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의 질 평가

        신현석,주영효,정수현,윤혜원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mixed methods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quality evaluation domain, criteria, and detailed standards were devised. Four types of journals were selected for collection and analysis of mixed methods research data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the quality evaluation of 77 papers was conducted. The conclusions are drawn by dividing them into four research stages. First, at the planning stage, the majority of domestic mixed method research papers do not reveal the nature of mixed method research. Second, in the undertaking stage, the majority of domestic mixed method research papers overlook the importance of research design types. Third, in the interpreting stage, the majority of domestic mixed method research papers do not guarantee the strictness of interpretation. Fourth, in the stage of the disseminating and application of results, the majority of domestic mixed method research papers overlook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mixed method studies, reporting the results or suggesting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 suggested the need for mixed method researchers to change their thinking about mixed method research, and the need to consider and understand the unique research method procedure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xed method research.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의 질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혼합방법연구 질 평가 관련 선행연구 고찰 후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 질 평가 영역, 준거, 세부 기준을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 자료 수집 및 분석 대상 학회지를 『교육행정학연구』,『교육학연구』,『한국교육』,『한국교원교육연구』 등 네 종류로 선정하고, 학회지별 창간호부터 2022년 8월까지 발행된 77편의 혼합방법연구 활용 논문에 대한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국내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네 가지 연구 단계별로 구분하여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획 단계에서 국내 혼합방법연구 논문의 대다수가 혼합방법연구의 성격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둘째, 수행 단계에서 국내 혼합방법연구 논문의 대다수가 연구 설계 유형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셋째, 해석 단계에서 국내 혼합방법연구 논문 대다수가 해석의 엄격성을 담보하지 않고 있다. 넷째, 결과 확산 및 적용 단계에서 국내 혼합방법연구 논문 대다수는 결과 보고, 정책적·실천적 시사점 제시에 있어서 혼합방법연구를 통해 얻게 된 연구 결과의 의의를 간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상의 결론에 기초하여 혼합방법연구자의 사고 전환 필요, 혼합방법연구 고유의 연구 방법 절차와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려 및 이해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 연구에서 혼합방법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담론: 패러다임 혼용의 문제

        이인경 국립특수교육원 2012 특수교육연구 Vol.19 No.2

        사회과학은 물론, 특수교육 연구에서도 현장의 다양성과 특이성을 반영하고 과학적·경험적 근거에 기반을 둔 연구 조건을 충족시키는 혼합방법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패러다임의 성격 및 관점과 혼합방법 연구의 쟁점의 하나인 패러다임과 연구 방법론 간의 관계 등을 검토하여 혼합연구의 이론적 기본 토대를 확인하고, 특수교육 연구에서 혼합방법 연구 활성화를 위한 가능성을 탐색하고 제안을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혼합방법 연구의 패러다임에 대한 관점과 논쟁, 패러다임을 보는 인간 사고의 방법을 살펴보고 특수교육 연구에서 혼합방법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주제로 다음과 같이 세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 패러다임의 다양한 수준의 관점과 논쟁의 역사를 살펴보고 혼합방법 연구의 주요 쟁점인 패러다임의 혼합에 대한 인간 사고의 방법을 살펴보았다. 둘째, 특수교육 연구에서 혼합방법 연구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특수교육에서 패러다임 관점을 제안하고 특수교육에서 혼합방법 연구의 기여점과 발전 방안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육 연구의 발전을 위해 유연한 사고와 소통을 통한 공개적이고 지속적인 논의의 장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홀히 해온 철학적 기조에 대하여 조망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해 주어 연구자로 하여금 현장의 문제 접근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혼합방법 연구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 연구의 근간이 되는 패러다임의 관점을 구조화하여 특수교육 연구에 활용될 혼합방법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possible ways of integration of paradigm for sound ground of the mixed methods research and to promote its utilization for special education research to respond to the diversity and uniqueness of the field and to satisfy the requirement of science based research. For the purpose the following major issues were discussed. First, four paradigm perspectives and paradigm disputes have been reviewed with vision of adaptation and flexibility. Second, reviewing overview and disputable issues in mixed methods research, contributions of the mixed methods research to promote special education research have been discussed. And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more attentions and efforts with open discussion should be put into developing strong ground of the mixed methods.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 동향 분석

