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最勝太子別壇供養儀軌』 연구(1)*

        강대현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2 불교 철학 Vol.10 No.-

        『최승태자별단공양의궤』는 북방 비사문천의 삼남 최승태자와 관련된공양법을 적은 의궤이다. 2010년 일본 학자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된이 의궤는 1133년 필사된 것으로, 신라 현초의 저작으로 여겨지는 기록이 의궤의 오서에 기록되고 있다. 총 1,570여 자로 이루어진 이 의궤는 만다라 중앙의 10천왕, 제2원의 22왕, 최외원의 5장군 등을 배치한후 화신의 모습을 나타낸 최승태자의 인상착의 및 소지하고 있는 법구등을 통해 그의 위신력을 보여준다. 이어서 만다라 작단이 거행되는데, 높이 1척 너비 4주의 만다라를 건립하고 갖가지 장엄단을 갖춘 후 삼밀수행을 행한다. 의궤 부분의 마지막에는 중생의 현실적인 식재 및증익을 도모한 최승태자 공양의 공덕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른바 오서 에서 ‘보수사 현초가 이 의궤를 지었다.’라고 혹자가 전하는 내용과 함께 알 수 없는 저자에 의해 1133년에 이 의궤가 필사되었음을 밝히고있다. 본고에서는 『최승태자별단공양의궤』의 내용 분석보다는 원전의판독에 중점을 두었으며, 형식적인 구성을 살펴보기 위해 不空譯, 『北 方毘沙門多聞寶藏天王神妙陀羅尼別行儀軌』(T1250)를 비교하였다. 비록 이 의궤의 중요성이 가볍지는 않지만, 우선적으로 이 의궤의 찬술자 및 필사자에 대한 객관성 확보와 더불어 원문의 온전한 판독을 통한 완벽한 해석 등이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려시대 밀교종파 지념업[총지종] 연구

        강대현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98 No.-

        The history of Korean esoteric Buddhism can be found mainly in Buddhism of the Goryeo period. Evidence for this is that many of the Buddhist services were established under royal protection. In addition, regarding esoteric Buddhism that is discussed in Korean Buddhism, Sininjong (신인종) and Chongjijong (총지종) are representative sects. Among them, Chongjijong was not found until the Joseon period. During the Goryeo period, as a mark of its sectarian character, the name of Jinyeomup (지념업) appeared. In other words, jinyeom (지념), which refers to “the recitation of a dhāraṇī in concentration meditation before the Buddha-sphere” and eop (업), which means sect or school was combined to make the term Jinyeomup. Furthermore, the term chongji, which means “to maintain” or “to be able to stop” came to be known as the sect, Chongjijong. During the Goryeo period, along with Cheontaejong, Hwaeomjong, Jaeunjong, Namsanjong, etc. Jinyeomup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oryeo royal family. This is known because a collection of poems called the Dongmoonsun (동문선) includes a message from the king to a meditation master of Jinyeomup, Joyu (조유) who recognizes Jinyanggong (진양공) and his ability to overcome illness through the practice of esoteric ritual. In addition, the main activities of the Jinyeomup in the Goryeo period were assessed in the contents of the esoteric practitioners of the Chongjijong, which appears in the chronicles of King Taejong (태종실록). These practitioners would memorize mantras of the Chongjijong with the intention of saving sentient beings. 한국 밀교의 역사는 주로 고려시대의 불교적 양상에서 찾을 수 있다. 왕실의 비호 아래 개설되었던 수많은 밀교도량이 그 증거 중의 한가지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불교에서 거론되는 밀교종단은 신인종과 총지종이 대표적이다. 이 중 총지종은 조선시대에 이르러서야 그 이름을 찾아볼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종파적 성격의 지념업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즉 ‘선정 속에서 진언다라니염송을 통한 불경현전(佛境現前)’을 뜻하는 ‘지념’과 종파 내지 문파를 뜻하는 ‘업’이 결합하여 지념업으로 부르던 것이 다라니를 통한 능지(能持) 또는 능차(能遮)의 뜻을 담고 있는 ‘총지’와 더불어 총지종이라는 종단 명칭이 된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천태종ㆍ화엄종ㆍ자은종ㆍ남산종 등과 유가업, 화엄업, 율업, 소승업 등의 명칭과 함께 지념업 또한 고려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밀교수법으로 진양공의 병환을 물리친 지념업 선사 조유에게 왕이 내린 교서가 시문선집 『동문선』에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조선 『태종실록』에 나타난 총지종의 밀교행자가 밀원에 번갈아 들어가 진언을 외었던 내용과 총지종은 인명구제를 설치목적으로 하였다는 관련 기사 등에서 고려시대 지념업의 주된 활동상을 가늠해볼 수 있었다.

