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적정기술을 활용한 청소년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

        고인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적정기술을 활용하여 청소년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적정기술은 문화 융합적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으면서도 학생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노작활동으로 구성하기 가 용이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적정기술을 활용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은 노작활동 의 과정 속에서 학생의 자발적 참여와 관심을 유도하고 자연스럽게 문화 융합의 과정을 체험할 수 있 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준비, 개발, 개선의 3단계 모형을 구안하여 청소년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 다. 프로그램 준비단계에서는 적정기술, 다문화교육,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대해서 이론적 배경 을 살펴보았다. 프로그램 개발단계에서는 프로그램설계의 준거와 개발 절차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 발하였다. 프로그램 개선단계에서는 전문가 검토를 통해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개발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의 활동 주제로는 ‘사람을 살리는 생명의 빨대!’, ‘사랑의 자전거 만들기’, ‘태양열 조리 기구 만들기’, ‘안전한 우리 집을 만들기’가 있다. 각각의 활동 주제에서는 적정기술을 매개로하여 물 부족, 인구문제, 지리환경, 기후 등 우리와 다른 여러 나라의 문화 환경적 특성을 이해 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에서 구체적 예시로 제시한 것은 ‘사랑의 자전거 만들기’ 활동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sing appropriate Technology. Appropriate technology has a lot of cultural fusion elements. In addition It is easy to configure as a activity that can lead to the student's interest. Because of this,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sing appropriate Technology is possible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interest of students in the course of laborious activities, It also provides a means to enjoy the process of culture fusion naturally chanc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three-stage model of program preparation, development, improvement. In the preparation stage,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appropriate technology,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model.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of the program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 In the improvement stage,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an expert. The developed activities subj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s consists of ‘Life-saving straw man’, ‘Making of Love Bicycle bike’, ‘Making solar cooking equipment’, ‘Making our homes safe’. In activities, we can understand another country's culture of through appropriate technology are related to water shortages, population issues, geographic environment, climate. In this study, we present as an example the 'Making of Love Bicycle bike’

      • KCI등재후보

        실과 ‘창의 노작’의 개념 정의 연구 - 실과 노작의 재 포지셔닝 -

        고인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4

        이 연구에서 제안한 ‘창의 노작’은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 노작이 실과 교육의 핵심적 내용으로 자리 잡는데 있어 노작의 개념을 확인함과 동시에 노작과 관련하여 그동안 언급되지 않았던 미래 지향적인 사상이나 철학, 이론을 고찰함으로서 실과 교육에서 노작 활동에 대한 새로운 캐치프레이즈로 ‘창의 노작’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자가 제안하는 ‘창의 노작’의 철학은 크게 세 가지 성격을 가진다. 첫째, 노작을 기술주의로 왜소화 하지 않고 자기실현의 경험 속에서 자주성과 사회적 품성을 기르는 인성교육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둘째, 노작을 문제해결적사고 기반 위에 생활에서의 창조와 실천을 지향하는 창의성 교육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셋째, 노작을 융합적사고 기반 위에 지식과 기능을 융합하는 융합교육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창의 노작’은 기존의 노작이 가지는 신체적, 수기적 성격은 그대로 견지하면서도 노작에 ‘창의’라는 단어를 붙여 문제해결, 융합사고 같은 고등사고기능에 더해 자주성이나 사회성 같은 인격적 측면도 강조하는 미래 지향적 노작 활동이다. ‘창의 노작’은 그 수행 방법에 있어 기존의 노작 활동과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을 보인다. 기존의 노작 활동이 단순히 일련의 과정, 즉 절차만을 강조했다면 창의 노작은 그 과정, 절차에 문제해결, 프로젝트, 시스템이라는 전략적 체계성을 입혀 미래 지향적 역량 개발과 직결되는 과정으로 새롭게 접근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적 접근의 강조를 통해 ‘창의 노작’은 실과 교육에서 기존의 노작과 다른 새로운 독창성과 존재성을 확인할 수 있다. ‘Creative Work’ proposed in this study is not a new concept. As ‘Creative Work’ is the catch phrase of Pratical Arts Education, we want to ensure that the ideas and philosophies related to ‘Creative Work’ are accurately defined and understood. The philosophy of ‘Creative Work’ is defined by three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First, ‘Creative Work’ is not working with the sole purpose of earning money. The purpose of ‘Creative Work’ is through the experience of self-realization, fostering independence, and resilience. We refer to this aspect of ‘creative Work’ as character education. The second purpose of ‘Creative Work’ is to foster creativity and practicality through problem solving. This aspect of ‘creative Work’ is referred to as creativity education. The third purpose ‘Creative Work’ is to foster critical thinking skills to fuse together both knowledge and capabilities. This aspect can be defined as convergence education. ‘Creative Work’ is similar to Work in phys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By the addition of the word 'creative’, the emphasis changes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higher thinking skills, social skills, and personality. Therefore, ‘Creative Work’ is future-oriented. ‘Creative Work’ has the biggest difference with the existing Work performed in its way with the existing Work emphasized through a simple process. On the other hand, ‘Creative Work’ emphasizes strategic processes to foster competencies required for future society. The strategic processes that ‘Creative Work’ emphasizes are problem solving, projects, and systems. The emphasis on these processes can identify the uniqueness of ‘Creative Work’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수목 현황 조사 및 개선 방향 연구 - 세종지역을 중심으로 -

