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억회상과 지식추론에 따른 감정 상태 변화의 추이

        심정연(JeongYon Shim)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4

        최근 들어 뇌과학적인 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 두뇌기능을 공학적으로 응용하려는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두뇌 기능 중 기억과 감정을 담당하는 부분을 살펴보면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체와 감정중추인 편도체가 긴밀히 협조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적으로 지식은 감정에 영향을 미치고 감정은 지식에 영향을 미친다. 인간의 모든 판단과 결정에 있어서 감정요소는 배제할 수 없는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보다 정교한 지능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감정이 결합된 지식베이스를 설계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마체와 편도체의 공조 시스템에 착안하여 지식과 감정이 결합된 지식감정 결합 시스템을 설계하고 기억회상과 추론 과정에서 변화하는 감정 상태의 추이를 감지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Many studies adopting brain functions to the engineering systems have been made for recent years as the brain Science has developed. If we investigate the parts which take part in memorizing and emotional process, we can know that Hippocampus of memorizing center and Amygdala of Emotional center closely cooperate each other. Actually Knowledge effects on Emotion and Emotion effects on Knowledge. During the human decision making, emotional factor has much important effects on Decision making process. For implementing more delicate intelligent system, the knowledge base coupled to emotional factor should be designed. Accordingly in this paper starting from the idea of cooperating system between Hippocampus and Amygdala,, we design Knowledge Emotion Binding System and propose Emotional changing mechanism by Memory retrieval and knowledge reasoning process.

      • KCI등재

        호텔조리종사원의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의 구조적관계 연구

        염진철(Yom Jin chul)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호텔조리접점서비스 업무를 주로 수행하는 조리종사자들의 특성을 바탕으로 외생변수로서 표면행위와 내면행위 및 감정부조화 그리고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의 감정고갈 및 성취감 저하에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둘째, 표면행위와 내면행위 및 감정부조화 그리고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였다. 셋째, 감정고갈 및 성취감 저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위 연구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지역 특1급호텔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311명을 유효 표본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였고, 본 연구모형에서 각 개념들 간에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표면행위, 내면행위, 감정부조화가 높으면 높을수록 직무소진의 하위차원인 감정고갈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감정고갈도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표면행위, 내면행위, 직무스트레스가 높으면 높을수록 직무소진의 하위차원인 성취감저하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감정부조화가 낮을수록 성취감저하도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표면행위, 내면행위, 감정부조화, 직무스트레스가 높으면 높을수록 직무소진의 하위차원인 감정고갈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정고갈가 높으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취감저하가 높으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호텔조리종사원의 감정노동 관리의 중요성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urface behavior, internal behavior as exogenous variable, emotion disharmony, job stress on emotional depletion and decreased sense of achievement of burnout of cooking employees who engaged in cooking contact service of hotel. Second, it identifies the effect of surface behavior, internal behavior, emotional disharmony and job stress on the intention of turnover. Third, it intends to identify the effect emotional depletion, decreased sense of achievement on the intention of turnov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311 samples for cooking workers of class 1 hotel in Seoul was were analyzed. The analyze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statistic package, a confirmative elements analyze was used to verify the credibility and feasibility of items,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concept in this study model. The result shows, first, the higher surface behavior, internal behavior and emotional disharmony, the higher the emotional depletion, which is lower dimension of job burnout. Second, the higher the surface behavior, internal behavior and job stress, the higher the decreased sense of achievement, which is lower dimension of job burnout. On the contrary, it was analyzed the higher the emotional disharmony, the lower the decreased sense of achievement. Third, the higher the surface behavior, internal behavior, emotional disharmony and job stress, the higher, the emotional exhaustion, which is lower dimension of job turnout. Fourth, the higher the emotional depletion, the higher the intention of turnover. Fifth, the higher the decreased sense of achievement, the higher the intention of turnover.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emotional labor management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감정노동에서 감정표현규칙 유형별 지각이 감정고갈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김중인(Kim, Joong In) 한국마케팅학회 2018 마케팅연구 Vol.33 No.2

