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선시대 지진기록의 등급별 시기 분포 및 한반도 2천년간 역사지진기록 목록화 연구
김일권 조선시대사학회 2019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1
This study examines earthquakes recorded for two thousand years of Korean history during the Three Kingdoms’, Goryeo, and Joseon periods. By numbering each event it reviews the 1,733 earthquakes, which are listed according to the date of record. The events are classified on one hand by the magnitude from level A (magnitude Ⅷ-Ⅸ) 15 events, B(Ⅷ) 18 events, C(Ⅶ) 26 events, D(Ⅵ) 56 events, E(Ⅴ) 289 events, F(Ⅳ) 369 events, to G(Ⅱ-Ⅳ) 960 events, and on the other hand by the period in which they occurred. During the Three Kingdoms (57 BCE~935), Goryeo (918~1392), Early Joseon (1392~1622) and Late Joseon (1623~1910), having respectively the number 95, 148, 913, 577 for a total of 1490 events. Specifically the Joseon period record is organized in 100 year intervals, and the result shows the number of occurrence from high to low as following:16th c.(614), 17th c.(364), 15th c.(245), 18th c.(213), and 19th century(54 events). When examined in 50 year intervals, it resulted that the early 16th c.(435 events, 29%) marked the highest, the late 17th c.(243, 16) the second, and the lowest in the early 19th, the late 18th, and the late 19th centuries. Hence it is estimated that the last 150 years of the 500 year history of Joseon had the least number of earthquakes and therefore was the most stable period for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analysis of A-level magnitudes it focuses on the records of the 2nd year of King Danjong (January 15, 1455) and the 13th year of King Jungjong (June 22, 1518). There also was the year of unusually frequent earthquake activity in one region during King Myeongjong’s time (1565). The strong magnitude of earthquakes that occurred in the late Joseon were noticed, in particular, as they were concentrated during the eleven year period (1632~ 1643) and the 33 year period (1681~1727). Such unusual events are closely examined through an analysis of three examples of the time, Dongnae (May 30, 1643), Hapcheon (June 9, 1643), and Ulsan (July 24, 1643).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meaningful provision of a research methodology regarding nature and society relationship in the complicated and diverse field of historical meteorology. 본 연구는 우리 역사 속에 기록된 지진의 상황과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삼국, 고려, 조선에 이르는 한국사 2천년간 역사지진 기록 전체에 편호를 붙이면서 그 결과로서 기존성과를 보완한 총 1,733건을 새로 집계하였고, 아울러 이들 전체의 지진기록일을 목록화하여 제시하였다. 지진등급별 분포로 고찰하여, 고강도진으로 A 등급(진도 Ⅷ-Ⅸ) 15건, B(Ⅷ) 18건, C(Ⅶ) 26건, D(Ⅵ) 56건, E(Ⅴ) 289건, F(Ⅳ) 369건, G(Ⅱ-Ⅳ) 960건으로 집계하고 목록화하였다. 다음 시대별로 나누어, 삼국신라시대(BC57~935)는 992년간 95건(연당 0.1건 비율), 고려시대(918[936]~1392)는 475년간 148건(연당 0.3건 비율)이었고, 조선시대는 조선전반기(1392~1622)가 231년간 913건(연당 4.0건), 조선후반기(1623~1910)는 288년간 577건(연당 2.0건)으로 합계 1,490건이었다. 조선시대 지진기록 특성을 보기 위해, 100년 단위별 분포를 추산하였으며, 그 결과 ②16C가 가장 높은 빈도율(614건, 41%)을 보였고, 이후 ③17C(364건, 24%), ①15C(245건, 16%), ④18C(213건, 14%), ⑤19C(54건, 4%) 차례로 기록되었다. 이를 통해 높은 지진 빈도시기가 16C와 17C였고, 19C는 가장 적은 지진안정기로 추산되었다. 조선조 519년간(1392~1910)의 전체 1,490건은 연평균 2.9건 발생율에 해당한다. 다음 단위를 더 세분하여 50년 단위 구간별 통계를 내었으며, 그 결과 ③16C전반 구간(435건, 29%)의 중종-명종대가 현저히 높은 피크를 이루었고,(매년 8.7건 발생율) 다음은 효종-현종-숙종의 3대에 걸치는 ⑥17C후반 구간(243건, 16%, 연간 4.9건)으로, 조선후기 서리기상 변동 중 전반적 저온 현상을 보인 시대성과 일치하는 흐름이었다. 가장 낮은 지진빈도 구간은 차례로 순조-헌종의 ⑨19C전반대(7건, 0.5%, 연간 0.1건), 영조-정조의 ⑧18C후반대(15건, 1.0%, 연간 0.3건), 철종-고종의 ⑩19C후반대(198건, 13.3%, 연간 4.0건)로 나왔으며, 이를 통해 영조후반-정조-순조-헌종-철종-고종조까지 150년간(220건, 14.8%, 연간 1.5건)은 조선 5백년간 중 지진재해가 가장 적은 안정기라 추정되었다. 다음 조선시대 기록 중 고강도 지진기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전반기 A등급 기록으로 단종 2년의 <A07단종1455.1.15> 지진과 근 1년에 걸친 중종 13년의 <A08중종1518.6.22> 지진 상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만1년간 지속된 동일지역 연속지진으로서 <D36명종1565.5.18>의 평안도 상원 지진기록(6개월간 86일치 발생, 1.7일/1회)을 일지화하였다. 다음 조선후반기 고강도 지진기록이 인조대 11년간(1632~1643)과 18C 전후 33년간(1681~1727)에 집중되어 있는 특성을 주목하고서, 이중 예시로 인조 21년(1643) 상황을 좀더 구체화하여, 제1차 <B14인조1643.5.30> 동래대진, 제2차 <A10인조1643.6.9> 합천대진, 제3차 <A11인조1643.7.24> 울산대진으로 집약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는 향후 조선시대 역사학 연구나 기상학 분야에서 자연과 사회에 대한 복합적이고 다각적인 역사기상학적 연구방법론의 하나를 개진한 연구의의가 기대된다.