        신현석(Shin Hyun-Seok),주영효(Joo Young Hyeo),정수현(Jeong Soo-hye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 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 저, 국내 혼합방법연구 동향 분석 연구 및 혼합방법연구 관련 연구를 고찰 한 후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 동향 분석을 위한 분석 준거를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자료수집 및 분석 대상 학회지를『교육행정학연구』,『교육학연구』,『한국교육』,『한국교원교육연구』등 네 종류로 선정하고, 1980년부터 2014년 12월 31일 사이에 발행된 혼합방법연구 109편을 식별한 후, 최종 분석 대상 논문 55편을 확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은 분석 준거를 적용하여 1차 분석 및 분석 준거 최종 수정 작업을 하였으며, 이 준거를 토대로 2차 분석 후 분석 결과에 대한 연구진 간 상호 검토를 거쳐 분석 결과를 최종 양적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코딩 데이 터는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시대별 및 질적·양적연구 비중별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 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시대별로는 ① 혼합방법연구 설계 이유 및 활용 목적 명시 비율이 시대별로 전반적인 증가세를 보여 2010년대에는 60%대를 보여주고 있고, ② 순차적 연구 비율이 동시적 연구에 비하여 시대별로 높고, 설계 유형 가운데 “QUAN→qual”의 비율 이 1990년대 이후 크게 증가하여 2010년대에는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양적연구 방법 비중별로는 ① 질적연구의 신뢰도 검증 방법이 제시 되지 않은 비율이 질적·양적연구의 비중이 동일한 경우 50%를 상회하고, ② 양적연구에서는 자료 표집을 하지 않은 비율과 타당도 분석 방법이 명시되지 않은 비율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에 대한 시사점 및 발 전 과제로 ① 연구자들의 혼합방법연구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방법론적 가치 인식, ② 면밀 한 혼합방법연구 설계 및 자료수집과 분석, ③ 혼합방법연구에 대한 훈련과 교육 강화 및 교 육행정학회 차원의 논의 활성화와 학술지 논문 심사에서의 엄격성 담보 등을 도출하고, 후속 연구로 혼합방법 활용 개별 연구물의 질적 내용 분석과 혼합방법연구 핸드북 출판 등을 제언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ixed methods research trends i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cholars, researchers, and graduate students. Mixed methods research which can be briefly defined as “one type of research design in which researcher integrat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or adopted qualitative/quantitative approaches” has been called the third methodological paradigm.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followed four steps. First, the researchers scrutinized previous the mixed methods research trends and Korean and Western research articles which analyzed mixed methods research trends. As a result, this study constructed 16 analysis criteria. Second, we selected four prominent Korean academic journals that includ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 and『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After reviewing 109 research articles which were chosen as using mixed methods published in these four journals, the researchers examined a total of 55 studies. Third, we conducted a primary and secondary analysis for the selected articles. Finally, the present study analyzed quantitative coding data using PASW 18.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1) that purpose of statements was included in 60% of 55 studies that we coded as mixed methods research in the 2010s, 2) that the most common research design among nine types of mixed methods research was a sequential explanatory design (QUAN→qual), 3) that most frequently used method for collecting qualitative data was interview (60.6%), 4) that a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less than three months for 36.4% and 40.0% did not include specific information, and 5) that 52.7% of quantitative strand of mixed methods research did not present the measurement validity.