        고인규,박현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0 實科敎育硏究 Vol.26 No.3

        이 연구는 세종지역 내 학교 수목 현황을 조사하고 초등학교 학교 조경의 개선 방향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세종지역 관내 20개 초등학교로 2020년 5월 1일부터~2020 년 6월 30일까지 현지 답사를 통해 대상학교의 수목 중 목본류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수목 식재 현황을 조사하는데 있어 조사 구역은 학교 본관 및 부속 건물을 제외한 학교 교지 전체에 수목이 식재 된 곳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종지역 초등학교에 식재된 수목은 총 80 개종으로 철쭉(100%), 주목(95%), 소나무(90%), 무궁화(85%), 청단풍나무(85%) 순으로 식 재되어 있었다. 교목은 52개종으로 향나무, 소나무, 잣나무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관목은 28개종 으로 철쭉, 회양목, 남천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낙엽은 65개종으로 단풍나무, 산딸나무, 산수유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상록은 15개종으로 섬잣나무, 둥근소나무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활엽은 68개종으로 회화나무, 마로니에 나무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침엽은 12개종으로 잣나무, 메타세콰 이어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세종지역 초등학교 조경 개선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도심-대규모 학교의 수목 다양성을 높이고 수목 이름표 설치를 통 해 교육적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을 반영하는 수목 식재를 통해 교과 교육의 효 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정원을 단순히 쉼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인식하는 것을 너 머 문화를 향유하고 교육을 실천하는 체험공간으로 가꾸어 나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trees in Sejong and improving the landscape architecture of elementary schoo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elementary schools in the Sejong area. From May 1, 2020 to July 30, 2020, the landscaping trees of the target schools were surveyed mainly on the tree. In surveying the current status of tree planting, the survey area was set as the place where the trees were planted throughout the school grounds except for the main building and attached buil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 total of 81 trees were planted in elementary schools in Sejong area, followed by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100%), Taxus cuspidata (95%), Pinus densiflora(90%), Hibiscus syriacus((85%), and Acer palmatum Thunb(85%). There are 53 types of Tall trees, including Juniperus chinensis, Pinus koraiensis and pine trees. There are 28 types of Small trees, including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Buxus microphylla and Nandina domestica. There were 66 fallen leaves, and Ginkgo biloba, Cornus kousa, Cornus officinalis and cornus were planted. There are 12 types of evergreens, including Pinus parviflora, Pinus densiflora. There are 69 broad-leaved trees with plantings such as Sophora japonica and Aesculus hippocastanum, and 12 broad-leaved trees with Pinus koraiensis and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landscape of elementary school in Sejong area.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iversity of trees in the old city-large school and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through the installation of tree name tags. Second,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subject education through planting trees that reflect the curriculum. Third, it is necessary to transform the recognition of the school garden into a space that simply provides rest, and transform it into an experience space that enjoys culture and practices education.

