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발전 전략

        방기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2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5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by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and to suggest development strategies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o this end, the organizational charts, related tasks, and major business plans of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that operate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analyzed.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city·gun·gu education support offices were promoting tasks such as organizing and operating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and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ity·province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and city·gu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were operating programs other than the curriculum, such as rural experience, 4-H, and daily horticulture. However, the curriculum operation by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lacked the contents in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ere was insufficient linkage with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Based on these analysis and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as divided into a short-term strategy linking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newly established department in charge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and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s, a medium-term strategy linked by the newly established education organization and a long-term strategy connected by the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 and the agriculture-related organization based on the relevant laws so that it could be implemented in stages. Such a step-by-step development strategy needs to be pursued in parallel with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member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e review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e formation and continuous discussion of the expert T/F team, and the continuous publicity for the public. 이 연구는 교육 관련 조직과 농업 관련 조직에 의한 교양농업교육의 운영 현황과 문제를 파악하고,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발전 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운영하는 교육 관련 조직과 농업 관련 조직의 조직도, 관련 업무, 주요 업무 계획 등이 분석되었다.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해서는 교육 관련 조직인 교육부, 시·도 교육청, 시·군·구 교육지원청에서 초·중등 교육과정 편성·운영 등의 업무를 추진하고, 농업 관련 조직인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시·도 농업기술(원)센터,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에서 농촌 체험, 4-H회, 생활 원예 등과 같은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 관련 조직에 의한 교육과정 운영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에 교양농업교육 내용이 부족하고, 비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농업 관련 조직의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에서는 교양농업교육 전담 기구의 부재, 교양농업교육 운영 기관 및 단체 간 관련 사업의 중복, 교양농업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국가 수준과 지역 수준의 플랫폼 운영 미흡 등으로 교육 관련 조직과의 연계가 부족하였다. 이러한 분석 및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발전 전략은 교육 관련 조직과 농업 관련 조직의 교양농업교육 담당 신설 부서가 연계하는 단기 전략, 교육 관련 조직과 농업 관련 조직의 교양농업교육 전담 신설 기구가 연계하는 중기 전략, 교육 관련 조직과 관련 법에 근거한 농업 관련 조직의 교양농업교육 전담 신설 기구가 연계하는 장기 전략으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단계별 발전 전략은 교양농업교육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인식,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검토, 전문가 T/F 팀의 구성 및 지속적인 논의, 국민 대상의 지속적인 홍보 등과 병행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개발 방안

        방기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는 농업의 변화에 부응하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초등학교 수준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의미와 범위 고찰, 교양농업 교육내용 변화에 대한 교육과정기별 분석 및 문제점 도출, 그리고 이를 토대로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서는 내용 분석의 준거가 되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영역을 ‘농업의 이해’, ‘우리생활과 농업’, ‘자연자원과 환경’, ‘동물 생산’, ‘식물 생산’, ‘농산물 가공’, ‘농산물 유통’, ‘농업 정책’, ‘농업과 진로’ 등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실과교육과정기별로 교육내용의 변화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이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실과교육과정기에 따른 교양농업 교육내용은 특정 영역에 편중된 편성, 독립적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구성, 계열성, 계속성 등의 원리가 반영되지 않은 교육내용의 조직, 실과교육과정기별로 다양성과 일관성이 결여된 농업 교육내용의 편성, 계속적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감소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개발을 위해서는 ‘농업의 이해’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의 편성, 통합된 내용의 구성, 계속성과 계열성 있는 내용의 구성, 다양성과 일관성 있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편성, 충분한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확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초등학교 수준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은 설정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농업의 변화 및 교양농업교육 구성원의 요구를 반영해야 하며, 이에 의한 최적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scope of educational contents, to analyse the changes and problems of educational contents, to present th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contents analysis. The criteria of educational contents analysis by review of literature wer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Living and Agriculture’, ‘Natural Resource and Environment’, ‘Animal Production’, ‘Plant Production’, ‘The Crops Processing’, ‘The Crops Distribution’, ‘Agricultural Policy’, ‘Agriculture and Career’ domains.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had various problems : specific and independent organization, deficiency of diversity and consistency, decrease of educational contents etc.(2)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should contain the contents of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domain, organize an integrated contents, and be applicable to diversity and consistency. Also it should secure an enough quantity.(3)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that i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have application to needs of constituents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 초등학교 실내 식물 가꾸기 활동이 학생들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방기혁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初等敎育硏究 Vol.26 No.1

