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의 지각 및 대근운동기술 향상을 위한 지각운동중심의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장건,조영희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운동 기회가 적어진 발달장애아동에게 1:1 지각운동중심의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 발달단계에서 가장 발달의 기초가 되는 지각운동기술과 스포츠활동과 학교체육에 기본이 되는 기본운동기술인 대근운동기술 (이동운동능력, 물체조작능력) 향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발달장애아동(8세-15세) 7명이며, 코로나19 그룹수업이 제한된 환경에서 1:1로 16주간 지각운동중심의 운동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검사 도구는 지각운동능력(PaMA-perceptual and motor ability) 검사지와 대근운동기술 검사도구인 TGMD-I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처리 방법은 비모수검정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테스트와 빈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운동중심의 운동프로그램은 발달장애아동의 지각운동기술, 대근운동기술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둘째, 발달장애 아동의 지각운동기술과 대근운동기술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지각운동기술과 대근운동기술의 향상을 위해 본 연구자가 제시한 지각운동중심의 운동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검증을 나타내 주는 결과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perceptual motor skills and gross motor skills(object-control skills, locomotor skills) through a 1:1 perceptual motor-centered exercise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fewer exercise opportunities due to COVID-19.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8-15 years old), and due to COVID-19, an exercise program centered on perceptual movement was conducted on a 1:1 basis for 16 weeks. The test tools, a PaMA-perceptual and motor ability test strip and TGMD-II, a gross motor skill test tool, were used. As for the data processing method, the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 rank test,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were perform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ual 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perceptual motor-centered exercise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gross 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Thir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erceptual motor skills and gross 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onclusion, the perceptual motor-centered exercise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erceptual motor skills and gross motor skills, therefore this result showed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exercise program.

      • KCI등재

        뇌성마비 아동의 대 · 소근육운동기능 및 비구어기제기능이 섭식-삼킴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향희(HyangHee Kim),박은숙(Eun Sook Park),박지은(Ji Eun Park),이현정(Hyun-Joung Lee),남정모(Jung Mo Nam),최명수(Myung Soo Choi),이승진(Seung Jin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2

        배경 및 목적: 뇌성마비에서 보이는 다양한 수반증세 중에서 섭식-삼킴장애는 그 출현률과 유병률이 높은 장애로 인식되어 왔다. 또한, 섭식-삼킴장애는 뇌성마비 아동들의 영양공급 및 생명유지에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임상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될 장애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 아동들의 대 · 소근육운동기능과 비구어기제기능이 섭식-삼킴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방법: 총 30명의 뇌성마비 아동들을 대상으로 대근육운동기능, 소근육운동기능, 비구어기제의 하부영역(호흡, 후두, 인두, 구강)기능, 그리고 섭식-삼킴기능에 대한 평가들을 실시하였다. 이 때, 아동에 대한 일대일 면접을 통한 직접평가와 보호자 설문을 통한 간접평가를 포함하였다. 결과: 각 아동들의 대 · 소근육운동기능 단계들이 측정되었고, 비구어기제기능 및 섭식-삼킴기능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 점수가 산출되었다. 대 · 소근육운동기능 및 비구어기제기능이 섭식-삼킴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구어기제기능만이 섭식-삼킴기능 변수 총분산의 79.1% 혹은 77.9%를 설명할 수 있었다(p<.001).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비구어기제기능을 치료함으로써 섭식-삼킴기능이 향상될 수 있었다는 선행연구 보고를 검증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비구어기제기능과 섭식-삼킴기능간의 이러한 밀접한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섭식-삼킴기능이 비구어기제기능에 비하여 좀 더 긴밀한 협응이 요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두 기능은 서로 다른 기제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그 두 가지 기능이 각각 어떤 협응체계를 보이는 지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해본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rates of feeding-swallowing disorders amo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CP) are high. These disorders can be detrimental threat to nutritional status, physical growth, and furthermore, life expectancy for children with C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gross motor function, fine motor function, and/or non-speech mechanism affect feeding-swallowing disorders in children with CP. Methods: Thirty children with CP participated in this study. Gross motor function, fine motor function, non-speech mechanism, and feeding-swallowing functions were examined via direct assessment of children and caregiver questionnaires. Results: Gross and fine motor functions were identified. The mean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s of non-speech mechanism and feeding function were report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79.1% or 77.9%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feeding- swallowing function was explained by the non-speech mechanism function(p <0.001).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notion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 in the non-speech mechanism could improve feeding-swallowing function in children with CP. We speculate that more precise coordination might be required in feeding-swallowing than in non-speech tasks. Further study is needed to uncover the coordination systems involved in feeding-swallowing as well as non-speech mechanism functions.

