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자녀 흡연에 대한 부모의 태도에 관한 연구

        노충래(Choong Rai Nho) 한국아동복지학회 2001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1

        이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흡연에 대한 인식, 자녀흡연의 해독에 관한 인식, 자녀흡연의 요인, 자녀 흡연시 대처방안 및 흡연관련 대화여부, 그리고 흡연예방 및 금연 정책에 관한 지지도를 측정하여 부모를 대상으로 청소년흡연관련 임상적, 정책적 개입전략을 마련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4학년에서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조사 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자녀흡연률인식은 타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청소년 흡연율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둘째, 자녀의 흡연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흡연하는 친구와의 어울림과 가정의 불화, 대중매체에서의 연예인의 흡연모습을 지적하였다. 셋째, 아버지의 흡연보다는 형제자매의 흡연여부가 청소년자녀의 흡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자녀가 흡연을 할 경우, 학부모는 일차적으로는 대화를 하거나 흡연을 하지 말도록 타이르지만, 이런 것이 실패할 경우, 신체적 체벌을 가할 수 있음을 보였다. 다섯째, 흡연을 하는 아버지보다는 비흡연 아버지가, 그리고 흡연에 대한 해독인식이 높은 부모가 그렇지 않은 부모에 비해 자녀와 흡연에 대해 대화를 나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흡연예방 및 금연 정책에 있어서는 초등학생 학부모가 중, 고등학교 학부모에 비해 더 적극적인 지지를 보임으로써 이들을 대상으로 한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 가능성을 비추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흡연관련 사회복지 임상 및 정책적 합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parental beliefs on negative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and parental views on contributing factors for teenagers` smoking, parental coping methods to teenagers` smoking, and their views on strategies for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This study used a self-administered survey research, targeting parents of teenagers from 4th grade to 11th gra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mpared to self-report by teenagers, parents recognized significantly low rates of teenagers` smoking 2) parents believed that association with smoking friends, family conflicts, and influences of mass media were the major contributing factors for teenagers` cigarette smoking 3)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eenagers` smoking and siblings` smoking, but not between teenagers` smoking and their smoking fathers 4) although parents would initially attempt to converse with their teenagers to discourage teenagers` smoking behavior, once their anti-smoking messages failed, their coping methods would be diverse including physical punishments; 5) compared to non-smoking fathers and parents with higher perception of negative effects of smoking, smoking fathers and parents with lower perception of negative effects of smoking were less likely to attempt to have conversation on smoking with their children, and 6) compared to par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ents of elementary students were more supportive to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strategie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in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 사회복지 실무자의 문화적 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노충래(Nho Choong-Rai),김정화(Kim Jeong-Hwa) 한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사회복지학 Vol.63 No.2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복지 실무자가 다문화적 배경의 클라이언트와 효과적으로 일하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문화적 역량의 구성개념을 탐색하고 이에 따른 척도를 개발, 타당화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먼저, 척도 개발을 위해 외국의 문화적 역량 관련 척도 분석과 다문화 사회복지 실무자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40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이에 대해 사회복지 전문가 20명에게 2회에 걸친 예비조사 및 전문가회의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2개 예비문항을 확정하였다.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개발된 예비문항을 전국의 다문화 사회복지 실무자 194명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문화적 역량을 구성하는 요인의 수는 4개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1은 ‘다문화적 실천기술’, 요인 2는 ‘문화적 인식 및 민감성’, 요인 3은 ‘다문화 지식’, 요인 4는 ‘문화차이 극복노력’으로 명명하였고, 이는 관련 선행연구들 및 척도 개발과정에서 밝힌 문화적 역량의 개념화 논의와 부합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모형적합도가 우수하였고, 유사 개념 척도 간의 수렴 타당도가 적절하게 나타났다. 또한, 4개 요인의 Cronbach’s alpha값, 반분신뢰도 및 측정의 표준오차 분석 결과 신뢰도 또한 양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논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onstructs of cultural competency specifically relevant to the Korean society and to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among human service work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uthors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and conferences with human service workers to draw the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y. Further, this study conducted to two separate pilot tests with 20 social workers with practice experiences in order to clarify descriptions and relevance of scale item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y and analysis of focus group interviews, 40 items were initially constructed and then were reduced to a 32-item scale after two separate pilot studies. Meantime, suggestions made by an advisory group were also reflected in the scale development process. Finally, one hundred ninety four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were recruited to evaluate the relevance of the scale items in a 5 point Likert scale.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4 main factors were identified: 1) competency to use culturally relevant skills, 2) cultural awareness and sensitivity, 3) cultural knowledge, and 4) efforts to overcome cultural differences. These factors were consistent with sub-concepts of cultural competency in other studi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model fitness was at the high level and convergent analysis with the similar scale also showed high correlations. Internal consistency also remained at a high level.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개인 및 조직특성과 대리외상이 성매매 피해여성 상담원들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노충래(Choong Rai Nho),주한나(Han Na Joo),손유경(Yoo Kyung So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8 No.-

