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서 평가 문항의 내용 타당도 분석

        김은애(Kim, Eun-ae),주세형(Ju, Se-hyeo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0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4 No.1

        This paper assumes that content validity matters much in reading assessment and, therefor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has high content validit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iteracy in the curricula of other content subjects. With the assumption, the paper raises an issue that the content validity in the current reading assessment items is low, and criticizes the problem from two aspects: achievement standard and assessment standard(rubric). Lastly, the assessment items are deeply analyzed based on those standards. In consequence, the curricula of these three evaluated subjects, 'Korean language,' 'Ethics,' 'Law and Society' all lack the clear statements of the achievement standard in the curricula. In addition, the assessment standards are not properly included, either.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specifically, the assessment standards are quite close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However, there is no assessment standard found in 'Ethics' curriculum; it only gives assessment topics and the related scores. 'Law and Society' curriculum also has the same problem. Moreover, the assessment items are biased to the questions regarding detailed knowledges and inferences.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say that the reading assessments of the curricula evaluated are not much different from one another, except for knowledge contents of the subjects. In addition, the reading assessments of the three have not achieved 'the essential of the reading assessment.' The basic cause of this problem comes from lack of careful plans and detailed setups of the achievement/assessment standards by teachers themselves. Secondly, the teachers are reluctant to search for the proper tools to accomplish the content validity. Lastly, they are not awar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ading assessment and literacy. With the findings, I insist that a firm 'reading assessment standard' be set up, primarily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literacy is rooted in and manages the functions of language. It is necessary that the current unstructured assessment system be re-examined,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in reading assessment, focused on functions and strategies, be set up first. The structured standard is essential to improving literacy and affects reading skills in all of the curricula; although knowledge and attitude are also important elements. Secondly, the assessment tool(rubric) must be designed carefully, so that assessment can be performed well. The elaboration of the tool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ent validity in the assessment process and the overall education as well. Thirdly, the assessment tool, which persists with multiple-choice tests must be gradually replaced with to another appropriate form of assessment tool that can clearly reveal the content validity. Provided that teacher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can give a valid reading assessment with higher content validity through accomplishing the suggested steps, it would be a fine example for the curricula of other subjects and, in turn, we can expect the improvement in literacy of the learners as well. 본고는 독서 평가에 있어 내용 타당도가 매우 중요하며 내용 타당도높은 국어과의 독서평가가 다른 내용교과의 문식력(Literacy)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전제하였다. 이 전제 아래 현행 독서 평가문항의 내용타당도가 매우 낮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이 문제점을 성취기준, 평가기준(루브릭)측면에서 비판한 뒤 제시된 성취기준, 평가기준을 바탕으 로 문항을 분석하였다.분석 결과, 평가 대상으로 삼은 「국어」, 「도덕」, 「법과 사회」 세 과목모두 ‘성취기준’이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명확한 ‘평가기준’ 또한 제시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국어」과의 평가기준은 성취기준에가까웠으며 「도덕」과의 경우 평가기준이 아닌 평가주제와 배점만을 제시했다. 「법과 사회」과의 경우도 배점만을 제시하였다. 문항의 경우 세부지식의 이해 및 추론에 치우친 문제가 주류를 이루었다.그러므로 세 과목의 독서 평가는 과목과 교과 지식이 다를 뿐 독서 평가의 유형은 크게 다른 점이 없다고 볼 수 있다. 또한 3과목의 독서 평가모두 ‘독서 평가 본질’을 구현했다고 보기 어렵다.이러한 문제는 근본 원인은 교사들 스스로 독서 평가에 대한 치밀한계획과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구체적으로 설정하지 못한 데에서 연유한다. 또한 내용타당도를 구현할 수 있는 적절한 도구를 심도 있게 연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독서평가와 내용 문식성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그러므로 타당성 있는 독서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문식성의 근간이되는 ‘언어’의 기능을 다루는 국어과에서 먼저 ‘독서 평가의 기준’을 명확하게 세워야 할 것을 주장한다. 기존의 체계 없는 평가 과정을 과감하게반성하고 우선, 독서평가의 성취기준을 기능과 전략 중심으로 명확하게세워야 한다. 지식과 태도도 중요하지만 기능과 전략 중심의 체계적 성취기준은 문식력 향상에 필수요소이며 교과독서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기때문이다.둘째, 평가도구(루브릭)을 정교하게 세워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질 수있도록 해야 한다. 평가도구의 정교화는 평가의 내용타당도 신장과 더불 어 교육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셋째, 선다형에 머물고 있는 독서 평가 도구가 내용타당도를 드러내기 에 적절할 수 있는 도구로 대치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결과적으로 이러한 절차를 거쳐 교사가 내용 타당도 높은 국어과 독서평가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면 다른 내용교과의 독서 평가에도 모범적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학습자의 탁월한 내용 문식력 향상을 기대할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독일의 기준지가제도에 대한 고찰