‘3세전 수양’의 함의 변천을 통해 본 조선의 법 제정과 운용
박경 조선시대사학회 2017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2
This paper traces out the features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Joseon law by examining the processes through which ‘adoption(suyang, 收養) before three [years of age]’ became a commonly-used term in the dynasty’s law governing adopted and abandoned children(遺棄兒), as well as through which the term’s social meanings and legal implications expanded. Goryeo’s laws on genealogical succession provided children adopted before three years of age with legal roles as the secondary successors of those without sons of their own. It was based upon this qualification that the legal rights and obligations that these adopted children held equivalent to those of genetic children in the areas of inheritance and mourning clothing came to be stipulated clearly during Goryeo King Gongyang’s time (1389-1392). The phrase “thus made equivalent with one’s own child(卽同己子)” that originated in this era began after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to be recognized as legal language denoting the legal rights and obligations not only of those children at under three years old adopted as successors, but also of all children adopted at under three years old. Accordingly, it came to carry the force of law. Moreover, it came to be used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undergirding the establishment of legislation regarding adopted children. In late Joseon, this principle of ‘a child adopted before three years old is thus made equivalent with one’s own child’ was mobilized in policies and lawsuits dealing with abandoned children. To illustrate, in the case that one adopted an abandoned child under three years old as one’s own, once the legally-defined timeframe for claiming the child had passed, this logic of ‘equivalent with one’s own child’ could be and indeed was used as a legal basis for fending off any subsequent claims made by the child’s original owners, parents, or relatives. Tracing this process allows us to ascertai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Joseon law. First, the legal right developed in Goryeo to treat a child adopted before three years old as one’s own genetic child passed onto—and continued to develop in—Joseon as the foundational principle of laws governing adopted children. This, in turn, reveals that in establishing its law, the early Joseon state chose to adopt the legal reasoning advanced during Goryeo. Second,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law created in Goryeo stipulating the treatment of children adopted under three years old for the purposes of genealogical succession equally with genetic children transform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Joseon, into a law delineating the legal position of all children adopted at under three years old, we can see that early Joseon did not hew strictly to its policy goal of expanding the system of genealogical succession, but rather, that it adopted a more expansive attitude toward adoption that better reflected the realities of its society. Third, even as the Great Ming Code(『大明律』) already provided regulations regarding children to be adopted under three years old within its clause on exceptions to its prohibition of adoption of children of different surnames, it was in fact the passages from within Goryeo’s law regarding the legal position of those adopted under three years old that provided the fundamental principles received by, transformed within, and inscribed into Joseon’s laws governing adopted children. This shows that in establishing and operating its law, Joseon’s government chose from among earlier legal codes—including that of Goryeo—in addition to the Great Ming Code, in accordance with its needs and the legal question at hand. Fourth, that late Joseon policy discussions and lawsuits incorporated this principle of the legal position of adopted children into their arguments over the adoption of abandoned children attests to the fact that this principle—which... 이 논문에서는 ‘3세전 수양’이 조선시대에 양자녀 및 유기아 수양법에서 관용어로 사용되며 그 사회적 함의와 법적 영향력을 확대해가는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조선시대 법 제정과 운용의 특징을 추적했다. 3세전 수양자는 고려시대 종법적 가계계승을 지향한 법에서 후사 없는 사람의 부차적 가계계승자로서의 법적 지위가 부여된 후 이 자격을 기반으로 고려 말 공양왕대에는 服制와 상속에 관한 법에서 자기 자식과 같은 법적 권리와 의무를 가지도록 규정되었다. 이때 출현한 ‘곧 자기 자식과 같게 한다[卽同己子]’는 문구는 조선 건국 후 가계계승을 위한 수양자 뿐 아니라 전체 수양 자녀의 법적 권리와 의무를 규정한 법조문으로 인식되었고, 법적 구속력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추후 양자녀 관련 법 제정에 근거 원칙으로 이용되기도 했다. 한편 조선 후기에 ‘3세전 수양은 곧 자기 자식과 같게 한다’는 원칙은 유기아 수양에 관한 정책과 소송 현장에서 논거로 활용되었다. 즉, 3세전 유기아를 수양한 경우 자기 자식과 같게 해야 한다는 논리는 수양된 유기아를 법정 推尋 기간이 지난 후에 추심하려는 본주, 부모, 족친에 대항하는 법적 근거로 이용되었던 것이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조선시대 법 제정과 운용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고려시대에 3세전 수양자에게 자기 자식과 같게 대우하도록 한 법적 권리가 조선시대 양자녀 관련 법의 주요 원칙으로 계승․발전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조선 전기 법 제정시 고려시대에 발전시켜 온 법적 인식을 계승하는 입장을 취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가계계승자로서의 자격을 가진 3세전 수양자에게 자기 자식과 같이 대우하도록 한 고려의 법을 조선 건국 후 수양 자녀 전체의 법적 위상을 규정하는 법으로 변환시켰다는 점에서 종법적 가계계승체제 확립이라는 정책 목표에만 매몰되지 않는 조선 전기의 현실 포용적인 입법 태도를 엿볼 수 있다. 셋째 『대명률』에 이성 양자 입양 금지 규정의 예외 조항인 3세 이하 수양자에 대한 규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려 법의 3세전 수양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문구가 양자녀 관련 법의 주요 원칙으로 변용․정착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조선 정부에서 법 제정과 운용시 필요에 따라 고려의 법을 포함한 조선의 기존 법과 『대명률』을 적절히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양자녀의 법적 지위에 관한 원칙이 조선 후기 유기아 수양에 관한 정책과 소송의 논거로 활용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법조문으로서의 지위를 얻은 원칙이 정책적 필요에 따라 다른 분야 법을 지지하는 논거로 활용되기도 했음을 알 수 있다.
