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earing Rehabilitation Using Bone Conduction Implants in Patients With Single-Sided Deafness After Vestibular Schwannoma Removal

        이정금,박주하,문인석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23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66 No.8

        Background and Objectives Vestibular schwannoma (VS) itself or treatment of VS cancause single-sided deafness (SSD), a unilateral sensorineural hearing loss. Patients of SSD ex-perience communication problems, which can be frustrating. For decades, many types of boneconduction implants (BCI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treat such hearing problems. In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BAHD surgery to treat SSD patients’ hearing im-pairment and analysed the complications patients suffer. Subjects and Metho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conducted on 12 patients who hadundergone BCIs, such as Baha Attract, Bonebridge, and Sophono implantation, after removalof VS. From 2016 to 2021, one senior surgeon at a single tertiary hospital performed surgeryfor SSD rehabilitation. The authors analysed the clinical features, radiologic findings (CT andMRI), hearing tests (pure tone audiogram [PTA], speech audiogram [SA], and Korea hearingin noise test), subjective satisfaction scores (abbreviated profile of hearing aid benefit), andsurgical outcomes of the patients. Results All patients underwent temporal MRI, temporal bone CT scan, PTA, and SA atleast 3 years after VS removal and confirmed no residual tumour or serviceable contralateralhearing at the last follow-up. Among the patients (12), eight received Baha Attract implanta-tion, three received Bonebridge implantation, and one received Sophono implantation. On theaverage, patients’ ipsilateral hearing outcomes improved by 82.7 dB (from 115.8±9.8 dB to33.1±9.5 dB). Conclusion There are many methods of hearing rehabilitation in SSD that are used afterVS, but BCI seemed to be the most useful treatment.

      • KCI등재

        유아교실에서 교사 상상력에 관한 경력유아교사들의 이해

        이정금,김성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1

        본 연구는 경력유아교사들이 유아교실에서 교사 상상력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가 발휘하는 상상력의 특성과 가치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력유아교사 12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의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의 상상력은 수업계획 시 수업을 창조적으로 변형하는 힘으로 이해하였고, 수업 실행에서는 교사-유아의 리좀적 사고를 열어주는 힘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교사의 상상력은 자유선택활동 등 교실의 일상에서 보다 편안하고 자유롭게 발휘되며, 교사와 유아를 친밀한 관계로 이어주는 힘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반면 연구참여자들은 교사 상상력 발휘에서 어려움이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상상력 교육 및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에 대해서 말해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육에서 교육현장에서 교사가 발휘하는 상상력의 가치를 폭넓게 해석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and recognize imagination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teacher’s imagin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 un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to 12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considered teacher’s imagination seriously before, and The interviewed contents were analysis with a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understand teacher’s imagination as power to transform a class in the planning creatively and in the process of class implementation, they understand it as power to open teacher-children’s rhizomic thinking. Also, they think teacher’s imagination is more comfortably and freely exhibited in the usual activities of class, such as free choice activities, and they regard it as power to connect teacher and children intimately. Second, the study participants talked about what makes it difficult to exhibit teacher's imagination and also ways to improve imagination diversely.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author presents a discussion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mainly with art-centered experience activities in order to cultivate early childhood teacher' s imagination.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will be us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view the value of teacher’s imagination broadly.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실행과정에 관한 연구

