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大山 李象靖(1711~1781)의 학문공동체 형성과 그 확대-『大山日記』를 중심으로-

        김명자 조선시대사학회 2014 朝鮮時代史學報 Vol.69 No.-

        Daesan Lee, Sang Jeong(1711~1781) is a typical Yeongnam scholar in the mid-to-late 18th century. He wrote diary from 1739(Yeongjo 15) till his death on Dec 6, 1781(Jeongjo 5), and 16-year diary is left. His study and Ganghak took greater portion of his di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ation process of Daesan Lee, Sang Jeong’s Scholarly community and its expansion and shed light on the status of his Ganghak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end of Yeongnam School. His Ganghak can be divided into 3 period: ‘early scholarly community’, ‘formation of scholarly community’, ‘expansion of scholarly community’. The first period was from his 30s(1740s) to 40s(1750s). He started his Ganghak during this period and the members of his scholarly community were composed. He carried out his Ganghak at Deasan Seodang, Gudamsungdang and his home and studied with the people living in Andong Sohori, his neighborhood, and his family. Lee, Sang Jeong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of Hyangchon by the local government office; exchanged with the scholars in the neighboring villages; and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his fellow students, which made great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Lee, Sang Jeong’s scholarly community. The second period was from his late 40s to 50s: the formation of scholarly community. He studies with Lee, Jong Soo, Kim, Jong Deok, Kim, Jong Gyeong in his neighborhood; Lee, Heon Woo and Lee, Gyu(his blood ties) Gwon, I Sook(his school tie). These people played a critical role in his scholarly community. The regional range expanded from Andong to Sangjoo, Hamchang Chungsong, Daegu, etc. The third period was from his 60s: the expansion of scholarly community. His main active space during this period was Gosanjeongsa. He built this space and this space served a role as a study/Ganghak center of his study group. Gosanjeongsa bound his scholarly community, serving a role as a symbolic space for literary people to succeed scholarly community. Lee, Sang Jeong absorbed the scholarly foundation of Galam Lee, Hyeong Il through his Ganghak in Yeongyang, Jinbo, and Andong Phygok; and expanded the denotation of his scholarly community through Munjasusu. He demonstrated the typical image of Confucian intellectuals, enhanced the Yeongnam scholarly tradition that was in a slump, and unified the disunited rural community society. Much emphasis on Saseo and Seongrihak and neglect on Gyeongse can be pointed out as the limitations in his scholarly community. This is partially because Yeongnam Namin were excluded from the central politics and thus they had no opportunities to accommodate the chronological changes and put Gyeongse into practice.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Yeongnam Namin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the confucian intellectuals in the late Chosun fulfill their obligations of the times. In this respect, Lee, Sang Jeong has fulfilled the roles of Yeongnam intellectuals in the mid-to-late 18th century. 大山 李象靖(1711~1781)은 18세기 중후반 영남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는 1739년(영조 15)부터 사망하기 직전인 1781년(정조 5) 12월 6일까지 일기를 썼으며, 이 가운데 16년 동안의 일기가 남아 있다. 일기는 이상정의 공부와 강학에 대한 내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를 통해 이상정이 ‘학문공동체’를 형성하고 확대해 나간 과정과 이상정의 강학 활동이 영남학파의 흐름 속에서 어떠한 위상을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상정의 강학은 크게 초기의 학문공동체, 학문공동체의 형성기, 학문공동체의 확대기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시기는 30대(1740년대)~40대(1750년대)의 강학이다. 이 시기 강학을 시작했으며, 학문공동체의 초기 구성원이 형성되었다. 강학 장소는 대산서당․구담성당․집이며, 가족 및 이상정이 거주하는 안동 소호리 주변의 인물과 공부하였다. 이상정은 지방관의 향촌운영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인근 마을의 학자들과 교유하며, 동문수학하던 벗들과도 가깝게 지냈다. 이러한 교유는 이상정의 학문공동체 형성에 기여하였다. 두 번째 시기는 40대 후반~50대이며, 학문공동체의 형성기이다. 이상정은 이 시기 가족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이종수․김종덕․김종경, 혈연으로 연결된 이헌우․이규, 학연으로 연결된 권이숙 등과 함께 공부하였다. 이들은 이상정의 핵심 문인이 되었다. 학문공동체의 지역적인 범위도 안동을 비롯하여 상주․함창․단성․청송․대구 등으로 확대되었다. 마지막으로, 60대 이후 학문공동체의 확대기이다. 이 시기 이상정의 주요 활동공간은 고산정사이다. 이곳은 문인과 함께 구축하였으며, ‘이상정 학단’의 연구․강학 센터의 기능을 하였다. 고산정사는 학문공동체를 결속시키고, 문인들에 의해 학문공동체가 계승되는 상징적인 공간이기도 하다. 이상정은 영양․진보 및 안동의 瓢谷 등에서 강학을 통해 갈암 이현일의 학문적 기반을 흡수하였으며, 文字收受를 통해 학문공동체의 외연을 넓히기도 하였다. 일기를 통해 이상정은 유학적 지식인의 전형적인 모습을 제시하였고, 침체된 영남의 학풍을 제고하였으며, 분열된 향촌사회를 통합시켜 나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四書 및 性理書 일변도의 공부와 經世에 소극적인 점은 한계로 지적할 수 있는데, 이는 영남 남인이 중앙정치에 배제되면서 시대적 변화를 수용하고 경세를 실천할 수 있는 기회가 차단된 사실과도 관련이 있다. 다만 학문공동체를 통한 영남 남인의 결집은 한말 유학적 지식인이 시대적 의무를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으며, 그러한 점에서 이상정은 18세기 중후반 영남의 지식인에게 주어진 역할에 충실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국민속학이라는 학문과 학문공동체