        이 연구는 성매매 피해 지원시설에 근무하는 상담원들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상담원들의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2006년 12월에 성매매 피해 지원시설에 종사하는 상담원 384명을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56명의 설문지를 수거,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원들은 낮은 수준의 대리외상, 직무만족에서는 중간보다 약간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소진의 경우는 정서적 탈진, 비인격화, 성취감결여에서 기준점을 상회하는 점수를 나타내었다. 둘째, 대리외상과 소진의 정서적 탈진과 비인격화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직무만족은 소진의 정서적 탈진, 비인격화, 성취감결여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소진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미혼여부, 근무 연수, 이직고려정도, 대리외상의 침습이,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근무 연수, 업무만족, 동료만족이, 그리고 마지막으로 비인격화에는 연령, 슈퍼바이저여부, 주간근무시간, 업무만족, 대리외상의 침습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진예방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i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of burnout among counselors working with sex-workers. This study us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by mails and 156 counselors working at 4 different types of support cent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December 2006.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vicarious trauma was at a low level and job satisfaction was at the moderate level. However the levels of sub-areas of burnout exceeded cutoff points showing higher level of burnout. Second,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vicarious trauma and two sub-factors of burnout(emotional depletion and dehumanization of clients) whereas nega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all sub-factors of burnout. Third, marital status, years of experience, contemplation of leaving job, and intrusive thoughts in vicarious trauma were predictive factors for emotional depletion of burnout whereas age, years of experiences, work and co-worker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for lack of feelings of achievement of burnout, Lastly, age, availability of supervisor, work hours, work satisfaction, and intrusive thoughts in vicarious trauma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dehumanization of client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revention of burnout in counselors were discussed.

      • 청소년복지 실천방법의 방향에 관한 연구 -임파워먼트 및 권익옹호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노충래 ( Choong Rai Nho ),김성이 ( Soung Yi Kim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4 이화사회복지연구 Vol.4 No.-

        현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은 이전의 기성세대와는 다른 문화 속에서 삶의 질을 추구하고 있으며, 청소년들의 문제와 서비스 욕구도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문제와 서비스 욕구에 대한 변화를 인식하고 이들의 문제와 욕구를 충족시키는 청소년복지의 접근방법에도 변화가 필요함을 강조하여 최근 사회복지실천에서 부각되고 있는 임파워먼트 및 권익옹호 접근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복지 실천방향에 주는 함의를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파워먼트 접근방법의 개념적 정의와 특성, 실천원칙과 과정, 그리고 결과와 적용상의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권익옹호에 대한 논의는 국내에서는 아직 매우 미약한 상황인데, 이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청소년복지 영역을 제시해보았다. Compared to their old generation, youths in the modem society live quite different lives due to rapid exchanges of information in a virtual digital & cybernetic world. Accordingly, their problems and services needs have been changed. Due to these changes in development of youth and its surroundings, social welfare with youth necessitates to accomodate their service needs, and social welfare practice approaches to youth needs to be accordingly modified. This paper aims to explore two practice approaches, that is, empowerment approach and advocacy by examining their concepts, practic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phases, outcomes, and applicability to social welfare practice with youth.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is paper taps on empowerment approach and advocacy in relation to social work practice. At the end, discussion on their limitations were presented with possible areas to which they can be applied.