      • KCI등재후보

        초등실과 농업생명과학 영역의 평가 루브릭 개발 연구

        고인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 농업생명과학 영역의 평가 루브릭을 개발하는 것이다. 루브릭이란 수행 과정 및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학생의 수준 및 특징을 수준별로 서술한 평가 척도로서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농업생명과학 영역의 핵심개념인 ‘창조’, ‘지속가능’의 평가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루브릭의 개발은 준비, 개발, 개선 단계를 통해 이루어졌다. 준비단계에서는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수행과제 선정 및 평가 방법을 결정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루브릭의 유형을 선정하고 평가영역, 평가준거, 평가척도 개발을 통해 루브릭을 완성하였다. 개선단계에서는 전문가 검토를 통해 개발된 루브릭을 수정 보안하고 최종적으로 루브릭을 완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초등실과 농업생명과학 영역의 평가 루브릭은 다음과 같이 3가지 측면에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초등실과 농업생명과학 영역에서 교수학습 관련 정보 및 학생 수준을 고려한 수업 설계에 활용될 것이다. 둘째, 단위학교에서 초등실과 농업생명과학 영역과 관련된 평가 문항 제작 및 채점 기준 설정의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셋째, 초등실과 교육에 있어 농업생명과학 영역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관련 수업의 질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rubric for the field of agricultural bioscience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 rubric is a rating scale that describes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a student in order to assess the process and outcome.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evaluation rubrics of 'Creation' and 'Sustainability' which are core concepts of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field based o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Development of rubrics was done through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stages. In the preparation stage, we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decided the method of selecting and evaluating the performance tasks. In the development stage, we selected the type of rubric and developed criteria and scales to complete the rubric. In the improvement stage, the rubric was revised and finally the rubric was completed. The rubric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in three aspects as follows. First, it will be used to design teaching considering information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student level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life science. Second, i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evaluation items and scoring criteria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life science. Third, it can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class and attract attention to the field of agricultural life science.

      • KCI등재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기술 시스템’ 영역의 실천전략

        고인규 한국기술교육학회 201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and contents of the technical system area in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to present practical strategies and methods of the technical system area in the field education. In this study, practical strategies and methods of technology system area are divided into three stages: ‘Purpose Clarification’, ‘Content Clarification’, and ‘Method Clarification’. Details of each step are as follows. First At the Purpose Clarification stage, What is the purpose of practicing the curriculum? I asked the Essential Question. This was done in order to enhance the motivation of the educational practice by confirming the academic purpose of the technical system field and the goal of the curriculum. Second At the Content Clarification stage, what are the contents and objects to practice? I asked the Essential Question. On the basis of this, we analyzed contents of the technical system area curriculum and reconstructed it based on the teaching model. Third At the Method Clarification stage, what is the concrete plan of action? I asked the Essential Question. In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f the technical system area, methods of teaching and evaluation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기술 시스템 영역의 의미와 내용을 확인하고 현장에서 기술 시스템 영역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실천전략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술 시스템 영역의 실천전략을 목적 명료화, 내용 명료화, 방법 명료화 3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각 단계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적 명료화 단계’에서는 교육과정을 실천해야 할 이유와 목적은 무엇인가? 에 대한 본질적 질문에 근거하여 기술 시스템 영역의 학문적 목적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확인하여 교육 실천의 동기를 강화하였다. 둘째, ‘내용 명료화’ 단계에서는 실천해야 할 내용과 대상은 무엇인가? 에 대한 본질적 질문에 근거하여 기술 시스템 영역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고 수업 모형 중심으로 관련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셋째, ‘방법 명료화’ 단계에서는 실천의 구체적 계획은 무엇인가? 에 대한 본질적 질문에 근거하여 수업 모형 중심의 재구성 된 기술 시스템 영역 교육과정 내용에서 수업과 평가의 연계 전략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실과 농업 단원의 구조화 연구