탁효정 조선시대사학회 2016 朝鮮時代史學報 Vol.77 No.-
This paper aims at surveying the characters and historical origins of Temples belonging to Royal Tombs(陵寢寺, TRT) which were established in early Joseon Dynasty. TRT was first established in late Chinese Han Dynasty, in period of Korean Three Kingdom. In Koryo Dynasty Temples belonging to Enshrined Memorial Tablets(眞殿寺) were charged of taking care of the Royal Tombs. Many temples were appointed to temples protecting the Royal Tombs in Joseon Dynasty. Those temples protected the Royal Tombs, assisted the memorial ceremony. TRT which were established in early Joseon Dynasty had four characteristics. First TRT were established by the leadership of the king in that times, second those were located in very close distance by the Royal Tombs, third those had special name, Palace for Memorial Ceremony(齋宮), fourth there were no estate for TRT. those characteristics are unique, comparing to Koryo Dynasty and middle Joseon Dynasty. It may be transitional phenomenon which lies in from Buddhist ritual in Koryo Dynasty to Confucian ritual in Joseon Dynasty. There are 4 reasons of TRT establishment in early Joseon Dynasty. First because the Royal Tombs in Joseon Dynasty were modeling the Hyun Tomb(玄陵) and Jeong Tomb(正陵) in Koryo Dynasty, tradition of TRT were succeeded to Joseon Dynasty. Second there were needs to providing space for offerings to memorial ceremony. Third there were also needs to protecting the Royal Tomb and forest nearby. Fourth there were also needs to religious facilities praying the good and happiness of owner of the Royal Tomb. 본고는 조선초기에 설치된 능침사의 역사적 유래와 특징을 다룬 논문이다. 능침사는 중국후한~위진남북조시대부터 건립되었고 한반도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설치되기 시작했다. 고려에서는 眞殿寺院이 왕릉의 추복 기능을 담당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전 시기에 걸쳐 왕릉을 수호하는 사찰이 지정되었으며, 그 명칭은 齋宮, 齋室, 陵寢寺, 陵寺, 造泡寺 등으로 조금씩 변하였지만 왕릉을 수호하고 제사를 돕는다는 본래 기능은 계속 이어졌다. 본고에서는 조선초에 해당되는 태조~태종대의 능침사의 설치목적, 능침사의 설치주체, 왕릉과 능침사 간의 거리, 이 시기 능침사의 공통점 등을 살펴보았다. 조선초에 설치된 능침사는 네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국왕의 주도 하에 설치되었고, 둘째 왕릉 바로 곁에 위치하였으며, 셋째 재궁이라는 이름으로 불렸고, 넷째 별도의 眞殿이 없었다는 것이다. 이는 고려시대의 진전사원이나 조선중기의 능침사와는 다른 조선초기만의 독특한 특징이다. 불교식 의례가 주를 이루던 고려의 왕릉 예제를 조선의 유교식 예제로 변형하면서 일시적으로 등장하게 된 과도기적 특징으로 파악된다. 조선초 왕실에서 능침사를 설치한 이유는 네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조선 왕릉이 고려의 玄陵과 正陵을 모델로 삼아 조성되면서 현․정릉 안에 있던 능침사의 전통을 계승했기 때문이다. 둘째 왕릉에서 치러지는 제사와 제물을 마련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셋째 왕릉과 주변 산림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넷째 선왕 선후의 명복을 빌기 위한 종교적 시설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같은 네 가지 필요에 따라 조성되기 시작한 능침사는 조선중기까지 계속 설치되었으며, 조선후기에는 造泡寺라는 이름으로 변형․유지되었다.
이승민 조선시대사학회 2017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iplomacy as well as bilateral trade by explaining the reality of ceramics trade with Japan through the Gumu(求貿) of the later Joseon Dynasty. In the later Joseon Dynasty, the ceramics were only traded through the Gumu. Japan traded the ceramics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Tsushima domain(對馬島/對馬藩), or requested various items such as potter's clay(陶土) and firewood, potter, and made ceramics directly from the Waegwan kiln(倭館窯). The Tsushima domain, which was entrusted with the diplomatic and trade authority for the Joseon by the Bakufu(幕府), was the only one capable of trading Joseon's ceramics. Tsushima domain has requested the ceramics trade for the purpose of dedicating it to the Bakufu or separately receive request by the Bakufu. The Joseon government also knew that final consumer of ceramics was the Bakufu. For the reason, most of the trade was allowed, and required potter's clay and firewood are supplied to the Waegwan. In other words, in the trade with Japan, the ceramics had political meanings as well as economic meanings, such as ordering and necessity of the Bakufu, or purpose of Tsushima domain to dedicate to the Bakufu. However, as time goes by, Tsushima domain requested too much trade, and in the process various kinds of clashes such as seogye(書契) issue were created, which caused the Joseon government to refuse or delay the requests of Tsushima domain. The fact that ceramics are traded through the Waegwan or the Waegwan kilns were used to produce ceramics directly from the Joseon Dynasty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ose of other Japanese trading vessels at the same time. In general, the goods of Joseon that the Tsushima domain wanted were either produced in Joseon or made in Joseon and had a complete form. On the other hand, the ceramics had an unusual form that rarely finds cases, as Tsushima domain brought the samples and made them in the way they wanted by using the materials and manpower of the Joseon potter's clay and firewood needed for production. 본 연구는 조선후기 求貿를 통한 대일 도자교역의 실태를 밝힘으로써 양국 교역 뿐 아니라 나아가 외교의 특징을 새롭게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후기 대일무역에서 도자류는 오직 구무를 통해서만 거래되고 있었는데, 일본에서는 대마도를 통해 조선의 도자를 교역해가거나 혹은 흙과 땔감을 비롯한 각종 물품 및 陶工 등을 요청해 직접 倭館窯에서 자신들이 원하는 도자를 제작해가기도 했다. 막부로부터 조선에 대한 외교와 무역의 권한을 위임받은 대마도는 조선의 도자를 교역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였는데, 대마도에서는 막부 유력층에 진상하기 위한 용도로 혹은 參勤交代 때나 별도로 막부 측의 지시를 받아 조선에 사기번조를 요청해왔다. 