        스아이동(施愛東),유양(번역자) 실천민속학회 2023 실천민속학연구 Vol.41 No.-

        학문공동체는 비슷한 연구 패러다임을 가진 학술 동료들로 구성된다. 학문 구분의 가장 중요한 표징은 연구 대상이 아닌 사람, 곧 객체가 아닌 주체다. 민속학이 과학적인 성격을 지닌 현대 학문이라는 것을 인정한다면, 그것은 실증 연구와 인식론에 기초한다. 학문 건설은 전공 연구 패러다임에 기반한 인재 양성과 공동체 구축이라는 두 가지 실천 가능한 경로 밖에 없다. 학문공동체의 형성은 분과학문 성립의 중요한 상징이며, 학문공동체의 존재 의미는 학술 대화다. 이 대화는 이론적 공감대의 형성과 공동체의 구성원의 학술 영향력 제고는 물론 젊은 학자 집단의 자기 구조(救助)에도 도움이 된다. 학문과 학자는 상호 의존적일 뿐만 아니라 상호 배타적일 수도 있는, 세력과 이익[勢利]에 따른 쌍방향의 선택적 관계다. 분과학문이 강대하다 하여 학자들이 모두 우수한 것은 아니지만, 개개인의 우수함에 따라 분과학문은 반드시 더욱 강해질 것이다. The academic community is composed of academic colleagues with similar research paradigms. And the most important symbol of academic classification is not the subject of study but the person, that is, not the object but the subject. If you admit that folkloristics is an modern discipline with a scientific character, it is based on empirical research and epistemology. Academic construction has only two practical paths: fostering talent and establishing the community based on the major research paradigm. The formation of academic community is an important symbol of the establishment of a discipline, and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an academic community is academic dialogue. The dialogue helps to form a theoretical consensus and enhance the academic influence of community members, as well as the self-rescue of young scholar groups. Studies and scholars are two-way selective relationship based on power and interests, which may be mutually exclusive as well as mutually dependent. Scholars will not become superior just because their discipline is strong, but the discipline, will definitely become stronger as individuals excel.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온라인 학문 공동체 활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학문적 과제 수행 과정을 중심으로 -

        이경(Lee, Kyung),백수원(Back, Suwon)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7 No.-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온라인 학문 공동체 활동을 살펴보고, 지식이 구성되는 과정을 개별적 지식 구성-개별적 지식의 외면화-사회적 성찰-공유된 이해-사회적 지식의 외면화의 다섯 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 공동체 활동 중 나타나는 메시지를 인지적, 사회적, 운영적, 메타인지적 차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6명의 외국인 유학생들로 구성된 학문 공동체를 구성하였으며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을 통해 공동의 학문적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각 차원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문 수행 과정과 상호작용을 드러내는 메시지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 학습 활동 중에 외국인 학습자들이 과제 수행과 관련하여 개인적‧사회적 자원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메시지가 나타나는 등 학문 공동체가 가지는 순기능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결과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문 공동체 활동에 대한 이해를 높여 향후 온라인 학습 활동을 설계하고 운영할 때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nline academic community activities of international students 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knowledge construction was divided into five stages: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externalization of individual knowledge, social reflection, sharing understanding, and externalization of social knowledge. Additionally, the messages exchanged during the academic community activities were analyzed from cognitive, social, operational, and metacognitive perspectives. For the analysis, an academic community was formed with six international students, and a common academic task was performed through an online video conferencing platform. The results showed that it was possible to observe messages revealing the academic performance and interac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cognitive, social, operational, and metacognitive dimensions. Furthermore,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positive functions of the academic community, such as message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shared with each other through personal and social resources and know-how while performing academic tasks.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when designing and operating future online learning activities by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students’ academic community activities.

