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화다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박기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학교와 수업 연구 Vol.3 No.2

        As Korea becomes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the change in the members of the society, the demand for substantial multicultural education is increasing at schools. The content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been increased and more emphasized in the 2009 Reformed Curriculum in comparison with the 2007 Reformed Curriculum. However, most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re focused on teaching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for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Current used textbooks for the thi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include only fragmental contents, such as learning a foreign musical piece and introducing excellent Korean culture to friends in foreign lands. The need for accessing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diversity is increasing to improve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Recognizing the problems of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the present study aimed at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versity as well as the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found in different subjects for the second semester of the thi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were analyzed and reconstructed for individual cultural diversity areas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the student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ir recognition of cultural diversity and their attitude of accepting diverse culture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 recognition of cultural diversity changed by the application of the cultural d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2) Does the application of the cultural d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the attitude of accepting diverse cultures by the students?; and 3) What are the advantages of the cultural d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tudy conducted to find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ulticultural contents found in the society subject as well as other subjects for the thi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to develop a cultural diversity program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contents with reference to the areas and core values of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cultural diversity program showed that the students’ recognition of cultural diversity was positively changed. The students’ recognition was increased in all the four areas of cultural diversity, including the meaning and features of culture, the elements of cultural diversity, the diffusion of cultural diversity, and the recognition and respect of cultural diversity. The improvement of the recognition wa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e three areas of the meaning and features of culture, the elements of cultural diversity, and the diffusion of cultural diversity. Second,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test perform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showed that a positive change was found only in the area of relationship out of the three areas of universality, relationship, and diversity. No positive change was found in the other two areas probably because the baseline values of the students were already high in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test, and the period of three months was too short to draw a change in the attitude only by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In addition, although revised to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the acceptance test items might have been slightly difficult to the students, and thus the attitude might have not been measured accurately by the test. Thir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dispersed in vario...

      • KCI등재

        문화다양성 교육정책 분석과 발전 방안 탐색

        이정금,이병환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in Korea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re summarized, and the current state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conducted by the government is analyzed to find ways to develop a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suitable for our society. Di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blems of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are as follows: First, the mixed use of the ter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of assimilation, third,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still lower than that of major developed countries, and the fourth, one-time project promotion and redundant support Etc. As a way to develop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firstly, the transition from assimilation policy to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second, the definition of ter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he third expansion of national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fourth, cultural diversity in regular subjects at schools The creation of a new curriculum, the fifth, the establishment of a cross-cultural exchange field, and the creation of a third new culture as an open perspective on the sixth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문화다양성과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현재 정부 주도로 실시되는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우리 사회에 맞는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의 문제점은 첫째, 다문화교육과 문화다양성 교육 용어의 혼용, 둘째, 동화주의 교육정책의 시행, 셋째, 주요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의 다문화수용성, 넷째, 1회성 사업추진 및 중복지원으로 정리할 수 있다.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의 발전 방안으로는 첫째, 동화주의 정책에서 문화다양성 교육으로 전환, 둘째, 다문화교육과 문화다양성 교육에 대한 용어의 정리, 셋째 문화다양성 교육 기회의 확대, 넷째, 학교의 정규교육과정에 문화다양성 교과목의 신설, 다섯째, 학교 안팎에서 상호문화교류의 장 마련, 여섯째, 문화다양성 교육을 통한 새로운 문화 창출 등을 제안하였다. 무엇보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육정책 입안자들을 포함하여 일선 학교의 교원들이 문화다양성 교육에 대한 적극적이고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남북한 문화갈등을 대비하는 통일교육 연구: 문화다양성 관점을 중심으로