      • KCI등재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협력적 팀워크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대근육운동 능력 및 운동능력 관련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표윤희,박은혜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학연구 Vol.45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llaborative teamwork interventions on the gross motor ability(gross motor function, the functional mobility capability) and the motor-related individualized education goals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Twenty-four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eight special educators, eight para-professionals, and four physical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assigned to one of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collaborative teamwork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for 4 months.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n the gross motor function and functional mobility cap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at motor-related IEP goals of experimental group were accomplished. Finally, discuss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collaborative teamwork practic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본 연구에서는 협력의 방안으로 정보와 기술 및 수행능력을 공유하는 역할방출을 축으로 한 초학문적 팀 접근과 자연스러운 교육적 맥락 안에 운동 및 다른 기술들을 통합하여 가르치는 통합된 치료의 개념을 결합한 협력적 팀워크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대근육운동 기능, 기능적 이동능력 및 교육환경에서의 기능적 활동 수행을 목적으로 한 개별화교육목표 성취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뇌성마비 학생 24명과 특수교사 8명, 물리치료사 4명, 특수교육보조원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대근육운동 기능과 기능적 이동능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운동능력 관련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친 영향은 목표성취 척도를 활용한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여 보고하였다. 연구 결과, 대근육운동 기능 수준과 기능적 이동능력에 있어서 실험집단의 학생이 통제집단보다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의 총 12명의 학생 중 10명(88.33%)의 학생이 만족스러운 개별화교육목표의 성취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협력적 팀워크 중재는 지체장애 학교에서의 새로운 협력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현장 실천적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아울러 물리치료 외의 다양한 치료영역의 전문가와 함께 하는 협력적 팀워크 중재를 실행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Developing and applying a community dance program to improve gross and fine motor skills, concentra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s in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 Hye Min Kim ),( So Hyung Kim ),( Soo Gyung Park ),( Hyun Su Lee ) 한국체육학회 2016 국제스포츠과학 학술대회 Vol.201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community dance program amo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osterers to relevant subjects and to find out if it has any effect on gross/fine motor skills, attention and focus and peer play interactions. Method: 22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1 in experiment group, 11 control group) aged between six and 12 have been recrui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and instructed to participate in a community dance program comprised of 28 sessions in total. A number of research tools have been used, including MSTB-A, B, assessment of gross motor functions, ATA attention and focus test, and peer play interactions grade scale for PIPPS teachers, and the covariate analysis has been performed as a means of data processing using SPSS18.0. Result: Firs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took part in a community dance program have shown improvement over those who did not in all sub factors of gross/fine motor skills except standing broad jump, including bending forward, sit-up, push-up on a chair, shuttle run, change in body position, walking on board, balancing on one foot (while opening/closing eyes) and in sub factors of fine motor skills, including stringing beads on a thread, folding/unfolding hand, moving blocks, and throwing beanbags. Second, the participants of a community dance program have also shown an improvement on omission error among the sub factors of attention ability. Third, they have also achieved improvement on play interaction among the sub factors of peer play interactions along with reduction on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Conclusion: In consideration of that fact that there was a change in overall behaviors and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the period when they we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pplication of a community dance program with individuals’ characteristics taken into account on a long-term basis is expected to result in significant improvement on peer interactions and phys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which are important in childhood. In addition, due to difficulties in generalizing research results based on a specific group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 is a ne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targeting subjects with various types and ratings of disability.

      • KCI등재

        규칙적인 뉴로피드백 훈련이 주의집중력, 신경운동속도 및 대근육 운동, 소근육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박재성,이민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6

