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특수교육 전문가와 부모의 지원요구 고찰

        이설희,최진희,조아라,최재연,박은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upport needs o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based o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for those who are related to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parents and 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six experts, thre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ree junior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A total of four main topics including instruction·parenting difficulties, helpful support, support needs, expect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19 sub-topics were deriv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provided to prepar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지체중복장애학생 관련인의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기대하는 지원요구를 고찰하였다. 연구방법: 수도권 지역 내 지체중복장애 자녀를 둔 부모(3명)와 지체중복장애학생 교육경험이 있는 특수교사(2명)를 대상으로 개별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지체중복장애학생 지도 및 강의 경력이 있는 전문가(6명)와 초등 특수교사(3명), 중등 특수교사(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면담(FGI)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의 결과는 전사 후 지속적 비교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도·양육상의 어려움, 도움이 되었던 지원, 지원요구,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센터에 대한 기대를 포함한 총 4개의 대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다음의 네 가지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1)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과 운영 방향을 규정하기 위한 정책적인 접근의 필요성, 2) 지원 대상의 수, 지원 범위 등을 고려한 센터 및 업무 담당자의 수 조정, 3) 다양한 분야와의 협력 체계 구축의 필요성 및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거점 센터로서의 역할 수행 고려, 4) 최우선 과제로서의 통합교육 지원.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정당한 교육지원에 필요한 건강 및 안전관리 실태와 지원방향에 대한 관리자 인식

        박경옥,신윤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find out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s about health management and suppor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for educational support. Method: Participations were 15 schools’ administrators in 19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qualitative coding and categori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to support and manage their health and feeding, They also were lacking in human resource and facilities despite of their count-measures. The cooperation among people related should be necessary and make a detailed future plan to support. also make a polic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Conclusion: Therefore, we discussed about health and safe managemen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suggested about future directions for their health and safety. Method: Participation was 15 schools’ administrators in 19 physical disabilities and Data was collected by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qualitative coding and categorized.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to support and manage their health and feeding, They also were lack of human resource and facilities despite of their count-measures. The cooperation among people related should be necessary and make a detailed future plan to support. also make a polic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Conclusion: Therefore, we discussed about health and safe managemen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suggested about future direction for their health and safety.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를 주 장애로 하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학생이 요구하는 의료적 지원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고 현재 학교의 지원 실태는 어떠하고, 향후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9개 지체장애학교 중 지역 및 설립유형을 분배하여 학교관리자(교장 또는 교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확보를 위한 학교차원에서 건강관리 및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은 현재의 당면한 어려움에 대해 역할과 책임에 부여되지 못한 상태에서 모두가 힘든 교육을 하고 있으며, 학생의 학습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턱없이 부족한 안전시설과 지원인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고 하였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리자들은 건강관리 및 인권상담을 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고, 지원인력의 수와 이들의 질적 수준을 고양할 수 있는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현장을 고려하여 반영적인 정책지원이 이루어졌을 때 자신의 자리에서의 책무를 다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결론: 국가, 학교단위, 그리고 교사 개인이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의 교육활동 중 건강과 안전관리 확보 방안에 대한 쟁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9개 지체장애학교 중 지역 및 설립유형을 분배하여 학교관리자(교장 또는 교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ㆍ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확보를 위한 학교차원에서 건강관리 및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은 현재의 당면한 어려움에 대해 역할과 책임에 부여되지 못한 상태에서 모두가 힘든 교육을 하고 있으며, 학생의 학습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턱없이 부족한 안전시설과 지원인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고 하였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리자들은 건강관리 및 인권상담을 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고, 지원인력의 수와 이들의 질적 수준을 고양할 수 있는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현장을 고려하여 반영적인 정책지원이 이루어졌을 때 자신의 자리에서의 책무를 다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결론: 국가, 학교단위, 그리고 교사 개인이 중도ㆍ중복장애 학생들의 교육활동 중 건강과 안전관리 확보 방안에 대한 쟁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과 대안적 패러다임의 모색 - 초등 특수학급 수업을 중심으로 -

