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러시아 문화정책 차원에서 바라본 메가 스포츠이벤트

        송정수 ( Jung Soo S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3 No.-

        현대 러시아의 대내외정책 차원에서 ``소프트 파워`` 전략은 국가정책 실현을 위한 중요한 동인 중 하나로, 새로운 형태와 실현 방식을 모색해 나가면서 더욱 강화되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러시아 정부는 ``소프트 파워``의 적극적 활용에 기대어, 국제무대에서 러시아의 긍정적 이미지 형성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러시아의 문화정책 역시 크게 두 가지 방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양상이다.현재 푸틴 대통령을 중심으로 구성된 크렘린 권력 수뇌부는 대내적으로 ‘애국심’, ‘문화적자긍심’을 바탕으로 단합과 단결을 추구하고, 대외적으로는 ‘강한 러시아’의 위상을 회복시킴과 동시에 과거 소비에트와 차별화 된 ‘새로운 러시아’의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양상이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메가 스포츠이벤트’라는 핫 이슈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이러한 대내/대외 정책 노선을 더욱 강화시켜 나가고 있다.이에 본 글에서는 러시아 소치 올림픽을 중심으로 메가 스포츠이벤트에 은닉된 정치적 메커니즘을 러시아 대내/대외 문화정책 차원에서 분석해본다. 동시에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 그 이후의 행보를 추적해봄으로써 단기적으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경제적손실을 충분히 보상하고, 국가 브랜딩 기법을 통한 러시아의 국가 이미지 구축 및 전파전략에 상응하며, 동시에 러시아의 대내/대외 문화정책을 만족시키는 훌륭한 ‘소프트파워’의 일환으로서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주요 기능 및 정치적 차원에서 발휘되는 영향력을 짚어본다.또한 메가 스포츠이벤트 효과에 대한 자국민의 인식을 객관적으로 가늠해보기 위해 2014년 소치 올림픽 대회 전후로 ‘전러시아 여론정보센터(ВЦИОМ)’에서 실시한 다양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 적용해 본다. 동시에 앤홀트의 ‘국가브랜드 지수(NBI)’ 및 영국의‘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에서 실시한 국가 브랜드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를 계기로 러시아의 대외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고, 실제 크렘린에서 추구하고자 했던 대내외 정책 노선이 현실 차원에서 어느 정도까지 그 성과를 이룩했는지 추적해본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메가 스포츠이벤트가현 러시아 정부의 문화 정책적 관점에서 지니는 의의를 규명하고, 러시아 문화정책 기본 방향에 관한 지형도를 그려보는 동시에, 세계무대에서 러시아의 위상과 국가이미지 개선을 위한 정책 및 전략의 향방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strategy of "soft power" in the foreign and internal policies of modern Russia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policies,and the influence of soft power is increasingly becoming stronger and gaining new forms and methods of implementation.The Russian government exerts efforts to form a positive image of Russia in the international arena,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untry``s competitiveness, based on active use of "soft power."Currently, Russian cultural policy is developing in two main directions. In the internal policy sphere, the Russian government emphasizes national unity and civic solidarity, and fosters a sense of patriotism and national pride. In the sphere of foreign policy, the Russian government is attempting to regain its status as a great power and to create a new image of Russia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ormer Soviet Russia.In this article, we examine and analyze various aspects of the hidden political mechanisms involved in mega-sporting events, in particular the Sochi Olympics,from the viewpoint of Russian internal and foreign policy. We address the major functions of mega-sporting events and their influence in the political realm.The political impact of mega-sports projects can even compensate for economic losses incurred during the preparation and hosting of the Olympic games. In this respect, we can define mega-sporting events a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soft power; such events reflect the basic directions of internal and foreign policy in post-Soviet Russia, which are to form and promote an image of Russia using national branding.In order to fairly and objectively analyze the recognition and perception held by Russians of the significance of mega-sporting events, in this work, we carefully studied the results of various surveys conducted by the Russian research organizationVCIOM (Russian Public Opinion Research Center) before and after Russia hostedthe Winter Olympic games in Sochi (2014) and the Summer Olympic games in Kazan (2013).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e ranking of national brands by Simon Anholt (Anholt Nation Brands Index - NBI), and on the basis of the ranking of 100 national brands conducted by the British consulting company "Brand Finance"(Brand Finance Nation Brands 100), we minutely trace the development and qualitative change in Russia``s image and the role of the mega-sporting projects.This article also examines the Kremlin``s internal and foreign policies that were successfully carried out in practical terms.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mega-sporting events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policy of the current ruling party of Russia.This standpoint allows us to outline the main directions of Russian cultural policy and to suggest perspectives on the branding strategy of modern Russia, including strategies related to consolidating Russia``s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arena.