      • 다원문화의 경험이 미주교포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충래 ( Choong Rai Nho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1 No.-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교포 수와 교포 청소년이 증가추세에 있지만 이들을 대상으로 한 자아정체감 및 민족정체감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형편이다. 본 연구는 다원문화를 경험하고 있는 교포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및 민족정체감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다원문화의 경험이 자아정체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포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민족정체감과 관련된 연구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교포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민족정체감의 형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 틀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에릭슨의 자아정체감 및 자아정체감혼란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기반으로, 자아정체감의 네 단계, 그리고 자아정체감에 대한 비판을 먼저 살펴본 후에, 민족정체감의 개념적 논의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살펴 보았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인 및 한인교포의 민족정체성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교포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민족정체감에 관련된 이론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아정체감 및 민족정체감이 사회복지 실천 및 조사연구, 그리고 정책에 미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Despite the increase in numbers of Korean American adolescents, little is known on identity formation and ethnic ident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various theories on identity and ethnic identity, focusing on Korean American adolescents. This study relies on Erikson`s identity formation as a basis for discussion and then taps on concepts and four stages of identity development as suggested by Marcia. This study further explores several criticism from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A related topic to identity is ethnic identity, which Korean American adolescents need to incorporate to identity as they simultaneously experience multiple cultures.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various factors affecting identity and ethnic identity development among Asian and Korean American adolescents and then discusse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research, and policies.

      • KCI등재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 영향요인

        노충래(Nho, Choong Rai),최려나(Cui, Li Na),김현진(Kim, Hyun Jin)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2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아동복지시설에도 장기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개인적 특성과 시설 특성이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에 따른 아동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종사자 336명을 임의 표집하여 전자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집단간 차이 및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여성이 남성보다 코로나19 인식 및 직무 스트레스가 높았고, 직책 중 사례관리사의 실천수준이 낮았다. 둘째, 기관 운영체계 중 유연/재택근무가 불가능한 시설이 가능한 시설보다 직무 스트레스가 높았다. 또한, 강사 대신 프로그램을 직접 진행하는 종사자 집단이 감염 예방 실천 및 직무스트레스가 높았고, 강사 대신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는 종사자 집단은 감염관리 수준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근무 시설유형과 코로나19 인식이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이후 아동복지시설과 종사자 차원에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하였다. As the pandemic persists, it continues to have an impact on child welfare agencies. However, literature on this topic remains scarc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raw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Korean child welfare by examining how various characteristics of both child welfare workers and agencies affect COVID-19 prevention practice among child welfare workers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recruited 336 child welfare workers (from residential care facilities, group homes,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Dream Start center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analyses were conducte4d in two ways. First, we tested group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COVID-19 recognition, job stress, and COVID-19 prevention practice by the child welfare work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fo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workers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recognition and job stres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Second, workers at agencies that provide neither flexible work schedules nor home-based work reported higher levels of job stress than their counterparts. However, workers with a substitute worker to run programs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prevention practice and job stress, and those without a substituted worker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manag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Lastly, type of agency (residential vs non-residential facility) and COVID-19 recogni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fo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In other words, workers at a residential facility with higher COVID-19 recognition reported highe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we present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includ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care for child welfare workers.

      • KCI등재

        로즌버그의 자긍심척도와 집단자긍심척도를 활용한 교포청소년의 심리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노충래(Choong Rai Nho) 한국아동복지학회 2000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0

