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부적응 학생의 대안학교 재적응 교육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최해룡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5 청소년상담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theory regarding the effective education program in which education of school readjustment for maladjustment students was progressed in school. I choose the participants among the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educaion in GAON alternative school affiliated with Youth alternative institute of DAEGU in at second semester, 2012. I analyzed material from interview with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selective coding and the results is as the following. It comes 294 concepts and 70 sub categories of the concepts and 14 sub categories. These 14 categories are major factors related to education of school readjustment for maladjustment students. It is as the following for the result of the relation among factors with paradigm model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education of school readjustment for maladjustment students in alternative school. ‘The results of analysis for change step related to readjustment education through process analysis, comes to ‘school maladjustment step’ and ‘participant in readjustment education step’, ‘learning and understanding step’, ‘change and readjustment step’. The main category of this study comes to ‘understanding themselves and pursuiting the objective and change to adjustment’. The result of relation among change and factor,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deviant behavior in school maladjustment process and understand themselves, try to get objectives through readjustment education in GAON alternative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부적응 학생의 재적응 교육이 갖추어야 할 효율적인 방안에 대한 이론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청소년대안교육원 부설 가온대안학교의 2012 년 2학기 재적응 교육에 참여한 학생들 중 2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통해서 얻은 자료들을 근거이론의 자료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284개의 개념과 70개의 하위범주, 또 그 하위범주를 더 추상화시킨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 14개 의 범주가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재적응교육과 관련된 주요 요인들이다. 학교부적응 학 생들의 대안학교 재적응교육 적응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패러다임 모형을 사용하여 요인 들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대안학교 재적응교육 적응과정에서의 중심 현상은 ‘일탈행동이 일어남'이었으며, 이를 이끄는 인과적 조건은 ‘학습능력과 학습태도의 결여', ’청소년기 발달에 따른 부적응'이며, 맥락적 조건은 ’학교 생활 적응의 어려움', ’교사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움', ’부모님과의 갈등'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 속에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중재하는 조건은��가온대안학교 재적응교육에 참여함', ‘학생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바르게 이끌어주는 교사와 만남', ’자기이해와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는 가온학교 교육', ’부모님의 변화와 선생님의 도움'이었다. 또 작용/상 호작용 전략은 ‘재적응교육을 통한 자기이해와 성찰의 추구', ’실현가능한 목표를 추구하 고 실천을 위해 노력함'이었고, 결과는��생각과 행동의 변화와 학교생활과 대인관계 적 응'으로 나타났다. 과정분석을 통해 재적응교육과 관련된 변화단계를 분석한 결과, 시간 의 흐름에 따라 ‘학교부적응 단계', ’일탈행동 단계', ’재적응교육 참가단계', ’배움과 이 해 단계', ’변화와 적응 단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핵심범주는��대안학교 재적응교육 을 통해 자기를 이해하고 목표 추구에 노력하여 변화와 적응하기'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적응유연 청소년의 생활양식 분석

        정경용,김춘경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ed the life style of resilient adolescents. The issues of study that are supposed by this study in relation to this are as follows. How much can the life style (BASIS-A) explain the resilience of adolescents? The subject is 454 students in total including two humanity high schools in Daegu and two vocational high schools. For this study the multiple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summed up as follows. How much life style, personality priorities and psychological birth order that are the main concepts of the Adler school explain and predict resilience was examined. For this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the explanation and prediction about the adaptative type following the life style (the vulnerable group, the adaptive group, the maladaptive group, the resilient group), in the case of the vulnerable group, the higher the scores of the variables such as being cautious (BC), belonging/social interest (BSI) and wanting recognition (WR), the higher the possibility that it might be a resilient group rather than a vulnerable group. In the case of the adaptive group, the higher the scores of the variables such as BC and BSI, the higher the possibility that it might be a resilient group rather than an adaptive group. In the case of the maladaptive group, the higher the scores of the variables such as BSI and WR, the higher the possibility that it might be a resilient group rather than a maladaptive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적응유연 청소년의 생활양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대구지역내 인문계 2개교에 재학 중인 고교생과 실업계 2개교에 재학 중인 고교생 총 454명이다. 본 연구를 위한 분석은 변량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해보면 생활양식에 따른 적응 유형(취약집단, 적응집단, 부적응집단, 적응유연집단)에 대한 설명 및 예측은 취약집단의 경우, 불안정성, 소속-사회적 관심갖기, 인정추구하기 변인의 점수가 높을수록 취약집단일 경우 보다 적응유연집단일 가능성이 높다. 적응집단의 경우, 불안정성, 소속-사회적 관심갖기 변인의 점수가 높을수록 적응집단일 경우 보다 적응유연집단일 가능성이 높다. 부적응집단의 경우, 소속-사회적 관심갖기, 인정추구하기 변인의 점수가 높을수록 부적응집단일 경우 보다 적응유연집단일 가능성이 높다.