        It is well known that the athletes who need attention span and neural reflex are using neurofeedback training to increase their func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ct the effect of increased attention span and neural reflex by Neurofeedback training can change their body functions or not. For this study, we randomized the 30 healthy collage students into two group as 15 control(No neurofeedback training) group and 15 experimental(12 weeks of neurofeedback training) group and detect their changes of gross motor and fine motor. After 12 weeks of neurofeedback training, the attention span and neural reflex of experimental group shown higher scores than control group as we expected. And the fine motor function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 gross motor function score was not shown the difference with control group. With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neurofeedback training effects to attention span, neural reflex and fine motor functions but the gross motor functions. 뉴로피드백 훈련은 고도의 집중력 및 신경반사 반응이 요구되는 종목의 선수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뉴로피드백 훈련을 통한 뇌파의 적응(주의집중력 강화 및 신경운동속도, 실행기능력 향상)이 실제 대근육 기능 및 소근육 운동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뉴로피드백 훈련을 수행하지 않은 비교집단과 뉴로피드백 훈련 프로그램을 12주 간 수행한 집단의 운동기능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특정질환이 없는 건강한 대학생 30명을 실험집단 15명과 비교집단 15명으로 나누어, 사전사후 주의집중력 검사 및 운동 수행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뉴로피드백 훈련을 실시한 집단의 주의집중력, 신경운동속도, 실행기능력 점수가 뉴로피드백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수행능력 검사에서도 뉴로피드백 훈련을 받은 집단의 소근육 운동 수행능력 점수가 뉴로피드백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대근육 운동기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뉴로피드백 훈련이 주의집중력과 신경운동속도, 소근육 운동에는 영향을 주지만 대근육 운동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 MGL 훈련이 발달장애아의 대,소근육 운동 능력 및 사회적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영한 ( Young Han Kim ),길민영 ( Min Young Kil )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09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MGL 훈련이 발달 장애 아동의 대근육·소근육 운동 능력 및 사회적·대인관계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달 장애아 4명을 대상으로 6개월에 걸쳐 아동에게 적합한 훈련을 적용하고, 대·소근육 운동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MSTB A, B형으로 변화 추이를 측정하였다. 또한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사회성숙도 검사로 변화 추이를 측정하였고, 대인 관계 효과는 대인 관계 전략 기준 평가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MGL 훈련이 발달 장애아 4명의 대·소근육 운동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는데, 네 아동이 훈련 전 검사보다 훈련 12주 후, 24주 후에 운동능력의 향상정도가 더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둘째, MGL 훈련이 발달 장애아 4명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는데, 네 아동이 훈련전 보다 훈련 12주 후, 24주 후의 사회지수가 10점이상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MGL 훈련이 발달 장애아 4명의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는데, 네 아동이 훈련전 보다 훈련 12주 후, 24주 후에 0수준과 1수준의 행동의 빈도는 줄어드는 반면, 2수준과 3수준의 행동의 빈도는 증가함으로써 바람직한 방향으로 효과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MGL훈련을 통하여 대,소근육 운동능력의 협응이 원만히 이뤄지고, 타인을 인식하고 배려해 주며 상호 협력하면서 자기 중심적인 사고에서 탈피하여 점차 자신이외의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접촉에 대한 자발성이 증가되어 사회적 성숙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MGL training has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Gross Motor Skills and the Fine Motor Skills and the social matur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MGL training which is Frostig`s Movement education program was reconstituted, applied and practiced for 6 month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ur elementary level children from I elementary school in Seo-san. Their intelligence was measured with instraments of KEDI-WISC test and social maturity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GL training turned out to be very effective on the Gross Motor skills and Fine Motor skills. This training has showed an noticeable improvement in individual Gross-Fine Motor skills effect. Second, the MGL training turned out to be very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the function of social maturity. This training was showed an noticeable improvement in individual socailization effect. Especially in work ability, self discipline ability, communication and social ability of children. Third, the MGL training turned out to be very effective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re improved as follows. As inter children activities grow more and more positively through the MGL training, imterpersonal strategy use in inter children activities also shows at a higher level. Furthermore the MGL training helps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grow socially and improves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thus making them able to function in a regular social environment.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they may realize the existence of others and thus form such a friendly and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at they can get along with those who are around them better in everyday`s activitie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d like to make some suggestions; First, the study had observed the children for only 6 months. A longer period of time should be needed to fine out more positive changes in their motor skills development. Second, proper teaching methods and its tools should be developed, which would fit into degrees of their disability. Thir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that various and specific measures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program were to be applied.