        1.1.1. The Impact of Indoor Planting Activity 1.1.2. to the Students Personality 1.1.3. in Elementary Schools 1.1.3.1. Lee, Yun-Jeong․Bang, Gi-Hyeo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stood to examine the effect of planting program by implementing various programs providing.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he primary homogeneity examination for the 30 students among the 10 classes of 5th grade as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and the planting activity had initiated for the experiment group, which was not undertaken for the comparison group. After the experiment, the same examination as the primary test had been undertaken and the result is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different resul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cluding the responsibility factor, accomplishment factor, superiority factor, overwhelming factor and emotional factors and average value of the experiment group ha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as the analysis result of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for the pre and post experiment, the experiment group had statistically different outcomes from the liberalism factor, accomplishment factor, and superiority factor, and all other factors had increased average value. The control group had lower average value although the responsibility factor and the overwhelming factors there was not statistical value for the rest of the variables, as all other factors had decreased value for the control group. Third, the research sought for the result of different outcomes of different genders of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through various experiments. This experiment had more influence on the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Key Words: Indoor planting, Personality, Elementary school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역량에 미치는 효과 분석

        방기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0 實科敎育硏究 Vol.26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역량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G교육대학교에서 다문화교육 강좌(다문화사회와 교 육)를 2019년도 2학기에 15주차를 수강하는 학생 31명을 대상으로 단일집단사전사후검사법을 적 용하였으며,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의 기술통계와 t검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다문화교육을 실시하기 전에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역량은 전체적으 로 높게 나타났으나 다문화 감수성의 상호작용자신도와 상호작용주의도는 보통보다 약간 높았고, 다문화 교육역량에서는 다문화교육 지식이 보통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교육을 실시한 후 에는 다문화교육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역량에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 중에서는 다문화 감수성에서 문화차이존중도와 상호작용주의도, 다문화 교육역량에서 다문화 교육 지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예비교사들이 다른 문화를 존중하면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교류를 즐기 려는 감수성을 지니고 있었고, 다문화교육 강좌에 자아정체성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문화교류에 대 한 자신감을 갖게 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문화교육의 인식과 기술은 다양한 문화 접촉 과정에서 어느 정도 갖추어지지만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식은 체계 적인 교육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역량을 갖춘 예비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에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역량의 하위요인들을 모두 증진시킬 수 있는 표준화된 다문화 교육과 정을 개발하고, 다문화교육 강좌를 필수 과목으로 전환하여 모든 예비교사들에게 표준화된 교육과 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educational competency. To this end, a single group pre-post test was applied to 31 students who took a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multicultural society and education) at G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verification of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educational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were generally high, but the interaction confidence and interaction attentiveness of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were slightly higher than normal,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knowledge was found to be average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competency. Regarding the effects after multicultural education, it was found that both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educational competency were effective. This result was that pre-service teachers had the sensibility to actively participate and enjoy exchanges while respecting other cultures, and there was a need for more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build confidence in cultural exchanges based on self-identity and confide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In addition, it could be seen that although the recognition and skil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to some extent acquired through various cultural contacts, knowled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obtained through systematic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cultivate preservice teachers with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it should be developed a standardized multicultural curriculum that can enhance all the sub-factor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and converted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into mandatory subjects at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후보

        전남 도서벽지 및 농어촌 지역의 초등학교 교육 모델 개발

        방기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6 實科敎育硏究 Vol.12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for educational model of elementary school for Jeonnam islands and remote rural area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research materials, and consultative meeting with professionals. The educational model contains Jeonnam office of education,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educational university, elementary school, and community etc. Jeonnam office of education plans an educational policy for elementary school in Jeonnam islands and remote rural areas.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analyzes the needs of community, compiles elementary curriculum, and supports the elementary education for islands and remote rural areas. Elementary school manages curriculum by educational plan, makes up the educational conditions such as manpower and environment. And Educational university manages curriculum for cul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his model will present a direction of elementary education for Jeonnam islands and remote rural areas, consitute positively educational environment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connection of educational university, office of education, community etc. Also, it will manage regional curriculum suitable to Jeonnam islands and remote rural areas, can promote the basic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후보

        창의ㆍ인성교육을 위한 융합(STEAM)형 실과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방기혁,박행모,김용익,이성숙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2