조선정부에서도 도자의 최종 소비자가 막부 측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교역을 허락하고 해당 물품을 왜관으로 공급해서 도자가 제작할 수 있도록 했다. 즉 대일교역에서 도자는 막부 측의 지시와 필요에 의하거나 대마도가 막부에 진상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등, 경제적 의미 뿐 아니라 정치적 의미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빈번한 사기번조 및 과도한 물품의 요청, 그리고 書契 문제 등 그 과정에서 발생한 각종 폐단 등으로 인해 조선에서는 대마도의 요청을 거부하거나 지연시키는 일이 늘어났고, 결국 1717년을 마지막으로 대일 도자교역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 왜관을 통해서 도자가 교역되거나 왜관요를 만들어 조선에서 직접 도자를 제작해 갔다는 사실은 동시기 다른 대일교역품과는 다른 특징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대마도에서 원하는 조선의 물품은 조선에서 생산되거나 혹은 조선에서 만들어져 완전한 형태를 지닌 것이었다. 그에 비해 도자의 경우에는 대마도에서 견본을 직접 가져와 제작에 필요한 조선의 흙 등과 땔감의 물품 및 인력 등을 이용해 자신들이 원하는 방식대로 만들어서 가져가는 등, 대일교역에서 좀처럼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특이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
19세기 조선 외교 정책의 변화 -베트남 응우옌 왕조와의 비교-
노대환 조선시대사학회 2010 朝鮮時代史學報 Vol.53 No.-
After King Chŏngjo(정조) passed away, Chosŏn saw the coming of in-law politics. One of his major achievements, recruiting from diverse classes and groups was given up, and the national affairs were taken care of by certain families. As Hŭngsŏn Taewŏn'gun(흥선대원군) came into power, the in-law governance seemed to end on the outside. But his regime was heavily painted by ln-law colors, too. After King Gojong(고종) implemented a campaign against the rebels, the Yŏhŭng Mins(여흥 민씨) entered the political scene in large numbers and created a different pattern of in-law politics. It was in the 1880s that a new reform power represented by the enlightenment party emerged, and they made a minority in politics. In Vietnam, the Nguyen Dynasty was formed after long years of disruption in the late 18th century. Its emperors concentrated on reinforcing the imperial power and centralization. As a result, they were able to exercise dictatorship and achieved a certain level of centralization. However, complaints burst out from all classes of society as the power was solely possessed by the emperors and their grips onto local control became tighter. Revolts took place in succession, and social confusion grew worse. In terms of diplomacy, both Chosŏn and Vietnam followed the order of tribute and submission based on Hwairon. Chosŏn recognized Ch'ŏng Dynasty's position, and the Nguyen Dynasty also maintained the Hwai perspective despite the strong Vietnam- centric ideology. Both of them regarded West as barbarians and were passive with diplomatic negotiations, maintaining the Hwai perspective. Directly exposed to Western powers, the Nguyen Dynasty received attacks of France in the 1850s and ultimately became its colony. Chosŏn maintained the policy of repelling Western powers while depending on China. As it proclaimed itself, it had no independent diplomacy except for submission to China and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Entering the 1880s, it attempted to change its diplomatic policies, but its attempts went in vain due to the Kapshinjŏngbyŏn(갑신정변). Since then, the Chosŏn government kept pursuing diplomacy of pluralization and tried to respond to external crises. 조선과 베트남은 중국 중심의 조공-책봉 질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던 국가로 19세기에 들어 자본주의 세력의 침탈에 대응해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되었다. 19세기 조선과 베트남 양국의 출발은 달랐다. 조선에서 세도 정권이 들어서면서 사회적 혼란이 가중되었던 것과 달리 베트남에서는 오랜 분열을 극복하고 응우옌 왕조가 성립하였다. 조선이 세도정치-대원군 집정-고종 친정으로 이어지며 정치적으로 상당한 변화를 겪었던 데 반해 응우옌 왕조에서는 황제 중심의 정치 운영이 지속되어 조선에 비해 정치적 변동성이 작았다. 사대 질서에 편입되어 있었지만 양국의 외교 방향은 제1차 중ㆍ영전쟁 이후 차이가 나타났다. 조선은 제1차 중ㆍ영전쟁으로 중국의 취약성이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국을 신뢰하였으며 중국에 의지하여 서양과의 접촉을 철저히 차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대원군 집권기에도 변화하지 않았다. 잠시 프랑스와의 연계를 모색했던 것을 제외하고는 대원군은 서양에 배타적이었고 기존의 사대 외교 정책을 고수하였다. 조선에서 외교 정책의 변화는 고종이 친정 한 이후에야 나타났다. 반면 서양의 힘을 확인한 응우옌 왕조는 유럽에 사절단을 파견하는 등 유화책을 구사하는 한편 국방력 강화 작업을 추진하였다. 1847년 프랑스의 공격을 받자 강경책으로 선회하기도 했지만 이후에도 다원화 외교는 계속 추진되었고 국정을 쇄신하려는 노력도 경주되었다. 응우옌 왕조는 구미 국가들의 지원을 얻고자 했지만 청에 대해서는 1876년 이전까지 아무런 도움을 청하지 않았다. 1880년대에 들어 청이 조공국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속방화하는 쪽으로 선행하면서 상황은 복잡해졌다. 청은 베트남을 속방화하기 위해 프랑스와의 전쟁까지 벌였지만 베트남을 프랑스에 넘겨주었다. 베트남에서의 실패를 맛 본 청은 조선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속방화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이는 조선의 반발을 초래하였다. 조선은 청의 기도를 견제하기 위해 기민한 외교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외교를 통해 청의 종속화 기도를 일정 정도 저지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지만 구미 국가의 무관심으로 소기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지 못하는 한계도 드러냈다. 외교적인 측면에서 동아시아의 19세기는 전통적인 사대질서와 근대적인 조약체제의 충돌의 시기였다. 조공-책봉이라는 형식이 있기는 했지만 비교적 자주성이 인정되었던 사대교린 질서에서 평등을 가장한 강압적이고 수탈적인 조약체제로 전환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과정이었다. 만약 중국이 중심이 되어 기존의 사대교린 체제를 대등한 관계로 전환시키면서 유대 관계를 강화하여 자본주의 열강에 대항했다면 동남아시아의 상황은 달라질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일은 일어나지 않았고 동아시아의 사대교린 질서는 서양 열강의 압력과 중국의 변심에 의해 해체되었다. 또 다른 사대국이 되고자 했던 응우옌 왕조나 충실한 조공국으로 사대질서를 지키고자 했던 조선 역시 사대질서를 새로운 관계로 전환시키는 데 역할을 하지 못했다. 일찍이 근대 조약체제로 나아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식민지로 전락하였고 뒤늦게 뛰어든 조선은 본질상 차이가 없는 열강의 틈바귀에서 고단하게 생존의 길을 모색해야 했다.