        崔勝弼(Choi, Seung-Pil) 한국토지공법학회 2010 土地公法硏究 Vol.51 No.-

        행정주체가 과세 또는 수용 등에 따른 손실보상이라는 공공목적을 위하여 부동산에 대하여 그 표준적인 가치를 설정하는 것을 기준지가(Bodenrichtwert)라고 한다. 독일의 경우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공시여부에 따라 명칭이 달라질 수 있지만, 부동산의 표준적 가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기준지가제도를 설정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기준지가제도의 법적근거로서 독일 기본법(GG) 제14조와 건설법전(BauGB) 제192조에서부터 제199조까지의 조항을 두고 있다. 이외에도 이를 구체화한 부동산평가령(ImmowertV), 부동산 평가지침(Wertermittlungsrichtline), 그리고 각 주의 법규명령 및 행정규칙이 존재한다. 이중 부동산 평가의 세부내용을 정하고 있는 것이 부동산평가령과 부동산평가지침이다. 평가령은 지가산정의 적용영역, 기준, 고려요소, 비교가치평가방법, 수익가치평가방법, 원가평가방법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 이를 보다 구체화하여 평가지침은 그 세부적인 사항 및 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부동산 가격평가의 주체는 감정평가위원회(Gutachterausschuss)로서 각주는 이를 규율하기 위해서 감정평가위원회에 관한 법규명령(GAVO)를 두고 있다. 동 법규명령에 따르면, 각 감정평가위원회는 주단위의 상급감정평가위원회 산하에 시 그리고 각 크라이스(Kreis)를 담당하는 위원회를 두고 있다. 동 위원회는 독립행정위원회로서 각 위원의 구성은 감정평가사를 중심으로 하는 우리와 달리 은행원, 농업종사자, 건설기술자, 건축사 등 부동산평가와 관련한 다양한 직역을 포함하고 있다. 기준지가 산정 절차를 살펴보면, 위원회는 특정시점 또는 일정기간을 정하여 두고 해당 기간에 이루어지는 유사한 거래가격을 수집하여 이를 집적하게 된다. 개별거래가격의 수집을 위해 동 위원회는 일정한 양식에 의거 개별적 부동산 거래시 거래가격을 제출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필요시 위원회는 현장조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행정조사로서의 성질을 갖는다. 독일에서의 기준지가도 공시가 되는 가가 문제될 수 있다. 기준지가가 공시될 경우 이는 공시지가이기 때문이다. 우리와 달리 독일의 경우 기준지가의 적극적 공시활동은 존재하지 않으나, 각 위원회는 해당 기준지가를 공개하고, 각 위원회에 비치하며, 관계인은 동자료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어 공시지가로서의 요소 또한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지가산정방법으로는 기초자료조사의 집적이외에 평가의 방법이 존재하는 바, 여기에는 비교가치방식(Vergleichwertverfahren), 수익가치평가방법(Ertragswertverfahren) 그리고 원가평가방식(Sachwertverfahren)이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비교가치평가방법이 선호되며, 동 방식의 적용이 부동산의 성상과 형태 등에 비추어 볼 때 적합하지 않을 경우 수익가치 또는 원가평가방식 그리고 여타의 적절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가격의 평가에 있어서는 수집된 가격이 개인적 관계 혹은 기타 관련사항으로 인하여 정상범위를 벗어난 것일 경우 평가에서 배제되게 된다. 이외에, 해당 부동산의 이용방법, 이용가능성의 정도, 전반적인 부동산 상황 등은 고려요소에 포함된다. 이와 같은 평가방법을 거쳐서 작성된 기준지가는 토지의 수용 등 부동산 관련 보상 또는 강제집행 등 공적인 행정영역에서의 산정기준이 되며, 일반 사법상의 거래에는 구속력을 가지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 독일의 기준지가는 가치평가의 신뢰성으로 인하여 개별적 거래에서도 활용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Der Bodenrichtwert wurde von der Regierungsbehörde für einen allgemeinen Zweck der Entschädigung und der Steuerabnahme als Standardwert für Immobilien festgelegt. Wie bei uns, je nach der Veröffentlichung kann der Name sich ändern, grundsătzlich jedoch wurde der Begriff “Bodenrichtwert” für den Standardwert der Immobillien bekannt. Im Falle von Deutschland, ist die Rechtsgrundlage für die Ermittlung des Bodenrichtwertes § 14 GG und §192 - §199 BauGB. Des Weiteren befinden sich der ImmowertV, die Wertmittlungsrichtline, die GAVO und die Behördenregelungen in den Regionen, in denen der ImmowertV und die Wertermittlungsrichtline die Details der Wertermittlung bestimmen. Die Ermittlungsrichtlinien ermittelen Anwendungsgebiete, Kriterien, Berücksichtigungspunkte, Vergleichswertverfahren, Gewinnwertverfahren und Kostenverfahren des rundstückswertes. Mit der Ermittlungsrichtlinie wurden die Details und Verfahren der Wertermittlung noch genauer geregelt. Die Ermittlung der Bodenrichtwerte erfolgt durch die Gutachterausschüsse, die Regionen haben jeweils die GAVO um die Gutachterausschüsse zu verordnen. Unter diesen Behörderegelungen haben jeweilige Gutachterausschüsse die regionalen oberen Gutachterausschüsse und darunter auch Ausschüsse, die zuständig für Stadt und Kreis sind. Diese Ausschüsse sind ein unabhängiges Kollegialgremium, und anders als bei uns, besteht das Gremium aus Ratsmitgliedern, Bänkern, Landwirten, Sachverständigen, Bauingenieuren, Architekten usw., die als Immobiliensachverständige tätig sind. Für das Verfahren des