      • KCI등재
      • 초음파 영상에서 나타나는 측엽에 의한 허상(Side-lobe artifact)의 발생기전과 임상적 고찰

        강대현,이성,김유 高麗大學校 倂設 保健大學 保健科學硏究所 2000 保建科學硏究論集 Vol.9 No.1

        Many artifacts are commonly occurred in clinical ultrasound imaging. Among these artifacts, the side lobe artifacts are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it can be make a mistake to some materials or sludge in organs such as the gallblader and urinary bladder, to in abnormal masses. Experimentally done to permitted the occur of these side lobe artifacts and clinical examples were analyzed to improvement diagnostic accuracy in ultrasound imaging.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ings: 1. Side lobe artifacts are occurred to strong specular echoes at the inner wall of plastic case, when the sonographic equipment out put power or gain increased. 2. Diffuse artifacts ocurred at the high reflective bowel gas nearly contact to cystic organs, such as gallbladder or urinary bladder. 3. To remove these uneffective artifacts, reducing the ultrasound equipment output power, repositioning the patient, changing the transducer angulation etc. are proved to be effective.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불교의례ㆍ의식의 밀교적 양상 고찰- 불교의례ㆍ의식집의 몇 가지 도상을 통하여 -

        강대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6

        조선후기에 간행된 불교의례ㆍ의식집에는 많은 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 가운데 밀교적 특징을 드러내고 있는 도상 또한 적지 않다. 본문에서는 밀교의 양부만다라와 불복장의식의 중요한 물목의 하나인 팔엽대홍련도와 열금강왕여래지방도에 대한 교학적 근거와 사상성을 시작으로, 체계적인 밀교경전의 필두인 『대일경』의 오자륜과 육자진언의 도상인 자기관음밀주관념도의 상관성 등을 밝혔고, 마지막으로 밀교 호마법 중 식재법 및 증익법의 교학적 의의로부터 현실 속에서 전개되고 있는 여러 가지 부적에 대한 연관성 등을 살펴보았다. 불복장의식 과정에서 팔엽대홍련도는 이법신으로서의 태장만다라와 연관성을 지니고 있고, 열금강왕여래지방도는 지법신을 함의하고 있는 금강계만다라와 깊은 관련성을 띠고 있다. 또한 밀교의 오자륜은 진언집의 유식사지와 옴아-훔자론으로 전개되었고, 나아가 『육자대명왕다라니 경』 등에서는 이른바 육자진언 옴마니반메훔의 관념도로 전개되었다. 또한 민간신앙 내지 도교 등에서 연유된 수많은 종류의 부적은 밀교의 오종호마법 중 식재법과 증익법의 교학적 의의를 간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re are many religious icons in the Buddhist rituals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period. Among these, there also many icons that reveal the Esoteric features of the Buddhism. In this paper, First, I explained the rationale and the ideology about the relations between them, maṇḍalas of both realms of Esoteric Buddhism and icon of a large lotus of eight petals and of many powerful Buddha like diamond within Buddhist Enshrinement, I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x-letter mantra of Mahāvairocana-sūtra, which was the beginning of the systematic esoteric scrip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ve wheel of words and the icon for look into and think over. finally,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nale of the esoteric method and the incremental method, that's are ‘religious ceremony performed for the prevention of disasters and calamities[śāntika] and performed for the attainment of prosperity[puṣṭika] in the practice of esoteric Buddhism’, and the various amulets developed in the real world.

      • KCI등재

        조선시대 진언집 실담장의 범자음운 및사상의 체계

        강대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규장각 Vol.50 No.-

        조선후기에 간행된 여러 진언집에는 범자 실담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만연사본 『진언집』과 망월사본 『진언집』에는 「실담장해의총론(즉발)」 등으로 별도의 장을 구성하여 실담장 범자음운에 대한 자세한 논설과 더불어 그 음운에 대승불교의 사상 및 교학을 적용하고 있다. a․ā․aṃ․aḥ자에는 ‘不生卽般若’ 등의 사상을 적용하였으며, i․ī․u․ū․e․ai․o․au자에 대해서는 ‘八轉三昧卽萬行’의 사상을 적용하였다. 또한 이들 a․ā․aṃ․aḥ자에 唯識의 四智를 적용하였는데, 이들 중에서 ā․aṃ자의 적용에서 기술상의 오류가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요컨대 ā자에는 能證의 成所作智, aṃ자에는 所證의 平等性智 적용이 올바르다고 할 수 있다. ṛ․ṝ․ḷ․ḹ자에는 a자의 반야바라밀과 ā자의 보시․지계․인욕․정진․선정바라밀을 보조하는 方偏․願․力․智바라밀을 적용하였다. 또한 ‘二十般若卽不生’으로서의 ka․kha․ga․gha, ca․cha․ja․jha, ṭa․ṭha․ḍa․ḍha, ta․tha․da․dha, pa․pha․ba․bha 20자모에 적용하였고, 十信에 ṅa자, 三賢에 ña자, 前七地에 ṇa자, 後三地에 na자, 그리고 佛果에 ma자를 적용하는 등 이들을 十地에 배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ya․ra․la․va․śa․ṣa․sa․ha자에는 常․樂․我․淨과 無常․無樂․無我․不淨을 적용하고 있다. 아울러 조선후기 진언집 실담장의 교학적인 면에서는, 밀교의 五字輪[a(菩提心)․ā(如來行)․aṃ(成菩提)․aḥ(大寂涅槃)․āḥ(方便力)]의 a․ā․aṃ․aḥ자와 진언집 실담장의 a․ā․aṃ․aḥ자에 대한 교학적인 면에서는 일치하지만, āḥ자에 대한 적용이 진언집 실담장에는 표면상으로는 드러내지 않으면서 그러한 方便力의 āḥ자를 oṃ(身輪方便)․ā(口輪方便)․hūṃ(意輪方便)자에 따로 적용시킴으로써 밀교의 五字輪과는 다른 진언집만의 독특한 적용을 보이고 있다.