        이정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is study aims to make observations of processes in which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inuously dissolve and reconstruct their own class structures while implanting curriculums to realize making curriculums together with young children. For this, making curriculums together with young children was implemented for eight months with three teachers of classes for four year old children in the Forest Day Care Center located in K city. As a result, while reconstructing curriculums, teachers began to become disillusioned from fantasies of predicted paths of planned curriculums and they began to go beyond the representations of reconstructed curriculums while listening attentively to young children. Also, through attentive listening, they became aware of encounting with young children that occurs dur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came to implement curriculums in which unpredictable and random events are created. Through this process, teachers felt confusion and anxiety regarding uncertainty and incompleteness but they also felt joy making curriculums together with young children while experiencing curriculums that unfold as pluralistic and complex open systems. Also, they came to understand curriculums as grounds where new experiments and movements are created. It seems that such processes will have a bridging role in allowing teachers to create creative curriculums together with young children in an age that emphasizes the practice of teachers autonomously creating curriculums. 본 연구는 유아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해 유아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끊임없이 자신의 수업구조를 해체하고 재구축해 가는 과정을 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K시에 소재하는 숲속 어린이집 만 4세 반 교사 3명과 함께 유아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2016년 1월∼9월까지 실행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면서 계획된 교육과정의 예상된 경로에 대한 환상에서 깨어나기 시작했고, 유아에게 귀 기울이면서 재구성된 교육과정의 재현을 넘어서기 시작했다. 그리고 귀 기울이기를 통해서 교육과정 실행에서 발생 되는 유아와의 마주침을 감지하게 되었고 예상할 수 없는 우연적 사건이 생성되는 교육과정을 실행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교사들은 불확실성과 불완전함에 대한 혼돈과 두려움을 느끼기도 했지만, 다원적이고 복잡한 열린계로 펼쳐지는 교육과정을 경험하면서 유아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에 즐거움을 느꼈다. 그리고 새로운 실험과 운동이 생성되는 장으로 교육과정을 이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실천적 노력은 자율적으로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실천이 강조되는 시대에 유아교사들이 유아와 함께 창조적인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는 데 가교적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후보

        농업계열 고등학생의 진로장벽, 직업가치관이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정금 한국진로교육학회 2009 진로교육연구 Vol.22 No.1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effect of the students of agriculture specialized high schools’ career barriers and occupational values on the self-efficacy so that these students can cultivate the ability to select future career and to adapt effectively with self-confidence. Towards this en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of eight agriculture specialized high schools located nationwide, and total of 400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50 for each school. Among them, 342questionnaires were recovered, and the total of 329 data was used at the end, excluding 13 with incomplete answers. The key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areer barriers tended to be lower when the grade is higher in the schools and when the family’s economic level was higher. In other words, when grade would increase and while the economic level is higher, occupational value increases as well. When the grade is higher and economic level is higher, career self-efficacy too increases. In other words, school grades, grade and economic level are related to the roadblocks to the career,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self-efficacy variables. Accordingly, these variables need to be factored in to develop school counseling program. Second, although the correlation is rather weak, roadblocks to the career,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self-efficacy are correlated statistically and negatively. In other words, students of agriculture specialized high schools’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self-efficacy tended to decrease when the roadblocks to the career are higher. Meanwhile, career self-efficacy increases when the occupational values is higher. Accordingly, diverse school counseling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chools. 본 연구는 농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장벽과 직업가치관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이들 학생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장래의 직업을 선택하고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에 소재한 8개 농업계 특성화 고등학생 3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성적, 학년, 경제적 수준에 따라서 진로장벽과 직업가치관이 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삼원변량분석과 이들 변인간의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에서 성적이 높고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장벽이 낮았으며, 즉, 학년이 높아지고 성적이 높으면서 경제수준이 높아질수록 직업가치관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년이 높고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자기효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의 성적, 학년, 경제적 수준은 진로장벽, 직업가치관, 진로자기효능감 변인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변인을 고려하여 학교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진로장벽, 직업가치관, 진로자기효능감은 약하지만 서로 정적,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농업계 특성화고등학생들의 경우에 진로장벽이 높을수록 직업가치관 및 진로자기효능감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직업가치관이 높을수록 진로자기효능감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별 특징에 따라 다양한 학교진로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 KCI등재