Bodenrichtwertes, sammeln die Ausschüsse Verkehrswerte im Zeitraum eines Bestimmungszeitpunktes bzw. an einem festen Zeitpunkt und legen diese zusammen. Um einzelne Transaktionspreise zu ermitteln, können die Ausschüsse den Preis der einzelnen Transaktionen durch spezifische Formeln bestimmen. Bei Bedarf werden Ortsbesichtigungen durch die Ausschüsse durchgeführt und diese Prozedur gleicht einer administrativen Untersuchung. Als Wertschätzungsmethode gibt es außer der Ansammlung der Basisdateien das Wertverfahren. Dazu gehören das Vergleichwertverfahren, Ertragswertverfahren und Sachwertverfahren. Im Allgemeinen ist das Vergleichwertverfahren als Wertschätzungsmethode beliebt, wenn es aber mit der Anwendung zum Entwicklungszustand bzw. Lage des Bodens nicht passt wird eine andere Methode wie das Gewinnswertverfahren, Kostenverfahren o.ä berücksichtigt. Bei der Wertschätzung wird der gesammelte Wert von dem Verfahren ausgelassen, wenn sie durch die subjektive Betrachtung bzw. änlichem gegen die Grundprinzipien verstösst. Zusätzlich zu dem Thema ˝Betrachtungselement der Wertschätzung˝ gehört die Nutzungsmethode der Immobilien, die Möglichkeit der Nutzungsfähigkeit und Betrachtung sämtlicher Zustände.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의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류상희(Ryu Sang H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2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초등학교 실과 수업에서 가르치고 배워야 할 내용과 그것의 성취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평가준거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평가준거 성취기준’은 교육과정에서의 성취기준을 명료하게 진술하여 교실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평가기준’은 학생들의 어느 정도 수준에서 성취했는지를 상/중/하의 수준으로 진술한 것이다. 이 연구는 교육과정 분석, 평가준거 성취기준(안)/평가기준(안) 도출, 현장 적합성 검토, 평가준거 성취기준/평가기준 확정의 절차를 거쳤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 발달과 가족’ 영역에서는 성취기준 [6실01-04]에서 ‘이해한다’로 서술된 내재적 동사를 교수․학습 및 평가 활동이 용이하도록 ‘실천한다’의 외현적 동사로 수정하였다. 평가기준의 수준은 수행 수준에 따른 구분과 성취하는 내용 요소의 양에 따른 구분으로 이루어졌다. 자기관리 방법 제시, 배려와 돌봄의 실천 방안 제시 등과 같이 수행수준이 높은 것에는 ‘상’을 부여하고, 단순 지식을 이해 것에는 ‘하’를 부여하였다. 둘째,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에서는 성취기준 [6실02-01], [6실02-02], [6실02-08]에서 ‘알다’, ‘이해하다’로 서술된 내재적 동사를 ‘말하다’, ‘설명하다’의 외현적 동사로 수정하였다. 평가기준의 수준은 사고능력의 수준에 따라 구분되었다. 문제 해결과 적용 등의 복잡한 지적 능력에는 ‘상’을 부여 하였고, 간식의 종류 말하기, 옷의 기능 말하기와 같이 지식 암기나 이해에 관련된 것에는 ‘하’를 부여하였다. 셋째, ‘자원 관리와 자립’ 영역의 평가기준 수준도 사고 능력의 수준에 따라 ‘상’과 ‘하’의 구분이 이루어졌고, 유사한 사고 능력 수준일 경우에는 내용 요소의 양에 따라 ‘상’과 ’중‘ 또는 ’중‘과 ’하‘의 구분이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of assessment criteria and assessment standards in family life classes of Practical Arts in ligh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assessment criteria is to serve as a guide to what students should study and achieve in Practical Arts classes. The assessment standards refers to three levels of achievement (upper, middle, lower) which can assess the level of achievement students have gained. Procedure of the study includes: analyz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tudying available assessment criteria and standards, reviewing classroom suitability, determining assessment criteria and standard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chievement standards of assessment criteria and assessment standards in family life classes could result in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ractical Arts classes based on the 2015 revized curriculum. Second, they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reconstruction of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Third, achievement standards of assessment criteria and assessment standards will be used to judge students’ achievements and serve as feedback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urth, they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assessment tools.