      • KCI등재

        부적응 유아에 대한 유아교사의 담론 분석

        김경철 ( Kim Kyung Chul ),김인애 ( Kim In Ae ),한유진 ( Han Yoo J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담론에서 부적응 유아에 대한 이해를 탐색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8인을 대상으로 유아의 어떤 행동을 부적응 행동으로 인식하고, 부적응 유아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은 무엇인지, 그리고 유아의 원만한 유치원 적응을 돕는 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의 의미를 심층면담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는 ‘새로운 환경이 낯설고 두려운 유아’, ‘자신의 욕구를 부정적으로 표출하는 유아’, ‘집단에서의 상호작용이 익숙하지 않은 유아’를 부적응 유아로 생각하였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부적응 유아를 지도하는 데 있어 ‘자녀의 부적응 문제를 외면하고 교사도 믿지 못하는 부모와의 관계’, ‘도움이 필요하지만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체계’, ‘부적응 유아의 교사로서 자신에 대한 무력감’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부적응 유아의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서 ‘끊임없는 교육적 도전’, ‘교육공동체로서 가정과 관계 맺기’, ‘「우리 모두의 아이」가 적응하도록 지원하기’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들이 부적응 유아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의미를 이해하여 유아의 유치원 적응 지원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about maladaptive children through the discourse of teachers. A number of eight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The analytical aim was to understand what behavior of children is perceived as maladjusted behavior, what difficulties they teachers experience in their relationship with maladaptive children, and what measures they consider as helpful to maladaptive children for a smoother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considered ‘children who distrust and fear new environment’, ‘children who are unaccustomed with group interaction’, and ‘children who express their desires negatively' as children with maladjusted behaviors. Second, teacher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who turn a blind eye to their children’s maladjustment and who don’t trust their teachers’, ‘the system that needs help but cannot be helped’, and ‘a sense of helplessness toward oneself as a teacher of maladjusted children’ in guiding maladaptive children. Third, teachers needed ‘relentless educational efforts’, ‘relating to the family as an educational community’, and ‘supporting the concept of the child as belonging to all of us’, to aid adaptation of maladaptive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finding ways to support the children’s adaptation in preschools by understanding the teachers’ experience in managing maladjusted children at kindergarten site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은경,김종남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6 다문화교육연구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go-ident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between acculturation stresses and psycho-social adjustments. Acculturation stress scale items are designed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and the previous studies are reviewed to examine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cculturation stress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social adjustment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ego-identit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ego-identity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reveals that ego-identity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reveals that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has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mentioned.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고, 그 관계를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빈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각 변인에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Baron과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에 따른 매개효과 검증 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정체감이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ken과 West(1991)의 절차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 결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심리사회적 적응과 긴밀한 관계가 있었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심리사회적 적응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강한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 KCI등재

        명말 예수회 선교사들의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새로운 이름 짓기를 중심으로

        황종열(Hwang, Jong Ryu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神學展望 Vol.- No.210