        감정노동은 최근 들어 학계와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이슈로 주목받고 있으며, 감정노동의 부작용을 예방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조직과 개인차원에서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요인이면서도 그동안 연구가 부족했던 감정조절방법(능동적, 회피분산적, 지지추구적, 자기암시적 방법)과 감정표현규칙유형(긍정감정표현규칙, 부정감정억제규칙)을 함께 고려하여, 감정조절 방법들과 감정표현규칙유형들이 감정고갈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과 함께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감정조절방법들의 다중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긍정감정표현규칙과 부정감정억제규칙을 지각하는 경우에 따라 사용하는 감정조절방법들과 감정고갈에 미치는 직․간접효과가 상이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먼저, 긍정감정표현규칙의 지각은 직접적으로 감정고갈을 증가시키기나 감소시키지 못하지만, 감정조절방법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든 조절방법들이 감정고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감정억제규칙은 규칙의 지각만으로도 직접적으로 감정고갈이 증가되었으며, 지지추구적 감정조절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감정고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차원에서는 부정감정억제규칙보다는 긍정감정표현규칙을 표현규범으로 제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지만, 감정조절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효과가 없기 때문에 감정고갈의 완화를 위해서는 종업원들이 반드시 감정조절을 하도록 교육훈련을 실시해야만 할 것이다. 개인차원에서는 긍정감정표현규칙을 지각하는 경우 능동조절이 가장 효과적이고 회피분산이 가장 비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긍정감정표현규칙을 지각하는 경우에 자주 사용하는 방법은 [자기암시>지지추구>능동조절>회피분산]의 순으로 나타남으로써, 가장 효과적인 능동조절의 사용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정감정억제규칙의 경우에는 지지추구가 가장 효과적인 반면에, 회피분산은 부정적인 효과를 야기하였다. 그러나 부정감정억제규칙을 지각하는 경우에 자주 사용하는 방법은 [회피분산>지지추구>자기암시>능동조절]의 순으로 나타남으로써, 감정고갈이 가장 크게 증가되는 회피분산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종업원들이 효과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부정적인 방법은 지양하도록 교육훈련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다. Recently emotional labor has received much attention socially as an important issue as well as in the academia such as service marketing, internal market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psychology. Research on the methods to prevent or decrease the side effect of emotional labor is more needed.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emotional regulation methods (active regulation,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upport-seeking regulation, and self-suggestion regulation) and emotion display rules (positive emotion displaying rule and negative emotion hiding rule) which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or lack of research despite the fact that they can be organizationally and personally applied to reduce the emotional exhaustion from emotional labor. Then the study investigates different effects of the emotional display rules on the emotional exhaustion and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the emotional regulation method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shows that not only the usage of emotional regulation methods but also the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methods on emotional exhaus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erceptions of positive emotion displaying rule and negative emotion hiding rule. Firstly, the positive emotion displaying rule does not directly increase or decrease emotional exhaustion. However, if emotional regulation methods are used, all the methods decrease emotional exhaustion. The negative emotion hiding rule directly increase emotional exhaustion and only the support-seeking regulation decrease emotional exhaustion. Therefore, in the organizational perspective, it is desirable for organizations to present positive emotion displaying rule rather than negative emotion hiding rule. But organizations need to educate and train employees to use regulate emotion because the positive emotion displaying rule is effective only if emotional regulation methods are used. In the personal perspective, when employees perceive positive emotion displaying rule, active regulation is the most effective and avoidant/distract regulation is the least effective. However, when employees perceive positive emotion displaying rule, the actual usage of emotional regulation methods are ordered as self-suggestion regulation, support-seeking regulation, active regulation and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It means the best method (active regulation) is insufficiently used. When employees perceive negative emotion hiding rule, support-seeking regulation is the most effective and avoidant/distract regulation has negative effect. However, when employees perceive negative emotion hiding rule, the actual usage of emotional regulation methods are ordered as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upportseeking regulation, self-suggestion regulation, and active regulation. It means the worst method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is mostly used. Therefore, organizations need to educate and train employees to use effective methods and not to use ineffective methods.