      • KCI등재

        漢文科 評價를 위한 成就基準 개發 方向에 대하여 : 高等學校를 中心으로 On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Completion Criteria for the Valuation in the Education of Sino-Korean Letters and Lit with the education in high school

        秦仁燮 한국한문교육학회 2002 한문교육논집 Vol.19 No.-

        敎育評價의 본질적 기능은 학생이 도달하여야 할 목표를 어느 정도 성취하였는지 점검하고, 그 결과를 학생이나 교사, 부모에게 제공해 주어 학생이 나아갈 좌표를 일러주고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즉 교육의 장에서 評價는 학생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발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학교 연장 評價의 관행상 문제점으로 인하여 보다 적극적인 기준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즉 評價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습 결손 상태를 파악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敎授·學習 과정에 송환시키기보다는 학습자의 우·열을 가리기 위한 수단으로만 사용하는 등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에 위배되는 상황들을 학교 교육이 주도했기 때문이다. 成就基準이란 해당 학년에서 배워야 할 敎授·學習 활동의 실질적인 기준으로, 교육과정의 목표 및 학습·내용을 실제 수업과 연관 시켜 이해할 수 있도록 명료하게 구체적으로 해석, 나열한 것이며, 또한 현장에서의 敎授·學習활동을 계획하고 구안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로 제시되는 것이며, 교육의 총체인 評價를 위한 준거로서 교육과정의 질 관리와 기초학력 보장을 위하여 개발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敎育目標와 敎授·學習 활동, 評價 활동의 일치를 評價의 방향으로 두고 이를 위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면모를 보이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배워야 하며, 그것을 어떻게 評價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합리적인 준거인 成就基準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문과 성취기준 개발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現場 適用性 및 自律性이 떨어지고 모호하다. ② 成就基準 영역 설정에 있어서 漢文과 교육과정의 논리와 특성에 따라 구별하고, 학급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야 한다. ③ 評價를 위한 成就基準에 대한 道具選擇과 活動課題가 斷片的이다. ④ 實業界 高等學校 學生들의 基礎學力 정도를 감안하지 않았다. ⑤ 동아시아권에서의 漢字의 활용을 위한 속자·약자·간자의 학습에 대한 기준이 없다. ⑥ 高等學校 敎育用 基礎漢字 900字에 대한 成就基準이 級別로 정해져 있지 않다. ⑦ 成就 水準을 정함에 있어 難易度나 重要度 등을 따져 학년별로 구분지어져 있어야 한다. ⑧ 敎授·學習 활동 시간 및 학생 수준의 조정이 필요하다. ⑨ 成就基準 영역을 설정함에 있어 실용적인 사안을 고려해야 한다. ⑩ 暗記 위주에서 探究 위주로 탈바꿈해야 한다. ⑪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학 수학 능력 시험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成就基準의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는바 이는 적정한 評價 기준을 세우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물론 이와 같이 成就基準을 만들어 놓고 評價基準을 마련하는 것이 너무 세부적으로 나누어지게 되어 혼란을 가중시킬 수도 있겠으나, 오히려 학생들이 반드시 성취해야 하고 이에 따라 정당한 評價를 받기를 원한다면 쌍방의 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으리라 본다. 그리고 절대 불변의 확고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성격은 아니므로 앞으로 교육 과정의 확대 적용에 따른 현장 교사들의 경험, 학습자, 교육 전문가, 행정 기관 그리고 학부모의 반응과 의견을 조사하고 우리의 교육 현실을 반영하여 成就基準의 기본적인 의미를 확대 또는 수정하여 보완하는 가능성은 열어두고자 한다. The essential function of educational valuation is the inspection of educational completion of students and advising them to acquire future angular by informing the result to teachers and parents. But the valuation in educational field had been performed usually, so if we couldn't this problem we wouldn't achieve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quality. To be frank, the conception of completion criteria can be explained by three as belows. 1) Elementary criteria of education to be taught in every grades, in other words, that comments on the goal and contents in curriculum distinctly and concretely relating to real educational processes. 2) That was issued as the basic datum to plan the education-learning schedules. 