        미켈레 루지에리와 마테오 리치를 비롯해서 많은 예수회원들이 명나라 말기라고 하는 구체적인 삶의 자리에서 ‘차이나 미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하느님께 창조된 존재들로서 동아시아 역사 주체들과 만나 동아시아 교회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역동과 폭력, 기쁨과 슬픔들이 발생하였다. 이는 역사의 관점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 필자는 ‘역사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기반으로 명말 예수회 선교사들이 차이나에서 펼친 선교 과정에서 시도한 새로운 ‘이름 짓기’와 연결하여 성찰하였다. 모든 존재는 자기가 들어선 시간과 공간 안에서 그 시간과 공간에 적응해가고 또 여기에서 만나는 모든 실재들에 적응해 간다. 모든 적응은 선택적 성격과 상호적 성격을 갖는데, 적응에 대한 이런 이해 위에 본고에서는 먼저 루지에리와 리치가 이름도 알려지지 않은 한 차이나 청년의 도움으로 라틴식 하느님 호칭인 Deus를 ‘天主’로 정착시킨 점을 주목한다. 이렇게 하느님의 이름을 차이나에 육화시킨 예수회 선교사들 또한 자신들의 서구식 이름을 차이나식으로 바꾸어서 차이나화하였다. 이런 적응을 기초로 이들은 차이나 입교자들에게 서구 가톨릭 세례명을 새 이름으로 주면서, 이들이 하느님의 새로운 자녀요 하느님의 새로운 백성으로 다시 탄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매개하였다. 그러나 이런 적응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서구 선교사들은 차이나 문화와 사회적 실재와 관련하여 차이나인들의 존재 차원을 지켜 가는 데 한계를 드러내면서, 차이나 가톨릭인들을 서구식 가톨릭 신앙살이 방식에 종속시키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새로운 이름 짓기에 초점을 맞추어서 선교사들이 행했던 이 선의의 적응과 적응의 폭력 과정을 명말 예수회 선교사들이 직접 기록한 자료들에 근거해서 이들이 들어서 있던 사회 관계 속에서 구체적으로 추적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Every one’s doing theology begins and grows and produces its fruits in a concrete life situations. Thus every theology has historicity and every history can be connected with theology. In the concrete living context of the Late Ming Period Jesuit missionaries attempted to do their “China mission” in which they met East Asian people created by God Himself and caused fullness and destruction and joys and griefs. We may approach to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ology and from that of history. Researcher chose to reflect on the works of the China Jesuit missionaries in the late Ming dynasty in terms of their new name for of God, for themselves and for the Chinese people whom they baptized. All beings adapt to the given time and space and the other beings that they encounter in their own time and space. Every adaptation has a selective and an interrelated character. On this understanding of adaptation, this study noted that Michele Ruggieri and Matteo Ricci inculturated Latin God"s name Deus as “天主” in Chinese with the help of a young anonymous non-Catholic Chinese person’s insight. On the basis of this new naming of God these two missionaries and the other China Jesuit missionaries, changed their European names into the Chinese style. On this sinification, while they gave new baptismal names to the Chinese catechumens, they opened the opportunity to be reborn for the new Chinese Catholics as the children of God and as the people of God. But in the process of this adaptation, the Western missionaries revealed their limitations in keeping the religious and cultural dimensions of the Chinese people and tried to dominate religiously the Chinese Catholics in their faith life. Focusing on the new naming of the Western missionaries, this study examines their healthy adaptational endeavors as well as the religious violence revealed during their Chinese mission in the concrete social relationships on the basis of the works of the Jesuit missionaries themselves.