      • 콜센터에서 감정표현규범에 따른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 정서적 소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경숙,윤서영,최수정,정기주 대한경영학회 2012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1

        본 연구는 오늘날 기업의 대표적인 비대면 서비스 접점으로 성장한 콜센터에서 근무하는 서비스 종업원 즉, 상담사에 초점을 맞춘다. 전화를 매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콜센터 상황에서 고객들은 보이지 않는 대상에게 더욱 쉽게 분노와 적대감, 욕설 등을 표현한다. 즉, 콜센터에서 상담사는 불만족한 고객들의 쉬운 목표물이 되고 있지만, 상담사는 콜센터가 요구하는 감정표현규범에 따라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고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에 따라 고객을 응대하는 감정노동을 수행하고 있다. 콜센터 상담사는 대표적인 감정노동 수행자이다. 하지만, 상담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높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콜센터의 감정표현규범이 상담사의 감정노동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이와 더불어 감정노동이 상담사에게 어떠한 영향들을 미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감정표현규범에 따른 감정노동이 상담사의 감정부조화와 정서적 소진을 증가시켜 콜센터를 떠나려는 이직의도의 증가로 이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콜센터에서 상담사는 조직이 고객에게 표현하도록 요구하는 관리된 감정과 자신이 실제로 느끼는 감정 사이의 괴리로 인하여 감정부조화를 경험하고 이는 결국 자신의 감정자원을 고갈해 버리는 정서적 소진의 탈진을 초래한다. 이러한 업무 스트레스는 결국 상담사가 콜센터를 떠나게 만드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높은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의 제고를 위해 콜센터가 설정한 감정표현규범이 상담사의 스트레스를 과중시키는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감정표현규범의 이면을 관리하는데도 기업의 노력이 집중되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감정노동이 종업원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상사 신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대훈(Park, Dae-Hun),장영철(Chang, Young-Chul),김진욱(Kim, Jin-Wook) 글로벌경영학회 2015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는 감정노동이 종업원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과 상사 신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Morris & Feldman(1996)에 따르면 감정노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에서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노력, 계획, 통제의 정도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을 표현해야 하는 것을 감정노동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감정표현의 빈도, 감정표현의 규범 주의성, 감정의 부조화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결과, 심리적 웰빙에 독립변수인 감정표현의 빈도와 감정 부조화가 각각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좀 더 자세히 보면 감정표현의 빈도는 자아수용과 의존 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의 부조화는 자아수용과 의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감정표현의 빈도는 환경통제력과 소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감정의 부조화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절변수인 상사에 대한 신뢰의 경우 세 개의 하위요인 모두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인 심리적 웰빙의 하위요인인 의존성, 환경 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감정노동을 하는 조직 구성원들은 고객 관계에서 상호작용을 더 높이고 감정의 부조화를 느끼며 심리적으로 덜 행복할때 상사의 신뢰는 불행한 상황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사가 능력이 있고 호의적 의도를 가지고 있으며 업무를 성실하게 수행한다면 감정노동을 극복해가며 심리적 웰빙, 즉 직장 생활에서 좀 더 많은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mploye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 trustworthiness. Morris and Feldman(1996) defined emotional labor as the effort, planning, and control needed to express organizationally-desired emotion during interpersonal transactions. In other words, emotional labor means the expression of emotion desired by the organization. This study tested the effect of the subcategories of emotional labor(frequency of emotional display, attentiveness of emotional display, mismatch of emotion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foun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uch as the frequency of emotional display and mismatch of emotions, affect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frequency of emotional display is tied negatively to self-acceptance and reliance, whereas the mismatch of emotions is tied positively to self-acceptance and reliance. The frequency of emotional display has a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mastery and isolation whereas the mismatch of emotions has a negative effect on environmental mastery and isolation. A moderation analysis reveals that the degree of trust that one feels with supervisors affects the dimensions of psychological well-being; environmental mastery and reliance. This suggests that when organizational members have a higher level of interactions with customers, feel mismatch of emotions and less happy psychologically, their trust to supervisors helps mitigate unfortunate situations. Therefore supervisors with ability, benevolence and integrity can help employees overcome emotional labor issues and feel happiness at work. Moreover supervisor trustworthiness has a greater moderating effect on burnout than psychological wellbeing: Benevolence and integrity, which are sub-elements of supervisor trustworthiness, reduce employees’ emotional exhaustion caused by emotional labor, enhance the sense of respect they feel, and limit the diminished sense of personal accomplishment or increase the sense of personal accomplishment for them.