3) That have to be developed for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quality in curriculum and the guarantee of elementary scholarship as the standard of valuation. As mentioned above, I will present several directions to correct problems of current completion criteria and to establish new criteria suited to present educational systems. ① Field applicability and autonomy are depreciated and vague. ② In the fixing the area of completion criteria, we must distinguish according to the logic an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must deal all students differently. ③ The choice of instrument and performing subjects in the completion criteria for test are fragmentary. ④ That didn't take into account the degree of elementary scholarship in industrial high school. ⑤ There is no clear criterium for using the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of Japan and China. ⑥ There is no graded completion criterium for 900 elementary letters in high school education. ⑦ We must take into account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importance in deciding the level of completion. ⑧ We must settle the time of teaching-learning and the level of student. ⑨ In the fixing the area of compleyion criteria, we must take into account pragmatic aspects. ⑩ We must transform memory centered curriculums into investigating centered one. ⑪ We must take into account the test for entrance of university(college) current operated.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실과 '기술의 세계' 분야의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

        진의남,고인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터해 가르치고 배워야 할 내용과 그것의 성취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도구로서 ‘평가준거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평가준거 성취기준’이란 단위 학교의 평가 상황을 고려하여 학생 입장에서 무엇을 공부하고 성취해야 하는지, 교사 입장에서 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해야 하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안내로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재구성한 것이다. ‘평가기준’이란 각 성취기준별로 학생들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특성을 설명하여 질적 차이를 수준(상/중/하)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연구에서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은 교육과정 분석, 개발영역 설정, 기준안 도출, 최종안 확정의 연구 절차를 통해 개발되었다. 개발된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이 4가지 측면에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 제고 및 교육 내용 재구성의 바탕으로 활용될 것이다. 둘째, 교수학습 관련 정보 및 학생 수준을 고려한 수업 설계에 활용될 것이다. 셋째, 단위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평가의 준거로서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의 도달 정도 판단에 활용될 것이다. 넷째, 단위학교에서 평가 문항 제작 및 채점 기준 설정의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of Assessment Criteria’ and ‘Assessment Standards’ in 'The World of Technology' of Practical Arts in 2015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of Assessment Criteria' is to provide guidance on what the student should study and accomplish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Assessment situation in the school. The teacher has reconstruct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o provide more specific guidance on what to teach and evaluate. 'Assessment Standards' is the level of achievement (upper / middle / lower) of the qualitative difference by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what students know and can do for each Achievement standards. In this study, 'Achievement standards of Assessment Criteria' and 'Assess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in order of analysis of 2015 revised curriculum, establishment of development area, elicitation of standard, and confirmation of finalization(field suitability review). It is expected that the 'Assessment criteria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developed will be utilized in four aspects as follows. First, i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improving understanding of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reconstructing educational content. Second, it will be used for teaching design and information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Third, it will be used to determine the student 's attain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s a criterion of Assessment in the unit school. Fourth, i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setting evaluation items and setting scoring criteria.