        청소년들의 자긍심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이제까지 Rosenberg의 자긍심척도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소속집단에서의 가치를 중시하고 집단정체성을 갖게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자긍심측정에 있어서는 집단자긍심척도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어 왔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1) 청소년기의 자아정체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자긍심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척도인 Rosenberg의 self-esteem척도와 집단자긍심척도(collective self-esteem scale)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2) 이 두 척도가 각각 교포청소년의 심리정신건강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살펴보며, 3) 이 두 척도의 활용에 관한 사회 복지적 함의를 논의하려고 한다.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상관관계, 1-검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자긍심척도와 집단자긍심척도 모두 심리정신건강의 문제행동과 반비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대로, 이 연구에서도 일반자긍심척도와 집단자긍심척도 간에 높은 상관관계 및 비슷한 결과를 보여 집단자긍심척도의 활용가능성을 보였다. 셋째, 성차에 있어서 여자청소년들은 남자청소년들보다 일반자긍심척도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하지만, 집단자긍심에서는 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어를 선호하고 미국에서 태어난 교포청소년은 한국어를 선호하고 한국에서 태어난 교포청소년들보다 일반자긍심과 집단자긍심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다른 변수를 통제했을 때, 일반자긍심척도가 집단자긍심척도보다 심리정신 건강의 문제행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더 많은 설명력을 가졌다. 앞으로 종적연구를 통하여 집단주의 사회 속에서 성장하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집단자긍심척도의 유용성을 검증할 수 있으리라 본다. Rosenberg`s self-esteem scale (or global self-esteem scale) has been widely used in measuring self-esteem in adolescents. However, there has been criticism about the use of Rosenberg`s self-esteem scale to those who may develop collective self-concept.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examine conceptual and theoretical issues on global self-esteem and collective self-esteem, 2) to test how these two scales could predict psychological distress differently in Korean American adolescents, and 3) to discuss implications of use of these scales in social work research. Frequencies, Pearsons` correlation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Rosenberg`s self-esteem scale and problem behaviors, and between collective self-esteem and problem behaviors. Second, as anticipated, Rosenberg`s self-esteem scale and collective self-esteem were highly correlated each other. Collective self-esteem scale also showed similar results with a previous study, indicating that collective self-esteem could be further used in research. Third, gender difference was not found in collective self-esteem, but in Rosenberg`s self-esteem. Furthermore, when compared to Korean born and Korean preferred counterparts, the U.S. born participants and English preferred participants showed higher means scores in both Rosenberg`s self- esteem and collective self-esteem. Finally,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Rosenberg`s self-esteem scale explained more variance in predicting problem behaviors than did collective self-esteem. There needs to be more research to further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collective self-esteem in future.

      • KCI등재

        위탁아동의 가정위탁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충래(Choong Rai Nho),박근혜(Keon Hye Park),서지원(Ji Won Seo) 한국아동복지학회 2009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9

        본 연구는 위탁가정에 배치되어 있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아동의 가정위탁만족도의 수준을 파악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가정위탁유형에 따른 아동 개인, 위탁 부모 및 가정위탁서비스 요인을 중심으로 파악하여 위탁아동에 대한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 제시와 이에 따른 실천적 함의를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7년 2월 1일부터 3월 9일까지 중앙 및 지역가정위탁지원센터의 협조를 얻어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 중에서 위탁부모와 위탁아동이 모두 응답한 320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위탁아동들은 가정위탁만족도에 있어 보통수준의 만족도를 보였으며, 위탁유형별로 만족도 수준을 파악하였을 때 일반위탁 가정이 가장 높았으며, 친인척, 대리위탁의 순이었다. 위탁아동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로 아동의 자아존중감, 가정위탁보호센터 서비스 만족도, 위탁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관여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가정위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위탁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위탁아동에 대한 아동복지적 함의를 논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foster care among foster children and predictive factors for the satisfaction based on individual, foster parents, and service related factors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foster care servic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uthors collected data based on one to one interview or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ith help of National Foster Care Center and Regional Center from Feb. 1 to March 9, 2007. The total number of matched foster children and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3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ster children indicated a mid-range satisfaction in foster care, and children with the general foster parent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score, followed by relatives and by grandparents. Second, predictive factors for satisfaction of foster care among children included self esteem, parenting stress, the level of involvement of foster parents, and service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analyzed predictive factors according to the types of foster care, which may necessitate differential intervention approaches based on the types of foster c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were discussed.

      • KCI등재

        아동보호서비스에서의 아동청문권 보장방안

        노충래(Nho, Choong Rai),김현진(Kim, Hyun Jin),최서경(Choi, Seo Kyeong),정선욱(Jung, Sun Wook),임선영(Rim, Sun Yo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24 한국아동복지학 Vol.73 No.1