      • KCI등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관리와 활용 현황에 대한 한일 비교 연구 - 김장문화와 와쇼쿠(和食)를 중심으로 -

        김현정 ( Kim Hyun-ju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50 No.-

        2013년 한국의 김장문화와 일본의 와쇼쿠가 함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되었다. 유네스코에서 김장과 와쇼쿠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할 때 ‘오랜 기간 전해 내려오는 전통’, ‘국가를 대표하는 음식문화’라는 점과 함께, 그 음식을 통해 생성되는 사회적인 관계 속에서의 ‘결속력’, 오랜 기간 동안 전해 내려온 풍습에서 드러나는 각국의 ‘정체성’에 그 가치를 크게 인정하고 있다. 한국에서 김장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이후, 문화재청의 무형문화재과에서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있고, 일본에서는 농림수산성 중에서도 식료산업국내에 ‘와쇼쿠실’이라는 부서에서 담당하고 있다. 각국을 대표하는 식문화인 만큼 김장과 와쇼쿠의 활용은 실로 다양하겠지만, 김장의 경우 특히 전국민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고 겨울을 맞이하기 전에는 누구나 꼭 해야 한다는 점에서 축제로 활용되는 것이 가장 대표적이다. 또한 공연이나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콘텐츠의 활용 사례도 보인다. 와쇼쿠의 경우 지칭하는 범위가 김장보다 넓기 때문에 각 지역의 특산품을 중심으로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와쇼쿠 관련 축제가 존재하며, 이외에도 농림수산성에서 실시하고 있는 ‘와쇼쿠와 지역식문화 계승추진사업’과 연계한 콘텐츠의 활용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와쇼쿠가 인류무형문화유산이라는 공식적인 타이틀을 가지게 되자, ‘쿨 재팬 전략’의 핵심 키워드로서도 활용되고 있다. Korea's Kimjang and Japan's Washoku were listed in the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2013. Kimjang and Washoku not only have the meaning of a long tradition or national representative food. Additionally, UNESCO admitted the value of Kimjang and Washoku that allows members of society to share together and strengthen their solidarity through the use of it. And the identity of each nation is well represented in the Kimjang and Washoku effort. The Kimjang is managed by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Depart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Likewise, the Washoku is managed by the Department of Washokusitsu of Japan's Agriculture Ministry. In regards to festivals, they are the most representative of Kimjang's contents in Korea. Kimjang can participate with a consensus of all people and must do it before the coming winter months. In this way, it is very suitable for the presentation of a festival. And there are many festivals related to Washoku in Japan, mainly manifested with local specialties. We have seen that Japan has many kinds of festivals, which encourages it to be called and known as the country of festivals. And Washoku is being fostered as the core content of the ‘Cool Japan Strategy’ because it has become world-renowned since it was lis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문화 소재 중심의 중국어 회화교재에 대한 일고 -『說漢語 談文化』의 문제점 분석과 극복방안으로서의 한,일 교재 검토