        한건수 한국사회역사학회 2020 담론 201 Vol.23 No.2

        By acknowledging the increased cultural heterogene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is study will discuss measures in expanding Unification Education to curriculums that emphasizes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s an alternative to the previous insistence on recovering a shared national culture. The cultural heterogeneity of North and South Korea has long been a subject of interest in Unification Education, but the ruling pedagogy continues to focus on restoring cultural homogeneity. But shifts in contemporary society--both local and global--preclude such outdated dimensions of understanding unification. Increased international migration has transformed Korea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at must distinguish the notion of‘ethnic group’from‘nation.’ The cultural heterogeneity of North and South Korea is now an inevitable reality. Under division, North and South Korea evolved as separate nations and developed distinctive cultural identities in the process. It is no longer possible to establish a single, homogeneous culture as an archetype for restoration. Therefore, Unification Education must now focus on reinforcing competence in cross-cultural understanding in order to prevent cultural conflict.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for Unification Education to cooperate with the global education agenda. By reviewing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nter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proposes the urgent need for integrating Education for Cultural Diversity and Unification Education. Neither nation nor ethnic group is assumed as a unit of culture in the Education for Cultural Diversity. Namely, it affirms the importance of diversity within Korean culture as well as the diversity between Korean and foreign cultures. By establishing the themes of cultural diversity recognized by the UNESCO global reports as one axis, and several realms of cultural diversity emphasized in Korean society as another, the notion of Education for Cultural Diversity presented in this study is composed as a matrix that assembles these two axes into the formula of knowledge–empathy–practice. Unification Education that integrates Education for Cultural Diversity constructs its module of education by adding North Korea as a major realm of cultural diversity into this matrix. Education for Cultural Diversity cultivates the point of view, competence, and empathy necessary for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t the core of its design is the concept of culture accentuated by contemporary anthropology. Based on a broader concept of culture that transcends material culture and the narrow definition of culture (literature and performing arts), it attempts to design a pedagogy that overall understands other cultures as a way of life and mode of thought. It will empower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respect different cultures. 이 논문은 남북한의 문화적 이질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을 인정하고, 민족문화의 동질성 회복이 아니라 남북 문화의 차이를 문화다양성이 관점에서 이해하는 통일교육으로의 확대 방안을 논의한다. 남북 문화의 이질화는 통일교육이 일찍부터 관심을 가져온 분야이나, 여전히 민족문화의 동질성 회복에 초점을 맞춘 경향이 있다. 그러나 현대한국사회와 국제사회의 변화는 더 이상 통일을 분단된 민족의 복원이나 민족문화의 동질성 회복과 같은 수준에서 논의할 수 없게 만들고 있다. 한국사회 자체가 전지구화의가속과 국제이주의 증가로 인해‘민족’과 ‘국민’의 개념을 구분해야 하는 다민족ㆍ다문화사회로 이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북 문화의 이질화는 이제 새로운 관점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남북한 모두 분단 체제에서 각각 별개의 국가로 발전해 왔으며그 과정에서 상이한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했다. 또한 남북이 모두 합의할 수 있는 민족문화의 동질성 회복을 위한 준거점도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통일교육 역시 남북의 문화적 이질화에 대비하는 새로운 교육 의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문화다양성 교육은통일교육에서 남북한 문화의제를 새롭게 구성할 수 있다. 문화다양성교육은 문화의단위를 국가나 민족의 단위로 설정하지 않는다. 현대 사회의 문화 개념은 더 이상 문화의 단위나 경계를 국민국가나 민족의 영토로 설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문화 역시내부 구성원의 인종적 민족적 다양성의 증가로 한국 문화의 경계와 단위를 대한민국과한민족 단위로 설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문화다양성 교육은 현대 문화의 이러한 양상을 고려하여 문화의 다양성을 국가나 민족의 단위로 설정하지 않는다. 본 논문이 제시하는 문화다양성 교육 개념은 국제사회에서 문화다양성이 발현되는 영역으로 제시된 내용을 한 축으로, 한국사회에서 강조되는 문화다양성의 영역을 다른 축으로 설정하고, 이를 인지-사회적 정서-실천 수준으로 조합하는 매트릭스 구성이다. 문화다양성 교육과 접목되는 통일교육은 이 매트릭스에 북한을 주요한 문화다양성 영역으로 추가하여 교육 모듈을 구성한 것이다. 남북한 문화의 차이를 서로 이해하고 존중하는 관점, 역량, 공감능력을 배양하는 문화다양성교육 설계의 핵심은 현대 인류학이 강조하는 문화의 개념을 준용하는 것이다. 단순한 물질문화나 협의의 문화개념을 넘어서는 광의의 문화개념을 통해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학습한 모든 것’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교육설계를 시도한 것이다. 겉으로 드러나는 문화 현상의 차이뿐만 아니라 내면 혹은심연에 기초한 두 문화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기본 역량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문화다양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교사의 인식