      • KCI우수등재

        환대산업 서비스 접점 종사원의 감정노동에 대한 비교 연구: 호텔과 항공사

        김진경,왕수명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4

        This study compared emotional labor and its influence 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between service encounter employees of hotels and airlin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hotel and airline employees who had a minimum of one year of work experience in guest service encounters. A total of 287 samples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emotional labor was conducted in a different way between hotel and airline employees: hotel employees experienced more deep acting than surface acting, whereas airline employees experienced more surface acting than deep acting. Surface acting of both hotel and airline employee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greater burnout; in contrast, deep acting played a significant role to mitigate burnout. The burnout caused by emotional labor had an effect on increasing turnover intention. Lastly, the moderating effect of hotel versus airline employees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acting and burnout. In particular, hotel employees showed a greater impact to reduce burnout by deep acting. Our findings are meaningful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emotional labor between hotel and airline service encounter employees and may be utilized as a fundamental study for hotel and airline companies to strategize for effective emotional labor and to benchmark between different areas. 본 연구는 환대산업 내 감정노동이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호텔과 항공사 서비스 접점 종사원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을 연구하며,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1년 이상 고객 서비스 접점에서 근무하고 있는 호텔과 항공사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287개의 유효한 설문을 바탕으로 연구 모형 평가 및 가설 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호텔과 항공사 서비스 접점 종사원의 감정노동은 다르게 행해지고 있으며 호텔 종사원이 내면행위를 더 많이 경험하는 반면 항공사 종사원은 표면행위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 및 항공사 종사원이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표면행위는 감정소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내면행위는 감정소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형성된 감정소진은 이직의도를 높이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노동과 감정소진간의 영향 관계에 있어 호텔과 항공사 종사원에 따른 조절효과가 검증되었으며, 내면행위가 많이 행해질수록 호텔 종사원의 감정소진이 한층 더 완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환대산업 내 호텔과 항공사 서비스 접점 종사원의 감정노동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기업 간 벤치마킹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향후 호텔 및 항공사 인사 관리자에게 효율적인 감정노동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소설 『こころ』에 나타난 감정표현 ‘怖’에 관한 번역 양상 - 한국어 번역 작품과 영어 번역 작품을 중심으로 -