        박찬욱 ( Chanwook Park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40 No.-

        본고는 문화 소재 중심의 중국어 회화교재인 『說漢語 談文化(이하 談文化)』의 대화구조 분석을 토대로 문화를 다루는 방향성을 성찰하고 언어 사회화란 관점에서 어·문·문화 통합성을 지향하는 교재생산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언어사회화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고 교실에서 이뤄지는 외국어 교육과정에서의 사회화에 대해 고찰해본다. 그리고 사회화의 기본 가정중 하나인 언어와 문화 간 관계를 성찰하기 위해 회화교재의 출판경향과 문화 중심의 회화서인 『談文化』의 기술 방향 및 회화속 역할 분담의 경향을 분석한다. 나아가 분석 결과를 보완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한국과 일본의 문화교재를 검토하고 인문 통합적 성격의 회화교재 생산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conversation structure on Talking Culture(『說漢語 淡文化』) that is one of the conversation textbooks about Chinese culture and investigate Chinese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from a integration point of view among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for improving upon the problems on Talking Cul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before analysing and investigating, considered the concept of language socialization on learn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and on the basis of it, analysed the conversation structure of Talking Culture. And then this study examined how we should organize the structures and contents when making conversations in Chinese textbook related with culture in compared with the Chinese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when composing a conversation textbook with culture, we not only need to pay attention not to have an inclination for conversation structure, but need to make use of the contents in Chinese literary and culture works for organizing convers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among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 KCI등재

        중국어교육의 보조자료 다양화를 위한 모색: 주걸윤(周杰倫)의 몇 곡을 중심으로

        박찬욱 ( Park Chan-wook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6 No.-

        본고는 周杰倫 곡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중국어ㆍ문ㆍ문화 교육의 보조자료 다양화에 대중문화 소재가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중국과 대만의 시험문제 또는 교재 내용으로 사용된 10곡을 각운, 고대 시가 어휘, 문화 관련 어휘의 사용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것과 교육간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周杰倫 곡에 대한 분석 및 검토는 대중문화 소재가 언어적, 문학적, 문화적 측면에서 중국어교육의 보조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같은 사례를 토대로 한 대중문화 소재의 도입에는 향후 자료의 지속적인 발굴과 분석이 전제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Chinese popular culture, especially music, can contribute to diversification of the ancillary materials for teaching Chinese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some songs of Jay Chou.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sed 10 songs that have been used in the tests or the text contents in China or Taiwan in terms of rhyme, words relation to the ancient poems, and the Chinese culture. Consequently, the songs of Jay Chou show that they can be used as an ancillary material in the Chinese class from the linguistic, literary, and cultural angles. For use in the Chinese language, literature, culture class in the future, there is a constant need to discover and analyse new materials from the Chinese popular culture.

      • KCI등재

        비교문학연구방법론에 대한 소고: 길고 약하고 두껍게 비교하기

        박선주 ( Park Seonjoo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50 No.-

        이 논문은 비교문학방법론의 쇄신과 재개념화의 방향을 제안한다. 비교문학은 서구중심주의와 식민주의의 흔적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고 보편-특수라는 서구근대학문의 인식론에 갇혀있으며 비교문학연구 방법론은 이러한 한계를 계속 유지하고 강화하는 수단으로 작동하고 있다. 비교문학은 기존의 등가ㆍ등치 관계에서 벗어나 디목의 “약한 이론,” “긴 네트워크,” 푸코의 “작가의 소멸” 등의 개념이 제시하는 방향, 즉 서구학문의 보편성ㆍ과학성의 한계를 드러내고 문학담론의 역사성과 사회적 관계를 보여주는 방향으로 이동해야 하며 이를 위해 연구방법론의 변화가 담보되어야 한다. 인류학자 클리포드 기어츠의 “켜켜이 쌓인 묘사”라는 개념은 비교문학연구방법론을 재개념화하기 위한 유용한 출발점이다. 이 개념은 문화를 텍스트에 대한 해석들이 쌓아올리는 두께로 재정의하고 국민국가의 국가성을 다언어적 혼돈 위에 재설립하며 인문학의 과학성을 픽션화한다. 또한 근대학문의 체계화와 분류화, 추상화를 최대한 피하면서 과학성ㆍ합리성ㆍ보편성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서구내셔널리즘을 문제화하고, 인간 삶과 그 의미의 풍부함을 충실히 드러내면서 문학담론을 더 ‘약하’고 더 ‘길’며 더 ‘두꺼운’ 네트워크로 재개념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direction for Comparative Literature which has been deeply Eurocentric and even colonial ever since its birth. ‘Comparison’ in Comparative Literature has been in fact the ideological mechanism for containing, classifying, and eventually controlling all differences in the world. Literature has naturally served as a national institution of the West at epistemological and discursive level with hidden adjective “comparative”. To re-conceptualize the discipline and practice of “Comparative Literature”, we need to revolutionize methodology itself based on Wai Chee Dimock’s idea of “Weak Theory”, Foucault’s “disappearance of author”, and Clifford Geertz’s “thick description”. “Thick description” as a methodology of comparative literature re-establishes the discipline as a field of “weak theory”, defusing the centrality of linguistic identity and re-making it as a “long network” of loose and missed connections. “Thick description” poses the publicness of nation-state within “confusion of tongues”, problematizes the legitimacy of modern knowledge, and puts (the western) nationalism in question. With this idea as a starting point, we can re-imagine Comparative Literature anew as a field of ceaseless discourse of longer, weaker, and thicker networks of interpret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differences.