      • KCI등재

        혼합 연구방법에서의 패러다임(paradigm)의 혼합

        이원석(Lee,Won-Suk)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39

        최근 교육 연구나 교육 평가 분야에서 혼합 연구방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연구 현장에서의 혼합 연구방법의 활용은 단순히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를 동시에 사용하는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실질적인 연구방법의 혼합은 패러다임의 혼합에서 이루어진다고 볼때 이러한 단순한 양적, 질적 자료의 활용으로는 혼합 연구방법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혼합 연구방법의 철학적 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패러다임의 혼합에 대한 논의를 통해 혼합 연구방법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혼합 연구방법의 의의와 장점을 살펴 본 후, 혼합 연구방법에서의 패러다임의 혼합에 대한 논쟁을 검토하였다. 또한 패러다임의 혼합에 대한 변증법적 입장을 토대로 패러다임 혼합의 네 가지 특징으로서 상이한 패러다임에 대한 개방성, 패러다임 혼합의 의도성, 패러다임의 차이에 대한 존중, 패러다임 혼합의 실제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패러다임 혼합에 관한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이러한 패러다임의 혼합이 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예시하였다. Using mixing methods on the technical level is very common phenomena in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in recent years. But, many researchers and evaluators can not utilize the fullest potential of mixed methods, though they routinely use a mix of different methods in their works. And at the level of philosophical assumptions, that is, of paradigms, there has been ongoing debate. The debate on paradigm is very meaningful not only for the legitimacy of mixed methods but also for the maximization of strengths of mixed methods. From this perspective this article investigates strengths of mixed methods, the meaning of mixing paradigms in mixed methods, and how the mixing paradigms can be related to the maximization of strengths of mixed methods. Finally, this article illustrates how mixing paradigm is occurred in practice throgugh a case of mixed methods inquiry.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 프로젝트 평가에 혼합 방법 적용 방안

        임형백 충북연구원 2020 지역정책연구 Vol.31 No.1

        The debate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science has a long history. Despite much effort in social science researc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have many differences and exclusivity, but rather exclusivity is becoming stronger. Some view that the quantitative method and the qualitative method are incompatible, while others view it as incompatible. On the other hand, neither method is perfect and has its own strengths and weaknesses. In particular, in the research, variou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are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researcher, and mixed research has produced useful research results. Mixed method is also called a ‘triangulation’. On the other hand, when evaluat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re inevitable. This is because quantitative data such as statistics are not sufficient in the recipient country, and field research is essential. Rather than academic debate, an accurate evaluation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ject is necessary. In this paper, the basic problems for compar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re divided into eight categories. In addition, the argument tha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re compatible, that is, the rationale, method, and expected effect of mixed methods were considered. Finally, the application of mixed methods for evaluat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was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Above all, in evaluat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re used independently of academic debate. In the recipient country, there are not enough quantitative data such as statistics, and there are many things that cannot be measured with quantitative data. In addition, field research must be conducted to evaluat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regional research and interviews are frequently used. In additi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which researchers with diverse academic backgrounds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valuation, is already premising on a mixed method. 사회과학에서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 간의 논쟁은 역사가 오래되었다.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이 양립불가능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고, 양립가능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학문적 논쟁과는 별개로, 연구에 있어서는 연구자의 목적에 따라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이 다양하게 쓰이고 있으며, 혼합 연구가 유용한 연구결과들을 내놓고 있다. 혼합 방법은 ‘삼각법’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한편 현실적으로 국제개발협력 프로젝트의 평가에 있어서는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같이 사용할 수 밖에 없다. 학술적 논쟁보다는 국제개발협력 프로젝트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 필요하다. 왜냐하면 수원국에는 통계와 같은 양적자료가 충분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현장연구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국제개발협력 프로젝트 평가는 혼합 방법에 의존한다. 그럼에도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양적 방법, 질적 방법, 혼합 방법에 대한 고찰은 부족하다. 이 논문은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비교를 위한 기본 문제를 8개의 범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그리고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양립이 가능하다는 주장, 즉 혼합 방법의 이론적 근거, 방법, 기대 효과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국제개발협력 프로젝트 평가를 위한 혼합 방법의 적용을 7개의 범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무엇보다 국제개발협력 프로젝트의 평가에 있어서는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이 학술적 논쟁과는 별개로 모두 사용되고 있다. 수원국(recipient country)에는 통계 등 양적 자료가 충분하지 않을 뿐더러, 양적 자료로 측정할 수 없는 것이 많다. 또 국제개발협력 프로젝트의 평가는 반드시 현장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지역연구, 인터뷰 등 질적 연구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 평가에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학제간(Interdisciplinarity) 연구가 이미 혼합 방법을 전제로하고 있기도 하다.