        양정순 ( Yang Jung-soo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53 No.-

        감정표현은 마음ㆍ의식의 내적 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종류에는 ‘감정표현어휘’, ‘고백표현’, ‘문 구성’, ‘간투사 표현’, ‘사역ㆍ수동ㆍ수수 표현’, ‘조사’ ‘호칭’, ‘문체 선택’ 등이 제시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감정표현 가운데서 감정을 묘사하는 어휘를 중심으로, 『こころ』에 나타난 ‘怖’의 감정표현의 번역 양상을 ‘품사’ ‘주어처리’ ‘의미 분류’로 나누어 분석했다. 그 결과 ‘怖’에 관한 번역 양상을 보면, 사전에 제시된 지시적 표현 이외에, ‘怖’의 의미가 아닌 다른 표현, 다른 품사로도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어 문에서 사용된 ‘怖’의 감정 어휘에 대해, 한국어역은 일부 ‘명사’, ‘관용구’, ‘부사+동사’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일본어와 유사한 품사로 번역되었다. ‘명사’인 경우는 용언으로 풀어 설명한 후 강조 어휘를 더해 번역했으며, ‘부사+동사’는 2개 이상의 어휘가 이용된 어구로 번역되기도 했다. 상황에 따라 번역 어휘는 ‘Fear類’ 뿐 아니라 ‘Surprise類’와 ‘Sadness類’의 어휘까지도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영어 역의 경우, 한국어 역에서 보였던 것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주로 ‘동사『동사, be+동사의 과거분사’, ‘형용사』형용사, 동사, be+동사의 과거분사’ ‘명사『be+동사의 과거분사’로 번역되었으며, ‘Surprise類’, ‘Anger類’, ‘Fear類’ 등의 감정을 표현하는 어휘 외에 감정 주체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어휘까지 이용되는 등 매우 다양했다. 일본어 문의 감정 주체의 유무에 따른 한국어 역은 대체로 일본어 문과 유사한 문 구조로 번역되었고, 감정 주체가 생략된 3인칭인 일부 예에서는 생략된 요소가 복원 가능하도록 유도한 번역이 보였다. 영어 역을 보면, 일본어 문의 감정 주체의 생략 유무와 관계없이 감정 주체와 판단 주체까지도 복원했으며, 서술자 중심의 주어를 내세워 그에 따른 서술어를 선정해 번역하기도 했다. 그러나 주어 자리에는 반드시 감정을 느끼는 사람만 사용된 것이 아니라 사건, 행위, 감정의 요인 등이 사용되기도 했으며, 화자가 화자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서술하기 보다는 주변 상황과 장면을 설명하면서 그로 인해 일어나는 감정을 서술한 경우도 있었다. Emotional expressions are expressions that show the internal condition of mind or consciousness. Types of emotional expressions include vocabulary that describes emotion, the composition of sentences that expresses emotion such as an exclamatory sentence and rhetorical question, expressions of interjection, appellation, causative, passive, adverbs of attitude for an idea, and a style of writing. This study focuses on vocabulary that describes emotion and analyzes the aspect of translation when emotional expressions of ‘Hu(怖)’ is shown on 『Kokoro』. The aspect of translation was analyzed by three categories as follows; a part of speech, handling of subjects, and classification of meanings. As a result, the aspect of translation for expressions of Hu(怖)’ showed that they were translated to vocabulary as they were suggested in the dictionary in some cases. However, they were not always translated as they were suggested in the dictionary. Vocabulary that described the emotion of ‘Hu(怖)’ in Japanese sentences were mostly translated to their corresponding parts of speech in Korean. Some adverbs needed to add ‘verbs’ when they were translated. Also, different vocabulary was added or used to maximize emotion. However, the correspondence of a part of speech in English was different from Korean. Examples of Japanese sentences that expressed ‘Hu(怖)’ by verbs were translated to expression of participles for passive verbs such as ‘fear’, ‘dread’, ‘worry’, and ‘terrify’ in many cases. Also, idioms were translated with focus on the function of sentences rather than the form of sentences. Examples, what was expressed in adverbs did not accompany verbs of ‘Hu (怖)’. Instead, it was translated to the expression of participles for passive verbs and adjectives such as ‘dread’, ‘worry’, and ‘terrify’ in many cases. The main agents of emotion were shown in the first person and the third person in simple sentences. The translation on emotional expressions when a main agent was the first person showed that the fundamental word order of Japanese was translated as it was in Korean. However, adverbs of time and adverbs of degree tended to be added. Also, the first person as the main agent of emotion was positioned at the place of subject when it was translated in English. However, things or the cause of events were positioned at the place of subject in some cases to show the degree of ‘Hu(怖)’ which the main agent experienced. The expression of conjecture and supposition or a certain visual and auditory basis was added to translate the expression of emotion when the main agent of emotion was the third person. Simple sentences without a main agent of emotion showed that their subjects could be omitted even if they were essential components because they could be known through context in Korean. These omitted subjects were found and translated in English. Those subjects were not necessarily humans who were the main agents of emotion. They could be things or causes of events that specified the expression of emotion.