        이 연구는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융합적인 실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써 문헌 연구와 전문가 협의회를 이용하여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 개발 모형은 선형 접근법에 기초하여 기획, 설계, 실행, 평가의 4단계로 구성하고 이를 다시 21개의 세부과정으로 세분화하였다. 기획 단계에서는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융합(STEAM)형 실과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확인, 학습자의 특성 파악 및 요구 분석,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파악, 실과교육과정 분석, 실과 학습 요소와 관련 있는 타 교과의 내용 분석, 융합 교육을 위한 통합 유형 및 방법 결정, 우선순위 결정, 프로그램 계획안 작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설계 단계에서는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융합(STEAM)형 실과교육 프로그램 목표 설정, 프로그램의 내용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 방법 결정, 프로그램 목표에 근거한 평가 계획 수립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융합(STEAM)형 실과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계획 수립, 프로그램의 운영 목표 확인, 프로그램 지도안 및 자료 개발, 프로그램 운영이 되고, 평가 단계에서는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융합(STEAM)형 실과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목표 확인, 프로그램의 평가 영역 및 준거 결정, 프로그램의 평가 도구 제작, 프로그램 평가 실시,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 활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 개발 모형은 창의·인성교육을 강조하고, 학문의 융합적 접근을 요구하는 교육 환경의 변화 속에서 실과교육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학교 현장으로의 보급이 활성화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The study was for developing the model of STEAM based practical arts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the council of specialist. The development model based linear approach composed of 4 levels such as planning, design, execution, evaluation and 21 detail processes. In the planning level it contained a confirmation of needs for program development, the learners’ traits and needs analysis, a confirmation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management guide for school education, an analysis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contents analysis of other subjects related to learning elements on practical arts subject, determination of integration types and methods for STEAM education, determination of the priority order, drawing up of program proposal. In the design level it divided into objectives fixing for program,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program contents, determin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establishment of evaluation plan based on program objectives. In the execution level it contained establishment of program management plan, confirmation of program management objectives, development of program guidance plans and materials, management of program. In the evaluation level it contained confirmation of program evaluation objectives, determination program evaluation domains and standards, making of evaluation tools for program, execution of program evaluation, utilization of program evaluation results. The developed model can be used in various program development reflected in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formed the basis of revitalization of STEAM based practical arts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초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방기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3

        The study was to seek a new paradigm to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was categorized into education by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on the based of the organization and business contents of the educational and agr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relevant articles and research papers, the original curriculum etc.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by the educational-related institutions was managed by practical arts curriculum with the content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Ministry of Education, Offices of Education,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s. had the problems such as non-allocation operation time on 3~4 grade cluster, the composition of content system by the field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ategorization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reas excluded from agriculture. the composition of content that lacks diversity and future direction,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etc.,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by the agr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was managed by cooperation among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and Agricultural Technology Service Center, was the programs such as a lack of connection with elementary curriculum, one-time operation of a program based on relevant act, a lack of awareness of need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reflect on the concept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agriculture, a clea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e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and operating conditions, agr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interest and support, systematic organization for program running, the development and support of program and material should be pursued. Especially, the connection between and existing agr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or new agr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should be sought.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양농업교육을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과의 접목에 의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 것으로써, 교양농업교육에 대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원문, 교육 및 농업 관련 기관의 조직 및 업무 내용, 관련 논문 및 연구 자료 등을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고찰하고, 운영 내용 및 문제를 파악하여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교육 관련 기관에 의한 교양농업교육은 교육부의 국가 교육과정을 토대로 시·도 교육청, 시·군·구 교육지원청이 초등학교와 연계하여 교양농업교육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실과 교육과정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3~4학년군에 운영 시수 미배당, 실과 학문 분야별 내용 체계 구성, 농업이 제외된 기술과 가정 중심의 영역 구분, 다양성과 미래 지향성이 부족한 내용 구성, 교양농업교육의 개념에 대한 이해 부족, 교수·학습 방법의 수행 과정과 절차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 관련 기관에 의한 교양농업교육은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 등이 교양농업 관련법에 의한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도 농업기술원, 시·군 농업기술센터,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등과 협력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미흡, 관련법에 근거한 프로그램의 일회적 운영, 교양농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재 등이 문제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운영에서 나타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통합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 농업의 개념 및 환경 변화를 반영한 교양농업교육 내용 개발, 교양농업교육의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이해 및 적용,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교원 연수의 확대, 교육과정 및 운영 여건의 개선(이상 교육과정 측면), 교양농업교육에 대한 농업 관련 기관의 관심과 지원, 교육과정 외 교양농업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체계적 조직, 농업 관련 기관 주도의 교양농업교육 프로그램과 자료 개발 및 지원(이상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 측면) 등이 요구되고, 교육 관련 기관과 기존 농업 관련 기관의 연계, 교육 관련 기관과 새로운 농업 관련 기관의 연계(이상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의 연계 측면) 등과 같은 새로운 접근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실과교육을 위한 평가 체제의 개발