        시세인,이은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o provide an efficient educational material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retraining. 160 Home economics teachers answered the survey questionnaires. To analyze the data, SPSS 19.0 for Windows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our dimension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ere derived by factor analysis: cultural equality, diversity implementation, diversity value, comfort with diversity. As for their awareness about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t was in the order of cultural equality, followed by diversity implementation, diversity value, and comfort with diversity. Th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s for the whole awareness about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the diversity implementation, group of age 40 teachers recognized more highly than other groups. Furthermore, teachers outside Jeonbuk area recognized more highly the cultural equality, diversity implementation, diversity value than those in Jeonbuk, which is the 3rd high area in the n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proportion. As for cultural equality and diversity implementation, ​​teachers over 15 years of experience, recognized more highly than other groups. Those with the teacher certification in the college of education, recognized more highly the cultural equality, diversity value, comfort with diversity than teachers from the other colleges. Teachers ​who need multicultural education, recognized more highly cultural equality, diversity implementation, awareness of diversity than those who don’t. These results imply that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ere must be more systematic studies on school field education and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revitaliz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or teachers with highly recognizing cultural diversity to conduct a systematic multicultural education more efficiently, there should be both systematic pre-service education programs at college level and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for the teachers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다문화사회에서 다문화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에게 문화다양성 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고 2011개정 교육과정 가정과교육에서 다문화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실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가정과교사를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으로 2013년 1월 7일부터 1월 25일까지 문화다양성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정과교사의 문화다양성 교육은 문화 형평성, 다문화 적용, 다양성 가치, 다양성 적응의 4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동등한 활동을 제공하는 문화 형평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다음으로 다양성 적용, 다양성 가치, 다양성 적응 순으로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가정과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문화다양성 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문화다양성 중 다양성 적용에서는 40대 교사가 높게 인식하였다. 근무지역에 따라 전북지역 외의 교사가 전북지역의 교사보다 문화 형평성, 다양성 적용, 다양성 가치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문화 형평성과 다양성 적용에서 15년 이상의 교직 경력을 가진 교사가 높게 인식하였다. 사범대학에서 자격증을 취득한 교사가 비사범대학에서 자격증을 취득한 교사보다 문화 형평성, 다양성 가치, 다양성 적응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는 교사가 필요하지 않다는 교사보다 문화 형평성, 다양성 적용, 다양성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해볼 때, 조사대상 가정과교사들은 학생들의 문화다양성 교육을 이해하고 수용할 자세를 지니고 있었으며, 다문화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교실에서 학생들 사이에 공존하는 문화적 매개자이자 조정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가정과교사들은 다문화사회에서 문화 형평성이나 다양성 적용과 같은 문화다양성 교육에 대해 높은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단지 근무지역에 따라 문화다양성 교육에 대한 인식에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 교직경력, 다문화교육의 교육적 경험, 자격증 취득 경로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문화다양성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은 가정과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인 다문화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사양성교육과 문화다양성 교육에 대한 교사 재교육적 측면에서의 교사연수가 다양하게 실시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문화 다양성 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역량 양상 탐색