        고인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실과 농업 단원을 학생의 이해 중심으로 구조화 하는 것이었다. 여기에서의 이해란 단순히 지식을 암기 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수업의 맥락 속에서 파악하고 다른 상황 속에서 적용하여 새로운 산출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백워드 설계 모형에서는 기대결과 확인, 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 학습 경험 계획이라는 단계적 내용 구성을 통해 이런 이해 중심 구조화를 실현하고 있다. 최근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이런 이해 중심의 설계가 지식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도모 하여 생활 속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 지식을 학습한다는 측면에서 각광 받고 있는 추세이다. 실과에서 농업 교육 역시 학생이 재배 사육 기능이나 지속가능한 태도를 우리 삶의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배운 지식을 생활 속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실과 농업 단원 내용을 학생의 이해 중심으로 구조화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기대 되는 효과는 3가지이다. 첫째,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교육과정 구조화를 통해 실과 농업 단원에서 학생의 이해 중심 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실과 농업 단원 평가에 있어 학생의 이해 중심을 목적으로 과정 속에서 평가 하는 과정 중심의 평가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개발에 있어 교과서 단원 구성의 새로운 전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ructure the agricultural unit of practical arts to understand oriented elementary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understand in this study is not just memorize knowledge, understanding knowledge in the context of the lesson and to apply in other circumstances would produce a new product. The understanding-oriented structured configuration was realized through a phase information called ‘confirmation expected results’, ‘acceptable evidence determination’, ‘learning experience Plan’. Recent trends in curriculum development is to learn the practical knowledge that can be immediately applied in everyday life by Promote understanding and context. The purpose of the agricultural unit in practical education is understanding knowledge in the context of life and it is ito practical application in daily life. In this study the agricultural unit of practical arts to understand oriented elementary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 Effects expected from this study is three. First, through a curriculum structured to apply a backward design model it will be able to conduct understand oriented education in agriculture unit of practical arts. Second, one can present a core process evaluation method to conduct understand oriented education in agriculture unit of practical art. Third, it will be able to present a new type of textbook unit configuration in 2015 revised curriculum textbooks development.

      • KCI등재

        초등학교 5학년 실과 '꽃과 채소 가꾸기' 단원에서 모듈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고인규,정성봉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effects of modular practice instruction on student interest to academic achievement in the lesson of 'Garden  Flower and Vegetables' in primary school. One kinds of null hypotheses were formulated. 2 classes Fifth grade of ○○ primary school in Gapyeong-Gun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null hypotheses. In the experimental design, 'The Static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odel was utilize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3 class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applied to modular practice instruction and the control group was applied to traditional practice instruction. Window SPSS 12.0 korean language version program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identify the average of each group.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5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dular practice instruction had effect on the interest to cognitive area in academic achievement Especially, these instruction had effect on the following sub-elements; knowledge and comprehension. Second, modular practice instruction didn't have effect on the interest to skill area in academic achievement Especially, these instruction didn't have effect on the following sub-elements; basic skill and element skill and complex skill Third, modular practice instruction didn't have effect on the interest to justice area in academic achievement. Especially, these instruction didn't have effect on the following sub-elements; interest and acceptance and value and faith and act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실과 '꽃과 채소 가꾸기'단원에서 모듈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영가설을 세웠으며,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가평군 00초등학교 2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실험 설계는 이질 통제집단 전후검사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모형을 적용하였다. 실험은 총 3학급 중에서 2학급이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수업방법을 실험집단에는 모듈 수업을 처치하였다. 통계에는 SPSS/WIN 12 가 사용되었다. 집단 간 평균차를 t검정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듈수업은 학업성취도 중 인지적 영역에 있어 전통적 수업보다 효과적이다. 하부 요인인 지식, 이해에 있어서도 똑같은 결과가 있었다. 둘째 모듈수업은 학업성취도 중 기능 영역에 있어서 전통적 수업과 효과에 차이가 없다. 하부 요인인 기본기능, 요소기능, 복합기능에서도 똑같은 결과가 있었다. 셋째 모듈수업은 학업성취도 중 정의적 영역에 있어서 전통적 수업과 효과에 차이가 없다. 하부 요인인 관심, 수용, 가치, 신념, 행동화에 있어서도 똑같은 결과가 있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컨설팅 요구도 분석

