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reliminary Evalu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spectives 현장 교사들의 시각

        이은주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1999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 No.1

        많은 학자들이 특수교육의 향상을 위해서는 특수 교사들의 자질을 향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특수교사들의 자질 향상은 특수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특수학교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특수교사 교육의 문제점과 그들의 시각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설문조사와 focus group 인터뷰를 통해서 현장 교사들이 자신이 받은 교사교육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조사하였다. 전국에 있는 특수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 193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고, 10명의 현장 교사들이 focus group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현장 특수교사들이 지적하고 인식하고 있는 특수교사 교육의 현행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현 한국의 특수교사 교육은 교사 교육의 중요한 구성요소중의 하나 인 철학적 기반, 즉 어떤 교사를 양성할 것인가에 대한 개념적인 정의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둘째는, 특수 교육학과가 특수 교사를 배출하는 교사 교육 기관이라는 정체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며, 교사 교육을 담당하는 사람들도 그들이 교사 교육자라는 정체성이 결여 되어있다고 보았다. 셋째는, 대학에서 받은 교사 교육이 실제 현장과 많은 괴리가 있다는 것이고, 특히 다른 나라에서 수입된 지식들이 여과 없이 그대로 대학에서 가르쳐지고 있으며 한국의 실정에는 맞지 않는 불필요한 지식들이 교사 교육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장 교사들은 교생실습의 기간을 연장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교생실습 기간에 적절한 자격을 가진 사람의 지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 질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바람직한 특수 교사상을 정립할 수 있는 교과목의 개설을 제안하였다.

      •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광보 ( Gwang Bo Shim )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12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최근 특수학급이 특수교육의 현장으로서 점점 그 비중이 커져가고 있는 추세에 따라, 특수학교와는 다른 환경인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 의도 특성을 확인하고, 직무스트레스가 어떻게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소재의 특수학급교사 1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특수학급 교사의 특수학교 경험, 이직 경험, 희망근무지와의 불일치, 동료교사의 유무, 특수교육보조원 유무 등을 포함한 여러 요인의 차이들이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 의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 행정관리자와의 관계, 신체적 증상 등 다양한 직무스트레스 요인들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perties of special class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nd examine effects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by mail with 200 special class teachers from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Daegu; of those questionnaires returned, 147 copies were analyzed. Statistical technique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were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level of general job stress for special class teachers was not high; teachers with shorter teaching career, less experience in special schools, experience in turnover, a larger number of students, discordance between the present working area and expected one, and presence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nd oth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e to experience higher job stress. Second, the level of special class teachers` turnover intention was not high; teachers with short teaching career, discordance between the present working area and expected one, and absence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showed greater turnover intent; male teachers, rather than female ones, with shorter teaching career and discordance between the present working area and expected one more frequently conducted actual turnover trial. Those with longer teaching career, experience in turnover, a hope to be placed in a special class, and presence of oth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in a school showed stronger stay intent. Third, of job stress factors for special class teachers, the higher the degree of physical symptoms and the higher stress caused by relationships with administrative managers, the greater turnover intention. And the higher job stress caused b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ymptoms, teachers` mutual relationships, and relations with parents, the higher level of actual turnover trial. The lower job stress caused by relations with administrative managers and internal conflicts, the lower turnover intent. However, job stress from students` behavior or time management causes no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방과후 학교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정가옥 ( Ga Ok Jung )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09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방과후 학교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 지역의 정신지체 특수학교 6개교, 경남 지역의 정신지체 특수학교 5개교를 선정하여, 방과후 교육의 대상인 초, 중, 고등부 학생의 학부모 총150명을 조사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최종 140 부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방과후 학교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에 대하여는 자녀의 참여가 학부모의 맞벌이로 인한 학생들의 보호의 어려움으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해주는 기능이 가장 높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필요성은 매우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프로그램에서는 특기·적성교육을 학부 모들이 가장 선호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시기는 학기 중과 방학 중 모두를 필요로 함을알 수 있다. 인원 편성에서는 5명 미만으로 구성하여 질 높은 교육과 개별화된 교육을 원하고 있으며, 지도는 외부의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 강사가 지도하기를 희망하였다. 방과후 학교에 대하여 학부모들은 상당수가 만족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사교육비 부담 감소에 미치는 기여도에 있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보인다. 학부모들은 방과후 학교로 인하여 학부모의 여가 시간이 늘어나는 것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자녀의 특기·적성 능력 또한 향상 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끝으로 방과후 학교의 운영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강사의 확보와 교육의 질을 높여주기를 개선 사항으로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ents` awareness of the after-school programs in special schools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0 parents in special schools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responses from 140 parents were finally sele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Concerning the parents` awareness of after-school programs, the best benefit of the programs was that it`s possible to take care of students from double-income families, and many of the parents felt the need for the programs. They preferred the kind of after-school programs that could improve the special talent of students, and they were in want of the programs during the semester and vacation. They wanted each program to be attended by less than five students, and to be conducted by outside experts. A lot of the parents expressed satisfaction with after-school programs, and felt that the programs contributed to curtailing private education spending and improving their children`s special talent.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s required to set up a precise evaluation system, and expert lecturers should be assured to take the quality of education to another level.