        이경아,이숙정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1

        This study examined the special educational application of epistemology of constructivism with reconsideration about special class situ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suggested alternative paradigm for severe disabilities students' instruction-learning. The constructive epistemology in class situation and the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principle were as follows: the teacher with a constructive epistemology knows that the world is constructed differently by learners based on their interpretations of experiences in the world, and helps the learners with a process of constructing the world. A teacher with a constructive epistemology considers texts as instruments for realizing educational intrinsic value and tries to relates learners with helper and colleague of learning. In the episode related with learning of a learner with severe disabilities, teacher made one participate in the class for a moment. But teacher with constructive epistemology can grasp a conversation and the cognitive response of learners, so he/she cannot give a meaning to educational con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and extend learning of learners with severe disabilities , it is required that the concept of communications can extend to unverbal communication with recognizing possibilities of learners with severe disabilities' learning. Masschelein's communicational inter-subjectivity introduced as alternative paradigm will be a base which can secure the learner's autonomy and seize the phenomena of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being-together-ness" by scrutiniz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 in the field amidst. 이 연구는 초등 특수학급 수업 현상에 대한 해석을 통해 구성주의 인식 기반에 편향된 교육행위를 반성하고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수-학습을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을 모색하고자 시도한 연구이다.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습과 관련된 한 범례에서 구성주의 인식에 편향한 교사의 교육활동은 중도중복장애 학생과의 수업에서 대화와 인지적 방식의 반응만을 포착하고자 했으며, 그로 인해 중도‧중복장애 학생과의 교육 현상에 주관적 전반성적 의미를 부여하기 어려웠다.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습에 대한 인식 지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학습 가능성을 새롭게 바라보는 시각과 함께 의사소통의 개념을 비언어적 의사소통까지 확장하는 일이 요구된다.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소개한 마스켈라인의 의사소통적 상호주관성은 ‘사이’의 공간에서 교사-학습자간의 의사소통에 천착함으로써“함께 있음”의 개념을 통하여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습자 주체성을 담보하고 교육현상을 포착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 KCI등재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학생지도실태 및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연구

        이희숙,최성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2

        All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however, the special teacher licence is not divided into based on the type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 in service program for special teacher is not divided into the type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physical disabled school teachers' teaching status and the physical disabled school teachers' recognition toward in service program. Four hundred and twenty four teachers of the twelve schools who are working for physical disabled student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eachers felt the in service program is not satisfied; (b) the skills such as communication ability and rapport for counsellor had no problem, however, IEP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y and teaching method in various subjects indicated as difficult tasks; and (c) the teachers indicated high needs that the in service program will be operated.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in service program for teachers who are working for physical disabled students will be opened based on the teachers' needs. 이 연구는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의 지체장애아동 교육과 심화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심화교육과정 운영의 필요성은 어떠한 변인과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체장애학교 교사를 위한 교사재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 모색을 위하여 선정한 전국의 16개 지체장애학교 교사 424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최근 5년 이내의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 참석 현황은 저조하나, 연수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사립학교에 재직하는 남교사이면서 교직경력 또는 지체장애학교 교사 경력이 높을수록 지체장애아동의 지도에 대한 전문성이 높았다. 또한 현장의 중복․중증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한 실천방안과 교과교육 지도방법 등에 대한 학습 요구가 높았다. 둘째, 지체장애학생의 일상생활의 신체활동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 관련 지원방안에 대한 요구가 높으며, 교사 개인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 연수과정의 개설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고, 현장적용 가능성, 이론중심 강의 지양, 재정 부담의 교육부 지원, 강사에 대한 관리 철저 등이 심화교육과정 운영의 성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 관련 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 및 시사점 탐색

        나인정,권혁상,김민정,남광현,이미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3

        Purpose: This study looked into Korean journal articles, regarding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in terms of general trends and topics. Method: A total of 37 journal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5-2018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general trend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studies related t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were conducted in special education, and were published mostly between 2013-2015. Survey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ologies. Resul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opics showed four principal categories of selected research, such as percep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hospital schools, online education, returning to schools and plans for educational supports.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supports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need to improve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Second, systematic approache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hospital schools need to be constructed. Third,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onlin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is needed. Lastly, more efforts is needed to promote health-impaired students returning to schools. 연구목적: 본 연구는 건강장애학생의 교육과 관련된 학술지 게재 논문의 개괄적 특징과 주제별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05-2018년에 게재된 건강장애학생 교육관련 주제의 학술지 게재 논문 37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괄적 특징에 대한 연구 결과, 건강장애학생 교육관련 연구는 주로 특수교육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었고, 게재 연도는 2013-2015년이 가장 많게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조사연구와 질적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주제별 동향을 살펴본 결과, 건강장애학생의 병원학교 운영 실태에 대한 인식, 온라인 교육, 학교 복귀,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 방안 등 네 가지 주제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은 양적 및 질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병원학교의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하는 체계적인 병원학교 지원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온라인 교육의 질적 제고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건강장애학생의 학교복귀를 위한 노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