      • KCI등재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DST) 결과에 따른 대근육 운동영역의 구성요소와 심리운동프로그램 적용방법에 대한 연구

        김윤태,김수경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motology program and its elements and the appl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 of Korean-developmental screening test(K-DST).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developmental support has been analyzed by means of domestic and foreign papers and went through export consultation. The research has been comprised of, Firstly, Study on the Korean-developmental screening test(K-DST). Secondly, study on the effects of Gross-Motor to infant growth. Thirdly, correlation between motology program and the Korean-developmental screening test(K-DST). Forth, application method for motology program to support development on Gross-Motor. In the realm of Gross-Motor-muscle force, balance, flezibility, agility, physical coordination has been presented as developmental support program’s significant components. Therefore proves Motology programs physical and motion support being suitable for Gross-Motor of Korean-developmental screening test(K-DST). In addition, the Motology program’s applying method has been presented by analyzing specifically by helping infants to enjoy and to perform voluntar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considered to be used as basic standards for individu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al support for Korean-developmental screening test(K-DS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영ㆍ유아 발달선별검사(K-DST) 결과에 따른 발달지원을 위해 심리운동적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적용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발달지원과 관련한 국내외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분석과 전문가협의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첫째,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DST)에 대한 고찰과 둘째, 대근육 운동이 영유아 발달과 관련된 구성요소 고찰 셋째, 심리운동과 한국 영유아발달선별검사(K-DST)와 적용의 연관성 넷째, 대근육 운동영역 발달지원을 위한심리운동 프로그램 적용방법으로 구성 하였다. 연구 결과 대근육 운동영역의 근력, 평형성, 유연성, 민첩성, 신체협응을 발달지원프로그램의 중요 구성요소로 파악하고, 이요소로 구성된 심리운동의 신체적 지원과 움직임지원이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DST)의 대근육 운동영역의 지원에 적합함을 제시 하였다. 또한 영유아가 자연 스럽게 즐거움을 갖고 자발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적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제시 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한국 영ㆍ유아 발달선별검사(K-DST)에 따른 개별적이고 전문적인 발달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되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국내 영유아기 난민 아동의 발달에 관한 탐색 연구

        강하라(Kang, Hara),김유라(Kim, Yura),노충래(Nho, Choong Rai) 한국아동복지학회 2020 한국아동복지학 Vol.69 No.1

        국내에서 난민법이 시행된 2013년 이후 국내에 체류 중인 영유아기의 난민 아동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영유아기의 난민 아동들은 전생애적 발달의 기초를 마련하는 중요한 시기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 체류 중인 영유아기 난민 아동들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영유아 발달검사(K-DST)를 활용하여 국내 영유아기 난민 아동들의 발달상태를 대 · 소근육 운동, 인지, 언어 및 사회성의 하위영역별로 탐색하고, 사회 · 환경적 요인에 따라 발달영역에 집단간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이들의 건강한 발달 및 적응을 돕기 위한 아동복지적 지원방안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난민지원 NGO의 도움을 받아 4개월 이상 72개월 미만 영유아기에 해당하는 난민 영유아 101명을 임의표집 방법으로 모집하여, 이들의 보호자 혹은 부모를 대상으로 2017년 7월부터 10월까지 발달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난민 영유아의 발달은 전체 영역에서 한국 영유아기의 또래 수준의 발달상태를 보였으나, 추적검사 요망 및 심화평가 권고에 해당하는 비율 역시 각 영역의 약 22∼4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의 발달 하위영역에서는 대근육운동 발달영역이 가장 빠르고, 언어발달 영역이 가장 느린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 가구소득과 난민체류자격, 부모가 받은 사회활동지원 여부, 부모의 한국어 수준에 따라 영역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체류 영유아기 난민 아동의 발달을 촉진하고 건강한 적응을 돕기 위한 아동복지적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Although the number of young refugee children in Korea has increas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Refugee Law in 2013, there is still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this population. Infancy and toddler stages are important periods, which may have persistent impacts throughout the child’s life course. This exploratory study examined the overall developmental milestones of young refugee children, ranging in age from 4 months to 71 months, in Korea by using the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and Children (K-DST). A purposive sampling method was utilized to recruit 101 young refugee children, and only their parents or guardians were interviewed to examine the children’s overall developments, including in the following five subareas: gross- and fine- motor skills, cognition, language, and social develop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October 2017 with help from non-profit organizations that have established working relationships with refugee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developmental milestones of young refugee children were average compared to their Korean counterparts, although 22 to 47 percent of them showed “need monitoring” or “need in-depth follow-up.” As for the subareas, young refugee children showed a high level of gross-motor skills and a low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When group differences were tested according to socio- and refugee-related variables,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depending on household income, refugee status, parental involvement in social activities, and parental Korean language skill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to ensure children’s healthy development.