      • 레이저를 이용한 균일 금속 액적 생성

        강대현,양영수,김용욱,조성규,박성민 한국레이저가공학회 2002 한국레이저가공학회지 Vol.5 No.1

        The uniform metal droplet generation using Nd-YAG laser was studied an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e shape and volume of developed droplet was measured and the Young-Laplace equation and equilibrium condition of force were applied this model. The differential equation predicting shape of droplet using equilibrium condition of force instead of Navier-stokes equation was induced and numerical solution of differential equation compared with experimentation data. The differential equation was solved by Runge-Kutta method. Surface tension coefficient of droplet was determined with numerical solution relate to experimental result under the statical condition. In case of dynamic vibration, metal droplet shape and detaching critical volume are predicted by recalculating proposed model. The result revealed that this model could reasonably describe the behavior of molten metal droplet on vibration.

      • KCI등재

        밀교경전에 나타난 符印의 현황과 그 현실적 功能- 『대정장』 ‘밀교부’를 중심으로 -

        강대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2

        There are not a few talismans in esoteric scriptures. This is a very wide range of concepts, including the meaning of amulets known as folk beliefs. The meaning of talisman that ‘accredited as a talisman’, it authorized the absolute power of talisman[the matter of psychic power] to all kinds of things. The words of talismans in the esoteric scriptures were derived from Taoist term talisman, a seal, mantra, and book of prophecy and dharana-matrika as one of the bāhya-vidyā known in ancient India, and it was applied to the secular reality, such as śāntika, puṣṭika, etc. or the astrology of Esoteric Buddhism based on 28 constellations. There are more than a hundred and fifty kinds of talismans in the esoteric scriptures, such as, maṇḍala-type talisman, the word of amitābha’s bīja-type talisman, exposition of the teachings of dhāraṇī and 28 constellations-type talismans for spiritual power and life etc. If we look at talisma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wo characteristics of teaching dealing with phenomena in esoteric scriptures, it can be seen as a pattern of performance that has not been systematized.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with the homa, which includes śāntika, puṣṭika, can be cited, in the case of a religious attendant used the talisman as a means to achieve the ultimate purpose of enlightenment, however, in the case of the general public, it can be said that talismans were used to promote the well-being of the individual body and mind, away from realistic diseases or enemies. 밀교경전에는 적지 않은 符印이 나타나고 있다. 부인은 민간 신앙으로 알려져 있는 부적의 의미를 포함한 매우 넓은 범위의 개념이다. ‘符로서 印한다.’는 의미의 부인은 절대적인 권능을 부[神物]로서 인가한 것이다. 이러한 부인은 도교의 符ㆍ印ㆍ呪ㆍ籙에서 왔으며, 呪符 내지 呪印에 관한 성취인 外五明 중의 符印明으로서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고, 밀교의 수법인 식재ㆍ증익 등의 호마법 내지 28수를 기본으로 하는 밀교점성술 등으로 세간적인 현실 속에 적용하였다. 밀교경전에는 壇의 형식을 취하는 부인, 아미타불 종자자를 나타내는 hrīḥ 부인, 다라니설법부인, 28수 등을 통한 신통력과 연명을 위한 부인 등 백 오십여 종류의 부인이 나타나고 있다. 이들 부인을 밀교의 事敎二相으로 본다면 그것은 잡부밀교적인 事相의 체계화가 이뤄지지 않은 수행의 양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식재ㆍ증익을 포함하는 밀교 호마법과의 연관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밀교 행자가 궁극의 목적인 보리의 성취를 위하여 부인을 방편으로 사용했다면, 세간에서는 현실적인 병고 내지 원적 등으로부터 벗어나 개개인 심신의 안녕을 도모하기 위해 부인에 의지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