      • KCI등재

        도시정비 감정평가실무 세부기준 정립과 향후 과제

        이철현(Lee, Chul Hyun) 한국부동산연구원 2022 부동산연구 Vol.32 No.1

        그 동안 감정평가업계는 재개발·재건축사업 시행에 따라 행해지는 다양한 목적의 감정평가에서 평가목적에 맞는 기준 정립을 위해 「주택재개발·재건축 감정평가지침」을 제정(2008)하고 2014년 「감정평가 실무기준」 제정 시 목적별 감정평가 부분에 도시정비평가편을 별도로 규정하는 등의 노력을 하였다. 하지만 도시정비사업 관련 법령의 잦은 개정, 감정평가에 관한 일반적 기준을 규율하고 있는 「감정평가에 관한 규칙」과의 관계 등 새로운 과제가 대두되고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준비는 미흡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한국감정평가사협회는 2020. 12. 「도시정비 감정평가실무 세부기준」을 제정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다소 혼란스러웠던 재개발·재건축 감정평가의 기준에 대한 여러 쟁점을 일정한 수준에서 정리하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는데, 그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와 환경 변화 등에 따라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첫째, 「도시정비 감정평가실무 세부기준」은 그동안 논란이 많았던 종전자산감정평가와 보상평가의 관계 및 개발이익 반영 문제, 정비구역 내 국공유지 매각평가의 기준, 매도청구 감정평가에서 ‘시가(時價)’의 의미와 성격, 종후자산감정평가의 주된 감정평가방법 문제 등을 정리하고 기준을 제시하였다. 둘째, 「감정평가에 관한 규칙」에서 기준가치 개념 및 시장가치 기준 평가원칙을 도입함에 따라 종전·종후자산감정평가의 기준가치를 무엇으로 볼 것인지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기준정립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종후자산감정평가에서 원가법에 의한 시산가액(총액)=관리처분계획수립 목적의 종전자산감정평가액+정비사업비라는 감정평가업계의 관행이 가지는 문제점을 기준가치 문제와 함께 검토하였다. 셋째, 기존 감정평가기준체계와 부합하는 지에 대한 별다른 검토없이 관행적으로 “감정평가액으로 결정한다”는 정도의 내용만을 법령으로 정한 후 구체적인 기준은 기존 감정평가기준체계와 부합하지 않게 정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하는바, 소규모주택정비법의 임대주택 인수가격 협의를 위한 감정평가 기준 등이 그러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 KCI등재

        최근 정보보호제품 공통평가기준에 관한 고찰

        강수영,박종혁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JSE) 2008 보안공학연구논문지 Vol.5 No.3