      • KCI등재

        진로적응성 연구의 문헌고찰: 진로구성주의 이론의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유지연(Jee-Youn You),신효정(Hyo-Jung Shi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진로구성주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적응준비-적응자원-적응반응-적응결과로 연결되는 순차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10월까지 진로적응성을 검색어로 하는 논문 중 76편의 문헌을 검토하고, 그 중 CAAS로 진로적응성을 측정한 36편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진로적응성을 매개변인으로 한 3편의 연구에서 진로적응모형의 순차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진로적응과 관련된 변인들을 진로적응모형의 이론적 틀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하여 진로구성주의 이론에서 제시한 진로적응모형의 이론적 틀이 국내에서도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진로적응성의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In the present study, with a focus on the career adaptation model based on the career construct theory, the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adaptivity readiness-adaptability resources-adapting responses-adaptation results was identified. In order to verify this study, the seventy-six papers in terms of the career adaptation were reviewed by October 2018. And the thirty-six papers out of them with regards to the career adaptability measured with CAA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sequential relationship of the career adaptation model was identified in three studies which deal with CAAS as a mediator.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career adaptation were classified into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career adaptation model. The result provides that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career adaptation model is applicable in Korea as well. Based on this study,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the career adaptability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만 3-5세 유아의 초기적응 양상-초기적응과 연령별, 성별, 적응영역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성희,박병기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arly adaptation patterns of infants aged 3 to 5 years old by age, gender, and areas of adapt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4 infants from 4 educational institutions. Early adaptation behaviors of infants were observed for 20 weeks from beginning, recorded by the observation list of early adaptation behaviors, and analyzed using survival analysis. The results, in general, showed that the survival function of early adaptation displayed large change until 12 weeks and a modest change from 13 to 20 weeks. In terms of adaptation proportions, 50% of infants were adapted after 6 weeks, 70% infants were adapted after 9 week, and about 90% infants were adapted after 14 week. In terms of the comparisons by age and gender, older infants adapted earlier than younger infants, and girls adapted quicker than boys. Compared by adaptation areas, adaptation is achieved in the order of free choice activ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basic lifestyle. The interactions were also found among age, gender, and adaptation are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early adaptation behaviors were observed continuously for 20 weeks rather than at a point of 4, 6, or 8 weeks, and in that the patterns of early adaptation were investigated in detail. Suggestion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5세 유아의 초기적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연령별, 성별, 적응영역별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유아 교육기관 4곳의 유아 244명이다. 유아의 초기적응 행동은 입소부터 20주 동안 「초기적응 행동목록 관찰기록표」에 기록되어 생존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유아의 초기적응 양상을 나타낸 생존함수는 생존율의 변화에서 입소 후 12주까지는 큰 폭으로 적응의 변화를 보이다가 13주∼20주 동안은 완만한 변화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6주가 지나야 50%의 유아가 적응을 하였다. 약 30%(75명)의 유아는 9주까지도 부적응으로 나타났고, 약 10%의 유아는 14주까지도 적응이 안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비교로는 만 5세, 만4세, 만 3세 순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빠른 시일 내에 적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비교는 여아가 빠른 시일에 적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영역에서는 자유선택활동, 대인관계, 기본생활습관 순으로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각 성별 초기적응 양상으로는 남아와 여아에게서 만 5세가 빠른 시일 내에 적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각 적응영역별 초기적응 양상으로는 자유선택활동에서 만 4세, 만 5세, 만 3세 순으로 적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기본생활습관에서는 만 5세, 만 4세, 만 3세 순으로 적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각 적응영역별 초기적응 양상으로는 자유선택활동, 대인관계, 기본생활습관에서 모두 여아가 빠른 시일 내에 적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만 3-5세 유아의 초기 적응을 20주 동안 관찰하여 연령별, 성별, 적응영역별, 연령에 따른 각 성별, 적응영역별 적응양상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및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학과만족도와 자아정체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현정,이윤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given on 210 freshman, an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22.0.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Department satisfaction (r = .216, p <.001) and Ego identity (r = 395, p <.001). As a result of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odel predicted to College life adaptation, the F statistic value is 12.222 and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000. Variables have significant explanations for college adjustment at a significance level of 0.1. College life adaptation is also explained by 44% variable. If we develop the adaptation program for college life considering variable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daptation ability of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자아정체감, 지각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정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학교 신입생 210명을 연구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22.0 프로그램으로 하였다. 대학생활적응과 학과만족도(r=.216, p<.001), 자아정체감(r=395, p<.001)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학생활적응을 예측하는 모형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F 통계값은 12.22, 유의확률은 .000으로 제변수들이 유의수준 0.1에서 대학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대학생활적응도를 44%가 제변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제변수들을 고려하여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대학생들의 적응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자기인식 및 타인인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지영 대한치과위생학회 2023 대한치위생과학회지 Vol.6 No.2