      • KCI등재

        한국 대학의 FLE 문화 교육과 `시간`의 문화적 특성 - 한국과 프랑스의 음주 시간을 중심으로 -

        정우향 ( Jung Woo-hya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6 No.-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어 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시간`의 문화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해가 뜨고 지는 자연의 흐름과 시계의 초침이나 달력의 날짜가 `시간`인 듯 간주되지만 엄밀히 말해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는 개인이 어떻게 시간을 경험하는지 설명하기는 매우 어렵다. 하물며 외국 문화에 속한 외국인의 일상 의사소통 상황별 시간의 경험을 이해한다는 것은 한국에서 외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에게는 매우 어려운 목표이다. 문화 인류학자 에드워드 홀에 따르면 각 문화 공동체는 서로 다른 시간 경험을 발전시켜 왔으며, 시간은 공간이나 제스처나 시선, 얼굴 표정과 같이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와 한국의 술자리 모임의 시간 경험에 대하여 문화 상대주의적인 관점에서 비교하고 살펴보면서, 술 모임의 양태들이 한국과 프랑스의 문화적 특성과 관련하여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술 모임이란 주제는 일상생활과 관련이 높은 주제이고 인간관계를 맺는 방식과 두 문화의 의사소통 방식을 압축하여 드러낸다는 점에서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집단과 개인의 관계, 여가 시간과 노동 시간을 분리하는 양태와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양식 등이 프랑스와 한국 문화의 특성에 따라 술 모임에서 어떻게 다르게 드러나는지 분석하면서 한국 대학의 프랑스어 문화교육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concept of time conveys meanings similar to nonverbal communicative element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surveys cultural traits of time from the French 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 Anthropologist Edward T. Hall points out that each cultural community has developed a different perception of time and experience, and that time conveys the meaningful message nonverbally similar to the nonverbal elements such as space, gesture, eye movement, and facial expression. I investigated the time experiences of a drinking party in France and in Korea, from a cultural relativistic point of view. The subject of a drinking party was chosen on the ground that a drinking party is highly related to most people`s daily lives and it also indicates how they have a relationship with others. I sought a new direction in foreign language cultural education by analyzing how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mmunities, especi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and organisations, ways to separate leisure and labor, and the nonverbal elements, are presented in the two drinking parties.

      • KCI등재

        프랑스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공유문화 적재어 연구 - ‘판단이 내포된 공유문화 적재어’ 중심으로

        김은정 ( Kim Enju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0 比較文化硏究 Vol.58 No.-