      • 다문화교육 필요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김원경 ( Won Kyeong Kim ),박순길 ( Soon Gil Park ),허유진 ( You Jin Huh ),홍지혜 ( Ji Hae Hong ),김종하 ( Jong Ha Kim )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11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N대학교 대학생들의 다문화인식, 다문화가정및자녀인식, 다문화실시시기, 다문화교육실시방법, 다문화교육문제점, 다문화교육활성화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함으로서, 지역사회에서 효율적인 다문화 교육의 활성화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1년 4월 중에 N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1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문지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작성하였다. 통계적 자료처리는 기술통계, t검정과 F검정, 다중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다문화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대학생들의 성별 다문화에 대한 인식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별 다문화교육 필요성은 다문화교육문제점에서 수도권 대학생들과 광역시 대학생들과의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다문화교육 필요성은 다문화교육활성화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계열별 대학생들의 다문화교육 필요성은 다문화인식, 다문화실시방법, 다문화교육문제점, 다문화교육활성화에서 예체능계열, 공학계열, 인문사회계열 등에서 다른 계열 대학생들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그러나 사범계열 대학생들이 타 계열 대학생보다 다문화교육 필요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낮은 평균이 나타났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대학생들의 다문화교육 필요성은 종교별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다문화교육실시 시기에 따른 다문화 인식에서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통계를 나누었을 때, 고등학교때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인식이 많았다. 그러나 다문화교육문제점에 관한 교육은 유치원시기부터 실시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is study Gwangju N University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ren recognize and cross-cultural implementation period, multi-cultural training methods,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o activate awareness and actual conditions by examining the community, an efficient multi-cultural education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activation. During this study, April 2011 N 133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y were enrolled. The questionnaire was written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The descriptive statistics, statistical data processing, t test and F test,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aware of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re discussed. Gender of students in multicultural awareness did not se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having more positive perceptions showed.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er resident in the metropolitan area college student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with City College students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Grade according to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activating positive showed higher grades go up. Jeongonggyeyeolbyeol a multicultural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how to conduct multicultural,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activating the Department of Arts, Engineering Department,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etc. other than college student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s. Department of Education Department of the students, but other students need for more multicultural education had a lower overall average of the implications of the big can.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of college students did not differ by religion. Second, multicultural multicultural awareness training period in accordance with the preschoo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hen divided by the statistics, high school education were aware that you need. However, training on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should be conducted at the preschool period were aware.

      • 예비 특수체육교사의 특수체육 목표에 대한 인식

        이국신 ( Kuk Shin Lee ),박남수 ( Nam Su Park )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09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특수체육교사들의 특수체육목표에 대한 인식을 규명함으로써 특수아동을 위한 체육 교육과정 운영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체육 관련학과가 있는 전국의 6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 8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다음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특수체육교사들은 장애영역별 특수체육의 목표 순위에서 지체장애를 제외한 모든 장애영역에서 긍정적 자아개념, 즐거움/긴장완화, 사회적 능력 순으로 높게 인식한 반면 체력을 가장 낮은 순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지역별 특수체육의 목표 순위에서 수도권과 지방 모두 긍정적 자아개념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른 목표들은 비슷한 순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성별에 따른 특수체육 목표 순위에서 남녀 모두 긍정적 자아개념을 가장 우선시 하고 있으며, 다른 목표들은 비슷한 순위를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level of perception of preparatory teachers for adapted physical education on object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were 85 trainee teachers who completed practical teaching, and the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them. Of them, a total of 8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 of categorial disabilities, in object of physical handicap, priority is rehabilitation and therapy, the others parties are high level at positive self-concept, social ability, pleasure in order. and regardless of categorial disabilities, participant thought that physical stamina was most lower. Second, in rank according to location, all are thought that priority is positive self-concept, the others are similar ranks. there are no remarkable difference. Third, in rank according to gender, all are thought that priority is positive self-concept, the others are similar ranks. there are no remarkable difference.

