as a teaching method. It suggests that we introduce such transnational issues as human rights, anti-war, peace, environment, livinghood (etc.) and their multiple cultural backgrounds and causes, and solve them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controversial issues learning. This can go in harmony with the project of global civil society which, beginning with diverse cultural sources, makes efforts to settle the postnational issues in the public and universal man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