        본 연구는 언어적ㆍ문화적 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공유문화 적재어(motsà Charge Culturelle Partagee)를 수단으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특별히 목표어 사회 구성원의 사고방식이나 가치관을 밝혀주는 ‘판단이 내포된 공유문화 적 재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일상에서의 사용 빈도에 의거하여 목록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판단이 내포된 공유문화 적재어’의 연구 범위를 1.동물, 2.음식, 3.신체 부위로 한정하고, B수준의 관용표현 구성 단어 가운데 판단을 드러내는 단어가 이 세 가지 범위에 부합하는 경우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일상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판단이 내포된 공유문화 적재어’를 선별하기 위해 프랑스 현지 원어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French communicative competence by means of words with “shared cultural charge”. For developing this communicative competence, harmonious development of the language and culture is crucial. In this context, words with “shared cultural charge” combined organically with linguistic and cultural elements, are considered an ideal means of developing these two perspectives in a balanced way.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the words with "shared cultural charge" implied judgment, considered particularly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because they comprise a long-standing mindset or values based on history and custom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ffective and efficient educational materials for improving communication competence by creating a list of the words with "shared cultural charge" implied judgment based on frequency of use. To prepare such a list, this study first set the target learner's language level to the B level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language level. Next, we examined the words with "shared cultural charge" implied judgment wherein the subjects showing judgment corresponding to animals, food, and body parts. In this process, we used an idiomatic expression comprising judgment at the intermediate level. Two surveys were also conducted with native speakers in France to select the words with "shared cultural charge" implied judgment, frequently used in daily lif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words with "shared cultural charge" implied judgment were ranked and cataloged.

      • KCI등재

        프랑스어 단어 속에 담긴 문화연구

        곽노경 ( Kwak No-kyu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8 No.-

        본 연구는 프랑스 고유의 문화가 담긴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선별하여 그 단어 속에 숨겨진 문화 콘텐츠들을 연구하고 이 단어들이 한국어에 차용되면서 새롭게 탄생한 문화 현상들을 탐구함으로써 프랑스와 한국 간의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별된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프랑스 문화 내부적 관점과 상호문화적 관점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우선 프랑스 문화 내부적 관점에서 어휘문화적 접근으로 프랑스어 단어들 가운데 한국어에 차용된 단어들 중에서 의ㆍ식ㆍ주에 해당하는 프랑스어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선별하여 그 단어 속에 담긴 프랑스 고유의 문화를 사전적 의미, 문화적 현상, 숙어나 관용어 표현 속에 나타난 특별한 문화 현상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그 단어의 사전적 정의를 뛰어넘는 특별한 공시를 밝혀주었다. 나아가 상호문화적 접근으로 프랑스 문화와 한국 문화의 접촉으로 동일한 프랑스어 단어가 새로운 의미로 탄생하게 되는 과정들을 차용어의 변용 양상과 문화적 현상을 중심으로 탐구함으로써 두 문화 속에 작용하는 언어적ㆍ문화적 요소들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현상들을 탐구할 수 있었다. 프랑스 `공유문화 적재어` 속에 다양한 문화와 역사가 담겨 있어 개별 단어들에 대한 탐구가 프랑스 문화를 깊이 있게 탐구하도록 할뿐 아니라 이들 단어가 사용된 숙어나 관용어 표현들을 통해 개별 단어 속에서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문화 현상들이 담화 속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한국어로 차용된 프랑스어 단어들은 대부분 문화 간 교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경우보다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데 의미의 왜곡이 일어나는 경우가 상당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words with “shared cultural charge” that are unique in French culture and to study cultural content hidden in these words. It also explores the cultural phenomenon of same French borrowed words used in the Korean language.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two perspectives: perspective of internal French culture defined by Galisson and inter-cultural perspective. The first section of this study introduces the theory “lexiculture” and definition of the words “shared cultural charge.” In the following section, among main items of 795 borrowed words in the Korean language, we examined seven words in areas such as clothing, food, and housing. We studied content of the French culture according 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1) dictionary definition, (2) cultural phenomena, (3) special phenomenon in idiomatic expression. Our study illustrated a special connotation beyond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words. In the next section, we examined the birth of a new cultural phenomenon and process of acquiring a new meaning in the Korean language. Finally, we analyzed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linguistic and cultural elements in both cultures. In this study, we provide basic data for inter-cultural education between France and Korea.