        지체장애학생의 지역사회 참여를 위한 교육 방향성 탐색 기초 연구 - 국제기능·건강·장애분류(ICF-CY)를 중심으로 -

        김주홍,박재국,이미경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3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6 No.3

        As the number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re getting increased in a special school for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it causes difficulties of using and applying current curricula for them. Therefore the needs of applying ecological education for them are getting increased. Curriculum management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developed recently, still it does not address enough curriculum contents for them. It needs to be developed an alternative curriculum and a guide book for them. It is a big issue for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attend various life activities in home and community. The study focused on exploring and developing in many directions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to participate community by applying ICF-CY which was developed by WHO.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 in a special school for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First the survey consisted of codes which were drawn from mobility, home life,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major life areas, community, social and civil life which were sub parts of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f ICF-CY. The survey was distributed special teachers and let them check the frequencies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daily life.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survey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sub-part of the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f ICF-CY is helpful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en it is applied to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Second, sub-part of the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f ICF-CY could be used as a guideline and provide the educational direction for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ird, sub-part of the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f ICF-CY is useful to planning IEPs. 최근 지체장애 특수학교 학생들의 중도·중복화로 인해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이 대두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생태학적 접근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중도·중복화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 지침이 추가되었으나 구체적인 교육과정이나 교육활동에 필요한 내용의 제시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중증의 지체장애 학생의 장애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대안적 교육과정 및 지침의 개발이 절실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체장애학생의 지역사회참여를 위한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개발된 국제기능·건강·장애분류(ICF-CY)를 적용한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지체장애 10개교 특수교사(N=200)를 대상으로 ICF-CY 항목에서 추출한 문항과 일상생활 참여빈도(FPQ)에 대한 활동과 참여 수준을 분석하고 변인에 따른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 대상 지체장애학생들은 ‘이동’, ‘가정생활’, ‘주요생활’, ‘공동생활·사회생활·시민으로서의 생활’ 기능에서 ‘중등도 곤란’에서 ‘고도 곤란’ 사이의 수준을 보였으며, ‘대인관계’ 기능에서는 ‘경도 곤란’에서 ‘중등도 곤란’ 사이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상생활 참여빈도(FPQ) 수준은 항목별 전체 평균으로 볼 때 ‘한 달에 약 1회 미만’에서 ‘한 달에 약 1회’ 사이의 수준으로 조사되었으며, ICF-CY의 활동과 참여 하위 영역과 FPQ 수준 간의 상관관계는 ICF-CY의 일부 영역에서 강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ICF-CY 하위 영역과 FPQ 수준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ICF-CY는 생태학적 입장에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관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활동과 참여에 제한이 있고 특히, 교육과정의 적용이 어려운 중증의 지체장애학생들의 교육 활동 영역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ICF-CY의 분류 코드를 사용할 경우, 지체장애학생의 삶과 관련된 다차원적 영역에서 진단적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개개 학생들의 현 상태를 파악하고 교육활동의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적용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아 교육연구에 있어서 훗설(Husserl)의 현상학적 방법론이 가지는 의미에 관한 고찰