      • 다도교육이 여대생의 다도정신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숙 ( Mi Suk Kim ),박화문 ( Hwa Moon Park )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12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다도교육이 여대생의 다도정신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다도정신은 화(respect), 경(harmony), 검(simpicity), 진(true)의 정신을 근본으로 이루어진 8대 실행정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에 대하여 지니고 있는 긍정적 태도를 의미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도교육을 이수한 학생과 현재 다도교육을 이수하고 있는 학생 그리고 다도교육을 이수하지 않는 학생들의 다도정신과 자아존중감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에게 있어서 다도정신은 다도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현재 이수하고 있는 학생들과 이수하지 않은 학생들의 다도정신이 점차로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여대생에게 있어서 자아존중감도 다도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이 가장 높았으며, 현재 이수하고 있는 학생들과 이수하지 않은 학생들은 점차로 낮았다. 셋째, 여대생들에게 있어서 다도정신과 자아존중감과의 상호관련성은 다도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현재 이수하고 있는 학생들과 이수하지 않은 학생들이었다. 그러므로 대학에서의 다도교육 이수는 여대생들의 건전한 다도정신 함양에 의하여 올바른 인격형성의 기반을 형성하도록 하며, 또한 건전한 자아존중감의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the influence of Dado education on both Dado spirit and self-esteem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Dado spirit is composed of eight kinds of spirits which are based on respect, harmony, simplicity, and truth. Self-esteem shows having positive attitude about one`s own onesel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ado spirit and Self-esteem among those students whom completed Dado education, be taking Dado education, and having never taken Dado educati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the highest Dado spirit has shown in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Dado education, and then the groups of being taking and of having never taken Dado education, in sequence. Secondly, the highest Self-esteem has also shown the group of being completed Dado education, and then the groups of being taking and of having never taken Dado education, in sequence. Thirdly,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Dado spirit and Self-esteem was shown in the group of being completed a course of Dado education, and then the groups of being taking and of having never taken Dado education, in sequence. Taking Dado education in University is helpful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formative character by cultivating sound Dado spirit. Besides, we came to know that this is also helpful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sound Self-esteem.

      •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내용에 대한 정신지체학교 사회 담당 교사의 인식 특성