        장연연(ZANG JUANJUAN),김영순(Kim, Young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세계화 시대의 현 교육 현장에서 문화 다양성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중요성의 증대로 문화 다양성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심층 인터뷰 방법을 적용하여 중국 산둥성 Y 중학교에서 문화 다양성 교육을 담당하는 주체인 교사를 대상으로 문화 다양성 교육에 대한 지식, 이해와 태도, 수행하는 능력 등 그들의 경험과 학교 현장의 모습을 실제로 이해하고자 하였고, 나아가 올바른 문화 다양성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이론적 교수역량 차원에서는 ‘문화 다양성을 교수하는 구성적 지식’, 성찰적 교수역량에서는 ‘문화 다양성을 수용하는 반성의 태도’, 실천적 교수역량에서는 ‘문화 다양성을 실천하는 후행적 기능’이 라는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중학교 교사들의 문화 다양성 교육에 대해 비교적 잘 이해하고 있거나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인식은 근무지역, 교직경력, 문화 다양성 교육에 대한 교육경험 여부는 그들에게 별다른 영향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문화 다양성 교육의 실천적 정도는 인식적 정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많은 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문화 다양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주로 교과지침서에서 제시한 학습활동 중심으로 문화 다양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 글에서는 이에 따른 한계점을 기술하고, 개선방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need for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awareness and importance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the current education fiel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knowledge, understanding, attitude and ability to perform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o storytelling for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Shandong Y middle school in China by applying in - depth interview method I tried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an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school scene and tri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rrect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s a result, we conducted a systematic study on cultural diversity in terms of academic competency, and an abstract attitude that accommodates cultural diversity in reflective instruction, and a cultural diversity in practical teaching ability. Therefore,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are well understood or the attitudes toward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such perception are free from diverse work areas, teaching experience,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addition,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culture diversity education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level of awareness. And although many teachers provide culture diversity education on the site, they usually provid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schools with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by the curriculum guideline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limitations and discuss the improvement method.

      • KCI등재

        서울어젠다 기반 문화다양성 미술관교육 프로그램 분석 및 방향 : - 국립현대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

        황지영(Jiyoung Hwang),홍해지(Haeji Hong) 한국예술경영학회 2020 예술경영연구 Vol.0 No.53

        본 연구는 2010년 발표된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를 기반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가치 확산의 흐름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문화예술교육 맥락에서 문화다양성은 중요한 의제로서, 국립현대 미술관 문화다양성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고자 한다.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문화다양성 교육의 핵심가치 관점에서 국립현대 미술관 문화다양성 미술관교육프로그램의 내용 분석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17년부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운영된 문화 다양성 교육프로그램 <어떤 시선>은 주제 중심 접근을 통한 문화다양성의 이해와 증진, 협동학습을 통한 공동체 의식 함양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영천(2012)의 연구결과에 따른 문화다양성 교육 핵심가치를 토대로 2017-2019년까지 총 80회 운영된 교육프로그램 <어떤 시선>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포용, 대화, 시민성, 공존, 인권, 차이, 평등, 협력, 연대 9가지 문화다양성 교육 핵심가치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음이 분석되었다. 문화적 포용력을 증진시키는 공간으로서 미술관은 문화다양성에 대한 가치가 실현되는 곳이므로 문화다양성과 문화예술교육을 아우르는 공간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포용, 대화, 시민성, 공존, 인권, 차이, 평등, 협력, 연대의 방향성을 미술관교육에 담고 있었으며 우리 사회 내 다양한 집단, 공동체의 관점으로 문화다양성과 문화예술교육의 논의가 확장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Seoul Agenda: Art Education Development Goal> announced in 2010 was used to identify the flow of social value expansion on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to provide the future direction. In the contex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cultural diversity is an important agenda, and thus the case of cultural diversity program by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was analyzed to discuss the social rol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o summarize the findings, it is a program of promoting understanding on the diversity of art in the same period and various identifies of the members of our society through the exhibition of «Artist of the Year», and it is a program on cultural diversity of understanding the diversity and identity of various members in our society through the contemporary artwork. Through theme-based approach,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and cooperative learning were applied to develop the sense of community. Based on the core values of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program on <Some Perspectives> performed total of 80 times on 14 programs in 2017-2019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analysis showed 9 core values, and the core values of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deriv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 education program on <A Perspective> were ① Engagement, ② Conversation, ③ Citizenship, ④ Coexistence, ⑤ Human Rights, ⑥ Difference, ⑦ Equality, ⑧ Cooperation, ⑨ Solidarity. As the space enhancing the cultural engagement, the art museum is a place for realizing the value on cultural diversity, so it has significance as the space that embraces both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this sense, it was identified that the discussion on the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being expanded into the perspective of various groups and communities in our society through the core values of engagement, conversation, citizenship, coexistence, human rights, difference, equality, cooperation, solidarity and direction, which were provided by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n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on cultural diversity in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 KCI등재후보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적 특질 및 이론적 배경 고찰

        이동성,주재홍,김영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3 다문화교육연구 Vol.6 No.1