        I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정보보호 시스템의 성능과 신뢰도를 평가하는 잣대로써 각 나라마다 제품 평가 기준을 제정하여 시행하였다. 미국에서는 오렌지 북(Orange Book)으로 불리는 평가 기준인 TCSEC(Trusted Computer System Evaluation Criteria)을 1985년에 제정하였으며, 이후 영국의 그린 북 시리즈, 독일의 블루 & 화이트 북, 프랑스의 블루-화이트-레드북 등이 계속적으로 제정되면서 1990년에 영국,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가 협력하여 유럽의 공통적인 평가기준서인 ITSEC(Information Technology Security Evaluation Criteria)을 출간하였다. 1991년에는 캐나다에서 CTCPEC(Canadian Trusted Computer Product Evaluation Criteria)이라는 평가 기준을 제정하였다. 한편 미국의 NIST(National Institute for Science and Technology)와 NSA(National Security Agency)는 1993년 1월 TCSEC을 대체하는 평가 기준서로서 FC (Federal Criteria)를 배포하였다. 하지만 각국의 평가기준이 차이점이 있기 때문에 평가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여 평가 기준을 통합한 공통평가기준(CC : Common Criteria)을 1996년 1월 발표하게 되었다. 공통평가기준은 점차 발전하고 있으며, 정보보호제품을 보증하여 여러 나라에서 통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공통평가기준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Each countries set evaluation criterion that evaluate capacity and trust of information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U.S set evaluation criterion TCSEC(Trusted Computer System Evaluation Criteria) in 1985, the criterion called "Orange Book". Thereafter each countries set evaluation criterion by continued, for example, Green Book series in England, Blue-White Book series in Germany, Blue-White-Red Book series etc. Britain, Germany, France and The Netherlands cooperate and set common criterion in 1990. Canada set evaluation criterion CTCPEC(Canadian Trusted Computer Product Evaluation Criteria) in 1991. In the next breath, the FC (Federal Criteria) replaced TCSEC was distributed in 1993 January by U.S.'s NIST(National Institute for Science and Technology) and NSA(National Security Agency). But because evaluation criterion among each countries have difference, the expense and hour using evaluation increase. So CC : Common Criteria have issued in 1996 January. Common Criteria is develop gradually, and guaranteed information security product authenticate in many countries. Therefore we describe about recent common criteria in this paper.

      • KCI등재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 설정 연구–국내외 사례 연구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홍종명,이준호,안정호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0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1 No.-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mprehensive evaluative criteria and checklist of Korean Language Textbook.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several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on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language) textbooks checklist. Related literature that this study examined includes ‘the Standards of Official Approval on textbooks by Ministry of Education, Korea’, ‘the Standards of Textbook Recommendation System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s well as several reviews on previously released KSL/KFL, ESL/EFL research articles. By means of deriving critical findings from those case studies, this study presents four evaluative criteria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such as ‘legislation, norm and fairness’, ‘physical make-up and utilitarian’, ‘Curriculum and objectives’, ‘teaching method and contents’ and develop expansive checklist to evaluate textbooks. 10 items for ‘legislation, norm and fairness’, 20 items for ‘physical make-up and utilitarian’, 7 items for ‘Curriculum and objectives’, 65 items for ‘teaching method and contents’ are presented and 110 in total items a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study. 본고는 국내외의 교재ㆍ교과서의 평가 기준 설정 사례를 분석하고, 분석의 결과로 도출된 시사점을 반영하여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사례의 경우, 한국어 교재의 평가 혹은 분석 기준 설정에 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교육부의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 기준,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교재 추천 제도 등에서 제시된 교재 평가 기준과 관련된 항목들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외국어로서의 언어 교육용 교재의 평가 기준에 보다 집중하고자 ESL/EFL 교재의 평가 기준 설정에 대한 해외 사례도 분석하였다. 본고는 이렇게 한국의 교과용도서 평가 기준, 기존의 한국어 교재 평가 기준, 해외의 영어 교재 평가 기준을 분석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평가 기준의 체계를 마련하였으며, 크게는 범령ㆍ규범 및 공정성’, ‘외형 및 실용성’, ‘교육과정의 준수’, ‘교육 방법 및 내용’의 4대 대범주를 설정하고 각각의 하위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 범령ㆍ규범 및 공정성’ 범주에 10개, ‘외형 및 실용성’ 범주에 20개, ‘교육과정의 준수’ 범주에 7개, ‘교육 방법 및 내용’ 범주에 교육 방법 8개, 교육 내용 65개 범주로 73개 항목을 제시, 총 110개의 항목을 제시하여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숙련 및 미숙련 평가자들의 총체적, 분석적 및 진단적 채점기준을 활용한 영작문 평가 방식의 비교 분석 연구