        미래사회 한국 다문화교육정책의 방향 탐색

        이정금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1

        최근 한국사회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미래 한국사회에서 다문화학생은 우리사회의 소중한 자원이며 중요한 사회구성원이다. 그러나 다양한 배경을 가진 다문화 학생들이 우리사회의 고정관념 과 편견, 교육소외로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다. 이 연구는 현재 진행되는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미래사회 한국 다문화 교육정책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다문화가정의 실태, 다문화 가정 자녀 및 학생현황을 파악하여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한 후 교육부와 ・여성가족부, 그리고・법무부에서 실시하는 다문화 교육 정책 추이를 살펴보고, 관련 자료를 근거로 현행 한국 다문화 교육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현행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 일관성 없는 다문화교육정책과 부처 간 소통 부재, 일방적인 한국문화 주입과 강요 그리고 관련 기관 협력부재와 사회관계망 부족을 들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미래사회 다문화 교육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Recently, Korean society has rapidly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 trend. In the future Korean society, multicultural students are important resources of our society and important membe rs of society. However, multicultural students with diverse backgrounds face many difficulties with stereotypes, prejudices, and educational alienation in our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 the future society by deriving the problems of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we first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status of children and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identify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fter examining the trends i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mplemented b 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Ministry of Justice, we analyzed the problems of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Problems of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clude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consistent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and absence of communication between ministries and agencies, unilateral Korean culture injection, absence of cooperation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and shortage of social networks. Based on this, the futur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was suggested.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유형별 일터학습과 일터적응에 관한 연구

        이정금,심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2

        As Korean society is rapidly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international marriages, it is easy to meet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workplace in Korea. The diversification of workplace members calls for a new paradigm shift for the existing workpla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support workplace learning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various backgrounds of origin through a qualitative study and exploring their workplace learn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various countries working in Korea.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hone interviews, and the interview contents were recorded and memoized. As a result of the study, marriage immigrant women received character education, job education, and remuneration education through formal learning after joining the company, and learned their jobs through informal learning through appointments, colleagues, and directors. In the process of working, they developed ideas and loyalty,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In the workplace adaptation process, difficulties such as job itself, communication, and multicultural awareness were resolved through informal learning. The measures to support marriage migrant women's workplace learning obtained through the study include: first, systematic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professional qualification education and package employment program development, and third, reinforcement of informal learning. Policy recommendations are: First, establishment of a public relations system, Second, establishment of mandatory employment system, Third, efforts to improve multicultural awarenes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ways to improve workplace support policies by exploring the workplace learning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weak in social advancement. 한국사회가 국제결혼의 급증으로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변하면서 한국 일터 현장에서도 다문화가족을 쉽게 만날 수 있다. 일터 구성원의 다양화는 기존 일터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청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통해 출신국의 배경이 다양한 결혼이주여성을 심층 면담하고 이들의 일터학습을 탐색하여 일터학습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한국 일터에 종사하는 다양한 모국을 가진 결혼이주여성 11명이며, 자료수집은 심층 면담과 전화면담으로 하였고, 면담내용은 녹취 및 메모하였으며 녹취된 자료는 필사하여 주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은 입사 후 형식학습을 통해 인성교육, 직무교육, 보수교육등을 받았으며, 선임, 동료, 원장 등을 통해 무형식학습으로 직무를 익혔다. 이들은 일을 하는 과정에서 아이디어, 애사심이 생겼으며, 이것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주었다. 일터적응과정에서 직무자체, 의사소통, 다문화인식 등의 어려움은 무형식학습을 통해 해소되었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혼이주여성의 일터학습지원 방안은 첫째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 둘째, 전문 자격증 교육 및 패키지 취업 프로그램 개발, 셋째 무형식학습의 강화 등이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첫째, 홍보시스템 구축 둘째, 의무고용제도확립 셋째, 다문화인식개선 노력 등이다. 본 논문은 사회진출이 취약한 결혼이주여성의 일터학습을 탐색하여 일터지원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문화다양성 교육정책 분석과 발전 방안 탐색