신명호 조선시대사학회 2011 朝鮮時代史學報 Vol.59 No.-
The word of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is combined word of "Eui" and "Gwe". in chinese confucianism, The word of "Eui" means solemn manners which are attached to ceremony. and The word of "Gwe" means precedent cases which could be standards or models. so The word of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basically means solemn manners which could be standard ceremony. the other hand, in chinese buddhism, The word of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means basic regulations which monks should obey in buddhist temple. but later in chinese buddhism, The word of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was used as title for buddhist ceremony books. at the latest in koryo dynasty, chinese buddhist ceremony books,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were introduced to korea. at that time, korea was buddhist society. so chinese buddhist ceremony books,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were popular in korea society. in the late 14th century, korean confucian literati, sinjinsadaebe, tried to reform korean society in the base of neo confucianism. after Joseon Founding, korean confucian literati modified a lot of confucian ceremonies in order to substitute buddhist ceremonies. at first, they titled confucian ceremonies as "gyu sik(regulation manuals)", "Eui mun(ceremonial manuals)", and "Eui je(ceremonial manuals)". but in the end, they titled confucian ceremonies as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they also titled the reports on national occasions as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by titling confucian ceremonies and the reports on national occasions as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korean confucian literati tried to obtain following effects at least. first, they tried to stand out that not buddhist ceremony but confucian ceremony is only official in Joseon. second, they tried to stand out that joseon is a confucian state which should follow confucian principle in everything. 이 논문은 朝鮮王朝 儀軌의 편찬 배경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儀軌는 儀와 軌가 합쳐진 용어로서, 중국의 원시 유교에서 의궤는 ‘예법의 실천에 부수되는 威儀의 모범이 될 만한 기왕의 사례’라는 용어로 이용되곤 했다. 의궤는 중국 불교에서 선승들이 지켜야 할 법도로서의 淸規를 지칭하기도 하였다. 이런 의미가 확장되어 불교에서는 儀軌가 책명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중국의 불교 특히 선불교 계통에서 불교 의례와 관련된 儀文, 儀軌 등이 남북조 시대에 책으로 출현하였고 이것이 늦어도 고려시대에 한국으로 전래되었다. 조선건국 후, 정도전으로 대표되는 건국주체 세력들은 고려시대의 불교적 국가의례를 유교 예제에 입각해 대대적으로 개편해나가는 과정에서 유교예제를 시행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威儀 또는 절차들을 정비했다. 새로 정비된 유교식 威儀 또는 절차는 책으로 작성되었고 ‘規式’, ‘儀文’ ‘儀制’ 등으로 표현되었지만, 태조 당대에 이미 의궤로도 표현되었다. 뿐만 아니라 국가행사의 보고서도 의궤라고 하였다. 이렇게 국가적 유교 의례서뿐만 아니라 국가행사의 보고서까지도 의궤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정도전으로 대표되는 조선건국주체세력들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하였다. 첫째, 의궤라는 용어는 불교에 앞서 유교경전에서 이미 사용되었다. 조선건국주체세력들은 새로 정비된 국가적 유교의례의 책명을 의궤로 함으로써 유교의례의 회복 또는 유교의례의 확립을 부각시킬 수 있었다. 둘째, 조선건국주체 세력들이 극복하고자 했던 불교 또는 도교에서도 의례집의 명칭이 의궤였기에 고려시대의 의례집은 불교 의궤로 대표되었다. 그러나 조선건국 직후부터 국가적 유교의례는 물론 국가행사의 보고서까지도 의궤로 함으로써 조선시대의 의례는 점차 유교의례로 대표되었고 의례집 역시 유교 의궤로 대표되었다. 결국 조선건국 직후의 의궤 편찬은 불교적 국가의례를 대체하는 유교적 국가의례의 등장 및 명실상부한 유교국가의 출현을 상징했다.