        김혜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0 No.1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at deep learning and understanding multiple and severe handicapped children and their education should be proceeding in the study of education research for multiple and severe handicapped children. For the reason, we investigated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based on detailed real cases and possibility have an effect on education research for multiple and severe handicapped childre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reached a conclusion as below. First,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can be helpful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essential aim of education research for multiple and severe handicapped children. Second,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s useful to advance the detailed theory with vivid real cases regarding the education of education research for multiple and severe handicapped children. Third,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can offer the basis of the education, so that we can rebuild the study of method and reality of education research for multiple and severe handicapped children.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아 교육연구에서 선행되어져야 할 작업은 중도중복장애아와 그들 교육의 본질에 대한 섬세한 이해와 명확한 설명이라는 인식하에서,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재와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 훗설의 현상학적 방법론이 중도중복장애아 교육연구에 있어서 가지는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문헌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첫째, 중도중복장애아 교육연구에 있어서 훗설의 현상학적 방법론의 적용은 중도중복장애아와 그들 교육의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둘째, 중도중복장애아 교육연구에 있어서 훗설의 현상학적 방법론의 적용은 중도중복장애아와 그들의 교육에 관련된 생생하고 현장감 있는 이론과 교육적 실재를 구축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셋째, 중도중복장애아 교육연구에 있어서 훗설의 현상학적 방법론의 적용은 중도중복장애아 교육연구에 대한 방법적 원리와 실재를 재정립시킬 수는 있는 단서 및 학적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박재국,김진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4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y review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o that e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27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structing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in 9 special education schoo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he following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perception of the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level of importance was recognized high, but level of implementation was found normal, and through analysis of Borich requirement items, required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plan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by each stage were extracted. Second, i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y teacher factors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perceptions differed significantly statistically depending on acquired qualification, the experience of instructing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to instruct, and the ratio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ased on such study results, the application measure of IEP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discussed.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을 검토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효율적인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9개 특수학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지도하는 특수교사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실행․평가에 대한 인식에서 중요도는 높게 인식하는 반면 수행도는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Borich 요구도 분석을 통해 각 단계별로 효율적인 개별화교육계획 운영을 위해 요구되는 항목을 추출하였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교사변인별 인식차이에서는 소지자격, 중도․중복장애학생 지도 경력, 지도하는 총 학생 수 및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비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적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 출현율과 교육적 배치 및 장애 특성

        한경근,김원호,강현정,장민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4 No.3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ward identifying the prevalence, educational placement types, and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SMD). Method: Based on the data extracted from a survey study of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estimated the number of students with SM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disabilities. Results: It was estimated that 28.16% of all special education students had SMD, 10.87%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about 17.29% o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About 44.66% of students with SMD were enrolled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an average of 3.21 and 2.02 students per class were placed in special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ies and special 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pectively. A total of 37.44% of students with SMD had a diagnosi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24.63% for physical disabilities, 18.89%,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6.32% for developmental delays, and 4.41% for visual impairments. Conclusion: In the context of the special education delivery system, it was necessary to specify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plan for students with SMD and to actively discuss ways to classify the multiple disabilities into separate type of disability. 연구목적: 이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출현율과 배치 형태, 그리고 중도장애와 중복장애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장애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립특수교육원 용역 연구「중도중복장애학생 현황 분석 및 유형별 지원방안」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 수를 추정하여 배치 형태를 파악하고, 특수교육법에 근거한 진단명을 기준으로 중도장애와 중복장애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장애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 대상 학생 중 약 28.16%가 중도중복장애학생으로 추정되었으며, 중도장애학생은 약 10.87%, 중복장애학생은 약 17.29%로 파악되었다. 중도중복장애학생은 특수학급 및 특수교육지원센터에 약 44.66%가 재학 중이며, 지체장애 특수학교와 지적장애 특수학교에 학급당 평균 각각 3.21명과 2.02명의 중도중복장애학생이 배치되어 있었다. 중도중복장애학생은 37.44%가 지적장애, 지체장애 24.63%, 자폐성장애 18.89%, 발달지체 6.32%, 시각장애 4.41% 등의 순으로 진단명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 특수교육 전달체계의 맥락별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지원방안을 구체화하고 중복장애를 별도의 장애 유형으로 분류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논의해야 한다.

      • KCI등재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의 관계 - 다층모형 분석의 활용을 중심으로

        김영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4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teacher level and school level variables of homeroom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for students with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by multiple modeling analysis.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mailed survey was conducted on 170 homeroom teachers for students with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of 23 special schools. Selected data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 HLM 7.01 for window for multi-modeling analysis of 2 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Results: First, the variance expla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 level and also school level. Second, the school level variables, such as the grade, principals' leader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Thirdly, the teacher level variables, such as teaching efficacy and commit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action effect, principals' leadership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teaching efficacy. And learning enviornment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commitment. Conclusion: We discussed educational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bout the teacher level and school level variables of homeroom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for students with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의 관계를 다층모형으로 분석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3개 특수학교에서 중복·지체장애학생을 담임 및 부담임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우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6.0 및 HLM 7.01을 자료분석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학교수준 변인과 교사수준 변인 모두에 의해 차이가 난다. 둘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학교수준의 변인 중 학교급과 교장 지도성에서 차이가 난다. 셋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교사수준의 변인 중 교수효능감과 교직헌신에서 차이가 난다. 넷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교장 지도성은 조절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직헌신의 관계에서 학습환경은 조절효과를 가진다. 결론: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 분야에서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사수준 및 학생수준 변인과 교직적응탄력성의 관계에 대한 교육적인 함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