        이정금,이병환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in Korea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re summarized, and the current state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conducted by the government is analyzed to find ways to develop a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suitable for our society. Di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blems of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are as follows: First, the mixed use of the ter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of assimilation, third,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still lower than that of major developed countries, and the fourth, one-time project promotion and redundant support Etc. As a way to develop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firstly, the transition from assimilation policy to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second, the definition of ter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he third expansion of national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fourth, cultural diversity in regular subjects at schools The creation of a new curriculum, the fifth, the establishment of a cross-cultural exchange field, and the creation of a third new culture as an open perspective on the sixth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문화다양성과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현재 정부 주도로 실시되는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우리 사회에 맞는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의 문제점은 첫째, 다문화교육과 문화다양성 교육 용어의 혼용, 둘째, 동화주의 교육정책의 시행, 셋째, 주요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의 다문화수용성, 넷째, 1회성 사업추진 및 중복지원으로 정리할 수 있다.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의 발전 방안으로는 첫째, 동화주의 정책에서 문화다양성 교육으로 전환, 둘째, 다문화교육과 문화다양성 교육에 대한 용어의 정리, 셋째 문화다양성 교육 기회의 확대, 넷째, 학교의 정규교육과정에 문화다양성 교과목의 신설, 다섯째, 학교 안팎에서 상호문화교류의 장 마련, 여섯째, 문화다양성 교육을 통한 새로운 문화 창출 등을 제안하였다. 무엇보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육정책 입안자들을 포함하여 일선 학교의 교원들이 문화다양성 교육에 대한 적극적이고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일터학습이 혁신성과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정금,손승남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4 평생학습사회 Vol.10 No.2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 인해 일터학습은 일과 학습이 분리된 개념이 아니라 조직과 조직원들의 유기적인 관계형성과 성장을 촉진시키는 학습활동으로 변하고 있다. 이렇게 급변하는 조직 환경에서 조직생존을 위한 전략으로 떠오른 개념이 일터학습과 조직시민행동이다. 이 연구는 일터학습이 유형에 따라 혁신성, 조직몰입,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조업 근로자 292명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자료를 수집한 후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모형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의 활용 유형인 형식적 학습, 무형식 학습, 우연적 학습은 조직구성원의 혁신성,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무형식 학습과 우연적 학습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형식적 학습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시민행동의 영향요인을 분석해 볼 때, 조직시민행동의 영향요인은 형식적 학습, 무형식학습, 혁신성, 조직몰입 등이다. 우연적 학습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매개경로 분석결과 우연적 학습은 혁신성, 조직몰입을 통해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In a changing society, organization is interested in innovative and volunteer human resources. In this organizational environment concepts of workplace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ecame significant strategies for organizational survival. This study aims to inquire the effect of workplace learning on innovatio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achieve those purposes, data was collected for 292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collected data was applied by model analysi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As results, three types of learning, that is, formative learning, non-formative learning and random learning,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addition, non-formative learning and random learning made an effect on organizational immersion, but formative learning didn.t make any effect on organizational immersion. If analyzing effective fa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ffective fa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re formative learning, non-formative learning, innovation, organizational immersion, etc. Random learning didn.t make an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o it couldn.t be supported. But, as the result of analysis by mediated course, random learning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y means of the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 KCI등재

        무형식학습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정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7 평생학습사회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innovativeness, superiors’ support, and peer support among the types of workplace learning among the manufacturing workers of large corporations.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on innovation,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support. To do this, we set up a research model by using informal learning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nov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supervisor support and peer support as control variabl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500 regular workers employed in manufacturing industry of large corporations using colony sampling method and 451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research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formal learning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shows that positive learning effect and innov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Second, ‘Supervisor support will control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on innovativ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innovativeness through informal learning by the supervisor. Third, it was shown that ‘support for peers will control the influence of informal learning on innovation’, and peer support does not control improvement of innovativeness through informal learning. Through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boss’ s interest and effort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innovation improvement through the informal learning of the members, and the support of the peer does not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the innovation. This study will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effective workplace learning managemen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의 제조업 직장인을 대상으로 일터학습의 유형 중에서 무형식학습과 혁신성, 상사지원, 동료지원 간의 상호 관련성을 실증 분석하여, 무형식학습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상사지원과 동료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다. 이를 위해 무형식학습을 독립변수로, 혁신성을 종속변수로, 상사지원과 동료지원을 조절변수로 구성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는 대기업의 제조업에 근무하는 일반 직장인 500명을 대상으로 집락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51부를 회수하여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무형식학습은 혁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줄 것이다’는 무형식학습과 혁신성은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지원은 무형식학습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는 상사의 관심과 노력은 구성원의 무형식학습을 통한 혁신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료지원은 무형식학습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는 동료지원은 구성원의 무형식학습을 통한 혁신성 향상을 조절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상사의 관심과 노력이 구성원의 무형식학습을 통한 혁신성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점과, 동료의 지원이 혁신성 향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점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차원에서 효과적인 일터학습 관리를 위해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