전나나 조선시대사학회 2014 朝鮮時代史學報 Vol.69 No.-
The Royal Tombs of Joseon are the tombs of Joseon kings and their wives, including posthumously named kings and their wives. All these tombs of the royal couples, including those of the last kings, namely, King Gojong (r. 1863-1907) and King Sunjong (r. 1907-1910) and their wives have been preserved in good condition. However, some tombs have not been classified as Royal Tombs of Joseon due to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olonial period (1910-1945), despite the existence of historical materials that confirm their status as Royal Tombs. The Palleung Royal Tombs (referring to the eight tombs of the father, grandfather, great-grandfather, and great-great-grandfather of King Taejo,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ir wives, who were posthumously named kings and queens) in Hamgyeong-do, North Korea is sometim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Royal Tombs of Joseon. Photos of Deongneung and Alleung (the tombs of King Taejo’s great-great-grandfather and his wife, built in the early Joseon Period) tak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show that they were similar to Hyeolleung and Jeongneung (the tombs of King Gongmin of Goryeo and his wife). Jeongneung and Hwareung, which count among the eight Royal Tombs mentioned above, were maintained in good condition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Photos of Jeongneung, the tomb of Queen Sindeok, the wife of King Taejo, taken in the early modern period show the existence of a kitchen for preparing food to be served to the dead, along with stone cooking implements, which have since disappeared. Meanwhile, photos of Gwangneung, the tombs of King Sejo and his wife, taken in the early 20th century show a spirit road, which has also disappeared. The photos taken in early modern times and the relevant literature give a reasonably accurate idea of what the Royal Tombs of Joseon looked like. 조선왕릉은 조선을 통치한 왕과 왕후를 비롯하여 추존된 왕과 왕후의 무덤이다. 조선왕릉은 조선을 건국한 이후로 꾸준히 조성하였으며, 일제강점기까지도 고종과 순종의 능을 조성하였고, 그 능을 지금까지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왕릉에 대한 다양한 조선 후기의 사료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조선왕릉으로 분류되지 않기도 하였고, 조선왕릉의 목조, 석조물의 원형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특히 함경도 소재의 팔릉은 태조의 선조가 안장된 능으로 북한에 위치하였고, 추존 왕의 능인 까닭에 조선왕릉의 범주에 포함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일제 강점기를 전후로 촬영한 함경도 팔릉의 사진을 통하여 조선 초기에 조성된 덕릉․안릉은 고려 후기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릉․정릉과 유사성을 갖는다고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팔릉 중의 하나인 정릉․화릉도 조선 초기 능의 특징을 지니며, 후기까지 꾸준히 관리되어왔다. 태조의 비 신덕왕후의 정릉은 현재 정자각 옆에 수라간이 없고, 석물 부재가 없는 경우가 있는데, 근대 사진을 통하여 수라간의 위치와 모습을 파악하였고, 석물 부재를 확인하였다. 세조와 정희왕후 광릉은 현재 홍살문과 정자각을 잇는 향로가 없는 모습이지만, 20세기 초 사진으로 향로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근대 사진과 문헌을 토대로 조선왕릉의 원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17세기 전반 滿洲로 歸附한 조선인들 - 『八旗滿洲氏族通譜』를 중심으로 -
우경섭 조선시대사학회 2009 朝鮮時代史學報 Vol.48 No.-
본고는 17세기 전반 한반도 서북 지역에 살던 조선인들이 만주로 귀화하여 청조의 유력 가문으로 성장해 간 사례에 대한 연구이다. 첫 번째 韓雲(韓潤)과 韓尼(韓澤) 형제는 1624년 일어난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망명한 경우로, 만주 귀화의 동기가 가장 분명하게 드러난 사례이다. 반란의 주모자 韓明璉이 伏誅된 뒤 후금에 망명한 아들 한운과 조카 한니는 귀화 직후부터 조선 국경의 수비 상황을 토설하고 조선 정벌의 당위성을 역설하는 등, 적국 후금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며 가문의 기반을 닦아 갔다. 그리고 정묘호란의 선두에 서서 의주를 함락시키는데 공을 세웠을 뿐 아니라, 강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조선에 대한 재침을 건의하는 등 후금 내부의 반조선 의식을 주도하였다. 또한 그들의 후손들 역시 청조가 북경에 입성하고 차하르와 복건 지방을 정벌하는 과정에 참여하여 대대로 관작을 세습해 감으로써, 한운 일가는 만주 지역 조선인들 중 유력 가문으로 정착할 수 있었다. 두 번째 新達理(金汝圭) 가문은 귀화 경위가 분명하지 않지만, 일개 귀화인이 만주에 정착하여 名閥로 성장해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1620년대 평안도 일대를 휩쓸던 毛文龍 세력의 횡포를 피하여 형제들을 이끌고 후금으로 귀화한 것으로 보이는 신달리는 조선 출신 통사관들의 반후금 활동을 고발함으로써 만주족의 신임을 얻어낼 수 있었다. 그리고 신달리 자신이 병자호란의 선봉에서 강화도를 함락시키는데 기여하였고 그의 형제ㆍ자손들 또한 征明戰의 과정에서 혁혁한 무공을 세움으로써, 후금에 귀화한 조선인들 가운데 단연 두각을 나타내며 八旗의 상층부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하였다. 신달리 가문은 17세기 후반~18세기에 이르러 청조의 중앙관직에 오른 후손들을 배출하기 시작하였다. 신달리의 손자 金常明은 강희ㆍ옹정ㆍ건륭 세 황제를 섬기며 정1품 領侍衛內大臣까지 오른 인물이었다. 그는 황실의 신임을 바탕으로 조선과 청나라의 외교 사안에 깊은 영향력을 행사하며, 영조의 世弟冊封 및 仁祖反正 辨誣事를 해결하는데 막후에서 커다란 도움을 주었다. 신달리의 동생 三達理의 증손인 金簡의 경우 工部尙書와 吏部尙書를 역임하며 『四庫全書』 편찬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던 인물로, 그의 누이동생은 건륭제의 총애를 받던 后妃 淑嘉皇貴妃였다. 황실의 외척으로서 청조의 핵심부에 위치했던 김간은 정조 즉위 직후 조선에서 보낸 討逆奏文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조선 측 입장을 대변하여 그 처리를 주선하는 등, 조선의 대청외교에 적지 않은 도움을 주었다. 김간의 아들 金縕布 역시 戶部尙書에 오를 정도로, 18세기 후반 신달리의 집안은 명실상부한 遼左名家이자 高麗望族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 이후 1894년 청일전쟁이 일어나기까지 조선에 가장 심대한 영향을 미친 외부세력은 청나라였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면 한운과 신달리 같은 17세기 전반 ‘附虜人’들의 활동은 분명 주목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조ㆍ청 관계의 부침에 따라 다중적 정체성을 드러내었던 그들 附虜人들의 행적을 발굴하고 범주화하는 작업은 一國史의 시야에 갇혀 당쟁의 차원에서 조선후기 정치사를 해석하던 관점에서 벗어나, 동아시아 역사의 전개 과정 속에서 조선왕조가 겪어야 했던 국제적ㆍ국내적 위기를 정합적으로 이해하는데 작은 실마리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n the Northwestern Koreans who were naturalized into Manchu and became one of influential family under the Q'ing dynasty in early seventeenth century. The Hanyun(韓雲)ㆍHanni(韓尼) brothers, the first case, had been implicated in the Yi Kwal's revolt in 1624 and fled to Manchu. This fact made their motives clearly known. Since naturalized, they firmly settled their family with collaboration with the Later Jin (後金) dynasty, the