      • KCI등재

        특허침해로 인한 일실이익과 합리적인 실시료의 혼합산정 방법 – 특허법 제128조 제2항 개정과 관련하여 -

        이주환 법무부 2020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92

        Article 128 Paragraph 2 of the revised Patent Act, which is scheduled to take effect on December 10, 2020, stipulates the mixed method of calculating lost profit and reasonable royalty by patent Infringement. The mixed method means the method of calculating lost profit for a portion of damages and a reasonable royalty for another portion of the damages. There were legal scholars who argued that the mixed method should be introduced into the patent law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Japan have already established it as one of legal principles for the method calculating the amount of damages due to patent infringement. In particular, Japan codified the mixed metho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patent law in 2019, and it is assumed that the revision of the patent paw in South Korea was influenced by the revision of the patent law in Japan. In South Korea, damages caused by patent infringement is calculated in small amounts, which has led to a lot of criticism that it weakens the inventor's motivation for patent inventions, discourages companies from investing in patent inventions, and does not effectively deter potential patent infringement. The mixed method may create a legal environment in which the patentee may be granted a large amount of damages, since the patentee may also receive a reasonable royalty for the lost profit that he or she has failed to prove. Therefore, the mixed method could be a good alternative to break through this reality in South Korea. After all, the introduction of the mixed method into patent law in South Korea is a “good policy.” 2020년 12월 10일부터 시행될 예정에 있는 개정 특허법 128조 제2항은 특허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액 산정방법 중 일실이익과 합리적인 실시료의 혼합산정 방법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일실이익과 합리적인 실시료의 혼합산정 방법은 특허권자가 특허침해로 인하여 자신이 입었다고 주장하는 일실이익 중에서, 특허권자가 실제로 증명한 일실이익 부분은 일실이익으로 손해배상액을 산정하고, 특허권자가 증명하지 못한 나머지 일실이익 부분은 합리적인 실시료로 손해배상액을 산정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일실이익과 합리적인 실시료의 혼합산정 방법이 우리 특허법으로 도입되기 이전에 이러한 손해배상액 산정방법이 인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었고, 이미 미국과 일본은 실제 사건에서 일실이익과 합리적인 실시료의 혼합산정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특허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액 산정방법에 대한 법리의 하나로 정착시켜왔다. 특히 일본은 2019년 특허법 개정을 통하여 일실이익과 합리적인 실시료의 혼합산정 방법을 자국의 특허법에 성문화하였는데, 우리의 특허법 개정도 일본의 특허법 개정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우리나라에서는 특허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액이 소액으로 산정되고 있어서, 발명자의 특허발명에 대한 동기를 약화시키고, 기업들의 특허발명에 대한 투자를 위축시키며, 잠재적인 특허침해행위를 효율적으로 저지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많이 제기되고 있다. 일실이익과 합리적인 실시료의 혼합산정 방법은 특허권자로 하여금 자신이 증명하지 못한 일실이익에 대해서도 합리적인 실시료로 손해배상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특허침해를 당한 특허권자에게 고액의 손해배상액을 인정할 수 있는 법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실이익과 합리적인 실시료의 혼합산정 방법은 2019년 특허법 개정에 의하여 도입된 증액손해배상제도와 함께 특허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액이 소액으로 산정되는 우리의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법적 장치가 될 수 있다. 결국 2020년 특허법 개정을 통하여 우리 특허법에 일실이익과 합리적인 실시료의 혼합산정 방법을 도입한 것은 “좋은 정책”이다.