      • KCI등재

        독일의 감정평가법제에 관한 연구

        박광동 한국토지법학회 2014 土地法學 Vol.30 No.1

        In Germany,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appraisal value, transaction value (wert) can ben distinguished from price (Preis). Wert uses collective concept (Aggregierte Preisvorstellungis), is distinguished from preis which is the outcome of specific exchange action from market participants. So, value(wert) can be understood as objective price. So it is customary that there is gap between value and price under the influence of subjective factors. For investigation of the main laws and guidelines, there are building act, property value investigation command, value research directive ,and other special legal norms for the purpose of evaluation method and collateral value directive. With respect to appraisal of Germany ,and also in relation to content of the law, there exist various provisions in close relation to people's property and appraisal system. There is relatively high room for adjustment on real estate appraisal based on standardized basic conditions and requirements. Germany is similar in structure to korea in that, standard land price and appraisal value committee are established with a purpose of preparing procedure for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However in Germany, there are no government restrictions on appraisers stipulated by the government, thereby official qualification requirement for appraisers. Chamber of commerce sets some requirement for appraiser , and there exist requirement for appraiser actively involved in the Appraisal Committee. On the contrary, "Presidential Decree Under the Price announcement of Real Estate and Appraisal Act" in Article 23 states about the qualifications of appraisers in Korea. Germany’s price of the reference land is similar to korea’s appraised value of land. It is important to calculate realistic appraised value by reducing gap between appraised value of land, and price of the reference land. Additionally, Germany needs to review appropriateness in the application, citizen friendliness, congruence of law at the time of subdivision of law and enactment of new law,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the Germany. 독일에 있어서 감정평가와 관련하여 특히 거래가치는 독일에서 가치(wert)는 가격(Preis)과 구별된다. wert는 구체적인 시장참여자들 간의 구체적인 교환행위의 결과인 Preis와 구별하여 어떤 시장참여자들 그룹의 집합적 가격관념(Aggregierte Preisvorstellung)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가치는 객관화된 가격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주관적인 영향 하에 있는 가격과 가치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이 통례이다. 조사를 위한 주요 법률 및 지침으로는 건축법, 부동산가치조사명령, 가치조사지침이 있고, 그 밖에 특별 평가목적을 위한 법적 규범으로 평가법 및 담보가치조사명령 등이 있다. 독일의 감정평가와 관련한 법률의 내용 구성에 있어서도 감정평가제도에서 국민의 재산권과의 밀접성을 고려한 다양한 규정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독일에서는 법적으로 표준화된 기본조건 및 요구사항에 근거하여 부동산감정평가에 비교적 높은 조정이 존재한다. 그리고 독일의 경우에 기준지가제도 및 감정평가위원회를 두고 법령에 관련 절차를 마련하고 있다는 점은 우리와 비슷한 구조이다. 그런데 독일에서는 감정평가사에 대한 정부규제가 없기 때문에 정부에서 규정하는 공식적인 자격요건이 없으나, 감정평가사를 인증하고 있는 상공회의소의 경우 일정한 요건을 두고 있고, 감정평가위원회에서 활동하는 감정평가사의 경우 일정한 자격요건을 두고 있다. 이에 반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부동산 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 제23조에서 감정평가사의 자격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의 공시지가와 비슷한 독일의 표준지가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특수 요인이 제외된 현실의 거래 가격을 기반으로 한 감정가를 산출하여 공시지가와 실거래가의 격차를 줄이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감정평가와 관련한 분법 또는 신법 제정시에는 수범자 친숙성, 적용적합성, 법합치성 등의 독일의 원칙을 적용하여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감정 개념어 사전 구축을 위한 예비적 고찰 ― 한영 감정 어휘의 분류와 번역을 중심으로 ―