        탁나경 ( Na Kyoung Tak ),장종수 ( Jong Soo Jang ),신명규 ( Myung Gyu Shin )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13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사용지도서 내용에 대한 정신지체학교 사회과 담당교 사의 인식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부산, 대구, 경북, 서울에 근무하는 교사를 82명을 대상 으로 2011년 8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15개월간 설문지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정신지체 학교 사회담당교사의 성별, 특수교육경력별, 근무지역별, 소지자격별, 주당수업시수별 등에 따른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에 대한 인식 특성을 살펴본 결과, 첫째, 사 회과 교사용 지도서의 총론 제시 내용에 대한 사회 담당교사의 인식은 성별과 근무지역별, 주당수업시수별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특수교육경력이 10년 이상인 사회담당교사와 특수 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사회담당교사일수록 인식이 높았다. 둘째,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의 단원 및 제재 제시 내용에 대한 사회 담당교사의 인식은 성별과 근무지역별에서는 큰 차 이가 없지만 특수교육경력이 10년 이상일수록, 특수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사회담당교 사일수록, 18시간 이상의 수업을 하는 교사일수록 인식이 높았다. 셋째, 사회과 교사용 지도 서의 차시 제시 내용에 대한 사회 담당교사의 인식은 근무경력별에서는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와 10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 사이에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사용지도서 내용에 대한 정신지체학교 사회과 담당교 사의 인식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부산, 대구, 경북, 서울에 근무하는 교사를 82명을 대상 으로 2011년 8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15개월간 설문지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정신지체 학교 사회담당교사의 성별, 특수교육경력별, 근무지역별, 소지자격별, 주당수업시수별 등에 따른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에 대한 인식 특성을 살펴본 결과, 첫째, 사 회과 교사용 지도서의 총론 제시 내용에 대한 사회 담당교사의 인식은 성별과 근무지역별, 주당수업시수별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특수교육경력이 10년 이상인 사회담당교사와 특수 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사회담당교사일수록 인식이 높았다. 둘째,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의 단원 및 제재 제시 내용에 대한 사회 담당교사의 인식은 성별과 근무지역별에서는 큰 차 이가 없지만 특수교육경력이 10년 이상일수록, 특수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사회담당교 사일수록, 18시간 이상의 수업을 하는 교사일수록 인식이 높았다. 셋째, 사회과 교사용 지도 서의 차시 제시 내용에 대한 사회 담당교사의 인식은 근무경력별에서는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와 10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 사이에는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ociety teachers in the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about teachers` guideline of basic curriculum and aims to provide references to organize the future guideline for society teachers. It surveyed 250 society teachers worked in the schools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all parts of the country, and collected 110 questionnaires was calculat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y each sub-sector, its significance was verified by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One-way ANOVA, Scheffe to check the difference by background variable. The result from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ety teacher for society teachers` manuals and General Studies presented to recognize the sex and region, class hours per week a big difference, but by number of special education career more than 10 years, society teacher and a speci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ion in societyhigh teacher more aware. And sanctions proposed with society teachers` manuals and lesson society teacher recognized for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and region, but the special education career more than 10 years, more in charge of the society with a speci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ion teachers more, 18high or more hours of classroom teachers more recognition. Third, the society teachers` manuals and class presenting content for society teacher recognized career in the difference between a teacher with over 10 years of experience and teachers with less than 10 years of experience. Overall, generally teachers considered the contents in the introduction helped to understand the society education of basic curriculum so it is necessary to be supplemented such as the distribution of references including new theory and trend of society education like CD, actually helpful to teachers, and more information about introduction and choice activities suggested in units and topics, and more advices for activities in each step. Moreover, the aims of lesson would be described as the words that mentally retarded children could understand, the step of studying would be improved to help the clear arrangement of lesson, and the formative evaluation should suggest various evaluation viewpoints to assess the ability to research societ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ociety teachers in the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about teachers` guideline of basic curriculum and aims to provide references to organize the future guideline for society teachers. It surveyed 250 society teachers worked in the schools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all parts of the country, and collected 110 questionnaires was calculat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y each sub-sector, its significance was verified by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One-way ANOVA, Scheffe to check the difference by background variable. The result from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ety teacher for society teachers` manuals and General Studies presented to recognize the sex and region, class hours per week a big difference, but by number of special education career more than 10 years, society teacher and a speci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ion in societyhigh teacher more aware. And sanctions proposed with society teachers` manuals and lesson society teacher recognized for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and region, but the special education career more than 10 years, more in charge of the society with a speci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ion teachers more, 18high or more hours of classroom teachers more recognition. Third, the society teachers` manuals and class presenting content for society teacher recognized career in the difference between a teacher with over 10 years of experience and teachers with less than 10 years of experience. Overall, generally teachers considered the contents in the introduction helped to understand the society education of basic curriculum so it is necessary to be supplemented such as the distribution of references including new theory and trend of society education like CD, actually helpful to teachers, and more information about introduction and choice activities suggested in units and topics, and more advices for activities in each step. Moreover, the aims of lesson would be described as the words that mentally retarded children could understand, the step of studying would be improved to help the clear arrangement of lesson, and the formative evaluation should suggest various evaluation viewpoints to assess the ability to research societ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ociety teachers in the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about teachers` guideline of basic curriculum and aims to provide references to organize the future guideline for society teachers. It surveyed 250 society teachers worked in the schools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all parts of the country, and collected 110 questionnaires was calculat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y each sub-sector, its significance was verified by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One-way ANOVA, Scheffe to check the difference by background variable. The result from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ety teacher for society teachers` manuals and General Studies presented to recognize the sex and region, class hours per week a big difference, but by number of special education career more than 10 years, society teacher and a speci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ion in societyhigh teacher more aware. And sanctions proposed with society teachers` manuals and lesson society teacher recognized for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and region, but the special education career more than 10 years, more in charge of the society with a speci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ion teachers more, 18high or more hours of classroom teachers more recognition. Third, the society teachers` manuals and class presenting content for society teacher recognized career in the difference between a teacher with over 10 years of experience and teachers with less than 10 years of experience. Overall, generally teachers considered the contents in the introduction helped to understand the society education of basic curriculum so it is necessary to be supplemented such as the distribution of references including new theory and trend of society education like CD, actually helpful to teachers, and more information about introduction and choice activities suggested in units and topics, and more advices for activities in each step. Moreover, the aims of lesson would be described as the words that mentally retarded children could understand, the step of studying would be improved to help the clear arrangement of lesson, and the formative evaluation should suggest various evaluation viewpoints to assess the ability to research societ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의 리더쉽에 미치는 영향 및 개선방향