        고인규,최지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컨설팅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1년 8월 3일부터 30일까지 충북의 시지역에서 120명, 읍 지역에서 257명, 면지역에서 140명, 벽지지역에서 20명 등 모두 537명을 유층표집 하였으며, 이때에는 선택된 학교에 근무 중인 교사 전체를 표집 하는 군집표집을 함께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해당학교에 우편으로 발송하였으며, 연구 기간이 방학 중인 점을 고려하여 개학 후 까지 시간을 연장하여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총 318부로 통계적 자료 처리가 불가능한 응답지를 제외한 305부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컨설팅 경험 및 참여 요구에 대한 조사 결과, 수업컨설팅 참여 경험이 없는 교사가 더 많았으며, 참여한 교사의 경우 수업개선지원단(교육청)의 권유로 참여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둘째, 수업컨설턴트로는 수석교사가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과교육에 관련된 실제적 지식과 기술이 수업컨설턴트의 가장 중요한 자질로 인식했다. 셋째, 수업컨설팅 유형은 교내를 가장 선호했으며, 정기적인 운영보다는 비정기적 수시운영을 그리고 단기적 혹은 중기적인 수업컨설팅 운영을 더 선호하였다. 넷째, 수업컨설팅 활성화를 위해서는 유관기관이 수업컨설팅의 체계적 실행에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 분위기 조성이 일선학교의 수업컨설팅 활성화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For this aim, the sample selected 120 teachers who work in urban areas, 257 teachers who work in eup-town areas, 140 teachers who work in myeon-town areas, and 140 teachers who work in underdeveloped area by stratified sampling method in 3 of August, 2011 to 31 of August, 2011. The 537 questionnaires were mailed and the 318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 305 target except non-statistical data.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ny teachers did not participate in an instructional consultation. Teachers who were experienced the consultation, participated in accordance with the advice of the local education authorities. Second, the elementary teachers had a perception that the master teacher was the most suitable consultant with the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about instruction. Third, the most desirable type of consultations was to conduct within the school building and the teachers preferred irregular and short- or medium-term consultations. Fourth, in order to activate instructional consultations, it was important that the cooperation of the educational authorities and voluntary teachers.

      • KCI등재후보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에 의한 표준과 표준교육의빅데이터 분석

        고인규 표준인증안전학회 2018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in standards-related research using Big Data techniqu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Big data analysis was conducted on 441 academic materials derived from keyword search such as standard and standard education from May 1, 2017 to December 30. The types of big data analysis methods were text mining techniques. ‘Tm’, ‘RColorBrewer’, ‘word cloud’, ‘qcc’, ‘KoNLP’ were used package in R. It was to delete the words and symbols that do not require and by using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made the statement as a minimum unit.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frequency of word appearing in the title of academic articles and present it as a word crowd using the R program's crowding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word during the first period (2007 ~ 21011) was ‘standard’. In addition to the standard, the most frequent words were ‘curriculum’, ‘education’, ‘course’, and ‘childcare’.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word between the two periods (2012 ~ 2014) was education. Next, there were ‘standard’, ‘invention’, ‘national incompetence’ and ‘competence’. The word most often mentioned in the third period (2015 ~ 2017) was the ‘process’. Next, there were ‘inventions’, ‘national incompetence’, and ‘competence’. The standardized researches showed quantitative growth through the 1 st, 2 nd, and 3 rd periods, and the key keywords were ‘Curriculum’, ‘Education’, ‘Process’, ‘Child Care’, ‘Invention’, ‘National Disability’ And ‘competence’. 이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하여 표준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7년 5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리스포유에서 ‘표준’, ‘표준교육’ 등의 키워드 검색을 통해 도출된 총 441편의 학술 자료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 된 빅데이터 분석 방법은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이었다. 분석을 위해 사용된 프로그램은 R 프로그램이다. R 프로그램의 ‘tm’, ‘RColorBrewer’, ‘wordcloud’, ‘qcc’, ‘KoNLP’ 패키지를 이용하여 불용어와 기호를 삭제하고 자연어 처리기술 중 형태소 분석을 통해 문장을 최소단위로 쪼개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학술자료 제목에 주로 나타나는 단어의 빈도수를 파악하고 이 결과를 R 프로그램의 크라우딩 패키지를 활용하여 워드크라우드로 제시하는 것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시기(2007~21011) 사이에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는 ‘표준’이었다. 표준이외에 빈도수가 높은 단어는 ‘교육과정’, ‘교육’, ‘과정’, ‘보육’이었다. 2시기(2012~2014) 사이에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는 ‘교육’이었다. 다음으로 ‘표준’, ‘발명’, ‘국가직무능력’, ‘역량’ 등이 상위에 있었다. 3시기(2015~2017)에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는 ‘과정’이었다. 다음으로 ‘발명’, ‘국가직무능력’, ‘역량’ 등이 상위에 있었다. 표준 관련 연구는 1시기, 2시기, 3시기에 거쳐 계단식으로 양적 성장을 보였으며 핵심적인 키워드는 ‘교육과정’, ‘교육’, ‘과정’, ‘보육’, ‘발명’, ‘국가직무능력’, ‘역량’ 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