      • KCI등재

        특수체육 연구에서 혼합 연구방법론 적용 사례와 향후 발전을 위한 탐색

        이인경 ( In Kyung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특수체육의 다양성과 특이성을 반영하고 연구의 과학적 경험적 근거를 명확히 하는데 더욱 적절 하다고 판단되는 혼합 연구방법론의 특성과 개념적 정의를 살펴보고 특수체육연구에서 혼합 연구의 적용사례 와 향후 발전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의 특성을 비 교 검토, 혼합 방법 연구의 개념적 정의에 관한 유사 개념들과의 비교 및 고찰, 특수체육연구에서의 적용사례와 활용가능성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내용으로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주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대표적인 연구 접근법으로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방법 연구를 다양한 관점에서 비교 설명하였다. 둘째, 최근 대두되고 있는 혼합 연구의 다양한 명칭과 정의, 사용 목적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셋째, 특수체육학계의 2000년 이후의 연구물을 연구방법 면에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추이를 분석하면서, 혼합 방법을 사용한 연 구들을 혼합 방법 연구의 방법론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새로이 대두되고 있는 혼합 연구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 연구방법론의 가능성과 토대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ies of the mixed methods research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to respond the diversity and uniqueness of the field and to satisfy the requirement of science based research. For this purpose, three major issues were discussed. First, various characteristics in three represen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research have been investigated. Second, definitions and purposes of the emerging mixed methods research have been reviewed. Thirdly, research trend on methodology and quality of mixed methods research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have been analyzed. And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continuing dialog in open forum will develop the better understanding of mixed methods research in the field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 KCI우수등재

        사회복지분야 혼합연구 동향 분석

        선미정(Seon, Mi Jeong),정원미(Jung, Won-Mi),장정은(Jang, Jungeun),전종설(Chun, JongSerl) 한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학 Vol.70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분야 혼합연구의 동향파악을 위하여 2000년부터 2017년 6월까지 사회복지관련 국내학술지에 등재된 혼합연구 48편을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출판연도, 연구유형, 연구대상, 혼합목적, 혼합적 가치, 철학적 패러다임, 혼합방법 문헌검토, 설계방식 및 수행절차, 설계전략, 결론에서의 혼합유형을 제시하였고,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영역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00년부터 지속적으로 혼합연구는 증가 추세를 보이며, 특히 성인, 전문가 및 실무자 중심의 복합대상 연구가 34편(71%)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유형에서는 35편(73%)이 실태와 인식 및 경험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하지만 혼합연구의 목적과 설계방식을 제시한 연구는 절반 이하 수준 이었고, 철학적 패러다임이나 이론적 근거에 기반을 둔 혼합 가치를 제시한 연구는 극히 일부였다. 혼합연구 설계 방식은 양적연구에서 질적연구를 순서적으로 진행한 순차적 설명설계를 주로 활용하였고, 결론의 혼합유형으로는 상호보완적 혼합이 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혼합연구가 두 연구방법의 단순 병렬이 아닌 통합적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인식론적 접근이 고려된 혼합연구의 구체적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in mixed research in social welfare by analyzing 48 article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the year 2000 to 2017. The analysis framework included published year,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s, purpose of the mixed research, value of mixed research, philosophical paradigms, literature reviews of mixed methods, presentation of the design method and procedure, design strategy, and mixed types in the conclusion secti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area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has been a consistent increase in mixed research in various research subjects, especially in studies targeting adults, professional and practitioners (34 cases, 71%). Regarding the research type, 35 studies (73%) dealt with general practices such as the status quo, perception, and experiences. Studies that presented the purposes and design methods of mixed research formed less than half the total number of cases, and only a few studies presented the value of mixed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a philosophical paradigm or on a theoretical basis. Mixed research mainly uses the sequential explanatory design method, which involves conducting quantitative research first and then the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conclusions section, most works preferred to use the complementary type of conclusion. This study adopts an epistemic approach to obtain an integrated result rathe than create a simple parallel layout of two separate research methods. This provides a scientific basis for a more systematic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studies.