        본 연구는 아동 보호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아동보호조치 시 아동청문권 이슈에 대한 델파이조사와 계층화분석법을 활용하여 아동보호조치 시 아동 청문권에 대한 타당성과 중요성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 청문권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과 아동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문가 대상의 델파이조사는 1, 2차에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쌍대비교를 통해 도출한 우선순위 항목은 아동청문권의 보장 기준, 보호조치 시 아동 청문권 보장을 위해 필요한 요인, 보호조치 시 아동청문권 보장을 도울 수 있는 전문가, 아동 청문권 관련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 요인, 보호조치의 각 단계 별 아동의견 청취의 중요도, 해외의 아동 청문권 보장제도, 보호조치 과정 중 의견상충 시 의견 중시, 보호조치 시 사법체계 내 개선사항을 포함하여 총 8개이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을 권리의 주체로 바라보는 관점, 아동청문권에 관한 편견과 오해 해소, 궁극적인 아동보호의 시작점을 포함한 전반적인 아동청문권의 사회적 인식 증대, 아동보호 전문인력 및 예산 보충, 관련 법⋅지침⋅매뉴얼 신설, 아동청문 환경마련 등을 통한 아동 친화적 청문환경 조성, 분리 조치 이후 사례⋅사후관리 지속의 필요성이 주요 함의로 제시되었다. Using Delphi survey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s, this study explored how Korean child welfare experts viewed the child’s right to be heard in Korean child welfare services and what issues must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safeguarding the child’s right to be heard in Korean child welfare services, so that we can draw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services and policy.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in two phases, and priority items identified through pairwise comparisons included eight issues: 1) criteria for ensuring the child’s right to be heard, 2) factors necessary to guarantee the child’s right to be heard during child welfare services, 3) experts who can assist in ensuring the child’s right to be heard, 4) causal factors for issues related to the child’s right to be heard, 5) the importance of soliciting the child’s opinion at each stage of child welfare services, 6) applicability of international systems for ensuring the child’s right to be heard to Korean child welfare system, 7) the importance of respecting opinions in case of conflicting opinions, and 8) areas for improvement within the legal system during child welfare services. We asked Korean child welfare experts to set priorities among the eight items in conflictual situations or in child welfare adminstrative processes. Based on the findings, we drew child welfare implications such as enhancing a perspective that views the child as the subject of rights, ameliorating biases and misunderstandings on the child’s right to be heard, augmenting placement of specialized personnel and budgets for child protection, establishing relevant laws, guidelines, and manuals, and creating a child-friendly environment similar to legal system including ensuring ways to hear the child’s opinion regardless of the child’s age and maturity.

      • 아동 및 가해자의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의 심각성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노충래(Choong Rai Nho) 한국아동복지학회 2002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3

        2000년 아동복지법의 개정에 따라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신고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국내 연구에서 아동학대의 심각성 예측요인과 관련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기 신고된 아동학대 사례를 중심으로 아동학대의 심각성을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 가운데 특히 아동 및 가해자의 특성요인을 파악해보고 이에 대한 사회복지의 정책적·임상적 함의를 논의하고자 실시되었다. 2001년 8월에 신고된 사례를 중심으로 전국 아동학대예방센터의 실무자들이 응답한 201개 사례 가운데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162개의 사례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2001년 10월 말부터 12월 초순까지 우편조사방법을 이용하였다. 아동학대의 네 가지 분류(신체학대, 성학대, 정서학대, 방임) 가운데 성학대를 제외한 세 가지 학대의 심각성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학대의 심각성을 예측하는 아동의 특성으로는 아동의 언어발달과 문제행동의 심각도가, 가해자의 특성으로는 가해자의 알코올문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정서학대의 심각성을 예측할 수 있는 아동의 특성은 없었다. 하지만 가해자의 특성으로는 여자, 알코올문제, 성격·기질문제, 그리고 가정폭력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방임의 심각성 예측 변인으로는 아동의 인지발달능력과 가해자의 알코올문제가 중요 변수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의 정책적, 임상적 함의와 함께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With the revision of Child Welfare Law in 2000, there has been an increase of social interests in child abuse and of the number of reported child abuse cases.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studies on predictive factors for child maltreatment in Korea. Using developmental-ecological theory, this study is to identify child`s and perpetrator`s characteristics for the severity of child maltreatment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Cases reported to 17 child abuse prevention centers in August 2001 throughout Korea were the subjects of study. Social workers at the centers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out of 201 cases returned, 162 cases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for the severity of physical & emotional abuse, and child negl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everity of physical abuse, child`s language development and severity of behavior problems, and perpetrator`s alcohol 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Second, for the severity of emotional abuse, no child`s predictive factors were identified. However, perpetrator`s gender(woman), alcohol use, temperament, and domestic viol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ird, child`s intellectual development and perpetrator`s alcohol 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the severity of negl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