        연구배경: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아인식과 타인인식, 대학생활 적응 정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요 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치위생과 재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동의를 구하고 G*power 3.1.9.4 program으로 효과 크 기를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인식, 타인인식, 대학생활적응의 차이와 상관관계 및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 표본 t-test 및 일원 배치 분산분석, 사후분석 scheffe,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 적응은 자기인식(r=.301)에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하위 요인과의 관련성 은 사회적 적응과 사적 자기인식(r=.340), 공적 자기인식(r=.331)에서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p<0.01). 타인인식(r=-.051)은 대학생활 적응과 부(-)의 관련성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학생활 적응 요인으로는 사적 자기인식(β=.232)과 공적 자기인식(β=.254)이 정(+)의 영향을 주었고, 내 적 타인인식(β=-.205)이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결론: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기인식과 타인인식은 원만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요인으로 대학 생활의 적응력과 전공 직무와 연계한 핵심 역량 배양을 위해 향상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degree of self-awareness, recognition of other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college life adjustment. Methods: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using the G*power 3.1.9.4 program, based on the data of 191 peopl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questionnaire.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 way ANOVA, Post HOC Scheff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difference and correlation between self-awareness, perception of other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self-awareness (r=.301).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s were with social adjustment in both private (r=.340) and public self-awareness (r=.331) (p<0.01). Recognition of others (r=-.051)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life adjustment, 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factors for adapting to college life, private self-awareness (β=.232) and public self-awareness (β=.254) had a positive (+) effect, and internal self-awareness (β=-.205)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p<0.01) Conclusion: The self-awareness and recognition of others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influence their smooth adjustment to college life. Improvement measures are recommended to enhance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and develop core competencies related to their major

      • KCI등재

        한국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유형

        정지아,부향숙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8 다문화교육연구 Vol.11 No.3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typology of international students perception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aim, this research used Q method, and total of 33 Q sample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with international students, and newspaper articles. P sample size was 24 respondents. Their perception was assessed in terms of their purpose of studying abroad, cultural sensitivity, intercultural competency, and adaptation. As a result, valid types of perception were categorized into six groups using QUANL PC program. Type 1 was an ‘active adaptors’ who would aggressively get accustomed to Korean culture and even wished to settle in the future despite financial difficulty. Type 2 was relationship-oriented ‘cultural adaptor’ group of students whose primary goal in Korea was to make friends with the Koreans. Type 3 was ‘conscious underachievers’ who were constantly aware of their low proficiency in Korean and mal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ype 4 was ‘settlement goal-setters’ who were unskilled in forming new relationships but had wishes to settle in Korea in the future. Type 5 was ‘total dissatisfaction’ group who were discontent with their academic achievement, relationship, and life as a whole due to difficulties in adapting to a new life setting. Lastly, type 6 was a ‘university-life-specific complaining’ group of students who perceived making friends as a primary goal in life but failed to adjust to the Korean university culture. This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policy implication for universities to help international students to adapt more successfully in Korea. Finally, the newly proposed theoretical hypothesis would be contributable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유학 온 외국인유학생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대학생활적응의 공통점과 특징을 도출해내어 유형화 하는데 있다. 외국인유학생들의 대학 생활적응은 유학 동기, 문화 감수성, 간문화적 역량, 적응의 관점에서 도출해 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 연구 방법으로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Q표본은 외국인유학생들 심층면담, 기사, 관련 문헌을 통해서 최종 33개의 진술문을 완성하였다. P샘플은 24명의 외국인유학생들로 구성되었고 QUANL PC 프로그램으로 주요인을 분석해 유형을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외국인유학생들의 인식유형은 6가지로 나타났다. 유형1은 경제적 어려움이 있으나 적극적인 한국 문화에 적응하면서 미래에 한국에 정착하고 싶어하는 ‘적극적 적응형’, 유형2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으로 유학 와서 적극적으로 친구를 사귀는 일을 최우선으로 두는 ‘문화 적응형’이다. 유형3은 공부에 대한 욕구는 많으나 한국어 능력 부족과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힘들어하는 ‘학습 부적응 인식형’이었으며, 유형4는 한국에서 취업하고 정착하고자 하나 인간관계에는 미숙한 ‘한국정착 목적형’으로 조사되었다. 유형5는 학교생활, 인간관계, 학업 모두에 적응을 힘들어하고 혼란스러워하는 ‘총체적 불만족형’이며, 유형6은 인간관계가 대학 생활의 목적인데 한국의 대학 문화에는 적응을 힘들어하는 친밀관계를 추구하는 ‘대학문화 부적응형‘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외국인유학생들의 한국에서의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새롭게 제기된 이론적 가설은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