      • KCI등재

        중년 여성 박사 대학원생의 ‘학문적 문해력(Academic Literacy)’ 발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이해영,김영석 한국질적탐구학회 2024 질적탐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여성의 박사 대학원생 과정의 경험을 통해 습득하는 ‘학문적 문해력’의 의미와 학문적 문해력이 학문적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년 여성의 박사과정 5학기 동안의 학문적 맥락의 경험을 자전적 내러티브탐구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으며, 연구자가 학위과정간 작성한 성찰일지가 주 자료로 분석되었으며, 기억자료, 과제 및 피드백자료 등이 보조자료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자에게 ‘학문적 문해력’은 학문적 소양을 다지기 위한 능력이며, 학문적 공동체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사회적 실천 역량이 되었다. 학문적 문해력이 학문공동체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학업 중 사용하는 언어는 연구자 개인의 삶과 학문적 맥락을 읽어내는 눈이었으며, 지식을 드러내고 그것을 드러내는 행위로서 의미를 형성하고 구체화하는 사회적 실천의 과정이었다. 학문적 공동체내 다른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에 필요한 역량이었으며, 지식을 기저로 한 권력 관계를 깨닫게 하는 비판적 문해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성인학습자의 고등교육 참여와 학문 환경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전환을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cademic literacy’ as it is acquir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female Ph. D. students and the impact of academic literacy on their identity formation as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For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female in the academic context during the fifth semester of their Ph. D. program were studied through Self-narrative inquiry method, and the researcher’s reflection journals were analyzed as the primary data, and memory data, assignments, and feedback data were used as secondary data. For this researcher, ‘academic literacy’ has become a social practice competency that recognizes and expresses the identity of an academic community. The impact of academic literacy on the formation of academic community identity: the language used during academic work is a lens through which the researcher’s life and academic context are read, and the act of revealing knowledge and making it visible is a social practice that shapes and embodies meaning. It was a competency necessary for interacting with other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and it manifested itself in critical literacy that made them aware of the power relations that underlie knowledg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may provide a basis for a shift in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the growing participation of adult learners in higher education and the academic environment.

      • KCI등재

        법학의 학문성에 대한 반성적 고찰

        이계일(Lee, Kye-Il)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 공법학연구 Vol.19 No.1

        본고는 법학의 학문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서, 먼저 법학의 학문성을 부인하고자하는 목소리를 문제의식 환기차원에서 살펴보았으며, 그에 이어 근대학문이 학문성의 본령으로 여긴 바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그 모범으로서 간주된 자연과학의 방법론적 전제들을 검토하고 그것이 사회과학, 특히 법학의 영역에 어느 정도나 적용될 수 있을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그 한계에 대한 인식과 함께, 해석의 학문이자 규범의 학문에서 학문성이 지탱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특히 반증이론, 정합성이론(해석학 포함), 논의이론를 중심으로 제반 학문이론적 검토를 수행해 보았고, 그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논의이론의 시간적 확장’, ‘경합다원주의’ 그리고 ‘해석공동체의 비판적 극복의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감안한 학문이론의 구성에로까지 진척시켜 보았다. 이는 일정부분 법학의 학문성에 제약과 위협이 될 수 있는 요소들을 반성적으로 살펴보는 작업 역시 포괄하였다. 마지막으로 법학의 학문적 작업으로 유효한 방법론들을 필자가 그 한계를 지적한 학문이론들의 통찰들 역시 포괄하는 방식으로 유형화하고 법학의 다층적 성격을 정리해 보았다. 위의 연구를 통해 본고는 법학, 특히 해석법학의 학문성이 근본적으로 일정한 제약조건 하에 놓여 있으며, 결국 그러한 한계를 어느 정도나 줄일 수 있을지는 법학자들이 이를 위해 얼마나 반성적으로 노력하는지, 그 과정과 정도에 의존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 진단과 과제의 탐색