collaboration such as reporting Chosun's borderline defense system to Manchu leaders and rallying causes to invade Chosun. They led the first invasion of Chosun (丁卯胡亂) and contributed to the occupation of Uiju(義州), a borderline town. Even after the peace treaty, they continuously demanded invasion of Chosun, hawkish attitude that made them leading anti-Chosun figures. Their offspring also participated in Q'ing's occupation of Beijing(北京) and expeditions to Chakhar(察哈爾) and Fujian(福建) so that they could inherit officialdom and become powerful family among Manchu Koreans for generations. While the second case, Xindali(新達理) family is not clear in their motives to go to Manchu, it is an exemplary case that a low-profile person settled and arose as a distinguished family in Manchu. It seems that he moved to the Later Jin in order to avoid the Maowenrong(毛文龍) force who prevailed over Northwest Chosun in the 1620s. He secured Manchu's trust while accused Korean translators of their anti-Later Jin activities. Xindali himself became a spearhead in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Chosun (丙子胡亂) and contributed to the Kanghwa(江華) Islands. His brother and descendants also achieved military exploits in a war against Ming dynasty, the merits that made his family stand out among Manchu Koreans and prepared a road to the upper class in the Eight Banners Division (Baqi, 八旗). Xindali family began to produce high officials in Q'ing dynasty around lat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y. For example, Xindali's grand son, Jinchangming(金常明) served three emperors such as Kangxi, Yongzheng, and Qianlong while reaching the highest official. Xindali's brother, Sandali(三達理) had a great-grandson, Jinjian(金簡) who initiated a project of the Imperial Collection of Four (Siku Quanshu, 四庫全書) publication under Qianlong emperor while he became Minster to the Board of Works(工部尙書) and Minister to the Board of Civil Appointments (吏部尙書). His sister was the queen (后妃 淑嘉皇貴妃), who was beloved by Qianlong. With the deep trust on the part of the Q'ing court, they could exert great influence upon Q'ing and Chosun diplomacy and somewhat helped Chosun's diplomacy vis-a-vis Q'ing dynasty. From 1637 just after Q'ing invasion of Chosun, to 1894, the first Sino-Japanese War, the biggest influential factor to Chosun dynasty had been Q'ing dynasty. Considering this fact, "collaborators with barbarians (附虜人)" such as Hanyun and Xindali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might draw attention from historians. They show multiple identities with the fluctuation of the Chosun and Q'ing relation. A research into these "collaborators" would shed some lights on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risis that Chosun dynasty had to face among the East Asian history rather than the limited one nation and political history centering on factional strife.
18세기 후반~19세기 중반 朝鮮 세시풍속서 서술의 특징과 의의 - ‘中國’ 인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
조성산 조선시대사학회 2012 朝鮮時代史學報 Vol.60 No.-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numerous independent types of books of Seasonal Customs of Joseon intensively started to appear. Various standards had been prepared and applied to books of Seasonal Customs. The issue of Joseon's involvement with China was deemed to be a crucial matter among other various standards depicting seasonal customs in relation to Joseon's self ident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 what way the contemporary intelligent had identified their own unique customs called seasonal customs to find out how and in what way they had made themselves understood about their nations' folklore and culture. To achieve this objective, I debated on their views on customs and the experience of traveling to Yenching. While doing so, I had identified cultural Ryu, Deuk-gong and Hong, Seok Mo who had experienced traveling to Yenching as one category. On the other hand, I had identified Kim, Mae Soon who had not experienced traveling to Yenching as the other category. They were different even in light of political party and school. Ryu, Deuk-gong belonged to Sobuk, Hong, Seok Mo belonged to Soron, but Kim, Mae Soon was a member of Noron intelligent. What seemed characteristic in case of Kim, Mae Soon was that the doctrines of Chu-tzu was significantly reflected in his books of Seasonal Customs. In addition, it was not relatively common to find the source of Joseon's seasonal customs in China. Rather, there was a cause that separated China from Joseon. That's because Joseon's relative superiority had been partially emphasized while applying the doctrines of Chu-tzu irregardless of regional differentiation between Joseon and China. When compared to Kim, Mae Soon, a majority part was alloted to find the origins of Joseon's seasonal customs in China or to compare many things with China in the book of Hong, Seok Mo's Donggookseshigi. This fact, on one hand, can be viewed in light of subordinated cultural stance, but a specific situation of the age shall be taken into account, instead. The intelligent in East Asia in the 19th century started to have a strong cultural solidarity. At its background lies consciousness of risk to the western culture. The reason that Donggookseshigi tried to find out Joseon's seasonal customs in the context of a close relation to China has definitely everything to do with this. Through a close alliance with China, it emphasized on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Joseon and China have ‘living community’ in common. From this point of view, Donggookseshigi's search for origins of Joseon's seasonal customs in China did mean to reinforce Joseon's cultural solidarity with China by reiterating cultural homogeneity, rather than represented cultural subordination to China.