        This paper aimed at investigating realization direc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hich is ideal to Korean sociocultural contexts through scrutinizing theoretical backgrounds and conceptual attribute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he specific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illuminated conceptual attribute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by three elements such as the concept of itself, cultural competency, and cultural identity. Second, this study comparatively scrutinized theoretical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terms of multiculturalism and interculturalism.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s partially considered as a prominent principle and value of ‘positive’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However, some scholars criticized ‘negative’ multiculturalism, which is rooted in assimilationism and essentialism. In this vein, they stressed intercultural education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hich is based on interculturalism as an alternative perspective and paradigm.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prevent conceptual chaos and policy conflict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 theoretical groundwork for promoting early adaptation and realiza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Korean contexts. 이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문화다양성 교육(cultural diversity education)의 개념적 특질과 이론적 배경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이상적인 문화다양성 교육의 실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문화다양성 그 자체의 개념, 문화적 역량, 문화적 정체성이라는 개념적 요소를 추출하여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적 특질을 규명하였다. 둘째, 이 연구는 문화다양성 교육의 이론적 배경으로 볼 수 있는 ‘적극적’ 다문화주의와 간문화주의에 기초하여 문화다양성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그 특징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일부 국가들과 학자들은 적극적 다문화주의의 핵심적 원리와 가치로서 문화다양성 교육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상대 진영에서는 동화주의와 본질주의로 대변되는 ‘소극적’ 다문화주의를 비판하고, 포용적 사회를 이룩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혹은 패러다임으로서 간문화주의에 기초한 간문화교육과 문화다양성 교육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적 특질과 이론적 배경 및 특징을 천착함으로써 한국의 다문화교육과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적 및 정책적 혼선과 충돌을 방지하고, 아직까지 생소한 문화다양성 교육의 조기정착과 실현을 위한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초·중학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 분석

        방기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ontent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2015 by the core value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to school sites. For this, 12 core values ​​selected as the criteria for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considering the concept and core value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ere structured by school class and grade group, and the contents analysi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as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 68 class hours in 11 subjects were related to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middle school, 48 class hours in eight subjects were related to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t included a lot of social justice, democratic citizenship, compliance, democratic decision-making, fairness, human rights, peace, and cultural heritage.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operates around the 'moral', 'language', and 'society' subjects which contain a lot of related contents, an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diversely in other related subjects. To this end, it is based on the content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alyzed in this study,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materials can be developed, and the training and utiliza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for school teachers can be carried out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development materials. 이 연구는 초·중학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을 문화다양성 교육의 핵심가치별로 분석하여 학교 현장 적용이 가능한 교수·학습 활동 자료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 및 핵심가치 등을 고찰한 문헌 연구와 분석 준거로 선정된 핵심가치 12개를 학교 급 및 학년 군별로 구조화하여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에는 11개 교과에 68차시의 수업 시수가 문화다양성 교육과 관련되어 있었으며, ‘사회’, ‘도덕’, ‘국어’ 교과 순으로 문화다양성 존중, 공감, 공존, 공감, 공익, 친구 및 가족 관계, 준법, 민주 의사 결정, 공정, 인권, 평화, 문화유산 등의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중학교에는 8개 교과에 48차시의 수업 시수가 문화다양성 교육과 관련되어 있었으며, ‘국어’, ‘도덕’, ‘사회’ 교과 순으로 공감과 배려, 의사소통, 존중, 공감, 공존, 공정, 사회 정의, 민주 시민 의식 등의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초·중학교의 문화다양성 교육은 관련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도덕’, ‘국어’, ‘사회’ 교과 중심으로 운영하고, 기타 관련된 교과에서도 다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 연구에서 분석된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을 토대로 교수·학습 활동 자료를 다양하게 개발하고,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교육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학교 교사 대상의 문화다양성 교육 직무 연수 또는 자료 활용 연수 등의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사회문화예술 교육 현장에서의 문화다양성 교육 연구 -`아시아의 옛 이야기 마법의 그림여행`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성숙 ( Jo Sung Soo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문화다양성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기획한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활동을 소개하고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여 문화다양성 교육의 실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아시아 여러 나라의 신화, 종교, 전통적 가치관 그리고 역사와 문화 등을 책 만들기와 스토리텔링, 다문화체험, 아시아 전통미술 수업으로 진행하고 나서 학생들의 문화다양성에 대한 의식변화를 분석해보았다. 타 문화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사회 전반에 걸쳐서 문화다양성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초등학생들의 기초 인성 교육으로서 문화다양성 교육은 그 의미가 크다. 다양한 문화의 체험과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한 공감은 국제화·세계화로 인한 다양성의 허용과 문화 간 차이를 포용하는 태도로 귀결된다. 이를 중심으로 실천 가능한 교수·학습 방법을 펼쳐 나가야 한다.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는 지금의 초등학생들에게 차이를 존중하고 인정하는 교육적 효과가 다문화 시대의 갈등 해소와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는 단초가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문화다양성 교육은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교육활동을 추구해야 하며, 현재 우리 사회현실이 반영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실질적인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해서는 일선 학교에서부터 일상적인 모든 공간에 이르기까지 다양성과 차이를 포용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향후 본 프로그램이 지속적인 교육 콘텐츠로 연계되어 현장에서의 실천적인 변화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activities of the socio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 which is planned with interest to cultural diversity.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hrough educational effect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 covers the myths, religions and traditional values of Asian countries. In detail, we organized books, storytelling,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Asian traditional arts with the theme of history and culture of various countries. After that, I analyzed the change of consciousness about cultural diversity of students.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throughout society to create a social atmosphere that acknowledges and respects other cultures. In particular,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s a basic character education of elementary students is significant. Experience and empathy for diverse cultures result in an acceptance of diversity and an attitude of embracing cultural differences. It should be possible to implement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this. The educational effect that respects and acknowledges the difference will be the beginning of the prese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the multicultural era to raise conflict resolu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the multicultural era. In conclusion,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should pursue concrete and practicable educational activities and should reflect current social reality. Therefore, for practical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accommodate diversity and difference from the school to all the usual everyday spaces. This study is expected to lead to practical changes in the field by linking with continuous educational contents in the future.