        신현석,정용주 한국교육정치학회 2013 敎育政治學硏究 Vol.20 No.3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in an effort of establishing its academic status developed continuously since 1994. To attain the purpose it unravels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olitics and the perspectives of it inquiry, and analyzes and diagnoses its identity from the views of scientific, boundary, and scholarly group identity which are conceptualized to mean the identity of an academic discipline. As a result, academic identity of educational politics have progressed a little in each area of identity, but have been sluggish in combined effort of them.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tasks in order to establish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as the followings: (1) to construct scholars' continuous research competency for stabilizing research paradigms and settling the discipline down into the nation, (2) to develop various research themes and methods for improving cohesiveness and bond of academic community, and (3) to scrutinize theoretical system, concepts, and methodolog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as an integrated and interdisciplinary field.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정치학이 1994년 이래 지속된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의 하나로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논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성격과 학문적 탐구의 관점을 밝히고,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과학적 정체성, 경계 정체성, 집단 정체성으로 개념화하여 각각의 관점에서 분석·진단하였다. 진단 결과,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학회 창립 이래 개별적으로는 진보되었으나 응집된 공동체의 일관성있는 정체성 확립 노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과제로 패러다임의 정착과 교육정치학의 토착화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역량의 구축, 학문공동체의 응집력과 결속력을 높이는 다양한 연구 주제와 방법의 강구, 융합적·간학문적 학문으로서 교육정치학의 이론체계, 개념, 연구방법론의 정교화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18세기 향촌사회와 유교공동체 - 순암 안정복을 중심으로 -

        김보경 동양고전학회 2009 東洋古典硏究 Vol.35 No.-

        順菴 安鼎福(1712∼1791)은 역사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鄕村社會 전문가이기도 했다. 그는 중앙 정치권력에서 소외된 南人系 학자였다. 유년과 청년시절 향촌 각처를 전전했고, 20대 중반 廣州 德谷에 정착한 뒤로는 관직 때문에 잠시 나간 것을 제외하고는 줄곧 이곳에 머물며 수양과 저술에 전념했다. 60대 후반 木川 縣監을 마지막으로 實職에서 물러났다. 이러한 불우한 환경은 그의 학문적 관심과 정치적 시선을 形而上學이 아닌 ‘形而下學’으로, 중앙이 아닌 ‘향촌’으로 향하게 했다. 그는 향촌을 家와 國을 매개하는 연결고리로 파악하고, 향촌을 기반으로 하여 인간의 기본 윤리와 일상생활에서의 禮의 실천을 강조하는 유교공동체를 구상했다. 먼저, 그가 구상한 유교공동체는 향촌을 단위로 하는 지역공동체이다. 그는 향촌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敎化를 최우선의 과제로 삼고, 鄕約을 그 방안으로 제시했다. 자신의 향리에 洞約을 실시했고, 목천 현감 시절에는 鄕約을 시행했다. 이것은 사대부 중심의 향촌질서를 재구축하고자 한 의도로 파악된다. 그러나 이 향약은 上下 동참의 형태를 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民心에 대한 순응과 사대부의 솔선수범을 강조하고 일상생활에서의 윤리의 실천을 통해 구성원 간의 조화와 질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지역공동체적인 성격을 지닌다. 한편, 그는 향촌의 학문공동체를 기획했다. 그는 학교 진흥을 교화의 급선무로 인식하고, 書齋를 중심으로 향촌 자제들과 강학 활동을 전개했다. 麗澤齋라는 書齋를 설치하여 小學을 강독했고, 70대 후반에는 「呂氏鄕約」을 표준으로 하고 일상의 윤리와 독서법을 덧붙인 學約을 마련하여 시행했다. 이 학약은 뒤에 전라남도 나주의 眉泉書院에 적용되었다. 이는 講學과 明道의 중시, 독서와 실천의 일치를 강조하는 그의 학문관과 학문공동체 기획의 사회적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판단된다. A well-known historian, Ahn Jeong-Bok(Sun-Am, 1712∼1791) was an expert on the country village community. He was a scholar of the "Nam-In" group, who was excluded from the corridors of power in those days. He kept on the move in various parts of country villages from his childhood. After settling down in Deok-Gok, Kwang-Ju, he stayed in the place devoting himself to the self-culture and the literary works. By his surrounding of environment, he had an academic interest in a concrete science rather than metaphysics and country villages rather than the central city. He considered the country villages as the link holding between a family and a country and had the conception of a confucianist community based on country villages, emphasizing the practice of confucianist virtues in everyday life. First of all, his confucianist community was the community based on country villages. He thought that the enlightenment wa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for solving problems in country villages. As a solution to those problems, he suggested Hyang-Yak, the self-governed regulations of country villages. In his own village he made the self-governed rules Dong-Yak. When he was a provincial governer of Mok-Cheon, he put Hyang-Yak, the self-governed regulations of country villages in operation. It aimed for a kind of gentry-centric country village community. But Hyang-Yak was the regulations based on the agreement with each other, stressed the regard on the popular mind and the setting the pace of the gentry, and aimed for the harmony and order in a community through the practice of moral virtues in daily life. On the other hand, he had a conception of a country village's academic community. He thought of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intuitions as a pressing need of the enlightenment of country village. With young people he read confucianist books with comments in a village school, Seo-Jae. In his seventies, he made and put the self-regulations for academic community, Hak-Yak, in operations. It is considered that Hak-Yak was an example of his idea of academic community and his point of view on learning, which emphasized on the coincidence with reading and practice.