        김연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xperienced and novice raters’ assessment behaviors when they used holistic, analytic, and diagnostic rating scales in ESL writing assessments. It also closed examined how the two groups of raters perceived the different rating scales. Methods The experienced and novice rater groups consisted of five native English-speaking professors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teaching and assessing ESL writing and four native English-speaking professor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teaching and assessing ESL writing. Both groups of raters assessed 30 ESL compositions using the three different rating scales and completed an assessor questionnaire.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novice raters were more lenient in assessing ESL writing across the three rating scales. The experienced raters also showed more variance in their scores than the novice raters when they used the holistic and analytic (i.e., task fulfillment) rating scales. In contrast, the novice raters showed more variance in their scores than the experienced raters when they used the analytic (i.e., lexical and grammar) and diagnostic rating scales. While the experienced raters preferred the holistic rating scale, the novice raters preferred the analytic rating scale. Both groups liked the diagnostic rating scale the least.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at raters should consider the assessment purpose and context and rater variability when choosing an appropriate rating scale. 목적 본 연구는 영작문 교수 및 평가 경력에 의하여 숙련 및 미숙련으로 구분되는 평가자 집단이 총체적, 분석적 및 진단적 채점기준을 사용하여 학습자들의 영작문을 평가하였을 때 나타나는 평가자 엄격성 및 변이성과 다양한 채점기준에 관한 숙련 및 미숙련 평가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영작문 교수 및 평가 경력이 3년 이상인 영어 원어민 교수 5명과 영작문 교수 및 평가 경력이 3년 미만인 영어원어민 교수 4명이 각각 숙련 및 미숙련 평가자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두 평가자 집단은 다양한 채점기준을 사용하여 30개의 영작문답안을 평가하고 설문에 응하였다. 결과 미숙련 평가자 집단은 모든 채점기준을 사용함에 있어서 학습자들의 영작문을 숙련된 평가자 집단보다 관대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평가자 집단이 개별 영작문 답안에 대하여 부여한 점수의 표준 편차를 비교한 결과, 숙련된 평가자들은 총체적 및 분석적 채점기준의 과제 수행 척도를 사용하였을 때에 미숙련 평가자들보다 높은 표준 편차를 보여 주었다. 하지만, 분석적채점기준의 응집력 및 일관성 척도에서는 두 집단 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미숙련 평가자들은 분석적 채점기준의 어휘력과문법 및 정확성 척도, 그리고 진단적 채점기준을 사용하였을 때에는 오히려 숙련된 평가자들에 비하여 높은 표준 편차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채점기준에 관한 숙련 및 미숙련 평가자들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숙련된 평가자 집단은 총체적 채점기준을, 미숙련 평가자 집단은 분석적 채점기준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두 평가자 집단은 모두 진단적 채점기준을가장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 제2언어 쓰기 평가에서 평가자들은 평가의 목적, 평가자 변인 및 평가 상황에 따라 적절한 채점기준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영작문을 평가하는 것이 평가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방안이다.

      • KCI등재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강대현,박영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사회과교육 Vol.44 No.3

        본 연구는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연구로서, 국내외의 수업 평가 논의와 학교 현장의 수업 평가 실태에 대한 논의들을 토대로 사회과 수업 평가 논의의 단초라고 할 수 있는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동시에 이러한 기준을 구체적인 관찰 및 분석 지표로 만들어, 사회과 교사가 자신의 수업과 동료 교사들의 수업을 관찰․분석하고, 서로의 수업에 대해서 장학할 수 있는 공통적인 잣대를 제공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기준 개발의 토대라고 할 수 있는 사회과 수업 평가 영역 및 요소를 설정하였다. 사회과 수업 평가 영역 및 요소는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와 수업 관찰 및 면담 결과를 토대로, 네 가지 범주의 사회과 수업 평가 영역과, 10개의 세분화된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의 개발 주체와 요구되는 기준의 유형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실제로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안)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안)의 검증 및 상세화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실제로 일부 기준의 상세화 사례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수업평가 상세기준의 예를 통해 구체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고, 사회과 수업평가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분야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ubject-specific(Social Studies) standards for teaching evaluation that assess a series of activities related to the classroom teaching which makes up the cor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Furthermore, we ventured to propose the methods of application based on the Social Studies teaching standards. We tried to define the major categories, sub-categories and elements of teaching standards based on the review of the recent foreign and domestic research results and survey results from school teachers. Major categories are divided into four parts in general: (a)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subject matters and teaching preparation, (b)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s, (c)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as reflective practitioners, and (d) connective abilit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 teaching standard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follows: (a) the guidelines for the beginners who want to improve their own performance through analyses and reflective practices, (b) the directives for the experienced teachers who are engaged in mentoring, peer coaching, and collaborative school-wide improvement, (c) the criteria for administrators and supervisors who assess and advise the classroom teaching, and (d) the criteria of the program development for improving teaching profess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