        김영한,김태언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11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리더쉽에 미치는 영향을 배경변인별로 조사 분석하고, 교사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방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울산, 서울, 경남, 전남, 충북, 강원 지역의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리더쉽에 미치는 영향과 개선방향을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첫째,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의 리더쉽에 미치는 영향은 교육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원단체에 가입한 교사, 군면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리더쉽이 교원단체에 가압하지 않은 교사나 중소도시, 대도시 교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둘째,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은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도구 개발 및 평가기준 설정의 주체가 특수교육의 특수성이 보장되는 국립특수교육원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평가결과는 교원의 전문적 자질의 향상을 위한 장학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평가결과는 본인, 또는 원하는 개인에게 공개되길 원하고 있으며, 바람직한 교원능력개발평가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교사의 자율성을 확대하고 잡무가 경감되어야 하며, 특수학급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평가가 아닌 특수학급 담당 교사들과의 합의를 거쳐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다.

      • 유치원·초등학교 연계 통합 교육의 과제

        김윤옥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1999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 No.1

        이 연구는 장애아동 유치원 · 초등학교 연계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입각하여 어떻게 이를 위한 변화를 초래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령전 각종 교육기관, 조기특수교육기관, 초등학교, 장학기관 등에 전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에 대한 현상을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장애아동 유치원 · 초등학교 연계 통합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과제는 1) 연계 통합교육에 대한 가치관 정립, 2) 체계적 변화 촉진을 위한 관련자 교육, 3) 통합 교육 후 추후지도, 4) 직접적인 정책수립, 5) 연계 통합교육을 위한 준비 등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는 이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미시적 · 거시적 차원의 다각적인 접근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present transition practices from preschool to elementary school to include special children, to analyze the causes of lack of transition policies and practices, to suggest the necessary transition tasks, and to highlight how to bring about changes to provide the transition services. To meet the first purpose, the researcher interviewed practitioners from preschools, early intervention centers, elementary schools, and school districts nation wide. The interview was a structured standardized method through telephone. As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few transition practices had recognized. In terms of second and third purposes, the researcher suggested several tasks to promote transition practices and policies. Finally, the study proposed the bottom-up and top-town approaches to bring about changes towards the necessary transition practices and policies in Korea.

      • 장애 아동 통합 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및 영향 요인 연구

        안성우,박재국,백유순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1999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통합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도 1994년에 개정된 특수교육 진흥법(1994년 1월 7일 법률 제 4716호 전문 개정, 1995년 12월 29일 제 5069호 일부 개정, 1997년 10월 일부 개정) 제 15조 '통합 교육의 실시' 조항에서 "일반 학교의 장은 특수 교육 대상자 또는 그의 보호자나 특수 교육 기관의 장이 통합 교육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여야 함"이라고 명시함으로서 통합 교육을 장애 아동 교육 정책으로 삼고 있다. 이 새로운 정책은 모든 아동들이 일반 학교에서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강조하고 있고 결과로서 교사들에게 그들의 학급에 장애 아동을 받을 것인지 받지 않을 것인지에 대한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기대를 갖게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은 장애 아동들의 통합 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행동 장애 아동들이나 감각 장애 아동들보다는 지적 장애 아동들이나 신체 장애 아동들을 더 많이 그들의 학급에 통합시키기를 원하고 있다. 또 교사들은 중증 장애 아동들보다는 경증 장애 아동들의 통합에 더 긍정적이다. 이는 특별한 전문가들의 지원이 없는 상황에서 이들 장애 아동들을 그들이 교육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으며 특별한 지원이 있을 경우에 중증 장애 아동들의 통합 교육에 대한 그들의 태도가 바뀔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study investigated teachers' attitude toward the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measured by responses on the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Scale in Korea. In 1994 a new policy which emphasized the rights of all children to an education in regular schools and the consequent expectation that teacher had no choice about whether they would accept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o their classes had been introduced. It was found that teachers expresse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was also found that teachers would accept mor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an children with disturbed behaviour and those with sensory disabilities into their regular classes. The availability of ancillary staff was seen as a major factor in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