      • KCI등재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학문공동체성 함양을 위한 연구

        박상진,김효숙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8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Society for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SCRE) and suggest ways to consolidateits identity as an academic community by extracting related factors. KSCRE is asynthesis of diverse academic generations, multitudinous practice fields, and variedacademic disciplin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s of recognition, participation,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membership periods, practice fields, and academicmajors of the participants.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is 70, among whichjunior scholars and leading ministers responded most actively. The return rate was35.9%,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level of recognition of KSCRE activity, it is shown thatthe participants with memberships of 3 to 5 years had the lowest average; there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ifferent groups. Identity as a KSCRE memberand belongingness were also lowest among the participants with memberships of3-5 years and among those who were enrolled in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The participants considered “the need of diversified academic perspectives andresearch areas” and “the need to change KSCRE” as the most important issue and“the absence of cooperative research among scholars and ministers” as the mostserious problem. Second, the average participation rate was the lowest among the three factorsof recognition,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nd was even lower compared with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which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werewilling to actively participate in KSCRE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academy. However, the mean of the participation rate decreased in practice,which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from various aspects. To grow as a soundacademic community, KSRCE needs to sufficiently announce their activities andevents to their members and find ways to increase the member participation. Third,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subcategorized as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operations, conferences, and academic books and journals. For each subcategory,group with a participation background of 5 to 10 years, group covering primaryand secondary schools, and group with majors in Christian Education showed thehighest mean, whereas the mean for those with memberships of 3 to 5 years wasthe lowest. With regard to the satisfaction with academic books and journals, themean utilization rate was lowest for research and/or education purposes. This isdirectly related to the academic identity of the study of Christian education, whichpossibly threatens the academic community, and thus a follow-up examination ofthis matter is need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measures to provide equal opportunitiesfor participation, form close relationships, reinforce the connection between theoryand practice, provide occasions for diverse academic discussions, and enhancemutual solidarity in life. 이 연구는 학문공동체를 진단하는 요인들을 추출하여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현황을조사하고, 학문공동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한국기독교교육학회에는 다양한 학문세대와 실천현장, 전공분야가 존재한다. 따라서 참여자의 학회 활동기간과 실천현장, 전공분야에 따라 학회 활동에 대한 인식도와 참여도, 만족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참여자는 총 70명(남 43명, 여 27명)으로 주로 신진학자들과 중진목회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난다. 설문 회수율은 35.9%이며,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회 활동 인식도(M=3.84, SD=.58)는 3-5년 간 학회 활동을 한 집단의 평균이 가장 낮았으며, 집단 간 평균의 차이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회원으로서의 정체성 및소속감 또한 3-5년 간 활동한 집단과 석⋅박사과정 학생들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회원들은 ‘다양한 학문적 관점 및 연구 분야의 필요성’과 ‘학회 변화의 필요성’을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학자와 목회자가 연계하는 협력적 연구의 부재’를 가장심각한 문제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회 활동 참여도의 평균(M=2.99, SD=.92)은 세 요인 중 가장 낮았으며, 선행연구 결과보다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회원들은 학회의 발전을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할 자세가 되어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실제 참여도의 평균은 감소하였다. 건강한 학문공동체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회에서 주관하는 활동에대해 충분히 안내하고, 회원들의 참여를 활성화시킬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학회 활동 만족도(M=3.50, SD=.60)는 학회 운영 만족도, 학술대회 만족도, 학술도서 및 학술지 만족도로 세분하여 조사하였다. 하위요인마다 5-10년 간 활동한 집단과 초⋅중⋅고등학교에 속한 집단, 기독교교육 전공 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난반면, 3-5년 간 활동한 집단의 평균은 모든 요인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학술도서 및 학술지 만족도에 대한 문항 중 ‘연구나 교육 시 학술도서 및 학술지 활용’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기독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직결되는 문제이자 학문공동체성을 위협하는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후속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균등한 참여 기회의 제공, 친밀한 관계 형성, 이론과 실천의 연계 강화, 다양한 학문적 논의의 장 마련, 삶에서 상호 연대감 증진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공동체 참여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박성원 ( Sung Won Park ),신동일 ( Dong Il Shi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4 교육인류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의 학문공동체에 어떻게 참여하고 있는지에 관해 내러티브(narrative) 자료를 기반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Lave와 Wenger(1991)의 실행공동체 이론을 토대로 학습을 공동체 안팎의 참여와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화 과정으로 전제했다. 연구 자료는 약 8개월에 걸쳐 심층면담, 연구자 일지, 교실 관찰, 학생들의 과제를 통해 수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어 원어민화자와의 불평등한 권력 관계뿐만 아니라 모국어, 인종, 성, 경제적 위상과 같은 개인적, 사회문화적 배경으로 인해 학문공동체에서 합법적인 일원으로 참여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비록 공동체의 주변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교실 내에서 비참여와 침묵과 같은 자신의 전략과 학습 스타일을 사용해 자신의 위치와 멤버십을 협상하고 재구성하려 시도하였다. 지금까지 ‘들리지 않았던’ 외국인 유학생들의 목소리는 그들 스스로에게 권력을 위임함으로써 학문공동체 내에서 합법적인 일원으로 재위치시켜 줄 뿐 아니라 언어, 문화적으로 혼종적으로 변화하는 학문공동체의 변형과 재구성을 촉구한다. 학문공동체의 제도적, 교육적, 사회적 변화와 후속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This article explores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ion in academic communities through narrative inquiry. Drawing on the notion of community of practice (Lave & Wenger, 1991), this study examined how four Asian students enrolled in graduate programs at a Korean university negotiate the sense of membership by participating in different (academic) communities. Data were collected over eight months main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research journals, classroom observations and students` materials. Narratives collected and analysed in this study illustrated that international students struggled with full participation as a legitimate member into mainstream communities not only due to unequal power relations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emselves, but also because of their personal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such as mother tongue, ethnicity, gender and economic status. Even though they were mostly situated at the periphery of community, they also attempted to negotiate and reconstruct their positions and meaningful membership by using their own strategies and learning styles, such as non-participation and silence in classroom. The voice of students enables them to empower and be re-situated as legitimate members within academic communities. It also demands Korean universities to change into linguistically and culturally hybrid academic environments. Implications for institutional and social changes of academic communitie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also discussed in the article.