      • 문화다양성정책과 교육의 연계에 관한 고찰

        김경숙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30 No.2

        UNESCO adopted the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 at the 3rd general meeting in 2005. And Korean society increased interest and revitalized discussion over cultural diversity. The Korean government became 110th ratified country by get the agreement in 2010. However, after that, cultural diversity policy only focused on multi-cultural policy.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law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cultural diversity’ in 2014. The purpose of this enactment was enlarge the all-around advanced cultural diversity policy. In company with this, it is expected to push ahead the policy connected with ‘The law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cultural diversity’ including cultural diversity protection and promotion education which companied with training for professional manpower of cultural diversity. Policy can be guaranteed its diffusion of the effectiveness and durability only when the relevant education is supported. In this respect, this paper research the meaning and its value on cultural diversity. It will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diversity policy and importance of education. For this process, this paper put examine and will compare the article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t is supposed to exemplify the desirable goal, direction, key values and the contents system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UNESCO는 2005년「문화다양성협약」을 체결하였다. 한국정부도 2010년 비준국이 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문화다양성정책은 소극적 다문화주의정책이 주류였다. 이에 한국정부는 2014년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에 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한 단계 더 발전된 문화다양성정책으로 확대해 나가기 위해서이다. 정책이란 사회 각 영역에서 관련 교육이 뒷받침되어야 기대효과의 확산성, 지속성이 담보될 수 있다. 서구국가에서도 문화 간 차이를 이해시키고 사회 내에서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도록 하는 가장 효과적인 채널은 학교교육이었다. 이에 이 글에서는 문화다양성의 함의와 가치, 국제사회에서의 문화다양성 논의, 한국 중등학교 문화다양성 교육과정 현황 및 과제를 분석하고, 문화다양성교육의 목표, 핵심 가치, 교육 주제와 내용 안을 구안해 예시하였다. 그리고 문화다양성교육과 기존 다문화교육과의 관계 검토 및 재설정, 적극적 다문화주의와 상호(간)문화주의 기조의 교육 강화, 특화교육에서 통합교육으로의 전환, 분리교육에서 소통교육으로의 전환, 정부 문화다양성교육프로그램과의 연계 강화, 소수자와 다수자를 모두 포함한 교육과정 구안, 범교과적 접근과 각 교과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함양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