      • KCI등재

        지속가능성의 문화적 차원 -독일의 문화정책과 문화예술경영을 중심으로-

        김화임 ( Hwa Im Kim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41 No.-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주로 세 분야, 생태, 경제, 환경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 세 분야만이 아니라 ‘문화적 차원’도 고려되어야 한다는 논의 역시 만만치 않게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독일어권을 중심으로 ‘지속가능성의 문화적 차원’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그 논의는 문화정책, 문화예술경영으로도 수렴되고 있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제시할 것이다. 지속가능성 논의에서 애초 ‘문화’는 다른 세 분야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적 역할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독일어권에서는 점차 ‘문화’를 생태, 경제, 사회와 동등한 차원에 두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기술적, 환경 정책적 측면과 함께 문화적인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 과정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스타머의 문화정책적 요구에 대해 살펴 본 후, 클라인의 문화정책, 문화예술경영에서의 지속가능성을 살펴본다. 전자는 ‘지속가능한 문화’와 관련하여 전통을 중요시한다면, 후자는 칼로비츠의 지속가능성 이해에 입각하여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있고, 그것은 바로 ‘수요자 중심이고 관객개발’로 요약된다.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generally related to a triptych of social justice, ecological integrity, and economic well-being. It aims at a development of human societies that would achieve the reconciliation of social justice, ecological integrity, and the well-being of all living systems an the planet. Furthermore, the ques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cuses on economic, ecological, and social dimensions. interdependence of cultur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original syntax was not quite standard English, i.e., it was also unclear and vague. Ergo, this is a hypothetical edit. If you demur, then please rectify it. In Germany, th “Tutzinger Manifest” also includes the cultural dimension as a major dimension of sustainability, thereby arguing for the integration of culture in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and furthermore for the building of networks in order to overcome this gap. The cultural dimension of sustainability in Germany involves not only cultural policy, but also culture management

      • KCI등재

        환구시보가 촉발한 김치논쟁 비판적 담화분석: 기획된 문화전쟁 양상을 중심으로

        최태훈 ( Choi Tae-hoo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1 비교문화연구 Vol.62 No.-