      • 해양경찰학의 정체성 및 학문적 체계 고찰

        김종선 한국해양교통학회 2021 한국해양교통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1

        해양경찰청이 경찰청 소속기관에서 1996년 해양수산부의 외청으로 독립하기 전까지는 육상경찰과동일하게 경찰활동을 전개하여 왔지만 독립이후 부터는 독자적인 조직과 법적체계를 구축하여 해양경 찰의 조직 및 활동에 관한 해양경찰학의 학문적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해양경찰학에 대한 연구자료는 부족하지만 각 대학의 해양경찰학과(부)에서는 전공과목으로 지정하였고, 2018년도부터는 해양경 찰공무원 채용시험과목으로 채택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해양경찰학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과 해양경찰 학의 정체성 그리고 학문적 성격을 살펴보기 위해서 먼저 육상경찰의 경찰개념과 경찰학 정립문제를 살펴보고 육상경찰 경찰학의 패러다임이 하나의 정상 학문으로서 확립되어 있는지를 검토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해양경찰학 관련 학문체계를 살펴봄으로써 해양경찰학이 하나의 정상 학문으로서 독자적인 학문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경찰학뿐만 아니라 해양경찰학도 전문적이거나 독립 적인 영역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연구재단의 학문분류체계를 보면, 해양경찰학의 인접 학문들(예컨대, 법학, 행정학, 사회학, 심리과학 등)은 체계적으로 분류되어 그 학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경찰학뿐만 아니라 해양경찰학은 독립학문으로 인정되기보다는 위에서언급한 학문분야의 하위 영역으로서 지극히 작은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해양경찰학의 학문적·제도적 위상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안과 학문적 방향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