      • KCI등재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운동 기능 분석

        박은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oss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cererbal palsy (CP)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rapy and intervention. 272 children (155 boys, 1170 girls) with CP participated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Their age range was 3~18 years.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and gross motor classification system was measur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distribution of CP showed that the gross motor function of quadriplegia was the lowest, and followed by triplegia, diplegia and hemiplegia. The function level of hemiplegia was the highest. The gross motor function according to type of CP was not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 of age and the level of gross motor classification system was not showed by analysis of GLM.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upported that the level of gross motor classification system was significant predictor of gross motor function and it showed 49.6% explained variation of gross motor function. The change of gross motor function according to age in each level of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presented that the S-model was adequate for the level one. The age group of 15-17 showed significant lower gross motor function than age group of 6-8 and 9-11. The gross motor classification system have signficant effect on gross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CP. This results would have value for development of gross motor function and prediction of change of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CP. 이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치료 및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운동 기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3~18세 아동 272명을 대상으로 대동작 운동 기능 분류체계와 대동작 운동 기능을 측정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운동 기능은 대동작 운동 기능 분류 체계에 따른 변화가 있었으며, 대동작 운동 분류 체계 각각이 수준에서 연령에 따른 변화를 보였다. 마비부위에 따른 대동작 운동 기능은 사지마비 아동의 대동작 운동 기능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편마비 아동의 기능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비 유형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GLM 분석 결과 연령과 대동작 운동 기능 분류 체계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대동작 운동 기능 분류 체계는 대동작 운동 기능의 49.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동작 운동 기능 분류 체계별로 연령에 따른 대동작 운동 기능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1수준 뇌성마비 아동의 경우 S-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15-17세 집단은 6-8세나 9-11세 집단보다 유의하게 대동작 운동 기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동작 운동 기능 분류 체계에 따른 대동작 운동 기능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운동 기능 발달과 중재에 따른 변화를 예측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 KCI등재

        지적장애 아동의 인지능력 및 적응행동 발달에 따른 대근운동숙련도와 대근운동발달의 관계

        최범권 ( Bum Kwon Choi ),노형규 ( Hyoung Kyu Roh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의 장애 판별 준거인 인지능력 및 적응행동 발달에 따른 대근운동숙련도 및 대근운동발달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7세~10세의 지적장애 남자아동 113명으로 연령대별 분포를 고려하여 유목적적 표집방법을 통해 선정하였다. 이어 각각의 대상자들에게 국립특수교육원 한국형 개인 지능검사(Korea Intelligence Test for Children Kit; KISE-KIT), 국립특수교육원 적응행동발달검사(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Scales of Adaptive Behavior; KISE-SAB), 대근운동숙련도검사(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BOTMP) 및 대근운동발달검사(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Second Edition; TGMD-2)를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에 대한 계량적 자료를 확보하였다. 각각의 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분석목적에 따라 사례별로 분리하여 입력하였으며, 본 연구의 핵심 연구문제인 인지능력 및 적응행동 발달에 따른 대근운동숙련도와 대근운동발달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동작성 인지능력은 대근운동숙련도의 하위요인인 균형능력을 제외한 속도, 협응, 힘능력과 대근운동발달에 해당하는 조작 및 이동운동기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성 인지능력은 대근운동숙련도의 속도 및 균형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념적, 사회적 적응행동은 대근운동발달의 조작 및 이동운동기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제적 적응행동은 대근운동숙련도와 대근운동발달의 모든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능력은 대근운동숙련도에, 적응행동은 대근운동발달에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적장애 아동들의 인지능력 및 적응행동 발달이 대근운동숙련도 및 대근운동발달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gnitive ability and adaptive behavior development on the gross motor proficiency and gross motor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For this purpos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137 children(age from 7 to 10) with ID, in the Seoul and Kyung-gi province. Several different instruments included the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korea intelligence test for children(KISE-KIT) for cognitive ability, the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scale of adaptive behavior(KISE-SAB) for adaptive behavior, bruininks-osere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MP) for gross motor proficiency, and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second edition(TGMD-2) for gross motor development were utilized. With the collected dat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ver 15.0.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cognitive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peed, coordination, and power ability. Second, verbal cognitive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peed and balance ability. Third, conceptual and social adaptive behavior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object control skill and locomotor skill. Fourth, practical adaptive behavior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factors sub-scale of gross motor development. Finally, cognitive ability more influence on gross motor proficiency than to adaptive behavior ability, however, adaptive behavior ability more influence on gross motor development than to cognitive ability.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gnitive abilities and adaptive behavior 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losely related gross motor proficiency and gross motor development.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main effect was sh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