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기에는 독립된 저작 형태의 조선 세시풍속서가 집중적으로 등장하였다. 세시풍속서 작성에는 다양한 기준점들이 있었다. 세시풍속을 서술하는 많은 기준점들 가운데 中國과의 관련성 문제는 조선의 자기정체성 문제와 관련하여 중요하다. 본 글은 세시풍속이라는 고유한 자기풍속을 당대 지식인들이 중국과 연계하여 어떻게 파악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자국의 민속과 문화를 어떠한 방식으로 이해했는가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그들의 풍속관과 연행경험을 논하였다. 그 과정에서 연행경험을 가졌던 유득공, 홍석모를 하나의 범주로 설정하였고, 또 한편에 연행경험이 없었던 김매순을 두었다. 이들은 당색, 학파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였다. 유득공이 소북, 홍석모가 소론이었던 반면에 김매순은 노론 지식인이었다. 김매순의 경우, 특징적인 것은 주자학적 의리론이 상당 부분 그의 세시풍속서에 반영되어 있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중국에서 조선 세시풍속의 연원을 찾는 경향이 『동국세시기』보다 상대적으로 적고, 중국과 조선을 분리하려는 사유도 있었다. 이러한 이유는 주자학을 염두에 두고, 이를 조선과 중국의 지역적 구분 없이 적용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조선의 상대적 우월성이 일부분 강조되었기 때문이다. 김매순과 비교해 볼 때, 홍석모의 『동국세시기』는 중국에서 조선 세시풍속의 연원을 찾거나 중국과의 비교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이것에는 당시 특수한 시대적 상황이 있었다. 19세기 초반 조선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중국과의 강한 문화적 연대의식이 생겨나고 있었다. 이 배후에는 서양과 그 문화에 대한 위기의식이 있었다. 『동국세시기』가 조선의 세시풍속을 중국과 긴밀한 연관 속에서 파악하고자 한 것은 이것과 깊은 관련성이 있다. 중국과의 긴밀한 문화적 연대를 위해서, 조선과 중국이 ‘생활의 공동체’라는 사실을 각인시키고자 한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볼 때, 『동국세시기』의 조선 세시풍속의 중국연원 탐색은 문화적 종속성이 아니라 문화적 동질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선과 중국의 문화적 연대의식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민장원 조선시대사학회 2025 조선시대사학보 Vol.- No.112
이 글은 1866년 프랑스의 병인양요 도발 과정과 조선의 군사적 대응을 고찰하였다. 특히 조선군과 프랑스군의 전투 ‘현장’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전투 ‘현장’의 기록들을 원점에서 재검토하였다. 『순무영등록』, 『어양수록』 등 조선 측 사료들과 로즈 원정함대의 보고서 및 해도 등 프랑스 측 사료들을 교차 검토함으로써, 병인양요의 실체를 실증적으로 복원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프랑스는 1840년대부터 조선 연해를 탐사하며 ‘미지의 땅’ 조선을 틈틈이 엿보고 있었다. 1856년 조선 원정에 대한 최초 계획을 수립하였으나, 결국 1866년에 이르러서야 조선 원정을 단행하였다. 하지만, 프랑스 로즈 함대의 조선 원정은 코친차이나의 군사 소요, 조선 서해안의 예상치 못한 難航 요소들로 인해 기대치에 못 미친 채 종결되었다. 서울 공략이라는 애초의 원정 목표는 강화도의 국지적 침탈에 그치고 말았다. 한편, 조선은 아편전쟁 이후 고조된 대외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대청 외교 창구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禦洋ㆍ海防策을 강구하였다. 조선은 프랑스 함대에 대한 정보, 근대식 군함의 강ㆍ약점 등을 파악한 뒤, 대응 전략을 수립하였다. ‘入據堅守’ 전략은 그 노력의 산물이었다. 즉 조선군은 巡撫營을 중심으로, 군사 요충과 주요 거점에 병력을 축차적으로 배치한 뒤 지구전을 펼쳤다. 조선은 비록 프랑스군처럼 근대식 군함과 함포를 갖추지 못하였으나,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군사적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 원정군의 약점을 공략한 대응 전략 모색, 포군 증설 및 포계 설치 등의 노력을 이어 나가고 있었다. 이처럼 洋擾의 ‘현장’ 기록을 바탕으로, 조선과 서구열강의 무력 충돌, 군사적 움직임을 복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가 축적되었을 때, 비로소 ‘편견’과 ‘오해’에 가려진 조선의 양요 대응 ‘실체’를 직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1866 French incursion during the Byeong-in yangyo and Chosŏn's military response. In particular, it seeks to capture the voices from the battlefield by re-examining historical records that have previously received little attention. To this end, key primary sources, including Sunmuyeong Deungnok and Eoyang Surok from the Chosŏn side, as well as reports and nautical charts from Admiral Rose’s French expeditionary fleet, were critically analyzed. By cross-referencing these sourc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empirical reconstruction of the Byeong-in yangyo. France had been monitoring Chosŏn as an “unknown land” since the 1840s, conducting intermittent explorations along its coastline. The first formal plan for an expedition was drawn up in 1856, yet it was only in 1866 that France launched its military campaign. However, the expedition led by Admiral Rose fell short of its objectives due to military unrest in Cochinchina and unforeseen navigational challenges along Chosŏn’s western coast. The initial goal of capturing Seoul was ultimately reduced to a limited assault on Ganghwa Island. Meanwhile, Chosŏn, having heightened its awareness of foreign threats after the Opium Wars, devised maritime defense strategies by leveraging its diplomatic channels with Qing China. Chosŏn gathered intelligence on the French fleet and assess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modern warships before formulating a response strategy. The 'Ipgeo gansu' (Entrench and Defend) strategy emerged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Chosŏn’s forces, organized around the 'Sunmuyeong' system, were deployed in key military strongholds, engaging in a war of attrition. Despite lacking modern warships and naval guns like those of the French, Chosŏn sought to counter imperialist aggression by exploiting the weaknesses of the expeditionary forces, expanding artillery units, and establishing a financial system ('Pogye') to sustain military operations.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reconstructing the military confrontations and strategic maneuvers between Chosŏn and Western powers based on firsthand battle records. Only through such accumulated research can we move beyond long-standing “biases” and “misconceptions” to gain a clearer understanding of Chosŏn’s response to foreign incur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