      • 평가함수에 의해 혼합된 다수의 분할 방법을 적용한 Visible Human컬러 영상의 분할

        김한영,김동성,강흥식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0 No.3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이상의 분할 방법을 혼합하여 분할했을 때, 분할 결과의 정확성이 전체적으로 개선되어지면서 동시에 영역 경계의 각 부분에서도 단일 분할 방법의 결과보다 향상될 수 있는 혼합형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다수의 분할 방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는데, 한 분할 방법에 의한 결과를 현재 방법과 다음 적용할 방법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함수로 분석하여 신뢰도가 높은 부분은 유지하고, 낮은 부분들을 다음 방법들에서 개선한다. 제안된 방법을 Visible human 컬러 영상의 근육을 분할하는데 적용하였고, Balloon 방법, 최소비용경로탐색 방법, 그리고 영역 성장법이 혼합되어 사용되었다. 실험에서 얻어진 최종 분할 결과는 전체적으로 정확성이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국부적으로도 단일 분할 방법의 결과보다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n approach integrating multiple segmentation methods in a systematic way, which can improve overall accuracy without deteriorating accuracy of highly confident segments of boundaries generated by constituent methods. A segmentation method produces boundary segments, which are then evaluated with an evaluation function considering pros/cons of the current and next methods to apply. Boundary segments with low confidence are replaced by a next method while the other segments are kept. These steps are repeated until all segmentation methods are applied. The proposed approach is implemented for the segmentation of muscles in the Visible Human color images. A Balloon method, a minimum cost path finding method, and a Seeded Region Growing method are integrated. The final segmentation results showed improvements in both overall evaluation and segment-based evaluation.

      • KCI등재

        수학교육연구 및 혼합 연구방법 동향- 최근 10년간 발표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김동중 ( Dong Joong Kim ),배성철 ( Sung Chul Bae ),김원 ( Won Kim ),이다희 ( Da Hee Lee ),최상호 ( Sang Ho Choi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4 수학교육논문집 Vol.28 No.3

        본 연구는 2003년 1월부터 2013년 9월까지 국내 등재(후보) 학술지에 발표된 문헌 연구를 제외한 총 70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과 연구방법의 동향을 분석하고, 그 중에서 혼합 연구방법을 사용한 논문 중에서 연구단계별 혼합유형을 좀 더 면밀히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연구방법의 동향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가 대부분이고 혼합 연구가 10%미만으로 적었다. 또한 혼합 연구방법을 사용한 논문들을 조사한 결과, 혼합유형은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이 동등하게 사용된 논문이 대부분이었고 혼합 연구에 사용된 양적 연구방법의 동향은 기술통계가 가장 많았으며 질적 연구방법의 동향은 이론 기반 개념적 틀의 사용이 매우 저조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논문은 수학교육논문에 연구방법이 어떻게 사용되었으며 앞으로 수학교육 연구에서의 연구방법의 다양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methods in a total of 709 studies published in five domestic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s issued by Korea Citation Index (KCI) for the last 10 years (2003-2013) and strands in stages of research methods among mixed methods studies. As a result, the majority of articles in the five journals used either qualitative or quantitative methods and mixed methods research was less than 10 % of the total number of studies. The majority of mixed methods was research equally mix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he mixed methods research consisted primarily of quantitative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very little qualitative with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Our results provide not only trends of the current research methods, but also implications for various future research paradigms in mathematic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