        박범석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3 감성연구 Vol.- No.27

        In this study, it is review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motion vocabulary classification and system to discus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ranslation of emotion vocabulary in Korean and English cultur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nglish emotion vocabular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vocabularies as well as the English meaning of the emotion vocabulary.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English emotion vocabulary exactly matches the Korean emotion vocabulary or that the meaning can be conveyed only with the meaning of the English dictionary. Any vocabulary has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context in which it is used, but the nuances of emotional vocabulary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individual emotions and cultural situations. If a conceptual dictionary considering the semantic relationship and functionality of emotional vocabulary is compile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easy to understand emotional words according to these cultural differences. In particular, it will be helpful for researchers who want to compare literature and culture between English- speaking countries and Korea to deeply understand the work and sympathize with the cultural sentiment.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discuss the necessity of compiling a dictionary of emotion concepts. In order to build a dictionary of emotion concepts, I will look at emotion words in Korea and the English-speaking world, and discuss the possibility that the emotion vocabulary classification system in English can be interpreted as the emotion vocabulary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감정 어휘 분류와 체계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여 한국과 영어 문화권 감정 어휘 번역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영어 감정 어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감정 어휘의 사전적 의미뿐만 아니라 감정 어휘 간의 의미론적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영어 감정 어휘가 우리말 감정 어휘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영어사전의 뜻만으로는 미표한 의미 차이를 전달할 수 있다고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어떤 어휘든 그 어휘가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의미가 상이할 수 있지만 감정 어휘의 뉘앙스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문화적 상황에 따라 의미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감정 어휘의 의미관계와 기능성을 고려한 개념사전을 편찬한다면 이러한 문화적 차이에 따른 감정어를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영미권과 한국의 문학과 문화를 비교하려는 연구자들에게 작품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문화적 정서를 공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감정 개념 사전 편찬의 필요성을 논의하기 위한 예비적 고찰이다. 감정 개념 사전을 구축하기 위해 한국과 영어권의 감정어를 살펴보고 영어의 감정 어휘 분류체계가 한국의 감정 어휘로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가 『수사학』 Ⅱ 3장에서 말하는 평온의 감정

        한석환(Hahn, Seok-whan)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3 No.-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수사학』 II 2-11장에서 논하는 감정은 크게 두부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이른바 원본감정이고 다른 하나는 그것의 맞은편에 위치한 대립감정이다. 그가 대립감정에 관심을 쏟는 까닭은 이를테면 분노한 재판관을 그 반대의 상태로 돌려놓으면 (경우에 따라서는 그역으로) 설득에 효과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수사학』 II 3장의 평온이 과연 감정이냐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는 성격으로 틀 잡힌 상태 혹은 중용의 덕으로 다뤄지기 때문이다. 평온은 과연 감정인가. 감정이라면 그것은 성격의 상태로서의 평온과 어떻게 구별되는가. 또 그것은 그와 대립관계에 있는 분노와 어떤 식으로 대립하는가. 한마디로 말해서 평온이란 도대체 어떤 감정이냐는 것이다. 이 글이 내세우는 테제는 덕으로서의 평온이 분노불감성이라면 감정으로서의 평온은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뿌듯함에서 상대방을 다정하게 대하는 감정적 태도라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에 이르기까지 논의는 대체로 다음의 순서로 진행된다. 첫째로, 감정의 본질적 구성부분이라 할 수 있는 고통과 쾌락의 수반 여부를 묻는다. 다음으로 아리스토텔레스가 감정을 다루는 일반적 도식―대상인물, 지향적 대상, 심적 상태―에 그것이 얼마나 잘 들어맞는지 살핀다. 끝으로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평온과 대비시켜 양자 간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감정으로서의 평온을 뚜렷이 부각시킨다. The emotions that Aristotle treats in Rhetoric II 2-11 are broad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one is the so-called basic emotions, the other the emotions that are opposed to them. The reason that he draws attention to the opposite emotions is that, for example, angry judges must be placed in an opposite state. The question is whether the calmness treated in Rhetoric II 3 is an emotion. Because it is treated in the Ethics as a virtue and thus as a trait of character. How is calmness distinguished as an emotion from that as a virtue? And in what way is it opposed to anger? In short, what is the calmness, inasmuch as it is an emotion? This is the question which is the task of this work. The thesis asserted in this paper is that calmness is the disposition to do a service for another that results from praise or some other act that enhances a belief in one’s worth. To substantiate the thesis, the following questions are discussed. The first question is whether the calmness could also contain proportions of pleasure and pain. The question also arises whether it could be also treated properly according to the standard ‘target person-intentional object-mental state’. Finally, there is a comparison between the concept of calmness in the Ethics and Rhetoric, so that the latter concept places itself in the foregr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