        방기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theory of practical arts education evaluation, to develop the evaluation system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this, methods of study made use of review of literature and analysis of precedent research with technical books, the result and the report of studies related evaluation and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evaluation system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on the base of various study results developed . Evaluation system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was consisted of 4 levels such as plan, tool development, execution, result application. Evaluation plan(Level 1) subdivided into 2 sets such as confirmation of evaluation purpos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plan. Tool development(Level 2) subdivided into analysis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statement of evaluation objectiv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Execution(Level 3) subdivided into execution, material collection, result analysis. And result application(Level 4) subdivided into result report and introspection. In addition, analysis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contained selection of evaluation task, development of evaluation component and behavior component.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contained development of achievement criteria,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making of evaluation tool. Evaluation system developed systematically in order to apply it i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실과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 체제를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써 실과교육 평가에 대한 관련 이론을 고찰하고,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실과교육을 위한 평가 체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평가 및 교육 평가와 관련된 단행본, 연구 결과물, 연구 보고서 등을 통한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의 이론 및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과교육을 위한 평가 체제를 개발하였다. 실과교육을 위한 평가 체제는 평가의 계획, 평가 도구의 개발, 평가의 실행, 평가 결과의 활용 단계를 구분하였다. 평가의 계획 단계는 평가 목적 확인과 평가 계획 수립으로 세분화하고, 평가 도구 개발 단계는 교육과정 분석, 평가 과제 선정, 성취 기준 개발, 평가 기준 개발, 평가 도구 개발로 구분하였으며, 평가의 실행 단계는 평가의 실시, 평가 자료 수집, 평가 결과 분석으로 나누었다. 마지막으로 평가 결과의 활용 단계는 평가 결과 보고와 평가 결과 반성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평가 단계를 체계화하였으며, 평가 도구 개발 단계에서 실과교육과정 분석과 목표 진술 단계를 세분화하였다. 특히 실과교육과정 분석에서는 실과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목표와 내용 체계에서 평가 과제를 선정하고, 내용과 행동으로 세분화된 평가 요소를 분석한 후, 선정된 평가 요소와 관련해서 학습자가 달성해야 할 행동에 해당하는 행동 요소를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 대안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및 발전 방향

        방기혁,신윤호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1 實科敎育硏究 Vol.17 No.2

        이 연구는 다문화 대안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구명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었으며,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을 이용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서는 대안학교의 개념, 유형 및 현황, 다문화교육과 대안학교의 관계, 학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등을 고찰하였으며, 내용 분석은 외국인 근로자 자녀 특별학급 연구학교, 미인가 다문화 대안학교, 다문화 위탁교육기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였다. 외국인 근로자 자녀 특별학급 연구학교 프로그램은 공교육을 실시하는 일반학교 내에 다문화 특별학급을 설치하여 일반학급과 통합교육을 계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었으며, 교과 시간의 충분한 확보, 학교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보충 시간 확보, 일반학생과의 통합교육과 Pull Out제의 혼합운영 등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미인가 다문화 대안학교 및 위탁교육기관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시수 확대, 모국어와 영어 시수의 확대, 방과 후 활동과의 연계, 한국어 교육 시간의 증배 운영 등을 다문화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러한 다문화 대안교육 프로그램은 학년 단계별, 학교 급별로 교육 내용의 계속성, 계열성, 통합성이 부족하고, 초기 입학 학생들에 대한 기초 조사와 실태파악 미흡, 출신국가별 외국어 강사의 충분한 확보 미흡, 교재 부족, 교육 내용의 다양성 미흡, 기자재와 시설 부족, 창의적 체험활동 미흡, 진로교육과 직업교육 부족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발전적인 다문화 대안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국어와 사회과의 경우 교육과정상 교과별 수업시간 수의 100분의 50 이상을 운영하고, 수업 일수는 180일 이상으로 하며, 창의적 체험활동의 시수와 영역 확대, 이중 언어 교육 실시,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적용, 현장 체험학습 강화, 인성교육과 감성교육의 실시, 지역사회 연계 협력 프로그램의 도입 및 운영, 진로 및 직업교육의 운영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analy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o investigate the problems involved, and to present improvement of it .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content analysis. Special class programs for foreign labor children have managed integration education with general class continuously. And it has secured enough subject and supplementary lesson for school life, managed integration education and Pull Out with general students. Non-authorized schools have extended diecretional activity, mother language, english, korean language, connected after-school activity.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alternative school was short of continuity, sequence. integrity of educational contents, was insufficient basic survey of incoming student, foreign language lecturer, teaching materials, variety of educational contents, implement and facility,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career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Therefore, for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Korean language and social studies subjects must run 50/100 and over school hour in curriculum, 180 number of school days, extend diecretional activity, and manage dual language education, personality and emotion educati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