        본 논문은 최근 중국의 김치 ISO인증 획득을 계기로 촉발된 한ㆍ중 김치 논쟁에 대해 관련 미디어 텍스트들을 선별해 비판적 담화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의 연구방법론을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치 원조 논쟁을 일으킨 핵심 환구시보 기사 두 편(2020년 11월 28일, 12월 9일)의 텍스트적 실천을 기술하는 1차원 분석, 둘째, 주한 미국대사와 유엔 중국 대사의 김치 관련 트윗, 2021년 1월 13일 동시에 발표된 김치 관련 영문판 환구시보 기사와 中央政法委의 SNS 계정 ‘長安劍’에 발표된 評論의 담화적 실천을 해석하는 2차원 분석, 셋째, 중국이 김치 논쟁을 촉발한 사회적 조건을 설명하는 텍스트의 사회적 실천 3차원 분석이다. 연구결과 중국은 분석 대상 텍스트들을 활용해 한ㆍ중 문화 전쟁 프레임을 만들었다. 이 문화전쟁 프레임은 다양한 플레이어들을 인용하여 한국의 김치 종주국 지위를 빼앗는 왜곡과 날조를 통해 김치는 중국 음식임을 선포하는 심리전의 양상을 보여준다. 한국을 모욕하고 조롱하여 힘을 빼는 심리전의 핵심 내용은 ‘김치는 중국음식’임을 퍼트리고 이에 반발하는 한국은 ‘피해망상’에 빠져있다고 몰아붙이는 것이다. 중국이 문화적으로 정신적으로 우월하다는 것을 입증하려는 시도이며 시진핑 주석이 제시한 중국의 ‘문화적 자신감’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한국인들은 ‘문화적 자신감이 결여’된 사람들로 프레이밍된다. 환구시보 기사에서 촉발한 김치 문화전쟁은 미ㆍ중 대사들의 참여로 외교전의 양상으로 확대된다. 주한 미국대사가 한국의 김치 정통성 확보와 김장 문화를 세계적으로 알리는 트윗으로 한국에 힘을 실어주자 유엔 중국대사는 김치는 만들기 어렵지 않으니 스스로 만들어 보라는 트윗으로 견제하며 김치 종주국 한국의 지위를 은밀하게 깎아 내린다. 중국판 환구시보는 중국인들에게 반한 감정을 부추기고 중국의 우수성을 강조하며 중국의 내적결집에 필요한 한류 상품 문제점을 지적한다. 반면에, 영문판에서는 모호한 표현을 통해 은근히 중국의 문명 시원을 들먹이며 김치원조 논쟁의 불필요성과 열린 자세를 강조한다. 영문판 기사는 최근 시진핑 주석이 제시한 한ㆍ중 문화교류 방향에 발맞춰 ‘문화충돌’ 프레임을 ‘문화교류’로 재프레임화 하여 김치전쟁의 출구전략을 찾는다. ‘김치는 중국음식’이라는 이데올로기 확산을 통해 중국은 문화 강대국이 된 한국의 어깨에 올라타 한국의 고유한 문화적 정체성에 균열을 내고 우수한 한국 문화들을 자신의 것으로 전유하고자 한다. 전 세계적으로 중국의 유구한 문화적 정체성을 선전ㆍ선동하는 국가 문화 전략 사업의 일환인 것이다. 경제적으로는 일대일로에 참여하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김치 수출을 늘려나가며 자신들의 문화 강대국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고자 한다. 이번 김치 논쟁에서 드러난 중국의 숨은 의도는 김치논쟁을 중국굴기의 기회로 삼아 전 세계로 중국의 문화적 힘을 확장하는 것이다. By apply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method, this paper examines selected media texts that are relevant to the currently ongoing kimchi dispute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was first triggered by China’s recent acquisition of kimchi ISO certifi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1) A description of the textual practice of the two main Global Times articles (Nov. 28 and Dec. 9, 2020), 2) an interpretation of the discourse practice of the intertextuality of kimchirelated tweets by the US Ambassador to Korea and the Chinese Ambassador to UN, as well as an English article from the Global Times, comments that the Central Law Commission of China published on the same day, Jan. 13, 2021, and 3) an explanation of the social practices and conditions which China used to ignite the Kimchi dispute.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China actively created the Korea- China cultural war frame. This cultural war frame makes use of various players through citations within texts, which employ psychological warfare by declaring that kimchi is a Chinese food, thereby using distortion and fabrication in order to deprive Korea of its status as the home country of kimchi. The key point of the psychological warfare, which insults and taunts Korea, is to spread the belief that, ‘Kimchi is a Chinese food,’ and when Korean people openly oppose this, China makes the accusation that, ‘Korean people have become paranoid.’ These attacks are an attempt to prove that China is culturally and mentally superior and aims to increase China's ‘cultural confidence,’ which is constructed and presented by President Xi Jinping. Therefore, Koreans are framed as, ‘people with a lack of cultural confidence.’ The kimchi cultural war sparked by the articles of The Global Times expanded into a diplomatic war, including the participation of U.S. and Chinese ambassadors. As the U.S. ambassador to Korea encouraged Korea with tweets that promoted Korea's authentic, traditional culture of kimchi-making on a global platform, the U.N. ambassador to China implicitly cut down the status of Korea as the original country of kimchi, through tweets which stated that it is not too difficult for individuals to make kimchi themselves. The Chinese version of the Global Times encouraged Chinese people to feel anti-Korean sentiment, emphasized China's excellence, and pointed out the problematic issue of purchasing Korean Wave products, all for the purpose of uniting Chinese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English version emphasized that the kimchi dispute continues to remain unnecessary, and that individuals need to be open-minded by covertly citing the origin of Chinese civilization through different ambiguous expressions. The English version of the article finds an exit strategy for the kimchi war by reframing the ‘cultural conflict’ frame into a ‘cultural exchange,’ in line with the recent direction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S. Korea and China which was suggested by President Xi Jinping. Through the spread of the ideology which considers kimchi a Chinese food, China attempts to climb onto the shoulders of Korea’s identity as a worldwide cultural powerhouse, crack Korea's unique cultural identity, and appropriate excellent Korean culture as its own. It is part of a national cultural strategy project which promotes and propagates China's long-standing cultural identity around the world. Economically, it aims to strengthen China's position as a cultural power by increasing kimchi exports to countries participating in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China's hidden intentions revealed in the recent kimchi dispute point towards its desire to expand its cultural power around the world, and an opportunity for China to become a powerful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